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706B1 -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706B1
KR970011706B1 KR1019890702511A KR890702511A KR970011706B1 KR 970011706 B1 KR970011706 B1 KR 970011706B1 KR 1019890702511 A KR1019890702511 A KR 1019890702511A KR 890702511 A KR890702511 A KR 890702511A KR 970011706 B1 KR970011706 B1 KR 97001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iodide
acetic acid
hydroquinone
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428A (ko
Inventor
토마스 핫셀 2세 라킨스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존 디. 후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존 디. 후써 filed Critical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Publication of KR90070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12Acetic acid esters
    • C07C69/14Acetic acid esters of monohydroxylic compounds
    • C07C69/145Acetic acid esters of monohydroxylic compounds of unsaturated alcohols
    • C07C69/157Acetic acid esters of monohydroxylic compounds of unsaturated alcohol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2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with a carbon-to-oxygen ether bond, e.g. acetal, tetrahydrofur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릴 에테르를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는 상업용 화합물로 크게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용매, 향료 및 기타 기능 그룹들이 방향족 고리내로 삽입되는 반응에서의 중간물로서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이들 화합물들은 중합체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에테르 화합물들을 분열시켜 이러한 에스테르를 만든다고 공지되었다. 특히, 강산을 부가하여 에테르 결합을 쪼개는 것이 잘 알려졌다. 그러나 보다 값싸고 편리하게 아릴 에스테르를 생산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 화학양론식에서의 양만큼의 요오드화 알카리금속염의 존재하에서 R이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이고 R1가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 그룹인 일반식[R-O]n-R1의 에테르를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 아세트산의 알카리 금속염 및 요오드화 알킬을 만드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해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요오드화 알카리 금속과 아세틸화제는 아릴 에테르 그룹 1몰 당량당 최소한 약 1몰당량정도로 존재해야만 한다. 아릴 에테르 그룹, 아실화제 및 요오드화 알카리금속염의 양이 대략 화학양론식에서의 양 정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테르의 R 그룹은 C1-15알킬 그룹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약 C1-5를 갖는 저급 알킬 그룹이다. R은 하이드록시, 카복실 및 아미노 그룹같은 그룹들로 치환될 수도 있다. 적당한 R 그룹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옥틸, 노닐, 데실, 도데실등이 있다.
R1그룹은 최소한 C6를 함유할 수 있으며 약 C15까지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R1그룹의 예로는 페닐, 메틸페닐, 에틸페닐, 디페닐, 벤질, 메틸벤질, 나프틸등이 있다. 이에 더하여 아릴그룹들은 하이드록시, 아미노, 카복실 및 알콕시 같은 그룹들로 치환될 수 있다.
n이 1, 2, 3 또는 4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당한 에테르로는 하이드로퀴논 모노에틸 에테르, 하이드로퀴논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레소시놀 모노메틸 에테르, 레소시놀 모노에틸 에테르 같은 아릴 모노알킬 에테르, 구아야콜, 메톡시벤조산, 에톡시벤조산, 부톡시벤조산, 메톡시페닐아민, 에톡시페닐아민 또는 하이드로퀴논 디메틸에테르, 하이드로퀴논 디에틸 에테르, 하이드로퀴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같은 디알킬 에테르, 3, 4-디에톡시벤조산 및 3, 4-디메톡시-5-하이드록시-벤조산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아세틸화제를 사용하여 에테르와 반응시켜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를 만든다. 사용되는 아세틸화제는 아세트산이거나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둘 모두를 합친 조합물일 수 있다.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를 만들기 위해 요오드화 알카리금속 염의 존재하에서 상기한 아릴에테르를 아세트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킨다. 요오드화물의 알칼리 금속으로서 마그네슘 및 칼륨같은 다른 알카리 금속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나트륨 또는 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 나트륨 또는 요오드화 리튬을 무수물 형태로 반응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응에서,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는 아세트산의 금속염 및 요오드화 알킬과 함께 생성된다. 이 반응에서, 아릴 에테르의 방향족 고리상에 있는 에테르 그룹들이 아세톡시 그룹들에 의해 대체되므로서 아릴에스테르가 만들어지게 된다. 예컨대,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가 아릴 에테르일때 아세톡시 그룹이 에테르 결합을 대체하여 결과적으로 아세톡시 아니솔을 만든다. 이 아세톡시 그룹들은 가수분해나 또는 중합반응 같은 다른 화학반응에 의해 곧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에테르가 메틸 또는 디에틸 아릴 에테르일 경우에, 만들어지는 요오드화 알킬은 요오드화 메틸이 될 것이다. 요오드를 회수하기 위해서 요오드화메틸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물로서 요오드화메틸을 필요로 하는 많은 공업공정등이 있따. 더우기, 요오드화메틸은 공기중에서 접촉되는 산화되어 요오드 원소를 만드는데 이를 회수하여 요오드방향족 화합물들을 만드는 요오드화 반응같은 반응에 사용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에 사용되는 요오드화 알카리 금속염이 요오드화나트륨 또는 요오드화리튬일 경우에 생산된 아세트산의 알카리금속염은 각각 아세트산 나트륨 또는 아세트산 리튬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생산된 아세트산 나트륨 또는 아세트산 리튬은 회수하여 이후에 기술될 방향족 에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메틸, 디메틸 또는 트리메틸 아릴 에테르, 무수 요오드화나트륨 또는 무수 요오드화리튬 및 아세트산의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 나트륨 또는 요오드화 리튬의 양은 최소한 화학양론식을 따르는 정도로 존재해야만 한다. 가열하기 전에, 오토클레이브를 닫고 실온에서 약 100psig 되는 질소 가스를 주입시킨다. 그런뒤 오토클레이브를 가열하여 약 130°-약 225℃ 사이에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만든다. 반응이 약 150℃-약 185℃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ㄷ. 반응 혼합물을 약 1-3시간동안 가열한뒤 오토클레이브를 약 1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뚜껑을 열어 압력을 빼낸다. 여기서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가 만들어지며 요오드화나트륨 또는 요오드화리튬이 요오드화 메틸 및 아세트산 나트륨 또는 아세트산 리튬으로 전환될 것이다. 반응하지 않은 메틸 또는 디메틸 아릴에테르로부터 아릴 에스테르를 분리해내어 회수할 수 있으며 요오드화 메틸 및 금속성 아세테이트염을 회수, 순환시킬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예시하나 이것으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드로퀴논 디메틸에테르 10.0g(0.072M), 무수 요오드화 리튬 20.0g(0.15M)과 아세트산 200mL를 300mL Hastelloy C 오토클레이브에 넣었다. 오토클레이브를 닫고 실온에서 100psig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45분간 175℃로 가열한뒤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1시간 동안 이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켰다. 압력을 빼내고 오토클레이브를 열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더니 액체 생성물에 0.024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0.013M의 아세톡시 아니솔, 0.016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 및 0.002M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가 함유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요오드화리튬을 요오드화메틸과 아세트산리튬으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0g(0.072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20.0g(0.133M)의 무수 요오드화나타륨 및 200mL의 아세트산을 17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액체 생성물에는 0.040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0.017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0.011M의 아세톡시 아니솔, 0.006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 및 미량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가 들어 있었다. 요오드화나트륨을 요오드화메틸과 아세트산 나트륨으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0g(0.072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30.0g(0.20M)의 무수 요오드화나트륨, 15g(0.15M)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185mL의 아세트산을 18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액체 생성물에는 0.017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0.038M의 아세톡시 아니솔, 0.010M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 및 미량의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가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0g(0.072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30.0g(0.22M)의 무수 요오드화나타륨, 15mL(0.15M)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185mL의 아세트산을 20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액체 생성물에는 0.005M의 아세톡시 아니솔, 0.063M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 및 미량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에테르와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가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0g(0.072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50g(0.33M)의 무수 요오드화나트륨, 15mL(0.15M)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185mL의 아세트산을 21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액체 생성물에는 0.005M의 아세톡시 아니솔, 0.004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 및 0.063M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가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0g(0.072M)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 에테르, 38.6g(0.29M)의 무수 요오드화리튬, 15mL(0.15M)의 무수 아세트산 및 100mL의 아세트산을 1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액체 생성물에는 0.001M의 하이드로퀴논 모노아세테이트, 0.073M의 하이드로퀴논 디아세테이트 및 미량의 하이드로퀴논 디메틸에테르가 함유되어 있었다.

Claims (9)

  1. 최소한 화학양론적인 양 만큼의 요오드화 알카리 금속염의 존재하에서, R이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이고 R1이 치환되었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 그룹이며 n이 1, 2, 3 또는 4인 일반식 [R-O]n-R1의 에테르를,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아세틸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아세트산의 아릴에스테르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세틸화제와 요오드화 알카리 금속염이 대략 화학양론적인 양만큼 존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약 130℃-약 225℃의 온도에서 반응이 실행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약 160℃-약 185℃의 온도에서 반응이 실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가 메틸 아릴 에테르로 구성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가 디메틸 아릴 에테르로 구성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요오드화물의 알카리금속이 리튬과 나트륨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알카리금속이 리튬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알카리금속이 나트륨인 방법.
KR1019890702511A 1988-05-02 1989-04-24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KR97001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908588A 1988-05-02 1988-05-02
US189,085 1988-05-02
PCT/US1989/001681 WO1989010913A1 (en) 1988-05-02 1989-04-24 Method of preparing aryl esters of acetic ac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428A KR900700428A (ko) 1990-08-13
KR970011706B1 true KR970011706B1 (ko) 1997-07-14

Family

ID=2269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511A KR970011706B1 (ko) 1988-05-02 1989-04-24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18280B1 (ko)
JP (1) JPH03504128A (ko)
KR (1) KR970011706B1 (ko)
DE (1) DE68913040T2 (ko)
WO (1) WO1989010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4990B1 (fr) * 1991-12-13 1994-04-01 Poudres Explosifs Ste Nale Procede d'obtention d'esters d'aryle par o-dealkylation et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0835A (en) * 1934-10-26 1936-02-11 Union Carbide & Carbon Corp Preparation of esters
DE1493211A1 (de) * 1965-04-30 1969-06-12 Still Fa Carl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Karbonsaeureestern in der Dampfph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8280B1 (en) 1994-02-09
KR900700428A (ko) 1990-08-13
DE68913040D1 (de) 1994-03-24
EP0418280A1 (en) 1991-03-27
WO1989010913A1 (en) 1989-11-16
DE68913040T2 (de) 1994-08-18
JPH03504128A (ja) 199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kinson Recent advances in the selective formation of the carbon-fluorine bond
JPS5867647A (ja) マロン酸ジエステルの製造法
AU615985B2 (en) Thee production of formic acid from a nitrogenous base, carbon dioxide and hydrogen
KR970011706B1 (ko) 아세트산의 아릴 에스테르 제조방법
NL7905564A (nl)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fenolethers.
JPS63166845A (ja) 芳香族ハロゲン化物のカルボン酸塩への単相カルボニル化
ES2212363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dioles o polioles vecinales.
HU208299B (en) Process for reacting hydroxy compounds of small molecular weight with carboxylic acid halogenide
JPH07145104A (ja) ポリ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7250529B2 (en) Synthesis process for 2-(3-hydroxy-1-adamantyl)-2-oxoacetic acid
EP0078162A1 (en) Process for producing methyl methoxyacetate
EP0296275B1 (en) Carboxylic acid mix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075245A (en) Process for preparing solutions of N-methylol-chloroacetamide
JPS62263195A (ja) ペンタアセチルアルブチンの製造法
JPH02268148A (ja) 無水トリ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ン酸の製造方法
JPH0825991B2 (ja) ジチオールジ(メタ)アクリレートの製造法
SU112920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еталлилацетата
JPH03200744A (ja) 高級脂肪酸モノ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US369452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s (bethachloroethyl) vinyl phosphonates
JP3859888B2 (ja) リン酸トリエステルの製造法
KR19980080392A (ko) 1,2,3,6-테트라하이드로-2,2,6,6-테트라메틸피린딘 n-옥사이드의 제조방법
JPH0649667B2 (ja) 2,2−ビス(4′−アクリロイルオキシ−3′,5′−ジブロモフエニル)プロパンの製造法
US4507502A (en) Process for preparing tertiary phosphines
US3081338A (en) Method of reacting hydrocarboyl manganese polycarbonyls
JPH0285232A (ja) 長鎖二塩基酸モノエステル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