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031A -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031A
KR20010018031A KR1019990033830A KR19990033830A KR20010018031A KR 20010018031 A KR20010018031 A KR 20010018031A KR 1019990033830 A KR1019990033830 A KR 1019990033830A KR 19990033830 A KR19990033830 A KR 19990033830A KR 20010018031 A KR20010018031 A KR 2001001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vertical
horizontal
ferrite cor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453B1 (ko
Inventor
이석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4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편향요크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빔을 각각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의 자기력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의 기구적인 상대 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를 절연하는 홀더 및 홀더의 네크측에 설치되어 수직 배럴형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 수차를 개선하며 홀더의 네크측 끝단에 설치된 링 밴드에 의해 퍼넬에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컨버젼스 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각추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편향요크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사각 형상의 개구부 영역까지 관축을 중심으로 세로축의 반경을 가로축의 반경에 대해 3.1/4 내지 5/4 사이의 길이 비로 규정하여 형성함으로써, 수직 편향코일의 기구적인 이동없이도 수직 편향 중심을 네크측으로 이동하여 화면상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함과 아울러 보다 고화질의 편향요크를 구현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편향요크{Deflection Yoke f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Deflection Yok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각추형의 편향요크에 있어서, 페라이트 코어의 가로축의 반경에 대해 세로축의 반경이 3.1/4∼5/4 사이의 길이 비를 갖도록 페라이트 코어를 제작함으로써, 화면상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극선관의 퍼넬(2) 상에 장착되는 편향요크(5)는 퍼넬(2)의 형상에 따라 ㉯ 부분과 같이 네크(3) 측으로 갈수록 원형에 가깝고, ㉮ 부분과 같이 패널(1) 측으로 갈수록 거의 직사각형에 가까운 각추(角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각추형으로 형성되어 퍼넬(2) 상에 장착되는 편향요크(5)를 A-A' 쪽에서 보았을 때 편향요크(5)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면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도 2에서 보듯이 종래의 편향요크(5)는, 그 개구부(㉮ 부분)가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크부(㉯ 부분)에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개구부(㉮)와 네크부(㉯) 사이에는 수평 편향코일(6)과 수직 편향코일(7) 및 페라이트 코어(8)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향요크(5)의 개구부(㉮ 부분)의 영역은 관축(Z)을 중심으로 가로축(X)의 반경과 세로축(Y)의 반경이 대략 4:3 정도의 길이 비(比)로서 세로축(Y)의 길이가 가로축(X)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5)는, 수평 편향코일(6)에 15.75㎑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가 도통되면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를 발생하여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며, 수직 편향코일(7)에 보통 60㎐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가 도통되면 배럴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여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6, 7)에 의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해서 세 전자빔이 별도의 부가회로 및 부가 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면에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해 주는 자기 집중형(Self Convergence) 편향요크(5)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즉, 수평/수직 편향코일(6, 7)의 권선 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네크부)로 배럴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세 개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주어 전자빔의 출발 지점에서부터 도착 지점인 화면까지의 각기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한, 편향코일(6, 7)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워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8)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수평 편향코일(6)은 도 3의 (a)와 같이 좌측의 편향코일과 우측의 편향코일로 구성되며, 좌측 및 우측 수평 편향코일(6)을 병렬로 연결한 후 도 3의 (b)와 같은 톱니파 형상의 수평 편향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핀쿠션 형상의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세 개의 전자빔 즉, 적색, 녹색, 청색 빔이 수평 편향자계 영역을 통과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은 수평 편향코일(6)의 내면과 전자빔간의 거리의 삼승에 반비례하여 수평 방향으로 편향하게 된다.
종래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5)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의 경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로, 도 4와 같이 수평 편향코일(6)이 만드는 수평 편향자계(6j)의 중심(6i)과 수직 편향코일(7)이 만드는 수직 편향자계(7j)의 중심(7i)간의 차이량과 치우침 방향에 따라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는 데, 만약 수평 편향의 중심(6i)을 고정시켜 놓았을 경우, 수직 편향의 중심(7i)이 수평 편향의 중심(6i)보다 네크(3)측으로 이동할수록 도 5와 같은 원리, 즉 화면상의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킬 때 수직 편향각이 감소하는 효과로 인해 보정전 상하 핀쿠션(7m)이 보정후 상하 핀쿠션(7n)과 같이 라스터 디스토션이 보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수직 편향 중심(7i)을 네크(3)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편향요크(5)를 설계할 때 수직 편향코일(7)을 수평 편향코일(6)에 비해 네크(3)측으로 치우치게 위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로, 도 6과 같이 편향요크(5)의 네크(3)측으로 부착된 한 쌍의 4극 컨버젼스 코일(9)을 수직 편향 회로와 직렬로 연결하여 수직 편향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상측으로 편향할 때는 상측으로 이동시켜 주고 하측으로 편향할 때는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직 편향코일(7)을 고정시켜 놓고도 수직 편향 중심(7i)을 네크(3)측으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보정전 상하 핀쿠션(9m)을 보정후 상하 핀쿠션(9n)과 같이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하 핀쿠션 라스터 디스토션을 개선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을 채용한 종래의 편향요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도 5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7)을 수평 편향코일(6)에 비해 네크(3)측으로 이동시켜 설계한 편향요크(5)는 수직 편향자계(7j)가 수평 편향자계(6j)에 비해 네크(3)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편향요크(5)의 중요 특성중의 하나인 비에스엔(BSN; Beam Strike Neck) 특성 즉, 전자총에서 방사된 세 개의 전자빔이 편향요크(5)에 의해 편향될 때 음극선관의 퍼넬(2) 내면에 부딪혀서 화면상의 코너부에 전자빔이 도달하지 못하는 현상인 비에스엔 특성이 악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평 편향코일(6)이 도 3 및 도 4와 같이 네크측 플랜지가 있는 새들형 편향요크의 경우 수직 편향코일(7)을 네크(3)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가 수평 편향코일(6)의 네크측 플랜지를 벗어날 수 없는 제한으로 인해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한 충분한 수직 편향 중심(7i)과 수평 편향 중심(6i)간의 거리차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의 부족 현상으로 남게 되어 편향요크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화면이 평면화 및 대형화가 될수록 화면 곡률이 증가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이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더욱 열악한 화면 특성을 제공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는 것이다.
둘째로, 도 6과 같이 한 쌍의 4극 컨버젼스 코일(9)을 이용하여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할 경우에는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은 보정할 수 있지만, 4극 컨버젼스 코일(9)이 수직 편향 중심(7i)을 네크(3)측으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5)의 중요 특성중의 하나인 비에스엔 특성이 감소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평 편향코일(6)의 편향 중심(6i)을 네크(3)측에서 패널(1) 측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편향요크(5)의 수평 편향 감도가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음극선관이 광각화가 될수록 세 개의 전자빔의 편향 기울기가 급격해지기 때문에 한 쌍의 4극 컨버젼스 코일(9)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되는 이동 거리가 크게 되어 편향요크(5)의 수평 편향 감도가 예를 들면 90°편향에서 100°편향으로 변화시에 약 30% 정도의 감도 저하가 나타나며, 여기다가 4극 컨버젼스 코일(9)의 부착에 따른 수평 편향 감도의 추가 악화로 인해 4극 컨버젼스 코일(9)의 적용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추형 편향요크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개구부에 이르는 영역에 있어서 페라이트 코어의 세로축의 반경 길이를 가로축의 반경에 대비해 3.1/4 내지 5/4 사이의 길이 비로 규정하여 페라이트 코어를 제작함으로써, 화면상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의 특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각추형 형상을 갖는 음극선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의 편향 회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요크의 수평 및 수직 편향자계의 편향 중심을 예시한 참조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직 편향 중심에 의한 상하 디스토션 보정 원리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컨버젼스 코일에 ??나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 원리도이고,
도 7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편향요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편향요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편향요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편향요크 중 페라이트 코어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길이 비를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의 (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의 보정 전, 후를 나타낸 비교 패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패널 12: 퍼넬
30: 편향요크 31: 수평 편향코일
32: 수직 편향코일 33: 페라이트 코어
34: 홀더 35: 컨버젼스 요크
㉮: 편향요크의 개구부 ㉯: 편향요크의 네크부
Z: 관축 X: 가로축
Y: 세로축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전자빔을 각각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의 자기력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의 기구적인 상대 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를 절연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네크측에 설치되어 수직 배럴형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 수차를 개선하며 홀더의 네크측 끝단에 설치된 링 밴드에 의해 퍼넬에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컨버젼스 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각추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편향요크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사각 형상의 개구부 영역까지 관축을 중심으로 세로축의 반경을 가로축의 반경에 대해 3.1/4 내지 5/4 사이의 길이 비로 규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유리제 패널(10), 이 패널(10)에 결합된 깔때기 형상의 유리제 퍼넬(12), 이 퍼넬(12)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유리제 네크(14)가 형성된다.
네크(14) 내에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일렬로 배치되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전자빔(16)을 주사하는 전자총(18)이 봉입되며, 퍼넬(12)의 네크(14)측 근방에는 전자빔(16)을 형광체 스크린(20)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위해 주로 비균일 자계를 이용한 자기 집중형(self-convergence)의 편향요크(30)가 장착된다.
상기 편향요크(30)는 통상 핀쿠션(pincushion)형의 수평 편향자계 및 배럴(barrel)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며, 이것에 의해 전자총(18)에서 방출된 3개의 RGB 전자빔(16)은 광각(廣角)으로 편향되어 색선별전극인 섀도우마스크(22)를 통해 형광체 스크린(20)에 랜딩되어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편향요크(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향요크(30)는 기본적으로 전자빔(16)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31)과, 전자빔(16)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한 수직 편향코일(32)과, 수직 편향코일(32)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의 자기력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33)와, 수평/수직 편향코일(31, 32)과 페라이트 코어(33) 등의 기구적인 상대 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수평 편향코일(31)과 수직 편향코일(32) 사이를 절연하는 홀더(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버젼스 코일(35)이 홀더(34)의 네크(14)측에 설치되어 수직 배럴형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 수차를 개선하며, 홀더(34)의 네크(14)측 끝단에 설치된 링 밴드(36)에 의해 퍼넬(12)에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홀더(34)의 상·하측 원주면, 즉 편향요크(30)의 개구부(㉮부분)의 끝단 상·하 위치에는 마그네트(39)가 설치되어 화면상의 라스터 왜곡(이하, '디스토션'이라 칭함)을 보정하며, 이 마그네트(39)는 페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바륨 또는 스트론튬이 미소성분으로 사용되어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편향요크(30)는 수평 편향코일(31) 및 수직 편향코일(32)의 권선분포를 조정해서 각 부위별(네크부, 중간부, 개구부)로 배럴 혹은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어 주어서 세 개의 전자빔(16)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게 해 주어 전자빔(16)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화면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또한, 편향코일(31, 32)에 전류를 흘려 주어 자계를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16)을 화면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워 고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33)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 경로상에서의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의 (b)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동도면에서 보듯이 페라이트 코어(33)의 가로축(X)과 세로축(Y)의 길이 비가 종래와 다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편향요크(30)의 페라이트 코어(33)는 그 형상이 네크부(㉯)에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의 개구부(㉮)까지 이르는 영역은 타원형에서 거의 사각형 형상으로 변화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페라이트 코어(33)는 네크부(㉯) 영역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중간부에서 개구부(㉮)까지 이르는 영역은 종래와는 다르게 관축(Z)을 중심으로 세로축(Y)의 반경을 가로축(X)에 비해 다소 확장하여 형성하였다.
물론, 페라이트 코어(33)의 가로축(X)의 반경은 종래와 동일하며, 패널(10) 또는 페라이트 코어(33)의 가로축(X)과 세로축(Y)의 길이 비가 4:3 이라면, 페라이트 코어(33)를 가로축(X)에 대해 세로축(Y)의 반경을 3.1/4∼5/4 사이의 길이 비로 규정하여 종래의 세로축(Y)의 길이보다 다소 큰 반경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33)로 제작함으로써,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수평/수직 편향코일(31, 32)은 페라이트 코어(33)의 세로축(Y)의 길이가 확장되더라도 종래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된다.
도 10은 도 9의 페라이트 코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33)는 네크부(㉯) 측의 형상이 원형이고 개구부(㉮) 측의 형상이 사각형인 각추형이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33)의 가로축(X)의 반경을 x1이라 하고 세로축(Y)의 반경을 y1이라 할 때, x1의 길이 비가 4이면 y1의 길이 비는 3.1 내지 5가 된다.
즉, 세로축(Y)의 길이는 가로축(X)의 길이에 대해 3.1/4 내지 5/4 사이의 길이 비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10의 (b)와 비교해 보듯이 페라이트 코어(8, 33)의 가로축(X)과 세로축(Y)의 길이 비에 대해서 가로축(X)의 길이는 변함(x1=x')없지만, 가로축(X)의 길이에 대해서 세로축(Y)의 길이의 비가 더 연장(y1>y')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33)의 설계 순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7 및 도 8과 같이 음극선관의 퍼넬(12)이 각추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퍼넬(12)의 외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편향요크(30)가 임의의 각도만큼 틸트(tilt)될 수 있도록 상기 퍼넬(12)과 수 ㎜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평 편향코일(31)의 내면을 설계하며, 수평 편향코일(31)의 외면을 기준으로 홀더(34)의 두께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 편향코일(32)의 내면을 설계한 후 수직 편향코일(32)의 외면 형상과 유사하면서 임의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페라이트 코어(33)의 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각추형 편향요크(5)의 페라이트 코어(8)의 형상은 수직 편향코일의 외면과 형상은 유사하면서 페라이트 코어의 내면 산포를 감안하여 약 0.5㎜ 간격을 유지하도록 페라이트 코어(8)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퍼넬(2) 외면이 4대 3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면 페라이트 코어(8)의 내면 형상의 가로축(X)과 세로축(Y)의 반경(x':y')도 통상적으로 4대 3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종래의 각추형 페라이트 코어(33)의 형상을 수직 편향코일(32)의 외면 형상과 유사하게 설계하지 않고 즉, 4대 3의 비율로 설계하지 않고 가로축(X)의 반경(x1)은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세로축(Y)의 반경(y1)을 가로축 반경에 대비해서 3.1/4 내지 5/4 정도로 크게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세로축 반경(y1)이 크게 되는 범위는 페라이트 코어(33)의 네크(㉯ 부분)측은 기존대로 원형으로 고정시켜 놓고,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사각 형상의 개구부(㉮ 부분)에 이르는 영역까지만 세로축(Y)을 확장하여 설계한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를 제작하면, 도 11의 (a)와 같이 수평 편향자계(31j)는 거의 변화하지 않으면서 즉, 수평 편향 감도는 거의 유사하면서 도 11의 (b)와 같이 오직 수직 편향자계(32j)만 수직 편향 중심이 기존 대비 네크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종래의 편향요크에서 수직 편향코일을 수평 편향코일 대비 네크측으로 이동하는 효과와 유사하게 동작하여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한 편향요크의 시뮬레이션 실행 결과, 세로축의 길이를 가로축 대비 4/4 비율로 증가시킬 경우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의 보정량이 3.2㎜이고, 5/4로 증가시킬 경우에는 상하 핀쿠션 디스토션의 보정량이 5.5㎜ 정도로 보정되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페라이트 코어가 장착되는 편향요크 및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퍼넬은, 페라이트 코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화면의 가로/세로 비가 4:3일 뿐만 아니라 16:9의 광폭 화면에서도 페라이트 코어의 세로축의 길이를 가로축의 길이에 대비해서 9/16 이상의 비율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은 자명한 것이고, 다소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로,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는 수평 편향 감도에 민감한 영향을 주는 페라이트 코어의 세로축의 반경을 가로축의 반경대비 3.1/4 내지 5/4 정도의 비율로 형성하기 때문에 수평 편향감도의 변화없이 수직 편향 중심을 네크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화면상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는 고화질의 편향요크를 구현할 수 있고, 둘째로 수평 편향코일이 네크측에 플랜지를 갖는 경우일 때에도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를 적용하면, 수직 편향코일의 기구적인 이동없이 수직 편향 중심을 네크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화면상의 상하 핀쿠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수직 편향코일을 네크측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방법과는 달리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개구부까지 페라이트 코어의 가로축의 길이는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세로축의 길이만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비에스엔 특성의 감소량을 줄일 수 있어 편향 감도의 추가 감소없이 화면상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해상도용 편향요크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자빔을 각각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수직 편향자계의 자기력 손실을 줄여 주어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의 기구적인 상대 위치를 결정해 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사이를 절연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네크측에 설치되어 수직 배럴형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 수차를 개선하며 홀더의 네크측 끝단에 설치된 링 밴드에 의해 퍼넬에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컨버젼스 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각추형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편향요크의 비원형화가 시작되는 중간부에서 패널측으로 뻗은 사각 형상의 개구부 영역까지 관축을 중심으로 세로축의 반경을 가로축의 반경에 대해 3.1/4 내지 5/4 사이의 길이 비로 규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19990033830A 1999-08-17 1999-08-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29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830A KR100295453B1 (ko) 1999-08-17 1999-08-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830A KR100295453B1 (ko) 1999-08-17 1999-08-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031A true KR20010018031A (ko) 2001-03-05
KR100295453B1 KR100295453B1 (ko) 2001-07-12

Family

ID=1960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30A KR100295453B1 (ko) 1999-08-17 1999-08-17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48B1 (ko) * 2001-07-26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사각 벤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388A (ja) * 1996-05-14 1997-11-28 Toshiba Corp 陰極線管
JP3442975B2 (ja) * 1996-09-18 2003-09-0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JPH10144238A (ja) * 1996-11-12 1998-05-29 Toshiba Corp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76260B2 (ja) * 1997-11-14 2003-02-10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48B1 (ko) * 2001-07-26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사각 벤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453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0086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GB2076219A (en) Coma correction in colour tv tubes
JPS5811070B2 (ja) カラ−ヒヨウジソウチ
GB2062955A (en) Colour display tube comprising a deflection yoke and deflection yoke for a colour display tube
US4523123A (en) Cathode-ray tube having asymmetric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505985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598055A (en)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US4608515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screen grid with asymmetric beam focusing means and refraction lens means formed therein
KR10029545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GB2046988A (en) Colour television tube guns
KR2001001803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FI70097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anordning
EP0415125A1 (en) Cathode ray tube
KR10052884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CN1963983A (zh) 彩色阴极射线管装置
KR2003007103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50087178A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017067A (ko)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요크
KR20040072903A (ko) 음극선관
KR20030072888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4224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