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568B1 -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568B1
KR970008568B1 KR1019940016374A KR19940016374A KR970008568B1 KR 970008568 B1 KR970008568 B1 KR 970008568B1 KR 1019940016374 A KR1019940016374 A KR 1019940016374A KR 19940016374 A KR19940016374 A KR 19940016374A KR 970008568 B1 KR970008568 B1 KR 97000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re
convergence
magnetic pol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716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568B1/ko
Priority to TW084106880A priority patent/TW270999B/zh
Priority to CN95109194A priority patent/CN1051639C/zh
Publication of KR96000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제1도는 음극선관의 구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음극선관의 작동시 미스 콘버젼스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제3도는 종래 콘버젼스요크를 4극으로 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가)는 코아가 준비된 상태도
나)는 코아에 코일이 감겨진 보빈을 결합시킨 상태도
다)는 코일이 감겨진 보빈과 코아를 홀더로서 결합시킨 상태도.
제4도는 종래 콘버젼스요크를 구성하는 홀더의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콘버젼스요크의 극성에 따른 빔 이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가)는 4극에서의 빔 이동 상태도
나)는 6극에서의 빔 이동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 콘버젼스요크를 4극으로 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가)는 코아가 준비된 상태도
나)는 코아에 코일이 감겨진 돌출편을 접촉시킨 상태도
다)는 돌출편이 접촉된 코아를 음극선관에 고정하기 위해 홀더에 결합된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 콘버젼스요크를 구성하는 홀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요크22 : 코일
23 : 자극편24 : 홀더
24a : 지지리브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 말하면, 음극선관 편향요크의 후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의 초기위치를 변경시키는 콘버젼스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브라운관)은 텔레비젼 수상기나 각종 모니터등에 사용되어 영상신호(휘도신호와 칼라신호)에 의해 적(Red), 녹(Green), 청(Blue)색의 형광체를 발광시켜 칼라 화면을 재현하는 것이다. 그 형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판넬(Pannel)(1)과 후방으로 네크(Neck)부(2)를 갖는 펀넬(Funnel)(3)이 일체화되어 구근형상(Bulb Form)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네크부(2) 내에는 적, 녹, 청색의 3색 전자빔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전자총(4)이 설치되어 있다. 펀넬(3)의 네크부(2) 외주면에는 전자총(4)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도록 편향요크(5)가 설치되어 있다. 판넬(1) 내부에는 프레임(6)이 복수개의 지지스프링(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6)의 판넬(1)측에는 전자총(4)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통과되도록 작은 구멍이 무수히 많이 뚫린 섀도우마스크(8)가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6)의 펀넬(3)측에는 전자총(4)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이 지자계나 누설자계에 의해 진로가 변형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인너쉴드(Inner Shield)(9)가 고정되어 있다. 판넬(1)의 내측면에는 섀도우마스크(8)를 통과한 전자빔이 부딪힐 때 화상이 맺혀지도록 형광체(10)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펀넬(3)에 형성된 네크부(2) 내의 전자총(4)으로 고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자총이 작동되어 3색 전자빔을 방출한다. 이 방출된 전자빔은 펀넬(3)의 네크부(2) 전방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요크(5)의 자계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때 프레임(6)의 펀넬(3)측에 고정된 인너쉴드(9)가 편향된 상태로 계속 방출되는 3색 전자빔의 지자계나 누설자계를 막아 상기 전자빔의 진로가 도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자총(4)에서 방출된 전자빔의 일부는 프레임(6)의 판넬(1)측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8)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판넬(1)의 내측면에 도포된 형광체(10)에 부딪히므로 3색 전자빔의 조합에 의해 칼라화면이 재현된다. 상기 칼라화면의 재현에는 색신호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의 전자빔이 결정되어 있다.
동작시 섀도우마스크(8)가 내부의 열에 의해 팽창됨에 따라 전자빔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보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전자빔이 정해진 위치에서 제대로 조합되지 못하는 정도를 미스 콘버젼스(제2도 참조)라 하는 양으로 표시한다.
종래 음극선관은 전 화면에서 상기 미스 콘버젼스와 이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을 아래의 도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허용해 주었다. 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허용한 이유는 편향요크(5)에서 발생된 자계형상에 의해 생기는 라스터 디스토션(Raster Distortion)을 처리해 주기 위해서이다.
(A,B,C,D는 도면 제2도에 표시된 각 구역이다)
전자빔 형상 왜곡을 일부 허용함에 따라, 결국 화면 전반이 형상이 각기 다른 전자빔에 의해 구성된다. 이는 화면의 해상도를 나쁘게 하는 가장 주된 요인중의 하나가 된다.
근래에 들어서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산업용 칼라 음극선관(모니터)의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상기의 전자빔 왜곡현상을 방지하고 해상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균일자계의 편향요크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편향요크의 후방으로 콘버젼스요크(Convergence Yoke)가 부착되며, 상기 콘버젼스요크에 의해 전자총(4)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의 초기 위치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된다. 결국 화면상에서 원하는 콘버젼스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콘버젼스요크의 종래 구조는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둘레면으로 복수개의 돌출편(11a)이 일체 형성된 코아(11)와, 상기 코아에 형성된 각 돌출편(11a)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코일(12) 및 보빈(13)과, 상기 코아(11)와 보빈(13)의 결합체를 편향요크(5)의 후방에 부착시켜 주는 홀더(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코아(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11a)은 만들고자 하는 자계의 수에 따라 그 극수를 반드시 달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자계는 4극, 6극, 8극 자계가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콘버젼스요크를 조립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빈(13)의 외측둘레면으로 코일(12)을 감은 다음 상기 코일이 감겨진 보빈(13)을 코아(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돌출편(11a)에 끼운다. 계속해서 보빈(13)이 끼워진 코아(11)를 홀더(14)에 끼워 결합한 다음 상기 홀더를 편향요크(5)의 후방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콘버젼스요크에 의해 다이나믹 콘버젼스(화면상의 위치에 따라 빔의 콘버젼스상태를 조절해 주는것)를 구현한다. 수평편향전류 혹은 수직편향전류를 이용하여 콘버젼스요크를 작동시켜 주는 경우, 상기 수평편향전류가 고주파수(일반 텔레비젼 수상기의 경우 15.75KHz, 상업용 모니터의 경우 그 이상의 주파수)로 동작하는 전류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즉 수평편향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발열문제를 고려하여 반드시 페라이트와 같은 고저항물질을 자기회로소자로 사용한다.
또한 콘버젼스 조정에는 경우에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의 다극자계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 다극자계를 만들어 주기 위한 자극이 필요하게 된다. 즉 4극의 자계를 위해서는 4극, 6극의 자계를 위해서는 6극, 8극의 자계를 위해서는 8극이 필요하다. 도면상에는 4극과 6극 자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자계를 만들어 주는 일예를 도시하였다. 8극 자극을 이용하는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균일자계에 의한 콘버젼스 형태(제2도 참조)는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모든 스크린 위치에서 오버 콘버젼스(Over Convergence) 상태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화면의 바깥쪽(좌,우 모두)에서는 적, 녹, 청색이 순서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우선 45도 위치에서 만들어 주는 수평신호에 동기가 되는 4극 자계로 이들 미스 콘버젼스 량을 조절해 준다. 적, 청색 빔이 화면의 테두리 부분에서 녹색 빔에 비해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90도 위치에서 만들어주는 수직신호에 동기가 되는 4극 자계로 이들 미스 콘버젼스 량을 조절해 준다.
균일자계가 아닌 경우에,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소자들은 음극선관이 제조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조립 미스 혹은 공차에 의한 미스 콘버젼스나, 편향요크(5)의 조립 및 설계 공차에 의한 미스 콘버젼스를 조절해주기 위하여 콘버젼스요크를 필요로 한다. 이때, 4극 혹은 6극의 자극을 만들어 주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셀프 콘버젼스를 이루기 위해 바렐형 수평자계, 핀형 수직자계를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콤마수차에 의한 미스 콘번젼스를 보상한다. 둘째, 이들 자계에 의해 더욱 크게 나타나는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상한다. 세째, 일부 이룰 수 없는 미스 콘버젼스 양을 보상해 준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콘번젼스요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별도의 보빈을 만들어 상기 보빈에 코일을 감은 다음 이 보빈을 다시 각 돌출편에 끼워서 자극을 만들어 주었으므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제작비용 증가하고 조립성이 저하되었다.
둘째, 콘버젼스요크 조립시, 필요한 자극 갯수만큼 돌출편이 형성된 코아만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코아의 사용폭이 좁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폭이 넓으며 그 구성이 간결한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 형태를 이루는 코아와, 복수개의 자극편과, 상기 각 자극편을 코아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되게 결합시켜 주는 홀더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는 내부에 복수개의 지지수단을 형성하여, 홀더에 의해 코아와 자극편을 결합시킬 때, 상기 자극편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링 형태를 이루는 코아(21)와, 상기 코아와 별도로 구비되어 외측으로 코일(22)이 감겨진 복수개의 자극편(23)과, 상기 코일(22)이 감겨진 각 자극편(23)을 코아(21)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되게 결합시켜 주는 홀더(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24) 내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리브(24a)를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24)에 의해 자극편(23)을 코아(21)에 결합시킬 때 상기 자극편(23)을 지지리브(24a)가 지지하여 준다.
여기서 홀더 외주(24c)의 안쪽면까지의 직경(A)이 코아(21)의 외경과 같다. 또한 홀더 내주(24b)의 바깥면까지의 직경(B)은 자극편(23)의 밑면이 형성하는 원의 직경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 또는 8개의 자극편(23)을 사용하는 경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자극편(23)과 상기 자극편을 지지하는 지지리브(24a)의 갯수는 변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극편(23)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리브(24a)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리브(24a)는 지지홈이나 접착제 등으로 대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콘버젼스요크를 조립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별도로 구비된 복수개의 자극편(23)에 각각 코일(22)을 감는다. 그 다음 상기 코일이 감겨진 자극편(23)을 필요한 극수에 맞는 갯수만큼 홀더(24)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24a)에 지지되게 끼운다. 링 형태의 코아(21)를 상기 홀더(24)에 게속해서 끼우면 코아(21)와 각 자극편(23)이 홀더(2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지지리브에 의해 자극편(23)을 지지시켜 주는 것은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극수에 맞는 갯수의 각 자극편(23)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여 코아(21)와 자극편(23)이 결합되면 홀더(24)를 이용해 편향요크(5)의 후방으로 부착하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콘버젼스요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에 사용되던 보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이 줄어들어 제작비가 절감됨과 함께 조립작업이 향상된다.
둘째, 콘버젼스요크 조립시 자극의 수에 관계없이 코아는 사용가능하므로 상기 코아의 사용폭이 넓어진다.

Claims (2)

  1. 링 형태를 이루는 코아(21)와, 복수개의 자극편(23)과, 상기 각 자극편(23)을 코아(21)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되게 결합시켜 주는 홀더(24)와, 상기 홀더(24)는 내부에 형성되어, 홀더(24)에 의해 코아(21)와 자극편(23)을 결합시킬 때, 상기 자극편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다수개의 지지리브(2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KR1019940016374A 1994-07-07 1994-07-07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KR97000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74A KR970008568B1 (ko) 1994-07-07 1994-07-07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TW084106880A TW270999B (en) 1994-07-07 1995-07-04 Convergence yoke of cathode ray tube
CN95109194A CN1051639C (zh) 1994-07-07 1995-07-07 阴极射线管的会聚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74A KR970008568B1 (ko) 1994-07-07 1994-07-07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716A KR960005716A (ko) 1996-02-23
KR970008568B1 true KR970008568B1 (ko) 1997-05-27

Family

ID=1938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374A KR970008568B1 (ko) 1994-07-07 1994-07-07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70008568B1 (ko)
CN (1) CN1051639C (ko)
TW (1) TW270999B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290A (ja) * 1982-06-11 1983-12-19 Denki Onkyo Co Ltd インライン型カラ−陰極線管用コンバ−ジエンス装置
JPH0541182A (ja) * 1991-08-07 1993-02-19 Sony Corp 四重極コイル用保持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0999B (en) 1996-02-21
CN1121637A (zh) 1996-05-01
KR960005716A (ko) 1996-02-23
CN1051639C (zh) 200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1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05985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70008568B1 (ko) 음극선관용 콘버젼스요크
JPH11345577A (ja) カラー陰極線管
US5869923A (en) CRT with neck-gripping beam-correcting ferrite-ring assembly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JPH0318296B2 (ko)
JPH0696690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200289348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298473Y1 (ko) 칼라음극선관용컨버젼스퓨리티마그네트고정구조
KR100319091B1 (ko) 음극선관의퓨리티및컨버젼스조정방법
KR20015404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H0370334B2 (ko)
JP2002075249A (ja) ブラウン管用偏向ヨーク
KR20020038833A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JP2002334666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9990065073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6139954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JP2000149808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4007390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00001175U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2001001803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10269964A (ja) 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