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533B1 -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533B1
KR970008533B1 KR1019890014862A KR890014862A KR970008533B1 KR 970008533 B1 KR970008533 B1 KR 970008533B1 KR 1019890014862 A KR1019890014862 A KR 1019890014862A KR 890014862 A KR890014862 A KR 890014862A KR 970008533 B1 KR970008533 B1 KR 970008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861A (ko
Inventor
요지로 나까야마
미끼오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부미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부미쓰 filed Critical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2 도는 종래의 일반적 정보단말장치의 외관도.
제 3 도는 종래 방법의 설명도.
제 4 도는 종래 방법의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본 발명 실시 경우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개략적 블록도.
제 6 도는 그 메모리 구성의 설명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미사용상태12 : 사용상태
13 : 사용자 등록14 : 해제
15 : 일시 보류상태16 : 등록된 사용자의 조회
본 발명은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사용을 인정하도록 한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기관에 있어서, 현금의 출납, 각종 거래관리에는 그 거래업무 내용에 따른 각종 정보단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정보단말장치는, 호스트컴퓨터에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고, 각종 정보교환을 행하면서 지정된 업무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은행 등에 있어서는 정보단말장치의 사용자마다 취급할 수 있는 거래업무 내용이 제한되어 있는 수가 있다.
즉, 어떤 행원은 예금 등의 취급업무, 타행원은 대체업무 등, 일정한 범위에서 권한이 나뉘어져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정보단말장치가, 그 사용자별로 사용 권한을 즉시 식별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는, ID 카드라는 식별용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
제 2 도에,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보단말장치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이 정보단말장치는, 키보드(1)와, 디스플레이(2)와, 플로피디스크 장치(3)와, 프린터(4)와, 카드리더(5)를 갖추고 있다.
키보드(1)는, 극히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키가 배열된 장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플로피디스크 장치(3)는, 프로그램 파일이나 데이터파일을 격납한 플로피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린터(4)는, 서멀(thermal)프린터 등으로 구성되고, 거래 결과의 인쇄를 행하는 장치이다. 카드리더(5)는, 앞서 설명한 각 사용자가 소지하는 ID 카드를 삽입하였을 때, 그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권한 밖의 정보단말장치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동작에 사용된다.
제 3 도에, 종래 방법의 정보단말장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우선, 정보단말장치는, 미사용상태(11)와 사용상태(12)의 2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미사용상태(11)에서, 앞서 설명한 ID 카드를 정보단말장치에 삽입하고, 사용자 등록(13)을 행하면, 사용상태(12)로 이행한다. 즉, 정보단말장치가 ID 카드의 내용을 읽고, 현재 단말 사용중인 사용자로서 그 내용을 등록하여 둔다. 이로서, 사용상태(12)로 이행하면, 등록된 사용자만이 정보단말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또, ID 카드에 포함되는 사용권한에 관한 정보에 의거, 권한 밖의 업무가 금지된다. 이 사용상태(12)에서 사용자가 정보단말장치의 키보드에 설치된 해제키를 누르고, 해제(14)를 지시하면, 정보단말장치는 처음의 미사용상태(11)로 이행한다.
제 4 도에는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의 정보단말장치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우선, 정보단말장치 사용개시에 있어서. 정보단말장치의 전원을 "온"한다 (스텝 S1). 이 상태에서, 정보단말장치는 미사용상태이며, ID 카드를 삽입하지 않으면 정보단말장치를 거래에 사용할 수가 없는 거래불가 모드로 된다 (스텝 S2). 사용자가 ID 카드를 삽입하여, ID의 독취가 행하여지면 (스텝 S3), 그 ID가 장치에 등록을 필하였는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4). ID가 등록필이 아니면 ID의 등록을 행하고 (스텝 S5), 등록필이면, ID의 일치가 판단된다 (스텝 S6).
여기에서, 사용자의 ID가 등록필인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정보단말장치의 사용은 허가되지 않고 스텝 S2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등록필의 ID와 일치되면, 거래가능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7), 그후, 일정한 거래처리가 행하여지고 (스텝 S8),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해제키를 눌러 (스텝 S9), ID의 등록을 말소해서 거래불가 모드 (스텝 S2)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조작일 경우, 통상 사용자는 각종 업무를 계속해서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정보단말장치는 각 업무마다 그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여, 업무를 행할 것인가의 판단을 한다. 따라서, 거래중에는 읽어들인 ID는 정보단말장치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적절히 조회에 사용된다. 그러나, 거래가 해제되면, 그 ID가 메모리로부터 말소되어, 다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업무를 개시한 경우, 그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쉽게 자리를 떠날 수가 없다. 즉, 일정한 거래 데이터 입력 작업중에 무의식적으로 자리를 떠나면, 권한이 없는 제 3 자에게 정보단말장치를 사용당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또, 비록 그와 같은 위험성이 없다 하여도, 사용을 중단해서 방치한 경우, 타 사용자에 의해서 거래가 해제되고, 중단하기 전에 행한 입력작업 등이 무효로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권한이 있는 제 3 자가 중단된 업무를 속행할 수도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책임의 소재가 불명확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거래의 일시보류 상태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며, 무단 사용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하게 한 정보단말의 조작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은 키와 카드리더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사용자의 ID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것과 대조하여 조작상태를 거래불가 모드단계와, 거래가능 모드단계 및 거래중단 모드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으로서, 상기 거래불가 모드단계에서 ID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ID를 입력하고 입력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ID를 상기 저장수단에 등록한 다음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에서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 ID의 상기 저장수단내의 등록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에서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이 ID 카드입력인지 키입력인지를 판단하고, ID 카드입력인 경우 상기 ID 카드리더에 의해 판독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이면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로 이행되며, 키입력인 경우 키에 의해 입력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등록을 말소한 다음 상기 거래불가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은, 미사용상태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하여 사용상태로 이행하고, 상기 사용상태로부터 상기 미사용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상기 사용상태 해제를 허용하며, 또한 일시 보류상태로부터 상기 사용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상기 사용상태로의 이행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의 방법에서는, 사용상태의 해제와 일시 보류상태로부터 사용상태로의 이행을,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허가한다. 따라서, 타 사용자는 사용상태 혹은 일시 보류상태에서 정보단말장치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서, 안전하게 일시 보류상태를 만들어 낼 수가 있고, 또 거래작업의 책임도 명확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의 실시예를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 방법은, 즉 미사용상태(11)와, 사용상태(12)와, 일시 보류상태(15)등을 취할 수가 있다.
미사용상태(11)로부터 사용상태(12)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 등록(13)을 한다. 또, 사용상태(12)로부터 미사용상태(11)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등록된 사용자의 조회(16)을 거쳐서 해제(14)를 확인한다. 또한, 일단, 일시 보류상태(15)로 된 경우에는, 다시 사용상태(12)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도, 등록된 사용자의 조회(16)가 실행된다.
제 5 도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하드웨어의 개략 블록도를 표시한다.
이 정보단말장치는, 버스 라인(20)에, 프로세서(21)와, 리드·온리·메모리(ROM)(22)와 랜덤·억세스·메모리(RAM)(23)와, 플로피디스크 제어부(24)와, 프린터 제어부(25)와, 키보드 제어부(26)와, 디스플레이 제어부(27)와, 회선 제어부(28) 등이 접속된 것이다.
리드·온리·메모리(22)는 프로세서(21)의 동작용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메모리이다. 랜덤·억세스·메모리(23)는 프로세서(21)의 동작중에 그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 등을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플로피디스크 제어부(24)에서는, 플로피디스크(FD)(29)가 장착되어서, 필요한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행하여진다. 프린터 제어부(25)에서는 서멀 프린터 등의 프린터(30)를 제어하고, 거래 결과의 출력등이 행하여진다. 키보드 제어부(26)는, 키보드(31)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받아들이거나, 또는 카드리더(32)로부터의 독취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제어하는 회로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7)는, 디스플레이(33)에 소정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회로이다. 회선 제어부(28)는, 상위국(34)과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장치 등을 포함하는 회로이다.
제 1 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 주로 상기 랜덤·억세스·메모리(23)에 사용자의 등록이나 정보단말장치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격납하고, 프로세서(21)가 등록된 사용자의 조회 등을 실행한다.
제 6 도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메모리 구성의 설명도를 표시한다. 즉, 제 5 도에 나타낸 랜덤·억세스·메모리(23)에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의 격납을 행한다.
제 6 도(a)에는, 사용자가 카드리더에 장착하는 ID 카드에 기입된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ID 카드에는, 즉시 거래를 행하는 지점(支店)을 표시하는 점포번호(35)와, 오퍼레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ID(36)가 기입되어 있다. 이중, 오퍼레이터 ID(36)가 정보단말장치 개시에 임해서 메모리중에 전기(轉記)되고 등록된다.
즉, 동 도(1b)의 메모리 중에는, ID 등록의 유무를 표시하는 영역(37)과, 오퍼레이터 ID를 격납하는 영역(36)과, 모드를 격납하는 영역(38) 등이 형성되어 있다.
ID 등록의 유무를 격납하는 영역(38)에는, 이미 오퍼레이터 ID가 등록필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예컨대 1 비트의 정보를 격납하여 둔다. 오퍼레이터 ID를 격납하는 영역(36)은, 동 도(a)의 ID 카드의 데이터의 격납가능한 크기가 된다. 또, 모드를 격납하는 영역(38)은, 장치가 미사용상태인가, 사용상태인가, 일시 보류상태인가를 표시하는 2비트 정도의 데이터로서 이루어진다.
제 5 도에 표시한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동작하는 경우, 그 동작 개시에 있어서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ID 카드의 내용이 메모리에 등록되고, 사용자의 권한 확인이 행하여진다. 또, 제 6 도(b)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드를 메모리의 영역(38)에 격납하여 둠으로서, 장치의 사용상태, 미사용상태, 일시 보류상태를 식별하고, 그 상태에 응한 처리가 실행된다.
제 7 도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한 경우에 구체적인 플로우챠트를 표시하였다. 이하에서 이 플로우챠트를 앞서 설명한 제 5 도에 도시한 하드웨어와 관련시켜 설명한다.
우선, 정보단말장치 사용 개시에 있어서, 정보단말장치의 전원이 "온"으로 된다 (스텝 S1). 그리고, 초기상태에서는 거래불가 모드로 된다 (스텝 S2). 다음에 사용자가 ID 카드를 카드리더(32)에 삽입하면, 그 독취가 행해지고 (스텝 S3), ID가 등록필인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4). 미등록이면 등록이 실행되고 (스텝 S5), 등록필이면 그 동일성이 판단된다 (스텝 S6).
그리고, 권한 있는 사용자의 경우, 거래가능 모드 S7로 이행한다. 이 모드에서, 사용자는 일정한 거래처리를 한다 (스텝 S8). 여기에서, 사용자 거래를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키보드(26) 상의 해제키를 누른다 (스텝 S9). 이에 의하여, 거래중단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10).
본 발명의 경우, 이 상태에서는, 일정한 수속에 의해서 중단전의 상태로 복귀하여 거래를 재개할 수가 있다. 이것은, 예컨대 거래 데이터 입력작업 도중에서, 사용자가 자리를 뜰 필요가 생긴 그러한 경우에 유효한 모드이다. 거래중단 모드에 있어서, 정보단말장치는 입력 대기상태로 되고 있다 (스텝 S11). 또한, 자리를 떳을 때에는 타인의 무단 사용 방지를 위하여 ID 카드는 빼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대기상태에서 정보단말장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 S11) 또한 그 입력이 카드리더(32)로부터의 ID 카드입력인지 키보드(31)로부터의 키입력인지가 판단된다 (스텝 S11).
이러한 판단은 장치의 조작상태를 거래불가 모드, 거래가능 모드 및 거래중단 모드로 제어하는 프로세서(21)에 그 정보단말장치의 식별정보가 통지되어 실행된다. 따라서 해제키 누름 (스텝 S9)에 의해 거래중단 모드로 이행 (스텝 S10)한 후 다시 ID 카드가 삽입되고 (스텝 S11), 스텝 S11에서 프로세서(21)가 그에 통지되는 ID 카드리더 식별정보에 의거해서 입력대기상태에서 발생된 입력을 ID 카드입력으로 판단하는 경우, ID의 독취가 행하여지며 (스텝 S12), 이미 등록을 필한 RAM(24)에 저장되어 있는 ID와의 동일성이 판단된다 (스텝 S13). 이때, 동일한 ID라고 판단되면 거래가능 모드 (스텝 S7)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일 사용자가 ID 카드의 독취를 시킨 경우에만, 거래가능 코드 (스텝 S7)로부터 거래의 재개를 할 수가 있다. 이 이외의 경우에는, 거래중단 모드 (스텝 S10)로 복귀하여 스텝 S11의 입력대기상태로 유지된다.
또, 입력대기상태에 있어서 입력이 행하여지고 (스텝 S11), 단계 S11'에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프로세서(21)가 그에 통지되는 정보입력장치의 식별정보에 의해 입력대기상태에서 발생된 입력을 카드리더(32)로부터 입력이 아닌 것으로, 즉 키보드(31)로부터 입력으로 식별하는 경우, 키보드(31)로부터 ID 입력을 받아 (스텝 S14), 역시 RAM(23)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필의 ID와 동일한가 여부가 프로세서(21)에 의해 판단된다 (스텝 S15). RAM(23)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필의 ID와 동일한 ID가 키보드(31)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RAM(23)에 저장되어 있는 있는 ID의 등록을 말소하고 (스텝 S16), 스텝 S2의 거래불가 모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서, 등록된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31)로부터 ID 입력에 의해서만, 장치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한편, 그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행하여져도, 거래중단 모드 스텝 S10으로 복귀하고, 입력대기 상태가 속행된다.
이상의 처리의 결과, 장치의 거래중단 모드에 있어서는, 등록을 필한 사용자만이 거래를 재개할 수가 있고, 또 등록을 필한 사용자만이 사용상태로부터 원래의 미사용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에 의하면, 미사용상태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하여 사용상태로 이행한 다음에 미사용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와, 일시 보류상태로부터 이행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등록된 사용자만, 그 이행을 허가하도록 하였으므로, 타 사용자들에 의한 무단 사용이 방지되고, 또 그 사용권한을 명확화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키와 카드리더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사용자의 ID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것과 대조하여 조작상태를 거래불가 모드단계와, 거래가능 모드단계 및 거래중단 모드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으로서, 상기 거래불가 모드단계에서 ID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ID를 입력하고 입력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ID를 상기 저장수단에 등록한 다음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에서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 ID의 상기 저장수단내의 등록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에서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이 ID 카드입력인지 키입력인지를 판단하고, ID 카드입력인 경우 상기 ID 카드리더에 의해 판독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이면 상기 거래가능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로 이행되며, 키입력인 경우 키에 의해 입력된 ID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ID 등록을 말소한 다음 상기 거래불가 모드단계로 이행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거래중단 모드단계의 입력대기상태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KR1019890014862A 1988-10-18 1989-10-16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KR970008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60398 1988-10-18
JP63260398A JPH02108146A (ja) 1988-10-18 1988-10-18 情報端末操作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61A KR900006861A (ko) 1990-05-09
KR970008533B1 true KR970008533B1 (ko) 1997-05-24

Family

ID=1734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862A KR970008533B1 (ko) 1988-10-18 1989-10-16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08146A (ko)
KR (1) KR970008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0448B2 (ja) * 2001-09-28 2006-12-20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794B2 (ja) * 1980-11-17 1985-10-29 富士通株式会社 オペレ−タ−管理登録方式
JPS61145621A (ja) * 1984-12-18 1986-07-03 Fujitsu Ltd パスワ−ドによるキ−ボ−ド・ロツク機構
JPS63118831A (ja) * 1986-11-07 1988-05-23 Hitachi Ltd ジヨブの表示出力中断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61A (ko) 1990-05-09
JPH02108146A (ja) 199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344A (en) Smart card validation device and method
US6003113A (en) Portable card medium, method for managing memory space of portable card medium
US6957338B1 (en)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performing authentication in multiple steps
KR0150811B1 (ko) 자동현금 거래시스템
CN100382094C (zh) 处理装置
KR970008533B1 (ko) 정보단말장치의 조작방법
JP2018076641A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方法
JP2000250860A (ja) 端末装置のアクセス制限システム
JP2005115633A (ja) 使用管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4038915A (ja) 本人確認システム
JP5280759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コピーシステム
CN109447629B (zh) 一种标识卡识别方法、装置、系统和可读存储介质
JP2975489B2 (ja) 文書作成装置
KR20080051286A (ko)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가 구비된 보안성 확보를 위한시스템 및 그 방법
JPS6353687A (ja) 携帯可能媒体の動作制御システム
JP2000010441A (ja) 複写機システム及び複写機の制御方法
JPH10143588A (ja) Icカード
JPS6073797A (ja) 金銭登録機
AU651584B2 (en) Smart card validation device and method
JPH0115118B2 (ko)
KR920006840B1 (ko) 금전등록기의 모드별 비밀번호 입력 및 모드별 동작방법
JP2003187193A (ja) カードリーダ及びカードリーダの通信制御方法
JP3062076U (ja) 通信端末装置
JPS63116284A (ja) Icカ−ド装置
JPH05314324A (ja) カード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