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806B1 -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806B1
KR970011806B1 KR1019930024635A KR930024635A KR970011806B1 KR 970011806 B1 KR970011806 B1 KR 970011806B1 KR 1019930024635 A KR1019930024635 A KR 1019930024635A KR 930024635 A KR930024635 A KR 930024635A KR 970011806 B1 KR970011806 B1 KR 97001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tment
body portion
arc
concrete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493A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806B1/ko
Publication of KR95001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호안축조제의 일부 절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호안축조제의 단면도로서,
가)도는 A-A'선을 따른 단면도
나)도는 B-B'선 및 C-C'선을 따른 단면도
다)도는 D-D'선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의 부분 상세도로서,
가)도는 제3도의 다)도에 도시된 F-F'선 단면도
나)도는 제3도의 가)도에 도시된 보강판의 상세도
다)도는 제3도의 나)도에 도시된 E-E'선 단면도
라)도는 제4도의 나)에서 도시된 G-G'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호안축조제를 서로 연결시키는 아크셀(Arc Cell)의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아크셀의 사용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를 이용하여 호안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서별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가)도는 호안축조제의 거치작업을 도시한 도면
나)도는 호안축조제의 내부에 충전제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안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도는 사석경사제 투하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나)도는 강시판 셀(Steel Shet Pile Cell)식 직립제를 사용한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다)도는 셀블럭(Cell Block)식 혼성제를 사용한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라)도는 유공케이슨(Caisson)식 혼성제를 사용한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마)도는 케이슨(Caisson)식 호안제를 사용한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안축조제10 : 몸체부
12 : 내피14 : 외피
20 : 보강프레임23 : 스트럿 부재(Strut Member)
25a,25b : 육강보강판(Hexagonal gusset plate)
27 : 보강콘크리트 받침판55 : 보강철근
60 : 아크셀(Arc Cell)63 : 호형 본체부
80 : 사석기초공82 : 피복석
90 : 슬라그층P1,P2: 중심점
본 발명은 해안지역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할때 사용되는 호안축조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석의 소모량을 축소화하여 자연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대형의 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단시간내의 시공이 가능함으로서 경제적인 호안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유수면의 매립시나, 해양구조물인 방파제를 건설하는 경우, 호안시공방법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방식으로 제안되어 있다.
제10도의 가)도에 도시된 사석 경사제 투하방식은, 사석(300)을 해상에 투입하여 제체를 형성한 후 천단고(天端高)를 상기 콘크리트(310)로 타설(打設)하고 전면에는 삼발이형 테트라폰트(Tetraport)(315)를 거치하여 내습파랑(來襲波浪)의 소파 및 월파(越波)저지 효과를 기대하며, 배면은 피복석(320)을 피복하여 월파류에 대한 세굴(洗掘)파괴를 방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방식은 수심이 깊을수록 사석량이 증대되어 공사비가 과대하여 골재원 확보여부도 주요한 과제이다. 한편, 외측의 테트라폰트에 의한 소파효과 및 월파에 대한 저지효과는 매우 좋아 반사파에 의한 인근지역의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형식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상기 방파제 완성후 지반의 침하, 세굴등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등 유지보수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과대한 사석(300)이 투입됨으로서 그에 따른 자연 파괴현상이 매우 심각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고, 시공원가가 비싸지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제10도의 나)도에 도시된 가시판 셀식 직립제를 사용하는 방식은, 원지반상에 일정규모로 원형으로 폐합(閉合)하도록 요구되는 깊이까지 강시판(400)을 향타하여 원통형 직립셀을 형성한 후 사석(300)으로 속채움과 뒷채움을 시행하는 방법으로서 강시판(400)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옹벽(310)을 형성하며 배면에는 사석(300)과 피복석(320)을 시공한다. 이 방식은 차수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시공성이 비교적 단순하므로 공기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현재까지 원형으로 강시판(400)을 타입하는 시공장비 및 경험이 없어 시공의 신뢰도, 장비도입 및 강시판 제작등의 문제가 대두된다. 특히 구조형식상 사석(300)에 의해 속채움이 완료되지 않은 때에는 파력(波力)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므로 양질의 속채움 재확보와 연속적인 급속시공이 필요하며 파랑이 큰 해역에서는 시공성이 좋지 않다. 상부 구조물의 형식은 다른 직립제안과 유사하며 파랑의 소파효과, 월파저지대책 및 반사파 영향등도 대책 수립이 필요하고 강시판의 부시방식 대책도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0도의 다)도에 도시된 셀블럭(Cell Block) 혼성제를 사용한 방식은, 기본적인 개념은 이하에서 설명될 케이슨(Caisson)식과 유사하며 사석 마운드(300) 상부에 일정규모의 셀블럭(450)에 충진되기 때문에 시공원가가 현저히 상승되며, 콘크리트(460) 양생에 따른 긴 시공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10도 라)도에 도시된 유공케이슨식 혼성제를 사용한 방식은, 직립제의 최대 단점인 소파효과와 원파저지대책, 파랑반사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기술로서 일정한 높이까지 사석(300)으로 마운드(mound)를 축조한 후 전면 벽체부분(510)은 파랑(波浪)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 케이슨(500)을 거치하고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옹벽(310)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슨(500) 내부에는 모래(530)를 충진한 구조이다. 이는 구조적 안정성 검토시 케이슨(500)에 작용하는 파압의 해석등이 불명확하여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부위별 벽체에 미치는 파압안정성 및 월파 특성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케이슨(500)의 제작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기술적으로 시공이 난해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0도의 마)도에 도시된 케이슨식 호안제를 사용한 방식은, 파랑의 영향이 적은 수심까지 사석 마운드(300)를 축조하여 그 상부에 일정규모의 케이슨(600)을 거치하고 모래(620)로서 속채움후,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용벽(310)을 타설하고 저면 하부에는 콘크리트 블럭(630)을 거치하여 세굴로 인한 케이슨(600)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배면은 자석(300)으로 뒷채움 시공후 피복석(320)으로 피복하여 완성하는 형식으로 그 단면이 이체 구조이므로 파력에 대하여 강하며 차수효과도 비교적 양호하다.
그러나 별도의 케이슨(600) 제작장이 필요하며 케이슨 거치공사시 대형장비투입이 요구되고 구조물 또한 직립이므로 파랑의 소파효과 및 월파에 대한 저지효과가 다소 떨어지므로 현지 지형 여건상 파랑의 반사에 의한 인근해역의 정온도(靜穩度)를 요구하는 지역에서는 테트라폰트(Tetrapot)등을 이용한 반사율 저감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대부분 다량의 사석(300)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점과 함께 사석을 해저내로 투입시에는 부유물질이 다량 발생하여 심각한 해양 오염을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슨(600)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를 시공하는데에 대형의 장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시공원가가 크게 높아지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에 따른 시공공기도 길어지는 문제점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석의 이용을 최소화함으로서 자연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부유물질에 의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장비로서도 단시간내에 시공이 가능함으로서 시공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호안축소제와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원통형의 몸체부를 갖추고, 상기 원통형 몸체부를 각각 이어주면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아크셀을 갖추며, 상기 몸체부내의 원형공간과, 아크릴내의 공간내에 모래가 충전되는 호안축조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각각 원통형의 내피와 외피를 갖추고,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및 제3보강프레임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4보강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내피의 하단부에는 외측면이 상기 내피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면은 링(ring)형의 곡면을 형성하며, 하부면은 상기 내피와 외피의 하부면에 일치하는 보강 콘크리트 받침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아크셀이 몸체부의 외피에형 단면의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호형본체부의 일측모서리에 형성된 T형 안내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호형본체부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T형 안내부재는 인접한 몸체부의형 끼움부에 끼워짐으로서 인접한 몸체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끼움부에는 무수축 콘크리트(Non Shrinkage Concrete)가 투입되어 상기 안내부재와 끼움부 사이의 여유공간을 충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내피가 형성하는 원형공간과, 서로 대향한 아크셀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슬라그가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안지역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하는 호안시공방법에 있어서,
a) 해저면에 일정높이로 사석 기초공을 형성하는 단계;
b) 기초사석 투하에 따른 원지반의 침하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c) 원통형의 몸체부를 갖춘 호안축조제를 사석 기초공위에 거치시키는 단계;
d) 아크셀로서 서로 인접한 호안축조제를 연결시키는 단계;
e) 호안축조제와 아크셀의 내부에 모래 또는 슬라그로 이루어진 충진물을 속채움하는 단계;
f) 호안축조제의 상단부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g) 상기 호안축조제의 배면축으로 슬라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h) 호안축조제의 캡콘크리트 상부에 콘크리트 용벽 파라미트를 구착하는 단계; 및,
i) 상기 슬라그중의 상부에 피복석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시공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호안축조제(1)는 원통형의 몸체부(10)가 내피(12)와 외피(14)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프레임(20)을 갖추며, 상기 보강 프레임(20)은 몸체부(10)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상,하단부 및 중간부분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몸체부(10)의 내피(12)와 외피(14)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에 따라서 I형강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주(16)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됨으로서 상기 내피(12)와 외피(14)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상기 지주(16)가 형성하는 원주방향의 각도는 대략 30°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내피(12)와 외피(14)의 대향측면(12a)(14a)에는 각각 T형 앵글 부재로 이루어지는 브라켓트(Bracket)(17)가 일정간격으로 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부착되는 한편, 상기 내,외피(12)(14) 사이에는 콘크리트층(19)이 충진되어 하나의 원통형 구조체를 이룬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20)은 몸체부(10)의 내측에서 내피(12)와 외피(14)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바, 몸체부(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보강프레임(22)은 내피(12)의 직경(diameter)을 가로지르는 방사방향으로 각각 60°의 원주각도를 형성하면서 다수개의 스트럿부재(Strut member)(23)가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부재(23)는 각각 I형강 부재로 구성되고, 양측단부(23a)(23b)는 내피(12)와 외피(14)를 연결하는 지주(16)의 인접측면에서 내피(12)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럿부재(23)가 서로 교차되는 중심점(P1)에는 상하면에 육각보강판(Hexagonal gusset plate)(25a)(25b)이 일체로 연결되어 보강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스트럿 부재(23)의 양측단부(23a)(23b) 직하부는 내피(12)의 원주방향으로 내측면을 따르는 링보강부재(27)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 보강부재(27)는 내피(12)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된 H형강 부재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및 제3보강 프레임(30)(35)은 각각 제3도의 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보강부재(32)(37)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보강부재(32)(37)도 제1보강브레임(22)의 링보강부재(27)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피(12)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된 H형강부재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4보강프레임(40)은 제1보강프레임(22)과 유사한 다수개의 스트럿 부재(43)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스트럿부재(43)는 각각 I형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양측단부(43a)(43b)는 내피(12)와 외피(14)를 연결하는 지주(16)의 인접측면에서 내피(12)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트럿부재(23)가 서로 교차하는 중심점(P2)에는 상,하면에 각각 육각보강판(45a)(45b)이 일체로 연결되어 보강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스트럿부재(43)의 양측단부(43a)(43b)에는 내피(12)의 원주방향으로 내측면을 따르는 보강콘크리트 받침판(50)이 형성되는 바, 상기 보강 콘크리트 받침판(50)은 외측면(50a)이 내피(12)에 접하게 되고, 내측면(50b)은 링(ring)형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는 스트럿부재(43)의 양측단부(43a)(43b)가 각각 콘크리트층(54) 내부에서 보강철근(55)과 함께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철근(55)을 각각 내피(12)의 내측면에 일체로 용접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콘크리트 받침판(50)이 내피(12)에 일체를 이루게 되며, 이때, 상기 보강 콘크리트 받침판(50)의 하부면(50c)은 내피(12)와 외피(14)의 하부면(50d)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안축조제(1)를, 이에 인접한 또 하나의 호안축조제(1')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아크셀(Arc Cell)(60)이 갖춰지는바, 이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호안축조제(1)(1)의 몸체부(10)(10') 외피(14)(14')에 일정간격으로형 단면의 끼움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62)는 몸체부(10)(10')의 외피(14)(14') 상,하단부를 이어주도록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호안축조제(1)(1')의 상기 끼움부(62)에는 각각 호형분체부(63)가 양측면에 T형 안내부재(64a)(64b)를 형성하여 장착됨으로서 인접한 호안축조제(1)(1')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62)에 T형 안내부재(64a)(64b)가 각각 삽입되어 아크셀(60)이 호안축조제(1)(1')를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부(62)에 무수축 콘크리트(Non-shrinkage Concrete)(미도시)가 투입되어 T형 안내부재(64a)(64b)와 끼움부(62) 사이의 여유공간을 충진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구조의 몸체부(10) 내측공간(S1)과 아크셀(60)이 형성하는 공간(S2)으로는 각각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모래 또는 슬래그(Slag)가 충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안축조제(1)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자연조건, 배후지의 중요도, 인접지의 해안 보전시설, 토질 수면등의 이용상황을 고려하여 시공조건, 경제성, 안정성등을 감안하여 구조형식, 법선위치, 표면경사구배, 천단고, 천단폭등을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검토에는 해양오염의 방지효과, 해상장비의 이용에 따른 시공성, 공사기간도 함께 검토되어져야 하며, 표 1과 같은 다음의 순서에 의해 설계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호안축소제(1)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검토하여야 한다.
1) 호안축조제의 몸체부에 작용하는 외력
가) 토압 : 몸체부 배후의 주동토압(主動土壓), 몸체부 전면의 수동토압(受動土壓), 몸체부 내부의 충진재의 토압
나) 잔류수압 : 잔류수압은 기본수준면상 조차(潮差)의 2/3을 고려
다) 몸체부 내부의 충진재 중량
라) 상재(上在)하중
2) 상부공(上部工)에 작용하는 외력
가) 수평력 : 토압의 수평분력 및 잔류수압
나) 연직력 : 상부공 또는 상부공상의 토사등 자중 또는 재하중동.
그리고, 파랑 조건을 가정하여 돌발적인 해상조건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계산되어야 하며, 해안 미립지 호안 구조물의 원호활동에 대해서는 토질 조사결과를 토대로 안전율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안축조제를 이용하여 호안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지역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부지조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석재를 사용하여 일정높이의 사석 기초공(80)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사석 기초공 형성단계(100)는 석질의 비중이 보통 2.5이상, 흡수율은 3.0% 미만, 압축강도가 800kg/㎠인 사석(80a)을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로 포설(鋪設)하게 된다. 이는
① 사석(80a)을 투하하고자 하는 지점에 부직포(일종의 천으로 된 매트)를 포설하여 사석의 침하 및 유실을 방지하고,
② 사석(80a)을 투하할때에는 규준틀을 준비하여 한 위치에 많은 량이 투하되지 않도록 고르게 투하하며,
③ 사석 투하의 순서는 중앙부에서부터 가장자리로 점차 얇게 투하하고, 비탈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수시로 투하상태를 확인하면서 투하하는 한편,
④ 사석 기초공(80)의 상부면에 덮혀지는 피복석(82)은 강도가 1,000kg/㎠을 유지하면서, 내부의 사석(80a)이 누출되지 않도록 공극을 최소로 설치하여야 하고, 비탈면 하단으로부터 석재의 긴변이 비탈면에 수직으로 맞물려서 끼워지도록 하고, 적은 규격의 피복석도 파압에 의한 탈락이나 유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⑤ 자석(80a)의 속고르기는 표면의 두께가 60cm 정도로서 크기는 0.03㎥/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적합하며, 피복석(82)은 형상에 맞추어 구조가 일체로 되도록 하고,
⑥ 마지막으로 기초가 형성되면 상부면을 고르게 작업하여 평탄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사석기초공(80)을 형성한 후에는 사석(80a)과 피복석(82)을 투하시킴에 따라서 원지반의 침하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검사단계(110)가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110) 다음에는 본 발명의 호안축조제(1)를 사석 기초공(80) 위에 거치시키는 단계(120)가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120)는 제9도의 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호안축조제(1)를 적출장(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육상에서 반출하는 장소)이나 대선(선박위)상에서 조금구(연결고리)와 결합시키는 경우, 상,하 방향을 반드시 확인하고,
② 대선상에서 조금구에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파랑에 의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온한 상태의 장소에 이루어져야 하며,
③ 호안축조제(1)의 거치 위치 결정은 거치상태, 위치오차, 회전, 경사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량치(T)를 통하여 3점 이상을 시준(視準)하여 2점 교회법으로 관축하거나 무전으로 유도하여 측정하며,
④ 호안축조제(1)의 거치는 충분한 양정능력을 갖춘 해상 기중기선(83)을 사용하는 한편,
⑤ 거치중에 원지반의 침하나 기초 사석중의 자체 수축에 의해 거치높이가 차이나는 경우나, 경사위치등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거치작업을 중단하고 사석 기초공(80)의 재시공을 이룬 다음 거치하여야 하며,
⑥ 호안축조제(1)의 거치에 대한 허용오차는 ±5cm 이내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120) 다음에는 아크셀(60)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호안축조제(1)(1)의 연결단계(130)가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130) 다음에는 호안축조제(1)와 아크셀(60)의 내부에 모래(sand) 또는 슬라그(Slag)로 이루어진 충진물의 속채움 단계(140)가 이루어진다.
상기 호안축조제(1)의 속채움 단계(140)을 거치완료후 즉시 시공하되, 최단시간내에 실시하여야 하며 속채움량이 많을 경우에는 리크레이머(Reclaimer)선등을 이용하여 제9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속채움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단계(140)는,
① 호안축조제(1)의 직경과 작업선(85)의 규모에 따라서 다르며 일반적으로 급속시공을 하게 됨으로서 2방향이나 3방향에서 시행하고,
② 속채움재(모래, 슬라그)의 투입작업은 한방향에서 편중하지 않고, 중앙부에 투입하여 호안축조제(1)(1')의 몸체부(10) 내부에 균등한 토압이 작용하도록 하며,
③ 작업선(85)은 파랑등에 의하여 작업도중에 호안축조제(1)에 접촉하지 않도록 바닥에 견고히 고정(Anchoring)시켜야 하고,
④ 속채움에 사용되는 작업선(65)의 종류, 능력등은 속채움량, 호안축조제의 크기, 거치공정등을 감안하여 투입작업이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140)가 완료된 다음에는, 호안축조제(1)의 상단부에 캡 콘크리트(Cap Concrete)층(86)을 타설(打設)하여 호안축조제(1) 내부에 속채움된 모래 또는 슬라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하는 단계(15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계(150) 다음에는 호안축조제(1)의 배면측으로 슬라그층(90)을 형성시키고, 상기 슬라그층(90) 사이에는 차수판(Membrane)(91)을 설치하는 단계(160)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계(160) 다음에는 호안축조제(1)의 캡콘크리트층(86)의 상부에 콘크리트 옹벽 파라피트(Parpet)(93)를 구축하여 방파물을 구축하는 단계(170)가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110) 다음에는 슬라그층(90)의 상부에 피복석(95)층을 형성하는 단계(180)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10)의 내피(12)와 외피(14) 사이에 콘크리트층(19)이 형성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외력(선박의 충돌, 부유 물질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하부면에는 보강 콘크리트 받침판(5)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석기초공(80)과의 접지면적이 증대되어 호안축조제(1)의 거치초기에 안정성이 크게 확보되며, 속채움재의 유실방지를 이룰 수 있다.
한편, 호안축조제(1)의 내부에는 종래와 같이 사석을 이용하지 않고, 모래 또는 슬라그로서 충진시키며, 호안축조제(1)의 배면측에도 슬라그층(90)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석재사용량이 현저하게 줄게되어 자연 환경 파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절제 구조물로서 호안축조제(1)를 구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염가의 제작 비용으로서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석재 사용량 감소에 따른 시공원자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4)

  1. 다수개의 원통형의 몸체부(10)를 갖추고, 상기 원통형 몸체부(10)를 각각 이어주면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아크셀(60)을 갖추며, 상기 몸체부(10)내의 원형공간(S1)과, 아크릴(60)내의 공간(S2)내에 모래가 충전되는 호안축조제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각각 원통형의 내피(12)와 외피(14)를 갖추고, 상기 내피(12)와 외피(14) 사이에는 콘크리트층(19)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보강프레임(22)과 상기 몸체부(10)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및 제3보강프레임(30)(35)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4보강프레임(40)을 갖추고, 상기 내피(12)의 하단부에는 외측면(50a)이 상기 내피(12)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면 (50b)은 링(ring)형의 곡면을 형성하며, 하부면(50c)은 상기 내피(12)와 외피(14)의 하부면(50d)에 일치하는 보강 콘크리트 받침판(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셀(60)은 몸체부(10)의 외피(14)에는형 단면의 끼움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62)에는 호형본체부(63)의 일측모서리에 형성된 T형 안내부재(64a)가 끼워지며, 상기 호형본체부(63)의 타측모서리에 형성된 T형 안내부재(64b)는 인접한 몸체부(10')에 외피(14')에 형성된형 끼움부(62)에 끼워짐으로서 인접한 몸체부(10)(10')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끼움부(62)에는 무수축 콘크리트(Non-Shrinkage Concrete)가 투입되어 상기 안내부재 (64a)(64b)와 끼움부(62) 사이의 여유공간을 충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내피(12)가 형성하는 원형공간(S1)과, 서로 대향한 아크셀(60)이 형성하는 공간(S2)내에는 슬라그가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축조제.
  4. 해안지역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하는 호안시공방법에 있어서, a) 해저면에 일정높이로 사석 기초공(80)을 형성하는 단계(100); b) 기초사석 투하에 따른 원지반의 침하여부를 검사하는 단계(110); c) 원통형의 몸체부(10)를 갖춘 호안축조제(1)를 사석 기초공위에 거치시키는 단계(120); d) 아크셀(60)로서 서로 인접한 호안축조제(1)를 연결시키는 단계(130); e) 호안축조제(1)와 아크셀(60)의 내부에 모래 또는 슬라그로 이루어진 충진물을 속채움하는 단계(140); f) 호안축조제(1)의 상단부에 캡콘크리트(86)를 타설하는 단계(150); g) 상기 호안축조제(1)의 배면측으로 슬라그층(90)을 형성시키는 단계(160); h) 호안축조제(1)의 캡콘크리트(86) 상부에 콘크리트 옹벽 파리피트(93)를 구축하는 단계(170); 및, i) 상기 슬라그층(90)이 상부에 피복석(95)을 투입하는 단계(18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시공방법.
KR1019930024635A 1993-11-18 1993-11-18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KR97001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635A KR970011806B1 (ko) 1993-11-18 1993-11-18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635A KR970011806B1 (ko) 1993-11-18 1993-11-18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93A KR950014493A (ko) 1995-06-16
KR970011806B1 true KR970011806B1 (ko) 1997-07-16

Family

ID=1936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635A KR970011806B1 (ko) 1993-11-18 1993-11-18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844B1 (ko) 2022-05-20 2023-11-08 주식회사 더브릿지 해안바닥에 해상기둥을 설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93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6140B2 (ja) 擁壁構造物の建設方法及び擁壁構造物
CN108999142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深水防波堤的施工方法
CN111676893B (zh) 一种临时码头结构及其施工方法
KR970011806B1 (ko) 호안축조제 및, 이를 이용한 호안시공방법
CN210766842U (zh) 一种漫滩区承台钢筋混凝土封底结构
CN212772394U (zh) 一种地下建筑支护体系
GB1560703A (en) Marine walls
CN208965494U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CN208472649U (zh) 一种在地基基础中设抗滑桩的重力式沉箱码头结构
KR0155648B1 (ko) 강판셀 및 그 제조방법
CN216515676U (zh) 一种深厚淤泥地质临近构造物的钢板桩围堰结构
CN109024470A (zh) 圆顶方形轻型沉箱与桩基组合式防波堤
RU2119004C1 (ru) Прича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CN214832726U (zh) 一种深厚软土区顶管工作井支护结构
CN215801705U (zh) 一种地基护坡结构
JP7489350B2 (ja) 既存岸壁の改良構造及び改良方法
CN219671413U (zh) 一种应用于深厚软土地层的减沉抗倾复合抗滑桩墙结构
CN216640657U (zh) 一种插入式竖向组合桩
CN220486172U (zh) 一种适用于山区公路库岸段灾毁路基的加固结构
CN114232676B (zh) 衡重式挡墙结构与浆砌条石面层同步快速施工方法
RU2484206C1 (ru) Способ сопряжения плавучего массива-гиганта, имеющего воронкообразные фундаменты-оболочки, с основанием
JP2764447B2 (ja) 橋脚支持等地盤構築物
JP2802815B2 (ja) 堤体構造
JP4588821B2 (ja) 海上人工地盤及びその構築工法
JPH1171737A (ja) 防波堤外海の藻場及びその造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