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0823A -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0823A
KR970020823A KR1019950038791A KR19950038791A KR970020823A KR 970020823 A KR970020823 A KR 970020823A KR 1019950038791 A KR1019950038791 A KR 1019950038791A KR 19950038791 A KR19950038791 A KR 19950038791A KR 970020823 A KR970020823 A KR 97002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alve
supplied
auxiliary tank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4523B1 (ko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김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룡 filed Critical 김해룡
Priority to KR101995003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523B1/ko
Publication of KR97002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하중에 따른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제동력을 제어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배밸브(100)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보조탱크 유입관(12)을 통하여 보조탱크(30)로 유입됨과 동시에 보조탱크 유입관(12)의 관로상에 연결되어 있는 응하중 밸브 유입관(13)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의 압력포트(P1)까지 공급되며, 제동실린더 공급관(14)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의 또따른 입력포트(P3)까지 공급되고, 상기 보조탱크(30)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부하감지 밸브(200)의 입력측(230)에 공급되어 감지된 차량의 하중에 따라 배출측(240)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300)의 또다른 입력포트(P4)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 제동장치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배밸브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하 감지밸브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응하중 밸브의 단면도.

Claims (4)

  1. 기관차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제동관(10)을 통하여 각각의 차량에 설치된 분배밸브로 공급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밸브(100)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보조탱크 유입관(12)을 통하여 보조탱크(30)로 유입됨과 동시에 보조탱크 유입관(12)의 관로상에 연결되어 있는 응하중 밸브 유입관(13)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의 입력포트(P1)까지 공급되며, 제동실린더 공급관(14)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의 또따른 입력포트(P3)까지 공급되고, 상기 보조탱크(30)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부하감지 밸브(200)의 입력축(230)에 공급되어 감지된 차량의 하중에 따라 배출측(240)을 통하여 응하중 밸브(300)의 또다른 입력포트(P4)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밸브(100)는 매인바디부(140)와 래치 바디부(130) 및 컨트롤 바디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감지 밸브(200)는 다이어 프램(221)의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발포성 고무(220)에 의하여 배출측(240)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하중 밸브(300)는 피스톤(310)의 작동에 연동하는 고정로드(322)에 의하여 실린더(33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8791A 1995-10-31 1995-10-31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KR014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91A KR0144523B1 (ko) 1995-10-31 1995-10-31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91A KR0144523B1 (ko) 1995-10-31 1995-10-31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823A true KR970020823A (ko) 1997-05-28
KR0144523B1 KR0144523B1 (ko) 1998-08-01

Family

ID=1943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791A KR0144523B1 (ko) 1995-10-31 1995-10-31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81B1 (ko) * 1999-10-09 2002-12-26 안진원 영공식 화차용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73B1 (ko) * 2006-07-26 2007-11-02 이정우 철도 차량용 변동하중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81B1 (ko) * 1999-10-09 2002-12-26 안진원 영공식 화차용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4523B1 (ko) 199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982B2 (en) Electrohydraulic braking system
ATE213472T1 (de) Vorrichtung zum verhindern des wegrollens eines fahrzeugs
KR970020823A (ko)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CA2273398A1 (en) Load proportional brake cylinder pressure limiting system
JPS62131854A (ja) スリツプ制御ブレ−キシステム
JPH03159853A (ja) 車両ブレーキ用のアンチロツク装置
DE59903392D1 (de) Relaisventil für druckluftbremssysteme von schienenfahrzeugen
EP0970863A3 (en) Application solenoid valve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freight train brake system
US5599074A (en) Vehicle brake device housing with proportioning, traction, inlet and outlet valves
AU7399498A (en) Brake valve system for dedicated freight cars
KR200213498Y1 (ko) 공기브레이크장치의 공기탱크 압력조정 및 수분배출 장치
KR0118033Y1 (ko)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hydraulic brake system)
KR100200116B1 (ko) 브레이크 페일 방지 시스템
NZ217708A (en) Quick service valve for railway braking system
DE58906389D1 (de) Direkte Druckluftbremse für Schienenfahrzeuge.
WO1999001324A8 (fr) Repartiteur d'air pour freins de vehicule ferroviaire
KR20028186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에어드라이어의 거버너밸브
JPH05139286A (ja) 車両の電気コントロールブレーキシステム
KR970044736A (ko) 차량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19990029690U (ko) 차체의 총중량에 감응하는 브레이크 응답장치
KR200189157Y1 (ko) 자동차용 로드 센싱 프로포셔닝 밸브
KR20040053536A (ko) 차량의 브레이크
ATE179374T1 (de)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ruckluftbremse
CA25587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neumatically controlled graduated brake pressure release for freight train brake system
JPH09309421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