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674B1 - 전송라인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전송라인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674B1
KR970009674B1 KR1019940025586A KR19940025586A KR970009674B1 KR 970009674 B1 KR970009674 B1 KR 970009674B1 KR 1019940025586 A KR1019940025586 A KR 1019940025586A KR 19940025586 A KR19940025586 A KR 19940025586A KR 970009674 B1 KR970009674 B1 KR 97000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line
switching
lin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성진반도체기술 주식회사
김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반도체기술 주식회사, 김형익 filed Critical 성진반도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74B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송라인 절환장치
제1도는 종래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요부상세회로도.
제4도의 (a)는 감지신호증폭부의 신호감지영역을 나타낸 그래프.
제4도의 (b)는 감지신호증폭부의 주파수감지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신호증폭부 2,12 :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
3,13 : 파형정형부 4 : 전용제어수단
5,15 : 루프백구동장치 6,16 : 가입자선로절환수단
7,17 : 전원회로 SM : 옵션조정용스위치부
A1~A3 : 연산증폭기
본 발명은 전송라인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전송라인의 송신장치에 보내는 루프백신호를 수신하여 가입자의 선로를 절환하고 루프백시키는 전송라인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송라인을 절환하고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라인의 신호를 검출하여 증폭하는 감지신호증폭부(1)와,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2), 파형정형부(3), 전용제어수단(4), 루프백구동장치(5) 및 가입자선로절환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감지신호증폭부(1)에서 전송라인상의 산호를 검출하여 증폭시키고, 증폭된 증폭신호를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2)가 필터링하고 파형정형부(3)가 파형정형함으로써 전용제어수단(4)을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벨의 주파수신호만이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2)에서 출력된다.
미설명부호 7은 가입자이고, 8은 전원회로이다.
여기서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2)에 있는 대역통과필터는 감지신호증폭부(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대역통과영역만의 특정주파수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이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제 4 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파수 응답특성을 갖는데, 주파수응답특성은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에 따라 영역(X)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즉, 주파수감지곡선(a)과 주파수감지곡선(b) 사이의 주파수 대역은 제 4 도 (a)의 통과영역(PRO; pass region)과 통과실패영역(PRf; pass failure region)이 혼재하는 영역이고, 주파수감지곡선(a)과 주파수감지곡선(b)의 교차부분은 제 4 도 (a)의 통과영역(PRO)이 된다. 그 이외의 영역은 차단영역(RR ; rejet region)으로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파형정형부(3)를 통과시키면 원하는 주파수 대역폭 fø±△fø, fø±△fø±α를 얻게 된다.
이 신호가 전용제어수단(4)으로 인가되면, 특정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신호의 검출이 지속될 경우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루프백구동장치(5)를 제어하게 된다.
즉, 송신측에서 가입자측으로 송신하는 신호에는 가입자가 수신하여야할 신호(데이타)뿐만 아니라 선로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루프백신호도 전송하게 되는데 루프백신호가 감지되면 전용제어수단(4)은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루프백구동장치(5)를 제어하고 루프백구동장치(5)의 구동에 따라 가입자선로절환수단(6)은 가입자(7)로 가는 선로를 절환하여 루프백신호(LBs)를 송신측으로 루프백시키고 이 루프백신호(LBs)를 체크함으로써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송라인 절환장치는 통상적으로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2)와 파형정형부(3) 및 전용제어수단(4)을 하나의 반도체소자로 구성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을 선택함에 있어서,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이 변동함에 따라 상술한 바 있는 통과영역(PRo)과 통과실패영역(PRf)이 혼재하는 혼재영역이 상당부분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원하는 주파수 fø의 선택 및 그의 주파수 대역폭 fø±△fø의 선택에 있어서 예컨대 fø=2713Hz, △fø=100Hz로 한번 선택한 것을 변경하려면 하드웨어적으로 전송라인 인터페이스부(2)와 파형정형부(3)를 변경해야만 가능하므로 재로운 칩의 제조가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칩의 제조를 위한 칩설계의 변경 및 그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많고 제조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전송라인 절환장치가 갖는 결점인 주파수 대역폭 선택시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에 따라 원하지 않는 주파수 통과영역과 통과실패영역의 혼재영역이 넓게 존재하는 문제와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 및 그 대역폭의 임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주파수통과영역과 통과실패영역의 혼재영역폭을 줄이고 주파수대경 및 그 대역폭을 용이하게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전송라인 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는 전송라인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를 디지탈 방식으로 처리하는 가입자 전송라인 루프백장치에 있어서, 전송라인으로부터 과전압에 의한 장치의 보호와 신호검출을 위한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와,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부(13), 파형정형부(13)에 연결되어 고정된 주파수와 대역폭을 선택하고 푸프백 및 해제시간을 제어하는 전용제어수단(14), 전용제어수단(14)에 원하는 주파수와 대역폭을 선택하고 절환신호를 판단하여 절환제어를 하며 절환제어신호 검출과 해제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 설명부호 16은 가입자선로절환수단, 17은 가입자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는 하나의 전송라인에 콘덴서(C1)와 저항(R1)(R3)을 차례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콘덴서(C2)와 저항(R2)(R4)을 차례로 연결하여 저항(R3)과 저항(R4)을 서로 연결한 구성이고, 파형정형부(13)는 상기 저항(R1)과 저항(R3)의 접속점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는 그의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증폭기(A1)의 출력단에 연산증폭기(A3)의 비반전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저항(R2)(R4)의 접속점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는 그의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증폭기(A2)의 출력단에 연산증폭기(A3)의 반전단자(-)를 연결한 구성이며, 전용제어수단(14)은 스위치(SW1~SWn)와 저항(R5~Rn)으로 이루어진 옵션조정용스위치부(SM)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블록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요부상세회로도서, 송신측에서 신호(음성신호, 정보데이타, 선로이상유무체크신호등)를 가입자측으로 저농하면 전송신호는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에서 검출되어 필터링되고, 기준신호(Sref)에 의해 공급되는 DC 레벨에 실려 파형정형부(13)로 인가된다.
여기서 기준신호(Sref)의 공급은 송신측의 접지전위와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 이후단(가입자측)의 접지전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가입자측 접지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전압인 기준신호(Serf)만큼 상승된 DC 레벨에 필터링된 전송신호를 실어 파형정형부(13)로 인가하게 된다.
파형정형부(13)로 인가된 신호는 이득이 1인 연산증폭기(A1,A2)와 연산증폭기(A3)를 거치면서 파형정형되고 증폭되어 전용제어수단(14)으로 인가된다. 그러면 전용제어수단(14)은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가입자측으로 전송해야할 신호(음성신호, 정보데이타등)인지 아니면 선로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가입자측으로 전송해야할 신호인 경우는 로우레벨의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게 되며, 선로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는 하이레벨의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게 된다.
절환제어신호(SCs)가 로우레벨인 경우는 루프백구동장치(15)가 구동되지 않아 송신측의 전송신호는 그대로 가입자측으로 전송되게 되며, 절환제어신호(SCs)가 하이레벨인 경우는 루프백구동장치(15)가 구동되어 루프백구동장치(15)의 출력인 절환신호에 의해 가입자선로절환수단(16)은 가입자(17)측 선로를 절환하고 전송라인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인 루프백신호(LBs)를 송신측으로 루프백시키고 송신측에서는 루프백신호(LBs)를 받아 체크해 봄으로써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전용제어수단(14)에 있는 옵션조정용 스위치부(SM)는 루프백신호(LBs)의 주파수 또는 주기를 변경하거나 마이크로콘트롤러가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시간의 조정 및 가입자선로절환수단(16)의 절환해제시간등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의 동작을 동작순서를 나타낸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용제어수단(14)에 전송신호가 입력되면(S1단계),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입력된 신호가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S2단계)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가 아닌경우에는 로우레벨의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루프백구동장치(15)가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입력한 전송신호를 가입자(17)측으로 전송한다(S3단계).
입력된 신호가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인 경우에는 하이레벨의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루프백구동장치(15)를 구동시키고 그에 따라 가입자선로절환수단(16)의 동작으로 가입자측(17)측 선로를 절환하고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인 루프백신호(LBs)를 루프백시킨다(S4단계).
그다음에 마이크로콘트롤로는 설정시간 이후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가 있는가를 체크하게 되는데(S5단계) 체크결과 연속적으로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가 입력되면, 사용하는 S6단계에서 설정된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의 입력시간이후 가입자(17)측 선로의 절환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연속적으로 선로이상유무 체크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설정된 절환시간이 되면 로우레벨의 절환제어신호(SCs)를 출력하여 가입자(17)측 선로의 절환을 해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 전송라인 절환장치는 절환시스템 클럭신호의 범위내에서 전송신호의 검출시간 절환해제시간등을 마이콤을 이용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사용으로 자유롭게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 뿐만 아니라 감지신호의 주파수선택 및 주파수대역폭 변경에 새로운 칩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전송라인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를 디지탈방식으로 처리하는 가입자 전송라인 루프백장치에 있어서, 전송라인으로부터 과전압에 의한 장치의 보호와 신호검출을 위한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와,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정형부(13), 파형정형부(13)에 연결되어 고정된 주파수와 대역폭을 선택하고 루프백 및 해제시간을 제어하는 전용제어수단(14), 전용제어수단(14)에 연결되어 가입자의 라인을 절환하는 루프백구동장치(15)를 구비하되, 상기 전용제어수단(14)에 원하는 주파수와 대역폭을 선택하고 절환신호를 판단하여 절환제어를 하며 절환제어신호 검출과 해제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 절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용제어수단(14)에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전용제어수단(14)에서의 신호의 주파수통과영역(PRo)과 통과실패영역(PRf) 설정 변동을 제거함으로써 절환제어신호(SCs)의 주파수와 대역폭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 절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는 그의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증폭기(A1)의 출력단에 연산증폭기(A3)의 비반전단자(+)를 연결하고 전송라인인터페이스부(12)에 비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는 그의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증폭기(A2)의 출력단에 연산증폭기(A3)의 반전단자(-)를 연결하여 파형정형부(13)를 구성함으로써 전송라인에 대한 절환장치의 연결영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 절환장치.
KR1019940025586A 1994-10-06 1994-10-06 전송라인 절환장치 KR97000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86A KR970009674B1 (ko) 1994-10-06 1994-10-06 전송라인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86A KR970009674B1 (ko) 1994-10-06 1994-10-06 전송라인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74B1 true KR970009674B1 (ko) 1997-06-17

Family

ID=1939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586A KR970009674B1 (ko) 1994-10-06 1994-10-06 전송라인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67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8072A1 (en) Gain selected cell phone booster system
JP2776071B2 (ja) 送信出力包絡線検波回路および線形送信回路
EP0654898B1 (en) Transmission circuit
KR970009674B1 (ko) 전송라인 절환장치
EP0427135B1 (en) Circuit for sensing output distortion, in particular of final stages of audio devices
EP066799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JPH08288772A (ja) 送信電力増幅器のバイアス制御回路
US5737428A (en) Circuit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feedback
JPS6142975B2 (ko)
US5434539A (en) Unity-gain linear-fader control for VCA
JPH05299953A (ja) オートレベルコントロール回路
KR960006941B1 (ko) 가변 감쇠기를 이용한 자동 이득 조절 장치
US5424679A (en) +12dB gain linear-fader control for VCA
KR100350389B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트랜시버
JP2834043B2 (ja) 受信電界監視装置
JPH03273705A (ja) ブースター電力増幅器
JPS63187735A (ja) Catv用増幅器
JPH0438614Y2 (ko)
KR19990058812A (ko) 자동 레벨 제어 장치
JPH02177732A (ja) 可変振幅等化器のフェージング監視回路
KR19990002976U (ko) 자동 레벨 조정장치
JP2855652B2 (ja) 送信装置
JPH09130686A (ja) テレビ用ブースタ
JPS62173825A (ja) 変復調装置試験方式
JPH1041770A (ja) 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