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093B1 -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093B1
KR970011093B1 KR1019930027818A KR930027818A KR970011093B1 KR 970011093 B1 KR970011093 B1 KR 970011093B1 KR 1019930027818 A KR1019930027818 A KR 1019930027818A KR 930027818 A KR930027818 A KR 930027818A KR 970011093 B1 KR970011093 B1 KR 970011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or
motor shaft
press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후지가와
가즈노리 즈다
무네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쯔다 슈우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39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7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347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3302B2/ja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쯔다 슈우사꾸 filed Critical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4/00Implements or apparatus for applying pushing or pulling force
    • Y10S254/903Yieldable, constant engagement, friction coupling, e.g. slip clutch in drive for cable pulling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제1도는 본 발명 권상견인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만의 확대 종단면도.
제2도는 동 권상견인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마찰판 부분에 있어서의 베어링 및 구동축을 생략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압압체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하중 설정 조절체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
제6도는 허브를 엔드링에 고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동 허브를 엔드링에 고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8도는 허브를 엔드링에 고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권상견인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만의 확대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 권상견인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동 권상견인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의 하중 설정 조절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의 하중 설정 조절부재의 또 하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의 하중설정 조절부재의 또 하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15도는 제11도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제10도에 대응한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모터축을 생략한 X-X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과부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상세하게는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로드 서브를 구비한 전기식 권상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상견인장치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한 하중을 초과한 과부하 상태에서의 권상이나 견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드 시브에 과부하가 작용했을 때 슬립시켜 그것 이상의 권상이나 견인을 행할 수 없게 한 과부하 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과부하 방지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1-106950호 공보와 같이 모터의 구동축과 로드시브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어기구의 중간축부 다시 말하면, 제2감속기어와 이 감속기어를 지지하는 중간축과의 사이에 설치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3831호 공보와 같이 구동축과 감속기어기구의 제1기어축과의 사이에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중간축에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한 경우, 이 중간축의 축방향 길이가 길어져 그만큼 기어케이스도 커져, 전체적으로 대형이 되는 문제가 있음과 함께,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축에는 통상 전자 브레이크나, 경우에 따라서는 메카니컬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모터의 정지시 등에 있어서, 권상 위치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나,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는 이 브레이크의 부하측, 즉, 로드 시브측에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로 설정하는 슬립하중, 다시 말하면, 전달 토오크의 설정치 가까이에서, 권상, 권하 조작을 반복하는 소위 인칭조작이 심하게 행하여지는 경우와 같이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의 마찰판이 가열되고, 그 결과, 상기 마찰판의 특성이 변화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의 마찰판이 가열되고, 그 결과, 상기 마찰판의 특성이 변화하는 바와 같은 경우, 극히 드물은 케이스이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도, 과부하 방지장치가 슬립하여 하중이 내려가 정위치에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일본국 특공소 63-3831호 공보와 같이 상기 구동축과 제1기어측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상기 공보 기재의 권상견인장치는, 상기 제1기어측을 모터측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모터실측으로 돌출하여 이 돌출축부의 축단부에 상기 구동축의 한쪽측 축단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여 연결 지지한데다가 상기 각 축단부의 연결부에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예의 후자의 문제는 해소되는 것이나, 상기 제1기어축과 구동축과의 토오크 축길이는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길어져, 모터 케이스가 커져 전체적으로 대형화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고, 또한, 상기 구동축의 한쪽측 축단부를 상기 모터실내에 위치시켜 상기 제1기어축의 축단부에 감합하여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기어축과 구동축과의 중심 맞추기가 어렵게 되어 있고, 또, 상기 구동축은 한쪽측 축단부가 상기 제1기어축의 축단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이 생겨 마찰하거나, 이음이 생기는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부하 방지장치를 브레이크의 반모터측, 즉, 부하측에 설치한 종래의 상기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도 해소할수 있고, 나아가 모터축 또는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중심 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모터축이 흔들리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점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의 특징은, 스테이터 및 로우터를 가지는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축과, 그 모터축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로드 시브를 구비한 전기식 권상견인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방지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즉, 상기 로우터의 축방향 양측에 설치하는 엔드링에는 베어링 유지부와 마찰을 받는 면을 가진 허브를 결합하여 상기 베어링 유지부에 유지되는 베어링을 거쳐 상기 로우터를 모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모터축에, 상기 허브를 향하는 압압체를 상대 회전 불능과 동시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허브의 마찰을 받는 면과 압압체와의 사이에 마찰판을 개재시켜 상기 모터축에서, 그 모터축에 지지되는 상기 압압체의 적어도 한쪽의 외측에는 과부하 설정 조절체를 나사 결합하여 이 조절체와 상기 압압체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시킨 것이다.
또, 상기 로우터의 축방향 양측에 설치하는 엔드링 자체에 베어링 유지부와 마찰을 받는 면을 설치하여 이들 엔드링의 상기 베어링 유지부에 유지되는 베어링을 거쳐 상기 로우터를 구동축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일반적인 상기 전기식 권상견인장치에 있어서,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모터축과 구동축을 상기 로드시브를 지지하는 한쌍의 상대향하는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있어서 대치시켜 이들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사이에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한쪽에 상대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부재와 다른쪽으로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누름부재 및 이들 받침부재와 누름부재와의 사이에 장치하는 마찰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를 받침부재측으로 압압하는 탄성체와 이 탄성체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과부하 설정 조절부재를 구비한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또,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를 결합하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축단부의 한쪽에는 길이방향 일단측에 상기 받침부재에 대향하는 받침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받침부재 및 누름부재를 내장 가능하게 한 내강부를 가지고, 길이방향 타단측에 암나사를 가진 케이스부재를 가지고, 이 케이스 부재의 암나사에 상기 하중 설정 조절부재를 나사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강부에서 상기 받침부와 하중 설정 조절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받침부재, 누름부재, 마찰부재 및 탄성체를 내장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 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누름부재를 슬리브와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에는 누름체를 상대 회전 불능에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누름체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시킴과 함께, 상기 누름체와 과부하 설정부재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모터축와 구동축과의 한쪽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라인 등의 결합부와, 받침부를 가진 통상하우징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에 내측이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다른쪽과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스프라인 등의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통상 하우징에 내장 가능하게 한 축부와 대경부를 설치하고, 이 누름부재의 축부에 과부하 설정 조절부재를 나사 결합함과 함께, 이 조절부재와 상기 받침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와 탄성체를 개재시키고, 동시에, 상기 받침부와 대경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조절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받침부재에 누름체를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러나, 상기한 제1의 특징에서는 상기 모터의 로우터를 모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로우터와 모터축과의 사이에 상기 압압체와 마찰판과 과부하 설정 조절체 및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모터축에 전자 브레이크나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상기 브레이크의 반부하측에 위치시키고, 따라서,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판이 가령 온도 변화로 특성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도 하물이 갑자기 강하하거나 하는 문제는 회피할 수 있고, 또, 상기 모터의 로우터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축방향 길이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어 그만큼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모터축은, 사이드 플레이트와 모터 케이스에 베어링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속 기어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구동축과 모터축과의 중심 내기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모터축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흔들림의 문제도 유효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우터는, 그 로우터의 축방향 외측에서 상기 모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을 상기 로우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시의 온도 상승에 의한 영향을 받는 비율을 낮게 할 수 있어 베어링 효율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상기 로우터의 가공성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허브를 이용하는 일 없이 로우터의 엔드링에 베어링 유지부와 마찰을 받아내는 면을 설치한 경우에는 축방향 길이를 더 한층 짧게 할 수 있어 대형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2의 특징에서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을 사이드 플레이트간에 있어서 대치시키고, 이들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사이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1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이 장치를 메카니컬 브레이크의 반부하측에 설치하여 제1의 특징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제2의 특징에서는 상기 모터를 특별 봉사하는 일 없이 표준품을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간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짜넣기 때문에, 과부하 방지장치를 이용하면서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예와 같이 모터 케이스나 기어 케이스가 대형이 되어 전체적으로 대형화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상기 모터축은 사이드 플레이트간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대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사이드 플레이트와 모터케이스에 베어링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 구동축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기어 케이스에 베어링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된 각 축의 단부간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각 축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중심내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흔들림에 의한 종래예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스프라인 등의 결합부를 가진 상기 받침부재와 누름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부재와 이 케이스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재와 누름부재 및 상기 마찰판과 탄성체를 상기 케이스 부재에 내장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조립시에 이들 사이드 플레이트 간에 상기 구성의 상기 장치를 개재시켜 상기 모터축 및 구동축을 상기 받침부재 및 누름부재의 각 결합부에 감합할 뿐으로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를 조립할 수가 있어 그만큼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마찰판은 상기 케이스 부재에 내장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우수나 먼지 등에 의한 영향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누름부재를 슬리브와 플랜지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기 슬리브에 누름체를 지지하고, 이 누름체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함과 함께 상기 누름체와 과부하 설정 조절부재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장치한 경우에는 토오크 전달 개소를 증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의 압압력을 마찰부재에 평균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립하중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쉽고, 또, 탄성체로서 코일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상기 통상 하우징을 가진 받침부재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축부 및 대경부를 가진 누름부재를 설치하고, 이 누름부재의 축부에 과부하 설정용 조절부재를 나사 결합함과 함께 상기 마찰판 및 탄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통상 하우징에 내장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누름부재를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 유니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유니트화에 의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상기 모터축측과 구동축측과의 사이에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즉, 상기한 브레이크로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사용할 때, 이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조여 권상한 하물의 권하시,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6)가 슬립하여 권하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권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브레이크로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이용할 때, 이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조여 그 브레이크의 마찰 전달력이 과부하 방지장치의 마찰 전달력(슬립하중)보다도 커지면, 권상된 하물을 권하할 때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가 슬립하여 권하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해소하기 때문에, 상기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받침부재와 누름부재와의 사이에서 하나의 일방향 회전 전동기를 설치할 뿐의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모터의 역전에 의한 권하시, 모터축과 구동축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상기한 권하 불능의 문제 해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낸 전기식 권상견인장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1, 12)와 이들 사이드 플레이트(11, 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 케이스(13)와 기어 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체인블록본체(1)를 구비하고, 이 체인블록본체(1)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하물의 권상 또는 견인을 행하는 로드 시브(2)를 가진 시브축(2a)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의 상부에는 상후크(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케이스(13)내에는 그 모터 케이스(13)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1) 및 그 스테이터(31)내에서 회전하는 로우터(32)를 가지는 모터(3)를 내장함과 함께, 상기 로우터(32)의 중심부에 유지되는 모터축(4)의 양단측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와 모터 케이스(13)의 측판(13a)에 1쌍의 베어링(10, 10)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모터축(4)의 한쪽 측단부(4a)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돌입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3)는 시동 콘덴서를 가지는 콘덴서 시동형 모터를 이용하고 있으나, 그 기종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 로우터(32)의 축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링(33, 33)의 단면에, 베어링 유지부(51)와 마찰 받침면(52)을 가진 링상의 허브(5, 5)를 복수개의 비스(20)와 그 비스(2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비스(20)는 그 머리부를 상기 엔드링(33)에 매입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상기 허브(5)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링상 내주면에 상기 베어링유지부(51)와 내향 턱부(53)를 설치하여 상기 베어링 유지부(51)에 베어링(6)을 감합 유지하고, 이 베어링(6)의 내주를 상기 구동축(4)의 외주에 감합하여 상기 로우터(32)를 상기 베어링(6)을 거쳐 상기 구동축(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허브(5)의 외측면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 오목부(52a)와 그 오목부(52a)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뻗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부(52b)로 이루어지는 상기 마찰 받침면(52)을 설치하고, 또, 이 마찰 받침면(52)의 중간부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찰 받침면(52)에 대하여 움푹 패여 상기 너트(21)를 받아들이는 복수개의 수납부(54)와, 이들 수납부(54)를 관통하는 관통구멍(55)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의 외측, 즉,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제1도의 우측)에 설치하는 허브(5)의 마찰 받침면(52)과 상기 구동축(4)과의 사이에는 상기 마찰 받침면(52)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지지하는 마찰판(71)과, 그 마찰판(71)을 상기 마찰 받침면(52)에 압압하는 압압체(72)와, 그 압압체(72)를 이동시켜 슬립하중을 설정하는 하중 설정 조절체(73)와, 이들 조립체(73)와 압압체(72)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체(74)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모터(3)에 대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측(제1도의 좌측)에 설치하는 허브의 마찰 받침면(52)과 상기 구동축(4)과의 사이에는 반사이드 플레이트측과 마찬가지로 마찰판(71)과 압압체(72)를 설치하여 과부하 방지장치(7)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측 및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에 설치하는 상기 마찰판(71)은 모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71a)과 그 링부(71a)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뻗는 복수개의 돌출부(71b)를 가지고, 상기 허브(5)의 마찰 받침면(52)에 상대 회전불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측 및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에 설치하는 상기 압압체(72)는 모두 링부(72a)와 그림(72a)의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허브(5)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통부(7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72a)를 상기 구동축(4)에 상대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통부(72b)의 단면을 상기 마찰판(71)에 대접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4)에 있어서의 양단측의 압압체 지지부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방지핀(22)을 설치하고, 또, 상기 링부(72a)의 내주에는 상기 회전방지핀(22)의 돌출단부와 계합하는 계합홈(72e)을 마련하여 상기 압압체(72)의 구동축(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여 축방향으로만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그외, 상기 링부(72a)의 내주와 구동축(4)과의 사이에 스프라인 구조의 회전방지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모터(3)에 대하여 사이드 플레이트측에 설치하는 압압체(72)는 상기 구동축(4)의 외주에 돌출설치하는 대경부(4b)와 계합하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 상기 조절체(73)는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에만 설치하는 것으로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에 나사구멍(73a)을 가지고, 외주에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회전조작부(73b)을 가진 링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73a)을 상기 구동축(4)의 외주에 설치하는 수나사(4c)에 나사 결합하여 이 조절체(73)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압압체(72)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체(74)도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에만 설치하는 것으로서, 제1도에서는 3장의 접시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 매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또, 접시 스프링 이외에,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모터 케이스(13)의 측판(13a)에는 제1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체(73)의 회전조작부(73b)와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조절체(73)의 회전 방향으로 뻗는 조작용 세로구멍(15)을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회전 조작부(73b)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진 조작지그를 상기 모터 케이스(13)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작용 긴구멍(15)에 삽입하여 상기 조절체(73)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기어 케이스(14)내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4)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로드 시브(2)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기구(8)을 내장하고 있다. 이감속기어기구(8)는 제1기어(81)를 가지고, 상기 구동축(4)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구동축(82)과, 상기 제1기어(81)에 맞물리는 제2기어(83) 및 그 제2기어(83)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3기어(84)를 가지는 제1중간축(85)과 상기 제3기어(84)에 맞물리는 제4기어(86) 및 그 제4기어(86)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5기어(87)를 가지는 제2중간축(88)과, 상기 제5기어(87)에 맞물리는 제6기어(89)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82) 및 각 중간축(85, 88)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와 기어 케이스(14)의 측판(14a)과의 사이에 1쌍의 베어링(23, 24, 25)을 거쳐 회전자유롭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시브축(2a)의 한쪽측 축단부(2b)를 상기 기어 케이스(14)내에 위치시켜 그 한쪽측 축단부(2b)에 상기 제6기어(8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구동축(82)의 한쪽측 축단부(82a)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돌입하여 상기 모터축(4)의 한쪽측 축단부(4a)와 대치시키고, 이들 한쪽측 축단부(4a, 82a)간에 전동통(26)을 상대 회전 불능하게 감합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축(82)의 타단측 축단부(82b)는 상기 기어 케이스(14)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이 타단측 축단부(82b)와 상기 기어 케이스(14)와의 사이에 상기 모터(3)의 정지시 작동하여 상기 구동축(82)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27)을 설치하고 있다.
또,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 케이스(13)내에서 모터(3)와 사이드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는 거버너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즉, 이 거버너 스위치는 상기 모터축(4)에 설치되어 그 모터축(4)와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체(9)와, 이 지지체(91)에 섭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모터축(4)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받아 선단측이 모터축(4)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하는 1쌍의 중추(92)와, 이들 중추(92)간에 장치되어 원심력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각 중추(92)를 지름방향 안쪽으로 가세하는 스프링(93) 및 상기 중추(92)의 요동에 연동하는 연동부(94a)를 가지고, 상기 중추(92)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모터축(4)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 원판(94)을 가진 거버너(9)와, 그 거버너(9)의 동작에 추종하여 상기모터(3)의 시동 콘덴서를 온, 오프하는 스위치 장치(2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모터(3)의 구동 및 정지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거버너(9)를 동작시켜 스위치 장치(28)를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장치(28)는 항시 온 동작하는 권상측 스위치(28a)와, 항시 온 동작하는 권하측 스위치(28b)와, 상기 거버너(9)의 작동 원판(94)의 동작에 추종하여 권상시 권하측 스위치(28b)의 온 동작을 유지하고, 권상측 스위치(28a)를 오프 조작하여 권하시, 권상측 스위치(28a)의 온 동작을 유지하여 권하측 스위치(28b)를 오프 조작시키는 스위치 조작판(28c)으로 이루어지고, 권하 동작의 동중에서 상기 모터(3)의 구동을 권상측으로 변환할 경우, 및 권상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모터(3)의 구동을 권하측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즉시 상기 시동 콘덴서를 작동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75는 상기 구동축(4)의 수나사(4c)부에 지지되어 상기 조절체(73)의 구동축(4)에 대한 이완을 방지하는 링상의 회전방지판으로서 그 내주면에서는 상기 수나사(4c)부에 설치된 축방향홈(4d)에 계합하는 계합돌기를 설치하여 모터축(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여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판(75)을 대신하여 상기 수나사(4c)에 로크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조절체(73)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2도에 있어서, 90은 상기 거버너(9) 및 스위치 장치(28)의 거버너, 29는 상기 로드 시브(2)에 설치하는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 도통로를 가진 체인 안내체로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 시브(12)의 하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 30은 상기 체인이 상기 로드 시브(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 누름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하물의 권상작업을 행할 경우, 상기 모터(3)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이 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로우터(32)의 회전이 상기 허브(5), 마찰판(71), 압압체(72)를 거쳐 모터축(4)에 전달되고, 이 모터축(4)으로부터 다시 감속기어기구(8)의 제1기어축(82)으로부터 제1기어∼제6기어를 거쳐 로드 시브(2)에 전달되고, 이 로드 시브(1)를 회전하여 하물의 권상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또, 이 하물의 권상 또는 견인작업을 행할 때,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에서 설정한 슬립하중 이상의 부하가 상기 로드 시브(2)에 작용하면,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의 마찰판(71)과 압압체(72)와의 사이에서 슬립하고, 상기 로우터(32)의 회전은 모터축(4)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3)의 구동시, 상기 전자 브레이크(27)에의 통전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자 브레이크(27)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로우터(32)와 모터축(4)과의 사이에 과부하 방지장치(7)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82)에 이 구동축(82)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27)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인칭 조작이 심하게 행하여져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의 마찰판(71)이 가령 온도 변화로 특성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도 상기 브레이크(27)를 동작시킬 수가 있어, 하물이 갑자기 강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모터의 로우터(32)를 이용하여, 이 로우터(32)의 엔드링(33)에 허브(5)를 설치하여 그 허브(5)와 상기 모터축(4)과의 사이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과부하 방지장치(7)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3)에 있어서의 코일 엔드(34)의 내측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축방향 길이를 상기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어 그 만큼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모터축(4)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와 모터 케이스(13)의 측판(13a)에 베어링(10, 10)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축(82)을 상기 모터축(4)과 동일선상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이들 구동축(82)과 모터축과의 중심내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모터축(4)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흔들림의 문제도 유효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로우터(32)의 양단측에 설치하는 엔드링(33)에 허브(5)를 설치하고, 이 허브(5)와 상기 모터축(4)과의 사이에 장치되는 베어링(6)을 거쳐 상기 로우터(32)를 모터축(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6)을 상기 로우터(32)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시의 온도 상승에 의한 영향을 받는 비율을 낮게 할 수 있어 베이링 효율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축(4)에, 과부하 방지장치(7)에서 설정한 슬립하중 이상의 회전 저항이 부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고, 또, 로우터(32)의 내주에 베어링 유지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이 로우터 모터(32)의 가공성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모터축(4)에 상기 거버너(9)를 설치한 경우에도 이 거버너(9)의 일부를 상기 모터(3)에 있어서의 코일 엔드(34)의 내측 공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버너(9)를 설치한 만큼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74) 및 하중 설정 조절체(73)를 로우터(32)에 대하여 반사이드 플레이트측에만 설치했으나, 로우터(32)의 양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 로우터(32)의 사이드 플레이트(12)측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조절체(73)를 로우터(32)에 대하여 사이드 플레이트(12)측에 설치할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모터 케이스(13)의 외주부에서, 상기 조절체(73)의 회전 조작부(73b)와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조정용 긴구멍(15)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로우터(32)의 엔드링(33)에 비스(20)를 매입하고, 이 비스(20)에 너트(21)를 단단히 조임으로서 허브(5)를 엔드링(33)에 고정하도록 했으나, 이 허브(5)의 고정은 제6도∼제8도에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제6도에 나타낸 것은 상기 엔드링(33)에 그 엔드링(33)의 단면에 대향하는 환상판부(35a)와 그 환상판부(35a)로부터 판압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암나사를 가진 복수개의 나사통(35b)으로 이루어지는 설치체(35)를 매입 성형하여 일체로 고정함과 함께 상기 허브(5)의 마찰을 받는 면(52)에 비스(36)의 머리부를 받아들이는 스포트페이싱부를 가진 관통구멍(56)을 마련하고, 이 관통구멍(56)으로부터 상기 나사통(35b)에 상기 비스(36)를 단단히 조임으로서 상기 허브(5)를 엔드링(33)에 고정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설치체(35)를 대신하여 너트를 이용하고, 이 너트를 상기 엔드링(33)에 매입 성형하여 그 너트에 상기 비스(36)를 단단히 조임으로서 상기 허브(5)를 엔드링(33)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7도에 나타낸 것은 상기 엔드링(33)의 단면에 복수개의 감합돌기(33b)를 주위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함과 함께, 허브(5)의 마찰을 받는 면(52)에 상기 감합돌기(33b)를 받아들이는 감합구멍(57)과, 상기 감합돌기(33b)의 선단부를 코킹 가공했을 때의 코킹부를 받아들이는 스포트페이싱부(58)를 설치하고, 상기 감압구멍(57)을 상기 감합돌기(33b)에 감합하여 그 감합돌기(33b)의 선단부를 코킹 가공함으로서 상기 허브(5)를 엔드링(33)에 고정하고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낸 것은 상기 허브(5)를 상기 엔드링(33)에 매입 성형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브레이크(27)를 이용했으나, 그외,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이용하여도 좋은 것이고, 또, 이들 전자 브레이크(27), 메카니컬 브레이크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82)에 설치하는 외에 상기 모터축(4) 또는 감속기어기구(8)의 중간축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이다.
다음에 제9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같아서 제1도, 제2도의 것과는 상기 허브(5)를 없게 하고, 상기 로우터(32)의 양단측 엔드링(33)에 상기 베어링 유지부(51)와 마찰을 받는 면(52)을 설치한 점에서 상위하고 있다.
즉, 제9도에 나타낸 것은 상기 엔드링(33)의 내주면에 상기 베어링 유지부(51)와 내향 턱부(53)를 설치하여 상기 베어링 유지부(51)에 베어링(6)을 감합 유지하고, 이 베어링(6)의 내주를 상기 모터축(4)의 외주에 감합하여 상기 로우터(32)를 상기 베어링(6)을 거쳐 상기 모터축(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엔드링(33)의 외측면에 환상 오목부(52a)와 그 오목부(52a)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뻗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부(52b)로 이루어지는 상기 마찰을 받는 면(52)을 설치한 것으로서 공통 부품에 관해서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도, 제2도와 같이 허브(5)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축방향 길이를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것보다 더욱 짧게 할 수 있어 대형화를 더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돌입하여 대치시키는 상기 모터축(4)의 축단부(4a)와, 상기 구동축(82)의 축단부(82a)와의 사이에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설치한 것이다.
이 과부하 방지장치(7A)는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축(82)의 한쪽측 축단부(82a)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통상의 받침부재(61)와, 상기 모터축(4)의 한쪽측 축단부(4a)에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한 통상의 누름부재(62) 및 이들 받침부재(61)와 누름부재(62)와의 대향면간에 장치되는 링상의 마찰부재(63) 및 상기 부재(62)를 상기 받침부재(61)측에 압압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64)와, 이 탄성체(64)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하중 설정 조절부재(6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61)와 누름부재(62)는 모두 내주면에 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61a, 62a)를 가진 슬리브(61b, 62b)와 그 슬리브(61b, 62b)의 일단측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외향 플랜지(61c, 62c)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재(61)의 결합부(61a)를 상기 축단부(82a)의 외주에 스프라인 감합하여 결합하고, 또, 상기 누름부재(62)의 결합부(62a)를 상기 축단부(4a)의 외주에 스프라인 감합하여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각 플랜지(61c, 62c)간에 상기 마찰부재(63)를 개재시키고 있다.
또, 한편, 일단측에 상기 플랜지(61c)에 대향하는 받침부(66a)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받침부(61) 및 누름부재(62)를 받아들여 유지 가능하게 한 내강부(66b)를가지고, 동시에 타단측에 암나사(66c)를 가진 통상의 케이스부(66)를 형성하고, 이 케이스부재(66)의 내강부(66b)에 상기 받침부재(66a)와 플랜지(61c)와의 사이에 마찰판(67)을 장치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62c)와 탄성체(64)와의 사이에 슬리브(62b)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축방향 이동 가능한 링상의 누름체(68)를 또, 이 누름체(68)와 상기 플랜지(62c)와의 사이에 마찰부재(69)를 각각 장치하여 상기 조절부재(65)를 상기 암나사(66c)에 나사 결합함으로서 상기 받침부재(61), 누름부재(62), 마찰부재(63, 67, 69), 탄성체(64), 누름체(68)를 상기 케이스부재(66)내에 유지하여 과부하방지장치(A)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누름체(68)는 그 내주면과 상기 슬리브(62b)의 외주면과의 한쪽에 축방향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다른쪽에 그 돌출부를 결합하는 축방향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슬리브(62b)의 외주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회전방지 오목부(68a)를 주변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하고 있고, 또, 상기 케이스(66)의 상기 누름체(68)와의 대향부분에는 복수개의 핀구멍(66d)을 주변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뚫어 마련하고, 이들 핀구멍(66d)과 상기 회전방지 오목부(68a)에 고정링(101a)으로 탈락이 저지되고 있는 회전방지핀(100)을 삽입하여 상기 누름체(68)의 누름부재(62)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한편, 상기 조절부재(65)의 일측면에는 오목상의 회전 조작부(65a)를 설치하고 있으나, 그외,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65)의 외주측에 상기 케이스부재(66)의 단연에서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의 외주에 4각형 또는 6각형의 회전 조작부(65a)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65)의 내주측에 상기 케이스부재(66)의 단연으로부터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의 외주에 4각형 또는 6각형의 회전 조작부(65a)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65)의 외주측에 상기 케이스부재(66)의 단연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의 외주에 주변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움푹 패인 복수개의 6각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조작부(65a)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상기 조절부재(65)를 상기 암나사(66c)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가진 소경통부와 이 소경통부의 일단측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그 선단측이 상기 소경통부와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대경통부를 가진 2중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대경통부의 외주에 상기 회전 조작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하는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상기 모터축(4)과 구동축(82)과의 사이에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모터(3)를 특별한 방법없이 표준품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82)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27)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제1,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칭조작이 심하게 행하여져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A)의 마찰부재(63, 67, 69)가 가령 온도 변화로 특성이 변하는 경우가 있어도, 상기 브레이크(23)를 동작시킬 수가 있어 하물이 갑자기 강하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모터축(4)과 구동축(82)을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두어 대치시키고, 이 모터축(4)과 구동축(82)과의 사이에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설치했기 때문에, 로드 시브(2)를 지지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조립할 수가 있고, 따라서,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이용하면서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종래예와 같이 모터 케이스나 기어 케이스가 대형이 되어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축(4)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82)에 대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와 모터 케이스(13)의 측판(13a)에 베어링(10)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 구동축(82)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와 기어 케이스(14)에 베어링(23)을 거쳐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된 각 축(4, 82)의 단부간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 A)를 설치했기 때문에, 구동축(82)을 상기 모터축(4)과 동일축상에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각 축(4, 82)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중심내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흔들림에 의한 상기한 종래예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A)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설치하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모터케이스(13)에 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과부하 방지장치(7A)가 모터(3)의 열 방향을 받는 것도 적게 할 수 있고, 과부하 방지장치(7A)의 토오크 전달특성이 변화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모터축(4)에 제1도와 같은 거버너 스위치를 설치한 경우에도 이 거버너 스위치의 일부를 상기 모터(3)에 있어서의 코일 엔드(33)의 내측 공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버너 스위치를 설치한 만큼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A)는 받침부재(61)와 누름부재(62)와 마찰부재(63, 67, 69)와 탄성체(64)와 하중 설정 조절부재(65)를 케이스부재(66)내에 유지하여 유니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 12)의 조립시에 이들 사이드 플레이트(11, 12)간에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A)를 개재시켜 상기 모터축(4)의 일단측 구동축(4a)를 상기 누름부재(62)의 결합부(62a)에 감합함과 함께, 구동축(82)의 일단측 축단부(82a)를 상기 받침부재(61)의 결합부(61a)에 감합할 뿐으로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A)를 조립할 수가 있고, 그 만큼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 상기 마찰부재(63, 67, 69)는 상기 케이스부재(66)에 내장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우수나 먼지 등에 의한 영향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누름부재(62)의 슬리브(62b)에는 누름체(68)를 지지하고, 이 누름체(68)와 상기 플랜지(62c)와의 사이에 마찰부재(69)를 개재함과 함께, 상기 누름체(68)와 하중 설정 조절부재(65)와의 사이에 탄성체(64)를 장치한 경우에는 토오크 전달 개소를 증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64)의 압압력을 마찰부재(69)에 평균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슬립하중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쉽고, 또, 탄성체(64)로서 코일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61) 및 누름부재(62)에 설치하는 플랜지(61c, 62c)를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나, 이들 플랜지(61c, 62c)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심에 대하여 경사시켜 이들 경사 플랜지간에 상기 마찰부재(63)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제11도와 비교하여 큰 슬립하중으로 설정하기 쉬운 것이다.
다음에 제16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16도에 있어서, 제11도의 실시예와 공통의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이 제4실시예의 과부하 방지장치(7B)는 내주면에 상기 한쪽측 축단부(82a)에 결합하는 결합부(61a)를 가진 링상의 결합체(61d)와, 이 결합체(61d)에 연결하는 통부(61e) 및 그 통부(61e)의 선단측으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받침부(61f)를 가진 통상 하우징(61g)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61)와 내주면에 상기 한쪽측 축단부(4a)에 결합하는 결합부(62a)를 가지고, 상기 통상 하우징(61g)에 내장 가능하게 한 통상의 축부(62d)와 그 축부(62d)의 일단측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대경부(62e)를 가지는 누름부재(62)를 구비하고, 이 누름부재(62)의 축부(62d)에 링상의 하중 설정 조절부재(65)를 나사 결합함과 함께, 이 조절부재(65)와 상기 베어링부(61f)와의 사이에 링상의 마찰부재(70)와 접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64)를 개재시키고, 동시에, 상기 받침부(61f)와 대경부(62e)와의 사이에 링상의 마찰부재(63)를 개재시켜 상기 조절부재(65)의 상기 축부(62d)에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받침부재(61)에 누름부재(62)를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 유니트(A)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61)는 상기 통상 하우징(61f)의 일단측에 복수개의 나사구멍(61h)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결합체(61d)에 상기 나사구멍(61h)에 대응하는 관통구멍(61j)을 설치하고, 이들 관통구멍(61j)에 삽통하는 나사체(101)를 상기 나사구멍(61h)에 단단히 조임으로서 상기 통상 하우징(61g)과 결합체(61d)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누름부재(62)의 축부(62d)에는 그 타단측 외주면에, 상기 조절부재(65)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62f)와 축방향으로 뻗는 회전방지홈(62g)을 설치함과 함께 이 회전방지홈(62g)과 상기 대경부(62e)와의 사이에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전동부(62h)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62d)에 있어서의 상기 마찰부재(70)와 탄성체(64)와의 사이에 링상의 누름체(68)를 지지하고, 이 누름체(68)의 내주면에 돌출 설치한 계합돌기를 상기 회전방지홈(62g)에 계합시켜 상기 누름체(68)의 축부(62d)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통상 하우징(61g)의 받침부(61f) 내주면에 핀구멍(71K)을 설치하고, 이 핀구멍(61K)에 상기 일방향 회전 전동부(62h)에 계합하는 전동핀(102)과 그 전동핀(102)을 상기 축부(62d)를 향하여 항시 가세하는 스프링(103)을 내장하고, 상기 모터축(4)의 역회전 동력을 상기 일방향 회전전동부(62h)와 전동핀(102)으로 이루어지는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B)를 거쳐 상기 받침부재(61)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16도, 제17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B)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어기구(8)의 예를 들면 제1중간축(85)에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권상한 하물의 권하시,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6)가 슬립하여 권하를 할 수 없게 되는 일 없이 확실하게 권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브레이크로서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이용할 때, 이 메카니컬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조여 그 메카니컬 브레이크의 마찰 전달력이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B)의 마찰 전달력(슬립하중)보다도 커지면, 상기 모터(3)를 역전하여 권상한 하물을 권하할 때,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7B)가 슬립하여 모터축(4)의 역회전 동력을 구동축(82)에 전달할 수 없어 권하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인데, 상기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B)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모터(3)의 역전에 의한 권하시, 모터축(4)과 구동축(82)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확실하게 권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방향 회전 전동기구(B)는 받침부재(61)에 받침부(61f)를 설치하여 이 받침부(61f)와 누름부재(62)의 축부(62d)의 사이에 설치되어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상 하우징(61g)의 받침부(61f) 및 누름체(68)의 대향면을 축심에 대하여 경사시켜 이들 경사면간에 상기 마찰부재(70)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제16도와 비교하여 큰 슬립하중으로 설정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제11도,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61)를 구동축(82)에 결합하고, 누름부재(62)를 모터축(4)에 결합했으나, 그 반대로 결합하여도 좋은 것이고, 또, 이들 받침부재(61)와 누름부재(62)와는 스프라인 결합하는 외에, 예를 들면 키를 이용하여 결합하여도 좋은 것으로서 그 결합수단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제1∼제4실시예는 대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구성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여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전기식 권상견인장치(electric hoist and traction apparatus)로서, 자신의 축방향의 두 단부에 엔드링을 구비하는 로우터와, 스테이너를 갖는 모터와, 상기 로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측과, 상기 모터축과 관련하여 구동되는 로드 시브(load sheave)와, 상기 로드 시브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더 이상의 상승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터축과 상기 로터 사이에서 구동 연결을 형성하는 과부하 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는
    (i) 상기 로우터의 축방향으로 바깥쪽에서 상기 단부에 고정되며, 각각 베어링 유지부 및 마찰받는 면을 갖는 허브와,
    (ii) 상기 각 허브의 상기 마찰받는 면과 마주보는 단부면을 각각 가지는 압압체(biasing member)로서, 상기 모터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는 없지만 상기 모터축에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상기 모터축상에 지지되는 상기 압압체와,
    (iii) 상기 허브의 상기 마찰받는 면과 상기 압압체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마찰판과,
    (iv) 상기 압압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threadedly engaged) 적어도 하나의 하중 설정 조절체와,
    (v)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중 설정 조절체와 상기 압압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와,
    (vi) 상기 허브의 베어링 유지부와 상기 모터축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우터는 상기 베어링을 거쳐 상기 모터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로우터의 축방향으로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모터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2. 전기식 권상견인장치로서, 자신의 축방향의 두 단부에 엔드링을 구비하는 로우터와,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와, 상기 로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과 관련하여 구동되는 로드 시브와, 상기 로드 시브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더 이상의 상승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터축과 상기 로터 사이에 구동 연결을 형성하는 과부하 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는
    (i) 상기 엔드링 각각은 상기 엔드링 상에 형성되는 베어링 유지부 및 마찰받는 면을 가지며,
    (ii) 상기 각 엔드링의 상기 마찰받는 면과 마주보는 단부면을 각각 가지는 압압체로서, 상기 모터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없지만 상기 모터축에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상기 모터축상에 지지되는 상기 압압체와,
    (iii) 상기 엔드링의 상기 마찰받는 면과 상기 압압체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마찰판과,
    (iv) 상기 압압체의 밖에 위치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threadedly engaged) 적어도 하나의 하중 설정 조절체와,
    (v)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중 설정 조절체와 상기 압압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와,
    (vi) 상기 엔드링의 베어링 유지부와 상기 모터축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우터는 상기 베어링을 경유하여 상기 모터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로우터의 축방향으로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모터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3. 전기식 권상견인장치로서,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축과, 그 모터축과 동일축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연동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로드 시브를 구비하고, 이 로드 시브를 1쌍의 서로 대향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에 지지하는 상기 전자식 권상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구비하는 과부하 방지장치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은 그 축단부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간에 있어서 대치시키고 있고, 이들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축단부의 한쪽에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의 한쪽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과의 다른쪽과 상대 회전 불능하게 결합하는 누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제와 누름부재와의 사이에는 마찰부재를 개재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결합하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의 축단부 한쪽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받침부재측으로 압압하는 탄성체와, 이 탄성체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하중 설정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를 결합하는 상기 모터축과 구동축의 축단부 한쪽에는 길이방향 일단측에 상기 받침부재에 대향하는 받침부를 가지고, 중간부에 상기 받침부재 및 누름부재를 내장 가능하게 한 내강부를 가지고, 길이방향 타단측에 암나사를 가진 케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부재의 암나사에 상기 하중 설정 조절부재를 나사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강부에서 상기 받침부와 하중 설정 조절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받침부재, 누름부재, 마찰부재 및 탄성체를 내장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 유니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슬리브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에는 누름체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축방향 이동되게 지지되고, 이 누름체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시키고, 상기 누름체와 하중 설정 조절부재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축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받침부를 가진 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축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통형 하우징에 내장 가능하게 한 축부와 대경부를 구비하고, 이 누름부재의 축부에는 하중 설정 조절부재를 나사 결합함과 함께, 이 조절부재와 상기 받침부와의 사이에는 마찰부재와 탄성체를 개재시키고, 동시에, 상기 받침부와 대경부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조절부재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받침부재에 누름부재를 유지하여 과부하 방지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KR1019930027818A 1992-12-18 1993-12-15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KR970011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39243A JP2514775B2 (ja) 1992-12-18 1992-12-18 電気式巻上牽引装置
JP92-339243 1992-12-18
JP92-347657 1992-12-28
JP4347657A JP2543302B2 (ja) 1992-12-28 1992-12-28 電気式巻上牽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93B1 true KR970011093B1 (ko) 1997-07-07

Family

ID=2657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818A KR970011093B1 (ko) 1992-12-18 1993-12-15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33712A (ko)
EP (1) EP0606733B1 (ko)
KR (1) KR970011093B1 (ko)
CN (1) CN1053634C (ko)
CA (1) CA2110882C (ko)
DE (1) DE69324123T2 (ko)
ES (1) ES2129503T3 (ko)
HK (1) HK1010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448B1 (en) * 1997-05-16 2001-05-15 Mitsuba Corporation Power steering system
FI115155B (fi) * 2001-04-05 2005-03-15 Kci Kone Cranes Int Oy Vääntömomentilla avautuva levyjarry
US6952061B2 (en) * 2002-11-28 2005-10-04 Honda Motor Co., Ltd Motor drive unit
DE10340593B4 (de) * 2003-09-01 2016-01-21 Caterpillar Global Mining Europe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Kettensterne von Kettenantrieben
JP4698264B2 (ja) * 2005-03-29 2011-06-08 株式会社キトー 巻上機における過負荷防止装置
US7859151B2 (en) * 2007-08-09 2010-12-28 Robotzone, Llc Hobby servo shaft attachment mechanism
US8324773B2 (en) * 2007-08-09 2012-12-04 Robotzone Llc Hobby servo shaft attachment mechanisms having textured surfaces
JP2009124868A (ja) * 2007-11-15 2009-06-04 Nidec Sankyo Corp モータ装置
WO2009125254A1 (en) * 2008-04-07 2009-10-15 Energiestro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flywheel
US10601281B2 (en) * 2012-03-26 2020-03-24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Modular direct drive system for an industrial machine
US9488232B1 (en) 2015-06-16 2016-11-08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Externally adjustable clutch
US11011957B2 (en) 2016-11-15 2021-05-18 Robotzone, Llc Servo shaft couplers
GB2566497B (en) * 2017-09-15 2020-07-29 Illinois Tool Works Braking system for electromagnetic motors
CN109720961B (zh) * 2017-10-30 2021-08-17 奥的斯电梯公司 限速器组件以及电梯系统
US11772942B1 (en) * 2019-07-26 2023-10-03 Automatic Devices Company Modular lif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988A (en) * 1941-02-17 1942-10-06 Sawyer Electrical Mfg Co Motor construction
FR1406010A (fr) * 1964-06-04 1965-07-16 Treuils Et Palans Sa Palan à limiteur d'effort
FR1406101A (fr) * 1964-06-12 1965-07-16 Bristol Siddeley Ehrlich Engin Moteur à deux temps à combustion interne et à mouvement alternatif
JPS51106950A (ja) * 1975-03-17 1976-09-22 Kito Kk Dendocheenburotsuku
JPS5293063A (en) * 1976-02-02 1977-08-05 Hitachi Ltd Overload-preventing apparatus for winch
DE3221792C2 (de) * 1982-06-09 1984-07-05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Aktuatorschrittmotor
JPS5939692A (ja) * 1982-08-25 1984-03-05 株式会社キト− 電気式巻上兼牽引装置
JPS5939693A (ja) * 1982-08-25 1984-03-05 株式会社キト− 電気式巻上兼牽引装置
US4636962A (en) * 1983-05-24 1987-01-13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Microprocessor-controlled hoist system
JPS633831A (ja) * 1986-06-25 1988-01-08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等の給水装置
US5081385A (en) * 1990-07-25 1992-01-14 Gajjar Bhupendra M Polyphase motor with adjustable clutch for smooth st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10882A1 (en) 1994-06-19
CN1096762A (zh) 1994-12-28
CN1053634C (zh) 2000-06-21
ES2129503T3 (es) 1999-06-16
CA2110882C (en) 1998-06-16
DE69324123T2 (de) 1999-10-28
DE69324123D1 (de) 1999-04-29
US5533712A (en) 1996-07-09
HK1010362A1 (en) 1999-06-17
EP0606733A1 (en) 1994-07-20
EP0606733B1 (en)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093B1 (ko) 전기식 권상견인장치
US6196639B1 (en) Vehicle wheel hub mounting system
US6939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shaft within a hollow member
US2882704A (en) Clutch with overload release
EP1232347B1 (en) Actuator with misalignment compensation
US6183368B1 (en) One-way over-running flex coupling
JP2003035357A (ja) 駆動力伝達装置
JP2587026B2 (ja) 流れ閉塞装置
CN101813146A (zh) 联轴制动限载器
US6966545B2 (en) Chain block
EP1374368B1 (en) Coupling and brake combination
US6889801B2 (en) Transmission brake
JP5221639B2 (ja) 巻上げ装置
JPH0241514B2 (ko)
US5899441A (en) Chain hoist with a brake acting on both sides of the clutch
US4325470A (en) Hoist overload clutch
CA1137428A (en) Load brake
US4354850A (en) Gear clutch
KR101095755B1 (ko) 추진 시스템용 커플링
JP2543302B2 (ja) 電気式巻上牽引装置
JP2514775B2 (ja) 電気式巻上牽引装置
KR100832436B1 (ko) 편접촉 기능을 가진 고하중 스핀들용 크로스키트 장치
JPH0138145Y2 (ko)
RU2047016C1 (ru) Муфта свободного хода
CN2209141Y (zh) 可均衡逆止力矩的逆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