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49947A -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49947A
KR970049947A KR1019950059437A KR19950059437A KR970049947A KR 970049947 A KR970049947 A KR 970049947A KR 1019950059437 A KR1019950059437 A KR 1019950059437A KR 19950059437 A KR19950059437 A KR 19950059437A KR 970049947 A KR970049947 A KR 97004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ode
map data
determined
r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성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5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49947A/ko
Publication of KR97004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947A/ko

Link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도로의 방향성과, 도로교차점에서의 회전제한과, 도로상의 유턴을 고려하여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도로경로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장치를 구현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미리 설정된 영역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도로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소정 목적지까지의 도로경로중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은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도로에 인접하는 도로중 최소 거리와 최적코스트값을 가지는 도로를 차량의 주행을 위한 다음 도로로서 일차적으로 결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는지와 유턴가능한 도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를 다음 도로로 이차적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에 차선하는 도로를 다음 도로로 이차적으로 결정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1과정 및 제2과정은 목적지가 위치하는 도로가 결정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Description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도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17)

  1. 도로경로의 최적 안내를 위한 지도데이타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타 저장 매체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영역내의 도로들이 서로 교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노드들의 수와,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도로들의 수와,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유턴가능한 도로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1계층과, 상기 각 노드들이 좌표값과 각 노드에서 통행가능한 인접하는 노드들의 수를 각 노드들에 대응시켜 제2지도데이타로서 저장하기 위한 제2계층과, 상기 각 노드를 사이에 위치하는 도로의 차선수에 따라 결정되는 코스트값과 그 도로의 길이를 나타내는 제3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3계층과,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도로들을 나타내는 제4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4계층과, 상기 설정영역내에 유턴이 가능한 도로들을 나타내는 제5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5계층으로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도데이타는 상기 설정영역을 나타내는 좌표값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도데이타는 회전이 제한되는 두 도로들을 나타내며, 상기 두 도로중 어느 한 도로를 나타내는 시작노드와, 상기 두 도로가 교차되는 경유노드와, 상기 두 도로중 다른 한 도로를 나타내는 끝노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도데이타는 회전이 제한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지도데이타는 유턴이 가능한 도로의 시작 지점을 나타내는 시작노드와, 유턴이 될 수 있는 짖ㅁ을 나타내는 경우 노드와, 상기 시작노드와 동일한 끝노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6. 도로경로의 최적 안내를 위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미리 설정된 영역내의 도로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지도데이타 저장매체와, 상기 지도데이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데이타를 읽어들여 소정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최적경로 결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도데이타 저장매체는; 상기 설정된 영역내의 도로들이 서로 교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노드들의 수와,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도로들의 수와,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유턴가능한 도로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1계층과, 상기 각 노드들의 좌표값과 각 노드에서 통행가능한 인접한 노드들의 수를 각 노드들에 대응시켜 제2지도데이타로서 저장하기 위한 제2계층과, 상기 각 노드들 사이에 위치하는 도로의 차선수에 따라 결정되는 코스트값과 그 도로의 길이를 나타내는 제3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3계층과, 상기 설정영역내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도로들을 나타내는 제4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4계층과, 상기 설정영역내에 유턴이 가능한 도로들을 나타내는 제5지도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제5계층으로 구조되며, 상기 최적 경로 결정수단은; 상기 제3지도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노드에서 통행가능한 인접노드들중 최소거리 및 최소코스값을 가지는 노드를 일차적으로 다음 노드로서 결정하고,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는지와 유턴가능한 도로에 위치하는지를 각각 상기 제4지도데이타와 상기 제5지도데이타를 이용하여 판단한 후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를 다음 노드로 이차적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에 차선하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서 이차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동작을 목적지를 나타내는 노드가 결정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경로 결정수단은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고 유턴가능한 도로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를 다음노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경로 결정수단은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가 회전제한에는 해당하고 유턴가능한 도로에는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를 다음 노드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경로 결정수단은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노드를 다음 노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도데이타는 상기 설정영역을 나타내는 좌표값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도데이타는 회전이 제한되는 두 도로들을 나타내며, 상기 두 도로중 어느 한 도로를 나타내는 시작노드와, 상기 두 도로가 교차되는 경우노드와, 상기 두 도로중 다른 한 도로를 나타내는 끝노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도데이타는 회전이 제한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지도데이타는 유턴이 가능한 도로의 시작지점을 나타내는 시작노드와, 유턴이 될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경우 노드와, 상기 시작노드와 동일한 끝노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데이타 저장매체.
  14. 미리 설정된 영역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도로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장치에서 소정 목적지까지의 도로경로중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도로에 인접하는 도로중 최소거리와 최적코스트값을 가지는 도로를 차량의 주행을 위한 다음 도로로서 일차적으로 결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는지와 유턴가능한 도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를 다음 도로로 이차적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에 차선하는 도로를 다음 도로로이차적으로 결정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과정 및 제2과정을 상기 목적지가 위치하는 도로가 결정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고 유턴가능한 도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를 다음 도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가 회전제한에는 해당하고 유턴가능한 도로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에 차선하는 도로를 다음 도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가 회전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적으로 결정한 도로를 다음 도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9437A 1995-12-27 1995-12-27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970049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37A KR970049947A (ko) 1995-12-27 1995-12-27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37A KR970049947A (ko) 1995-12-27 1995-12-27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947A true KR970049947A (ko) 1997-07-29

Family

ID=6662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437A KR970049947A (ko) 1995-12-27 1995-12-27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499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51A (ko) * 2001-08-11 2003-02-19 명지대학교 비콘 시스템을 이용한 동적 순환 최단 시간경로 탐색시스템 및 그 탐색 방법
KR100730889B1 (ko) * 2005-05-03 2007-06-21 팅크웨어(주) 목적지의 방향을 고려한 경로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6943B1 (ko) * 2004-11-04 2011-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형 턴 속성의 도로를 가지는 교차로에서의 피형 턴 안내판단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51A (ko) * 2001-08-11 2003-02-19 명지대학교 비콘 시스템을 이용한 동적 순환 최단 시간경로 탐색시스템 및 그 탐색 방법
KR101026943B1 (ko) * 2004-11-04 2011-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형 턴 속성의 도로를 가지는 교차로에서의 피형 턴 안내판단방법
KR100730889B1 (ko) * 2005-05-03 2007-06-21 팅크웨어(주) 목적지의 방향을 고려한 경로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110A (en) Navigation system and path search method using hierarchized road data
US4882696A (en) Navigation apparatus
KR100312072B1 (ko) 네비게이션장치
JP3754110B2 (ja) 動的経路探索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0760504A2 (en) Map database apparatus
CN101446496A (zh) 导航装置、导航方法以及导航程序
EP0706031B1 (en) Navigation system and path search method
KR970049947A (ko) 최적의 도로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34567A1 (en) Method for searching route in navigation system
JP293853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探索方法
JP200417731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3185563B2 (ja) 経路探索表示装置
JP7261201B2 (ja) 経路案内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03004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誘導方法
JPH09127865A (ja) 地図データベース装置
CN116215584B (zh) 变道路径规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3708372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表示方法
JP2551478B2 (ja) 経路決定装置
JP2782136B2 (ja) 車両走行案内装置
JP7351800B2 (ja) 走行経路予測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98781B2 (ja) 経路探索装置
JP2782134B2 (ja) 車両走行案内装置
JP2623393B2 (ja) 車両走行案内装置
JPH11304519A (ja) 経路探索装置
JPH10153447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経路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