KR970065509A -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5509A
KR970065509A KR1019970007131A KR19970007131A KR970065509A KR 970065509 A KR970065509 A KR 970065509A KR 1019970007131 A KR1019970007131 A KR 1019970007131A KR 19970007131 A KR19970007131 A KR 19970007131A KR 970065509 A KR970065509 A KR 970065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presents hydrogen
formula
methyl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583B1 (ko
Inventor
류요섭
김성기
이영호
유성훈
전재훈
편승엽
최우봉
전성욱
전삼재
이성백
박현철
김문정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Lg 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Lg 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ublication of KR97006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7/0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1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containing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그의 입체이성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균에 의한 발병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X1및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 메틸 또는 할로겐을 타나내거나, X1및 X2가 벤젠환상의 인접한 탄소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이 상호 결합하여 메틸렌디옥시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수소, 페닐 또는 -CHR5R6(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6은 수소, C1-C3알킬, 하이드록시, 티올, 알킬티오메틸, 페닐 또는 하이드록시페닐을 나타낸다)을 나타내며, R2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1과 함께 프로필렌을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여기서, R4는 사이클로프로필, 클로로메틸, C1-C4알킬, C1-C4알콕시, C1-C3할로알콕시, 알릴옥시, 아릴옥시 또는 벤질옥시를 나타낸다)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1)

  1. 하기 일반식 (Ⅰ)의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입체이성체:
    상기 식에서, X1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 메틸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X1및Z2가 벤젠환상의 인접한 탄소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경유에 이들이 상호 결합하여 메틸렌디옥시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수소, 페닐 또는 -CHR5R6(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6은 수소, C1-C3알킬, 하이드록시,티올, 알킬티오메틸, 페닐 또는 하이드록시 페닐을 나타낸다)을 나타내며, R2는 수소를 나타내거나, R1과 함께 프로필렌을 나타내고, R3는 수소 또는(여기서, R4는 사이클로프로필, 2-클로로에틸,C1-C4, 알킬, C1-C4알콕시, C1-C3할로알콕시,알릴옥시, 아릴옥시 또는 벤질옥시를 나타낸다)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톡시, 메틸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거나, X1및 X2가 벤젠환상의 인접한 탄소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경유에 이들이 상호 결합하여 메틸렌디옥시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수소, 페닐 또는 -CHR5R6(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6은 수소,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 티올, 알킬티오메틸, 페닐 또는 하이드록시페닐을 나타낸다)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또는(여기서, R4는 2-메틸프로필옥시, t-부톡시, 아릴옥시 또는 벤질옥시를 나타낸다)을 나타내는 화합물.
  3. 하기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탈수제, 용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 (Ⅰ-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X1,X2,R1는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4. 제3항에 있어서, 탈수제가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및 실리콘테트라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염기가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트리부틸아민 및 N-메틸모폴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용매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 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7. 하기 일반식 (Ⅰ-1)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가수분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X1,X2,R1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하기 일반식 (Ⅰ-2)의 화합물을 염기 및 용매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Ⅳ)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 (Ⅰ-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X1,X2,R2는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는 제1항에서 정의한 R3와 같으나, 단 수소와 t-부톡시카르보닐은 제외한다.
  9. 제8항에 있어서, 염기가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트리부틸아민 및 N-메틸모폴린 중에서 선택된 1종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틀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디에텔에테르,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11. 농약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1항에 정의된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에 의한 발병저해용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7131A 1996-03-06 1997-03-04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01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5863 1996-03-06
KR101996005863 1996-03-06
KR19960005863 1996-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509A true KR970065509A (ko) 1997-10-13
KR100201583B1 KR100201583B1 (ko) 1999-06-15

Family

ID=1945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31A KR100201583B1 (ko) 1996-03-06 1997-03-04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81B1 (ko) 2016-10-19 2018-10-26 (주)신영유니크 자동차 부품용 무인 자동화 연속 주단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158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4724A (ko) 산소 함유 헤테로시클로 화합물(oxy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ATE284433T1 (de) Fluorescierende cyaninlabels mit einem sulphamidobrückenglied
HU225973B1 (en) Novel method of esterification of baccatine iii and 10-deacetylbaccatine iii
KR840001174A (ko) 카르바 페넴 화합물의 제조방법
ATE205515T1 (de) Versteifte trimethin-cyaninfarbstoffe
KR950702976A (ko) 벤조피란 및 벤족사진 유도체[benzopyran and benzoxazine derivatives]
DE69434198D1 (de) Verfahren zur senkung des serumcholesterinspiegels mit 2,6-dialkyl-4 silyl-phenol derivaten
KR950014125A (ko) 2,2-디플루오로케텐 실릴 아세탈 및 α,α-디플루오로-β-실릴옥시-1,3-디옥솔란-4-프로판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960017638A (ko) 옥사졸 아민 중간체를 통한 아릴피롤류 살충제의 제조방법
FI902632A0 (fi) Menetelmä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5-substitoitujen 5,11-dihydrodibentso/b,e//1,4/tiatsepiini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sekä menetelmässä käyttökelpoisia välituotteita
KR910016710A (ko) 4-페닐프탈라진 유도체
ES2040856T3 (es)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 compuesto de tiofeno.
KR970707122A (ko) 퀴놀린 유도체(quinoline derivative)
KR970065509A (ko) 신규한 아미노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K0458387T3 (da) Isochromanderivater
KR960029312A (ko) N-아릴알킬페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DE69715417D1 (de) Oxazolidinester
KR950032158A (ko) 신규의 티아진 또는 티오모폴린 유도체
KR910015572A (ko) N-아실- 및 n-술포닐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3075928A3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I882874A0 (fi) Tiofenderivat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KR920005718A (ko)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960031449A (ko) [1, 2, 4] 티아디아졸 제초제
KR950026855A (ko) (+)2-벤조일-3-[(프로피-2(s)-일)아미노]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K2298754T3 (da) Fremstilling af taxanderiv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