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332B1 - 휴대용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332B1
KR970011332B1 KR1019890702000A KR890702000A KR970011332B1 KR 970011332 B1 KR970011332 B1 KR 970011332B1 KR 1019890702000 A KR1019890702000 A KR 1019890702000A KR 890702000 A KR890702000 A KR 890702000A KR 970011332 B1 KR970011332 B1 KR 97001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container
portable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399A (ko
Inventor
로버트 제임스 메드
Original Assignee
프리-맥 (켄트) 리미티드
로버트 제임스 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맥 (켄트) 리미티드, 로버트 제임스 메드 filed Critical 프리-맥 (켄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0070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8Removal of treatment agents after treatment
    • C02F2303/185The treatment agent being halogen or a halogenate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정수 장치
제1도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편하게 포장되는 장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정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물처리 화학제가 모두 제거되어 있는 제1도의 중심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사용할 때의 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로부터 물컵 내부로 물이 흐르는 최종 정수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1살균 챔버(50)를 통한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7도는 특수 어댑터에 의하여 물병에 끼워 맞춤되어 정수된 물이 물병에 보존되는 본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정수 장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해 요오드화 형태로 변형된 강염기 음이온 교환 수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수 장치내에서 은화되거나 비은화된 형태로 탄소를 활용하는 것이 또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지의 휴대용 정수 장치는 수많은 박테리아를 박멸하는데는 거의 효과가 없으며 비루스를 박멸하는데도 특히 효과적이지는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많은 박테리아와 비루스를 박멸하는 능력을 가진 휴대용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의 각각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휴대용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따라 예시된 휴대용 정수 장치는 정수된 물을 담아 놓기 위한 컵 형상의 제1용기(10)와, 제1살균 챔버(50)와, 제2살균 챔버 및 후단계 필터 결합체인 제2용기(30)와, 전단계 필터 매개체(39)를 포함하며 원물(rawmaterial)을 수용하기 위한 제3용기(90)와, 커버(12)로 구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할 때 물컵(10)은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로부터의 물로 채워지며,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는 장치의 잔여 부분과 분리되며 구비된 내부 웨브(web)에 의해 역전 위치로 물컵(10) 위에 놓여진다.
작동시 및 사용할 때가 아닐 때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는 고속 작동 돌출 고정에 의해 제1살균 챔버(50)에 고정된다. 이것은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상에 제공된 외부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위치한 제1살균 챔버(50)의 내부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최종 처리단계 동안을 제외하고는 제1살균 챔버(50)는 제2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에 항상 부착되어 있다.
원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3용기(90)은 전단계 필터를 가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살균 챔버(50)상에 뒤엎어 놓기에 적합하며, 사용할 때에는 정수된 물을 받아들이고 물이 제1살균 챔버(50)내로 통과하기 전에 전단계 여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살균 챔버(50)상에 직립하기에 적합하다. 보다 상세히는, 제1살균 챔버(50)는 제3용기(90)의 원형 플랜지(92)와 끼워맞춤되는 중심 오목부(66)를 가지는 캡(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할 때에는 상호 체결 테이퍼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제1살균 챔버(50)의 캡내의 오목부의 바닥 및 제3용기(90)의 바닥은 제3용기(90)로부터 챔버(50)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중심 구멍(74 및 94)을 가지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12)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3용기(90) 위에 뒤엎어 놓기에 적합하며,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을 집수하여 제3용기(90)내로 쏟아 붓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커버(12)의 림(rim)(26)은 제1살균 챔버(50)의 하부 링(78)과 거의 동일한 직경이며,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살균 챔버(50)의 등간격의 돌출부(80)에 적합하게 들어 맞으며, 적소에 커버(12)를 보존한다.
제2용기(30)는 제2살균 단계와 후단계 여과 단계의 정수 단계들을 결합시키며, 3개의 격실로 구성된다. "상부"(제2도, 제3도 참조) 격실(14)은 펀넬(funnel)(54)에 의해 제1살균 챔버(50)로부터 물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중앙 격실(16)은 은화 형태(silver form)의 입자 활성탄, 가요성 천 형태로 은이 포함된 활성탄 섬유, 이온 교환 수지, 또는 후단계 필터로서 작동하는 이들 물질의 결합인 충전 매개체(48)를 수용하고 있다. 중앙 격실의 구조는 제2용기(30)의 몸체(31)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32)와 초음파 용접,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2용기(30)의 몸체(31)에 고착되는 상부 플레이트(34)로 이루어진다. 하부 플레이트(32)에는 위치가 역전될 때 중앙 격실(16)내로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분포된 수 많은 구멍(33)이 있으며,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heat staking),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몸체(31)에 부착된 지지링(38)에 의해 적소에 보존되는 충전 매개체(48)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모노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망(mesh)을 수용하기 위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플레이트(34)는 물을 격실 바깥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32)와는 설계상 어긋난 일련의 구멍(35)을 또한 가지며 폴리프로필렌망(40)과 지지링(42)을 수용하기 위해 유사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플레이트(32)및 상부 플레이트(34)의 구멍(33,35)의 배치, 크기 및 그 수는 처리되는 물이 이 격실내에 수용된 충전 매개체(17)와 정확한 접촉 시간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다.
하부 격실(18)은 특별한 시간 동안, 예를 들면 2분 동안, 살균 과정을 완결하기 위하여 살균제를 포함하는 물이 측정된 양만큼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사용할 때에는, 펀넬(54)과 중심 튜브(44)에 의해 물이 제1살균 챔버(50)로부터 제2용기(30)로 들어간다. 공기를 하부 격실(18)로부터 배출하여 제1살균 챔버(50)로부터 물이 자유스럽게 흐를 수 있으며, 또한 과잉물의 배출구로서 작용하여 처리되는 물의 조절된 양을 일시에 얻기 위해 제2용기내에는 3개의 배출 튜브(46)가 제공된다.
각 튜브(46)는 하부 격실(18) 내부로 향하는 상단 개방 구멍과 외부로의 하단 개방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1살균 챔버(50)는 상술한 고속 작동 돌출 고정에 의해 제2용기(30)에 고착되며, 캡(52)및 펀넬(54)이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성형 하우징(51)을 포함한다. 또한 제1살균 챔버(50)는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12)를 고정시키고 제3용기(90)를 보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제1살균 챔버(50)의 주몸체(51)는 본질적으로 요오드 형태로 변화된 이온 교환 수지이며,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형태로 변환된 강염기 음이온 교환 수지인 미생물독(microbiocide)(56)으로 충전되며, 상기 미생물독(56)은 상부 저장소(20)내와, 서로 평행하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예컨대, 9개의)(제5도 참조) 통로 세그먼트(22)내에 수용되어 있다.
반경 방향의 벽(22a)과 내측 및 외측 원통형 벽(22b,22c)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통로 세그먼트(22)의 단면 형상은,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전체 면적을 비교적 좁게하여 미생물독(56)을 우회하여 벽을 따라 얇은 판 형상으로 흘러내려가는 물의 월링(walling)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각각이 통로내의 미생물독 수지(56)의 베드(bed)의 단면적을 좁게 하고 깊이(길이)대 폭의 비를 크게 하여 물과 수지 사이의 접촉을 최대로 하고, 수지를 통한 물의 채널링(channeling)을 배제하고, 물 흐름의 임계 경로 길이를 최대로 하며, 수지와 물 사이의 원하는 접촉을 제공하고, 공지의 편평한 베드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채널링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51)는 충전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제적인 충전동안 최초에는 건조한 수지로 단지 부분적인 공간만이 채워진다. 수지는 습할때 팽창하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을 수용하기 위해 챔버(50)내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51)는 원형 지지 플레이트(58)에 의해 봉합되며, 원형 지지 플레이트는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지지 플레이트(58)는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51)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하고 물의 흐름은 허용하나 수지의 노출은 언제나 막아주는 모노필라 멘트 폴리프로필렌 망(60)을 고착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된다. 지지 플레이트(58)내의 구멍들(62)은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인 바닥면내의 유사한 구멍들(64)과 조화를 이룬다. 구멍들(62,64)은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효과적인 살균을 보장하기 위해 제1살균 챔버(50)내에 포함된 수지와의 원하는 접촉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다. 펀넬(54)은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의 바닥면상의 홈에 위치하며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착된다.
펀넬(54)은 제2용기(30)내로 물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장치를 통하여 조절 속도로 물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배치된다.
수지(56)로 제1살균 챔버(50)를 충전한 후에, 조립체는 캡(52)에 의해 닫혀지며, 캡(52)은 제1살균 챔버(50)의 몸체(51)의 상단부의 마개에 놓여지며,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착된다.
본 장치를 사용할 때 캡(52)은 제3용기(90)를 수용하기 위에 상부면내에 테이퍼진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70)에 의해 유지되는 모노 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망(68)을 수용하기 위해 하부면이 또한 오목하게 파여있다. 제1살균 챔버(50)로부터 물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는 모든 방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캡(52)은 또한 다수의 배출 구멍(72)을 가지고 있다.
원물을 담아 놓고 전단계 필터 매개체(39)를 수용하는 제3용기(90)는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살균 챔버(50)와 커버(12) 사이의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할 때에 제3용기(90)는 제1살균 챔버(50) 위의 직립으로 끼워 맞춤된다.
제3용기(90)는 폐쇄 캡(96)을 수납하기 위하여 내부에 성형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전단계 필터 매개체(39)로서 은화 형태의 입자 활성탄, 가요성 천 형태의 은을 포함하고 있는 활성탄 섬유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결합물을, 이온 교환 수지의 첨가 또는 첨가없이,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시키는 폐쇄 캡(96)은 스냅 맞춤으로 고정된다.
폐쇄 캡(96)은 모노 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망(98)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모노 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 망(98)은 원형 기지 플레이트(100)에 의하여 유지되며, 원형 지지 플레이트(100)는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폐쇄 캡(96)에 고착된다. 폐쇄 캡(96)과 지지 플레이트(100)는 물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정렬된 유사한 다수의 구멍(108)을 가지고 있다.
폐쇄 캡(96) 위에는 물이 전단계 필터에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는 성긴 출구 필터로서 작동하는 재생가능한 그물 모양의 폴리우레탄 포움 패드(102)가 위치하고 있다. 제3용기(90)의 원뿔단은 제1살균 챔버(50)내의 유사한 형상의 오목부내에 끼워 맞춤하기 위해 테이퍼진 돌출부(92)를 가지고 있다. 초음파 용접, 열 스테이킹, 열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제3용기(90)에 부착되는 지지플레이트(106)에 의해 고착되는 모노 필라멘트 폴리우레탄 망(104)은 테이퍼진 돌출부 내부에 형성된다. 물은 제1살균 챔버(50)내에 구비한 하나의 유사 구멍(74)과 일치하는 제3용기(90)의 테이퍼진 돌출부내의 중심 구멍(94)을 통하여 제3용기로부터 제1살균 챔버(50)내부로 전달된다.
본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제2용기(30)는 본 장치의 잔여 부분과 분리되며 물컵(10)은 제거되고 차후의 사용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그후 제2용기(30)는 본 장치의 상부 부분에 재부착된다. 커버(12)가 제거되고 제3용기(90)는 들어 올려져서 제1살균 챔버(50) 상에 직립으로 놓여지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요소들(92 및 66)의 대응하는 테이퍼진 형상에 의해 완전히 고착된다. 원물은 커버(12)를 사용함으로써 집수되어 제3용기(90)의 개방 단부내로 부어질 수 있으며 성긴 필터 패드(102)는 보다 큰 불순물 및 파편이 제1필터 챔버(24)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은 은화 형태의 입자 활성탄, 가요성 섬유 형태의 은을 포함하는 활성탄 섬유, 또는 이러한 물질의 결합체의 이온 교환 수지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아니한, 제1필터 매개체(39)내로 폐쇄 캡(96)내에 구비된 구멍들(108)을 통해 흐른다.
은화 탄소는 유기 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불쾌한 맛, 냄새 및 색깔을 제거하여 물을 정화하며, 또한 무기 화학 오염물을 감소시킨다. 그 물은 제3용기(90)로부터 배출되어 출구와 입구의 장치들의 접합부분에 구비된 출구 구멍(94) 및 입구 구멍(74)을 경유하여 제1살균 챔버(50)로 들어간다. 물은 제1살균 챔버(50)의 상부 저장소(20)(제2도 참조)내로 흘러서 미생물독 수지(56)를 포함하고 있는 세그먼트(22)아래로 흘러서, 거의 모든 박테리아와 비루스 및 다른 병원 유기체들은 박멸된다. 물은 세그먼트(22)의 바닥에 구비된 구멍들(64)을 통해 펀넬(54)내로 배출된다.
제1살균 챔버(50)의 구조는 물이 계속하여 흘러야 하고 물내에 존재하는 병원 유기체를 죽이기 위하여 물과 미생물독 수지(56)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보장하는 경로 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많은 양의 비루스가 물내에 존재할 때 그 비루스의 효과적인 소멸을 확실히 하고, 필요하다면, 물을 살균 상태로 보존하기 위하여 후속의 제2살균 단계가 실행되는 물내로 요오드의 조절된 양을 방출하기 위하여 미생물독 수지(56)가 디자인 된다(이하 참조). 물은 중심 구멍(76)을 통해 펀넬(54)을 떠나 중심에 위치하는 수납 튜브(44)를 경유하여 제2용기(30)의 하부 격실(18)로 이동된다. 본 장치는 일시에 일정한 양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과잉의 물이 채워질 경우, 과잉의 물은 제2용기(30)의 하부 격실(18)내의 3개의 배출 튜브(46)를 통해 넘쳐 흐르게 된다.
제2살균 단계가 완결되는 동안, 즉 모든 또는 대부분의 잔존 비루스 및 다른 병원 유기물이 소멸되는 동안의 지정된 최소 시간동안(예컨대, 2분) 물은 하부 격실(18)내에 보존된다. 즉시 물을 소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만약 물이 좀더 긴 시간동안 하부 격실(18)내에 보존된다면 용해된 요오드는 물을 무균 상태로 유지시킬 것이다.
물을 소비할 필요가 있을 때, 제2용기(30)는 돌출 고정에 의해 제1살균 챔버(50)로부터 분리되며 물컵(10) 위에 뒤집어 놓여진다. 물은 바닥 플레이트(32)내의 구멍(33)을 통해서 흘러서, 은화 형태의 입자 활성탄, 가요성 천 형태의 은을 포함하고 있는 활성 탄소섬유 이온 교환 수지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혼합물이며 잔류 요오드를 제거하고 물을 최종적으로 정수하는 후단계 필터로서 작용하는 충전 매개체(48)를 가지고 있는 중앙 격실(16)로 진입한다.
물은 튜브(44)의 외측 주변의 충전 매개체(48)를 통해 흐르며, 상부 플레이트(34)내에 제공된 구멍들(35)을 경유하여 제2용기(30)를 떠나며,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수 과정의 완결시 물컵(10)으로 들어간다. 독립적인 실험 테스트를 통하여 물컵의 물은 박테리아와 비루스는 제거되며 기껏해야 실제적으로도 문제되지 않고 해롭지 않은 요오드기를 포함하며, 맑은 빛깔이고, 무미, 무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것은 사람들이 소비하기에 안전하다.
제7도에 도시된 변형에서, 본 장치의 부분이 물병(110)에 끼워 맞춤하기에 적합하며 특수 어댑터(112)가 돌출 고정에 의하여 제1살균 챔버(50)에 체결된다. 특수 어댑터(112)는 나사식 삽입물(114)에 의하여 물병(110) 상부의 나사 위에 직접 끼워 맞추어진다. 삽입물(114)은 본 장치가 다른 형태의 물병에 연결될 수 있고 교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에서는 제2살균 챔버 및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30)와, 용기(30), 즉, 물컵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요오드는 물을 무균 상태로 유지시키고, 비록 처리와 소비 사이에 상당한 지체가 있다 하더라도 처리된 물의 재감염을 방지한다.

Claims (15)

  1. 미생물독(56)을 수용하고 있으며, 살균제가 상기 미생물독(56)으로부터 물로 퍼지도록 상기 미생물독(56)을 통하여, 그 내외부로 물을 흘려보내도록 된 챔버(50)와, 상기 챔버(50)로부터 흘러온 상기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물을 잠시동안 저장하기 위한 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의 살균이 부분적으로는 상기 미생물독(56)을 통하여 물을 흘러 보냄으로써 1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부분적으로는 살균제를 포함하고 있는 물의 저장에 의해 2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미생물독(56)은 요오드 형태를 변화된 강염기 음이온 교환 수지로 되고, 수단(62,64,76)은 상기 챔버(50)내에 수용된 상기 미생물독(56)과의 충분한 접촉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효과적인 제1살균을 보장하기 위하여 마련됨으로써, 상기 챔버(50) 내부로 흘러서 상기 매생물독(56)을 통과하는 물의 제1살균으로는 모든 박테리아와 최소한의 비루스를 충분히 박멸하고, 또한 살균제를 포함하는 물의 저장에 의해 제2살균으로는 물속에 다량 존재하는 비루스의 효과적인 박멸을 보장하는 휴대용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후에 물로부터 상기 살균제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한 충전 매개체(48)를 수용하고 있는 수단(30)이 마련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제1챔버(50)이며 살균제를 포함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제2챔버(30)로서, 이들 제1및 제2챔버(50,30)는 살균제를 포함하고 있는 물이 상기 제2챔버(30) 내부로 직접 통과되어 상기 제2챔버(30)에서의 물의 제2살균 시간동안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챔버(30)는 충전 매개체(48)를 수용하여 상기 살균 시간 이후에는 상기 제1챔버(50)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2챔버(30)의 위치가 역전됨으로써 물이 상기 충전 매개체(49)를 통과하여 상기 제2챔버(30)외부로 배출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5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생물독(56)을 수용하고 있는 다수의 통로(22)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통로(22)의 깊이 혹은 길이 대 폭의 비가 3배 이상이 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2)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통로(22)은 단면은, 반경 방향의 벽들(22a)과 내부 및 외부의 원통형 벽들(22b,22c)을 가지고 있는 세그먼트 인 휴대용 정수 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36,40,60,68)은, 각각 상기 제1챔버내의 미생물독(56) 및 상기 제2챔버내에 충전 매개체(48)를 보유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50)는, 물을 상기 제2챔버(30)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펀넬(54)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10.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30)는 상기 제1챔버(50)로부터 물을 수납하기 위한 중심 튜브(44)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매개체(48)는 상기 중심 튜브(44)의 외측 주의에 배치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11.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30)는, 각각 물로 채워지고 비워짐에 따라 상기 제2챔버의 외부로 및 내부로 공기를 배출하고 흡입하며, 제2챔버(30)로부터 과잉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수단(46)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46)이, 일단은 상기 제2챔버(30)내부로의 개방 구멍과 타단은 외부로의 개방 구멍을 가진 튜브로 구성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13.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을 담아놓는 제1용기(10)와, 상기 제1살균 챔버와 후단계 필터의 결합체로서 작용하는 제2용기(30)와, 원물을 담아 놓으며 전단계 필터(39)를 수용하고 있는 제3용기(90)와, 커버(12)로 구성되는 휴대용 정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1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챔버(50)의 내부에 끼워 맞추어지며, 상기 제2용기(30)는 제1챔버(5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위치가 역전되어 상기 제1용기(10)에 끼워 맞춤되어 완전히 정수된 물이 상기 제1용기(10) 내부로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챔버(50)는 정수 장치를 사용할 때 및 사용하지 않을 때 모두 제2용기상에 직립으로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제2용기가 부분 처리된 물로 채워진 후에는 제2용기와 분리될 수 있으며, 제3용기(9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챔버(50)위에 역전 위치로 끼워 맞춤되고 사용할 때에는 제1용기 (50)상에 직립으로 끼워 맞춤되어 정수용 물을 수납하고 전단계 필터를 구비하여 물이 상기 제1챔버(50)내부로 흐르도록 하며, 상기 커버(12)는 정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3용기(90)위에 역전 위치로 끼워 맞춤되고 사용할 때에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제3용기(90) 내부로 부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정수 장치.
  15.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챔버(30)는, 제1챔버(50)로부터 물을 수납하기 위한 "상부" 격실(14)과, 상기 충전 매개체를 수용하고 있는 중앙 격실(16)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하부" 격실(18)로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 장치.
KR1019890702000A 1988-02-29 1989-02-22 휴대용 정수 장치 KR970011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4747A GB2215325B (en) 1988-02-29 1988-02-29 Portable water-purifying devices
GB8804747 1988-02-29
PCT/GB1989/000166 WO1989008083A1 (en) 1988-02-29 1989-02-22 Portable water-purify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399A KR900700399A (ko) 1990-08-13
KR970011332B1 true KR970011332B1 (ko) 1997-07-09

Family

ID=1063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000A KR970011332B1 (ko) 1988-02-29 1989-02-22 휴대용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08482A (ko)
EP (1) EP0402406B1 (ko)
KR (1) KR970011332B1 (ko)
CN (1) CN1020887C (ko)
AU (1) AU618337B2 (ko)
CA (1) CA1337709C (ko)
ES (1) ES2010881A6 (ko)
GB (1) GB2215325B (ko)
IN (1) IN170698B (ko)
WO (1) WO1989008083A1 (ko)
ZA (1) ZA8913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526A (en) * 1990-06-21 1995-04-11 Sutera; Carl M. Bottle water disinfectant system
US5580447A (en) * 1991-04-09 1996-12-03 Sweetwater, Inc. Biocide filter
US5240620A (en) * 1991-10-01 1993-08-31 Amnon Shalev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water
US5407573A (en) * 1993-06-01 1995-04-18 Alpine Water Purification, Inc. Continuous flow water-purifying device
IL105905A (en) * 1993-06-03 2006-04-10 Moshe Frommer Water purification facility and process
JP3107950B2 (ja) * 1993-07-07 2000-11-13 オルガノ株式会社 生物処理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水処理方法
AU649600B3 (en) * 1993-09-07 1994-05-26 Li Shu A potable water purifying and mineralizing processor
ZA953286B (en) * 1994-04-29 1996-11-25 Recovery Eng Inc Water purifier
US5635063A (en) * 1994-09-26 1997-06-03 Rajan Rajan G Water treatment apparatus
US6572769B2 (en) * 1994-09-26 2003-06-03 Rajan G. Raja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562824A (en) * 1994-10-12 1996-10-08 Wtc/Ecomaster Corporation Gravity water purifier
US5653878A (en) * 1995-05-26 1997-08-05 Innova Pure Water Inc. Single orifice bottle water filter
BR9611909A (pt) * 1995-12-06 2001-10-16 Teledyne Ind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 de ponto de utilização
US5662796A (en) * 1996-03-25 1997-09-02 Kerecz; Robert Charles Jan Portable swimming pool makeup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830360A (en) * 1996-05-02 1998-11-03 Btl Int Llc Pour through and pitcher mounted water filter for removal of parasite cysts, bacteria and viruses and method of filtrating water
US6210566B1 (en) 1996-09-25 2001-04-03 Joseph A. King Nestable containers and improved water treatment materials
US5908553A (en) * 1996-12-06 1999-06-01 Reid; Roger P. Water purifier with adjustable volume in dwell passage
US5904854A (en) * 1997-01-31 1999-05-18 Electrophor, Inc. Method for purifying water
US6183637B1 (en) 1998-07-23 2001-02-06 Seh America, Inc. Resin trap device for use in ultrapure water systems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using same
DE19905601A1 (de) * 1999-02-11 2000-08-17 Brita Gmbh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Flüssigkeiten mit Kartusche
US6527950B2 (en) 1999-10-14 2003-03-04 Chiaphua Industries Limited Construction of a water treatment appliance
US6361686B1 (en) 1999-10-14 2002-03-26 Fantom Technologies Inc. Construction of a water treatment reservoir for a domestic water treatment appliance
US6491815B2 (en) 1999-10-14 2002-12-10 Chiaphua Industrires Limited Construction of a water treatment reservoir for a domestic water treatment appliance
GB2363564B (en) * 1999-12-23 2004-06-16 Strix Ltd Liquid treatment cartridge
US6379539B1 (en) * 2000-03-09 2002-04-30 Eric Ubelhor Point of entry water treatment system
US6475386B1 (en) 2000-04-26 2002-11-05 Calgon Carbon Corporation Filter for purifying domestic drinking water
US6827874B2 (en) 2000-06-27 2004-12-07 The Procter & Gamble Co. Water treatment compositions
TW558450B (en) * 2001-10-24 2003-10-21 Roger P Reid Filter cartridge with divided filter bed for gravity flow use
PL212324B1 (pl) * 2002-06-19 2012-09-28 Unilever Nv Uklad do oczyszczania wody
US7048864B2 (en) * 2003-03-24 2006-05-23 King Technology Inc. Dendrimer flui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7303683B2 (en) * 2003-04-04 2007-12-04 The Clorox Company Microorganism-removing filter medium having high isoelectric material and low melt index binder
US7441665B2 (en) * 2003-10-01 2008-10-28 Halosource, Inc.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US7014782B2 (en) * 2003-10-23 2006-03-21 Joseph A. D'Emidio Point-of-use water treatment assembly
CA2533609C (en) 2005-01-21 2011-12-20 Tersano Inc. Drinking water pitcher having a removable upper reservoir
US20060163148A1 (en) * 2005-01-21 2006-07-27 Hengsperger Steve L Filter housing for a drinking water pitcher
GB0518704D0 (en) * 2005-09-14 2005-10-19 Madison Filter 981 Ltd Scavenging filter
US8133400B2 (en) 2007-08-07 2012-03-13 Whirlpool Corporation Portable ozonation apparatus for storing and purifying liquid
US8192619B2 (en) 2007-08-07 2012-06-05 Whirlpool Corporation Portable filtration and ozonation apparatus
US7810651B2 (en) * 2007-12-10 2010-10-12 Medport, Llc Water bottle with filtration feature
WO2010010572A2 (en) * 2008-07-24 2010-01-28 Tata Chemical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8128820B2 (en) * 2009-02-25 2012-03-06 Mr. Chiaphua Industries Limited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AU2010229825A1 (en) * 2009-03-27 2011-10-20 Helen Of Troy Limited Droplet forming fluid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droplets in a fluid treatment device
US8177968B2 (en) * 2009-09-11 2012-05-15 Te-Hsing Wang Filter cup assembly
US8123939B2 (en) * 2009-12-14 2012-02-28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Collection can for precipitated powder substance and the use thereof
US8313644B2 (en) * 2010-01-13 2012-11-20 OZOlab Bottle with an integrated filtration assembly that is manually operated using a plunger
EP2603460B1 (en) * 2010-08-09 2014-06-04 Unilever N.V. Low cost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2149257B1 (ko) * 2013-07-30 2020-08-2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FR3018203B1 (fr) 2014-03-10 2017-12-01 Cummins Filtration Sarl Ensemble de filtrage comportant une cartouche de filtration
CN113559585B (zh) * 2015-03-20 2023-04-28 马林科学发展公司 高流量低阻延过滤器
JP2021512024A (ja) * 2018-01-26 2021-05-13 ストリックス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容器蓋および装置ならびに使用方法
US11872506B2 (en) * 2018-07-07 2024-01-16 Paragon Water Systems, Inc. Water filter cartridge having an air vent
US11174062B1 (en) * 2018-09-17 2021-11-16 Irina Boulgakova Interchangeable vacuum-sealed beverage bottle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2340A (en) * 1944-03-28 1945-03-27 Senyal Frank Filter and water purifier
DE2044769A1 (de) * 1970-09-10 1972-03-16 Zdansky E Verfahren zur Gewinnung keim freien Trinkwassers aus Oberflachen wasser und Vorrichtung zur Durchfuhrung des Verfahrens
CA982779A (en) * 1973-02-07 1976-02-03 John A. Van Gulick Water purifier
SE7601176L (sv) * 1975-04-29 1976-10-30 Cons Foods Corp Sett och anordning for att gora naturligt dricksvatten biologiskt
US4227901A (en) * 1978-07-26 1980-10-14 Sporlan Valve Company Filter-drier for heat pump systems
CH656322A5 (en) * 1984-03-13 1986-06-30 Pharnova Sa Portable device for filtering and disinfecting water
US4770768A (en) * 1985-03-27 1988-09-13 Teledyne Industries, Inc. Water filter apparatus and aerator assembly
GB2196329B (en) * 1986-10-21 1990-07-04 Pre Mac Portable water-purifying devices
DE3712284A1 (de) * 1987-04-10 1988-10-27 Leifheit Ag Geraet zur verbesserung der qualitaet von trinkwasser
US4826594A (en) * 1988-01-28 1989-05-02 United Environmental Technologies Portable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9008083A1 (en) 1989-09-08
GB2215325B (en) 1991-10-16
GB8804747D0 (en) 1988-03-30
IN170698B (ko) 1992-05-02
EP0402406B1 (en) 1992-12-02
KR900700399A (ko) 1990-08-13
GB2215325A (en) 1989-09-20
ZA891387B (en) 1989-10-25
CN1036748A (zh) 1989-11-01
ES2010881A6 (es) 1989-12-01
CA1337709C (en) 1995-12-05
AU3287689A (en) 1989-09-22
AU618337B2 (en) 1991-12-19
US5308482A (en) 1994-05-03
CN1020887C (zh) 1993-05-26
EP0402406A1 (en) 199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332B1 (ko) 휴대용 정수 장치
US6117319A (en) Fluid dispensing systems
JP3468568B2 (ja) 携帯用液体浄化器
US6274038B1 (en) Water purifier with adjustable volume in dwell passage
US4389311A (en) Portable water purifier
US6248244B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assembly
US20110303618A1 (en) Reusable water filter systems and methods
JPH034981A (ja) 水浄化用容器及び給水栓水浄化方法
JP2007501703A (ja) 水処理カートリッジ
US4759383A (en)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JP3771289B2 (ja) 圧縮空気用フィルタ装置
AU678986B2 (en) Trea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decontaminating materials, preferably solids such as waste materials
US6348151B1 (en) Device for sterilizing and filtering water which flows through a sanitary device
JPS637353Y2 (ko)
KR101825089B1 (ko) 휴대용 정수기
JP2594932Y2 (ja) 圧縮空気用フィルタ装置
JPS58216781A (ja) 飲料水供給器
JPH0238249B2 (ko)
JPH02283373A (ja) 廃棄物吸引排出装置
JPH0824878A (ja) 携行式浄水装置
JPH0520405Y2 (ko)
JPS62149395A (ja) 浄水用パツク
KR910004267Y1 (ko) 정수기
JPS637350Y2 (ko)
JPH0356187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