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7462A -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7462A
KR970017462A KR1019950029165A KR19950029165A KR970017462A KR 970017462 A KR970017462 A KR 970017462A KR 1019950029165 A KR1019950029165 A KR 1019950029165A KR 19950029165 A KR19950029165 A KR 19950029165A KR 970017462 A KR970017462 A KR 97001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value
input code
quot
ru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5431B1 (ko
Inventor
고정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431B1/ko
Publication of KR97001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 k=d+2m-1, m, n=d+v(m) +1)의 조건을 갖도록 디지탈 데이타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치부호화기를 채용하여 전치부호화기에 입력되는 부호값을 블럭단위에 해당하는 소정개만큼 합한 후 입력값이 기대값보다 클 경우 입력부호를 반전하여 실제부호화기에 입력하고 실제부호화기에서는 전치부호화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의 부호값에 최소제로런길이를 합한 갯수의 “0”을 “1”에 붙여 부호화하고 이를 복호화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치부호화기에서 입력부호값에 복수개의 오프셋 값을 각각 합한 후 각 합의 결과를 블럭단위로 누적을 하고 누적된 값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오프셋 값을 선택해서 입력부호와 선택된 오프셋 값을 가산하여 실제부호화기에 입력하고, 실제부호화기에서는 전치부호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입력부호의 부호값에 최소 제로런길이를 더한 갯수의 “0”을 “1”에 붙여 부호화하고 이를 복호화하고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데이타 복호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Claims (26)

  1.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호비트수(n)를 가각 나타내는(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 (a) 입력되는 부호의 부호값을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로 누적한 후 누적된 값이 소정의 기대값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근거로 하는 반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반전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부호를 블럭단위로 반전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법.
  2. 제I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부호화된 데이타는 (d, k=d+2m-1, m, n=d+v(m)+1)조건을 가지며, 여기서, v(m)은 입력 비트의 부호값을 의미하여 전송부호비트수(n)는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호비트수(m)는 4이하이고, 최소제로런길이(d)는 2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 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대값은 상기 블럭단위의 입력부호의 평균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법.
  5.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초비트수(n)를 각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m비트의 입력부호에 대하여 “0”에서 “2m-1”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을 각각 입력부호값에 합한 후 각 합의 결과를 2m으로 나누어 나어지값을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로 누적을 하고 누적된 값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오프셋 값을 선택하는 단계; (b) 선택된 오프셋값과 입력부호를 가산해서 가산된 결과의 하위 m비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결과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부호화된 데이타는 (d, k=d+2m-1, m, n=d+v(m)+1)조건을 가지며, 여기서, v(m)은 입력부호의 부호값을 의미하여 전송부호비트수(n)는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부호비트수(m)는 4이하이고, 최소제로런길이 (d)는 2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방 법.
  8.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호비트수(n)를 각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 (a) 입력되는 부호의 부호값을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로 누적한 후 누적된 값이 소정의 기대값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근거로 하여 반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반전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부호를 블럭단위로 반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해서 부호화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NRZ변환해서 부호열을 생성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NRZ데이타를 NRZ변환해서 부호열을 검출하는 단계; (f) 상기 검출된 부호열로부터 원래의 m비트의 부호로 복호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복호화된 데이타가 상기 (b)단계에서 반전된 부호이면 다시 반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
  9.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호비트수(n)를 자각 나타내는(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 (a) m비트의 입력부호에 대하여 “0”에서 “2m-1”에 해당하는 오프셋 값을 각각 입력부호값에 합한 후 각 합의 결과를 2m으로 나누어 나머지값을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로 누적을 하고 누적된 값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오프셋값을 선택하는 단계; (b) 선택된 오프셋값과 입력부호를 가산해서 가산한 결과의 하위 m비트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결과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할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해서 부호화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부호화된 데이타를 NRZI변환해서 부호열을 생성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NRZI 데이타를 NRZ 변환해서 부호열을 검출하는 단계; (f) 상기 검출된 부호열로부터 원래의 m비트의 부호로 복호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복호화된 데이타를 상기 (a)단계에서 선택된 오프셋 값의 보수와 오프셋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
  10.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호비트수(n)를 각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의 입력부호의 부호값이 소정의 기대값보다 크면 입력되는 부호를 반전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출력하는 전치부호화수단; 및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여 부호화하는 실제부호화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은 상기 입력부호의 부호값을 블럭단위로 누적하는 누적기; 상기 누적된 값이 소정의 기대값보다 크면 반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별제어기; 상기 입력부호를 블럭단위로 저장하는 버퍼; 및 상기 반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부호를 블럭단위로 반전하는 반전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부호화수단은 상기 반전기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부호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를 가산하는 가산기; 리세트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카운트 하는 카운터; 및 상기 가산된 결과와 상기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같지 않으면 “0”를 출력하고, 비교결과가 같으면 “1”을 출력함과 동시에 이 “1”을 상기 카운터의 리세트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입력부호에 싱크와 상기 반전제어신호에 대한 부가정보를 어셈블링하는 어셈블러; 및 상기 실제부호화수단의 출력을 NRZI변환하는 변환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러에서는 복호화시 PLL의 동작을 원활하기 위한 버스트신호를 더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5. 최소제로런길이(d), 최대제로런길이(k), 입력부호비트수(m), 전송부호비트수(n)를 가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호를 복수개의 오프셋 값으로 각각 가산해서 각 가산한 결과를 블럭단위로 누적하고, 누적된 결과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오프셋 값을 선택해서 입력되는 부호와 선택된 오프셋 값을 가산하는 전치부호화수단; 및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H비트의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여 부호화하는 실제부호화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은 블럭단위의 입력부호를 저장하는 버퍼; 입력되는 부호의 부호값과 설정된 “0”에서 “2m-1”에 해당하는 각 오프셋 값과 가산하여, 가산된 결과를 2m으로 나누어 나머지를 블럭단위로 누적하는 2m개의 오프셋누적기로 되어 있는 누적회로; 상기 2m개의 오프셋누적기의 출력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오프셋누적기의 오프셋값을 선택하고, 블럭단위의 입력부호값이 누적되면 2m개의 오프셋누적기를 리세트하는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판별제어기; 상기 버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부호와 상기 선택된 오프셋값을 가산하는 오프셋연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회로의 각 오프셋누적기는 m비트의 입력부호와 상기 선택된 오프셋 값을 가산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에서 가산된 결과를 2m으로 나누어 하위 m비트의 나머지를 출력하는 제산기; 및 상기 제산기에서 출력되는 나머지를 블럭단위로 적분하는 적분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부호화수단은 상기 오프셋연산기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부호의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를 가산하는 가산기; 리세트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카운트하는 카운터; 및 상기 가산된 결과와 상기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같지 않으면 “0”를 출력하고, 비교결과가 같으면 “1”을 출력함과 동시에 이 “1”을 상기 카운터의 리세트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연산기를 통해 공급되는 부호에 싱크와 상기 선택된 오프셋에 대한 부가정보를 어셈블링하는 어셈블러, 및 상기 실제부호화수단의 출력을 NRZI변환하여 신호열을 생성하는 변환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복호화시 PLL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버스트신호를 더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장치.
  21. 입력되는 m비트의 부호를 블럭단위로 누적하여 누적된 결과가 소정의 기대값보다 크면 입력부호를 반전해서 입력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를 합한 갯수의 “0”를 “1”에 부가해서 부호화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호한 데이타를 원래의 m비트의 부호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 및 상기 복호화된 데이타가 부호화시 반전된 부호데이타이면 다시 반전하는 반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복호화장치.
  22. 입력되는 m비트의 부호와 복수개의 오프셋 값을 각각 가산하여 복수개의 가산된 결과를 블럭단위로 누적해서 누적된 값들 중 가장 큰값을 갖는 오프셋 값을 선택하고, 선택된 오프셋 값을 입력부호와 가산해서 상기 가산된 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를 합한 갯수의 “0”를 “1”에 부가하여 부호화한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호한 데이타를 원래의 m비트의 부호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 및 상기 복호화된 부호에 상기 선택된 오프셋 값의 보수를 가산해서 원래의 부호데이타로 복원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복호화장치.
  23. 최소제로런길이, 최대제로런길이 입력부호비트수, 전송부호비트수를 각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고 이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 소정수의 부호로 되어 있는 블럭단위의 입력부호의 부호값이 소정의 기대값보다 크면 입력되는 부호를 반전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출력하는 전치부호화수단;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부호에 싱크, 복호화시 PLL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스트신호와 상기 반전정보에 대한 부가정보를 어셈블링하는 어셈블러; 상기 어셈블러로부터 공급되는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여 부호화하는 실제부호화수단; 상기 부호화된 데이타를 NRZI변환해서 부호열을 생성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변환수단;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NRZI데이타를 NRZ변환해서 부호열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신호열로부터 “1”이 검출되기전 “0”의 수를 카운팅해서 “0”수에 해당하는 부호값을 갖는 M비트의 부호를 발생하는 복호화수단; 상기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데이타에서 싱크, 버스트신호, 반전에 대한 부가정보를 분리하는 디셈블러; 및 상기 복호화된 데이타를 상기 반전부가정보에 따라 다시 반전하는 반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송열에서 “1”이 검출되기전가까지 “0”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결과를 토대로 하여 m비트의 부호를 발생하는 디코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25. 최소제로런길이, 최대제로런길이, 입력부호비트수, 전송부호비트수를 각각 나타내는 (d, k, m, n)조건을 갖는 데이타로 부호화하고 이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입력부호를 복수개의 오프셋 값으로 각각 가산해서 각 가산한 결과를 블럭단위로 누적하고, 누적된 결과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오프셋 값을 선택해서 입력되는 부호를 선택된 오프셋과 가산하는 전치부호화수단; 상기 전치부호화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부호에 싱크, 복호화시 PLL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스트신호와 상기 선택된 오프셋에 대한 부가정보를 어셈블링하는 어셈블러; 상기 어셈블러로부터 공급되는 m비트의 입력부호에 대하여 입력부호값과 최소제로런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갯수의 “제로(0)”를 “원(1)”에 부가하여 부호화하는 실제부호화수단; 상기 부호화된 데이타를 NRZI변환해서 부호열을 생성하여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변환수단;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NRZI데이타를 NRZ변환해서 부호열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신호열로부터 “1”이 검출되기전 “0”의 수를 카운팅해서 “0”수에 해당하는 부호값을 갖는 m비트의 부호를 발생하는 복 화수단; 상기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데이타에서 싱크, 버스트신호, 오프셋 값에 대한 부가정보를 분리하는 디셈블러; 및 상기 복호화된 부호를 상기 발생된 오프셋값의 보수와 가산해서 원래의 부호로 복원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송열에서 “1”이 검출되기전가까지 “0”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결과를 토대로 하여 m비트의 부호를 발생하는 디코딩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29165A 1995-09-06 1995-09-06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KR016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65A KR0165431B1 (ko) 1995-09-06 1995-09-06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65A KR0165431B1 (ko) 1995-09-06 1995-09-06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62A true KR970017462A (ko) 1997-04-30
KR0165431B1 KR0165431B1 (ko) 1999-03-20

Family

ID=1942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165A KR0165431B1 (ko) 1995-09-06 1995-09-06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82B1 (ko) * 2000-06-22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82B1 (ko) * 2000-06-22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5431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7430A (ko) 디지털 데이터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US6079041A (en) Digital modulation circuit and digital demodulation circuit
JP5688861B2 (ja) レベル・モードとラン・レングス/レベル・モードの間での符号化を適応させるエントロピー符号化
KR850005919A (ko) 정보 전달 방법 및 엔코딩 디코딩 장치
JPS6217418B2 (ko)
HU221391B1 (en) Method of converting a series of m-bit information words to a modulated signal, method of producing a record carrier, coding device, device, recording device, signal, as well as a record carrier
KR100281738B1 (ko) 니블 반전 및 블록 반전 부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 부호 및 복호장치
JP3240341B2 (ja) 情報変換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3167638B2 (ja) ディジタル変調方法と復調方法及びディジタル変調回路と復調回路
EP1202462A1 (en) Modulation method, modulator,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217298B2 (ja) nB2P符号および復号装置
JP6426212B2 (ja) 制限されたキャリー演算による算術コーディング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Z200273A3 (cs) Způsob převádění toku datových bitů binárního informačního signálu na tok datových bitů omezovaného binárního kanálového signálu, zařízení pro kódování signálu, nosič záznamu, způsob dekódování a zařízení pro dekódování
KR100274213B1 (ko) Rll(2,25)코드를 이용한 7/13 채널코딩 및 채널디코딩방법
KR970017462A (ko) 디지탈 데이타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US6438728B1 (en) Error character generation
JPS6029068A (ja) 伝送誤り検出方式
KR970029015A (ko) 정보부호화장치 및 방법, 정보해독화장치 및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TW200405672A (en) Data 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de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de arranging method
KR100448282B1 (ko) 가중치 블록을 이용한 균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100917884B1 (ko) 동기 코드워드의 패리티 정보를 이용하여 dc 억압이가능한 데이터 변조 방법 및 장치
KR20080097917A (ko) 채널 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3573978B2 (ja) 符号化方法、及び符号化装置
US6603411B2 (en) Method for modulating digital data and apparatus therefor
GB2109200A (en) Digital data en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