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030B1 -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030B1
KR970008030B1 KR1019930014119A KR930014119A KR970008030B1 KR 970008030 B1 KR970008030 B1 KR 970008030B1 KR 1019930014119 A KR1019930014119 A KR 1019930014119A KR 930014119 A KR930014119 A KR 930014119A KR 970008030 B1 KR970008030 B1 KR 97000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einforcement
rolls
shaf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330A (ko
Inventor
유타카 마쯔다
카즈히코 호리에
타다시 히우라
쇼이치 하시모토
칸지 하야시
테쯔오 카지하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197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73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35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44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35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126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3Sleeved rolls
    • B21B27/05Sleeved rolls with deflectable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9/00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e.g. backing rolls ; Roll bending devices, e.g. hydraulic actuators acting on roll shaft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슬리브식의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파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각각의 보강롤의 외경 및 편심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분할형 보강롤의 각각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슬리브식의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요부를 파단한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각각의 보강롤의 외경 및 편심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6도는 제5도의 각각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슬리브식의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파단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각각의 보강롤의 외경 및 편심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9도는 제7도의 분할형 보강롤의 각각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상·하에 슬리브식의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개념을 나타내는 파단정면도,
제11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롤의 편심상태 및 압하위치를 표시한 설명도,
제12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롤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위쪽에만 슬리브식 분할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개념을 표시한 파단정면도,
제14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롤의 편심상태 및 압하위치를 표시한 설명도,
제15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분할롤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16도는 종래의 슬리브식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파단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상분할형 보강롤의 편심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18도는 제16도의 분할형 보강롤의 각각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제19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작업롤의 압연에 의한 써멀크라운의 발생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20도는 종래의 슬리브식 분할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개념을 표시한 정면도,
제21도는 동 분할롤의 편심상태 및 압하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22도는 제21도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41 : 롤축1a,21a,31a,41a : 센터편심축부
1b,21b,31b,41b : 쿼터편심축부1c,21c,31c,41c : 사이드편심축부
2a∼2c,22a∼22c,32a∼32c,43a∼43c : 구름베어링
3a,23a,33a : 센터보강롤3b,23b,33b : 쿼터보강롤
3c,23c,33c : 사이드보강롤10,30,40 : 상분할형 보강롤
44 : 보강롤초크45 : 벤딩실린더
46 : 슬리브식 분할보강롤47 : 작업롤초크
48,61 : 하보강롤50 : 상작업롤
55 : 슬리브56,66 : 베어링박스
57 : 웜휠 58 : 웜
60 : 하작업롤S : 판재
본 발명은, 롤크라운의 변경이 가능한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판의 압연을 행한 경우, 단부신장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단부신장 등이 발생한 경우, 압연롤의 롤크라운의 변경조정을 행하여 대처하고 있다.
롤크라운의 변경이 가능한 압연롤로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4단 압연기의 상 또는 하보강롤에 슬리브식의 분할형 보강롤을 사용한 것이 있다.
이것은, 롤축(51)에 각각 편심방향과 직경이 다른 센터편심축부(51a), 좌우 1쌍의 쿼터편심축부(51b) 및 좌우 1쌍의 사이드편심축부(51c)가 형성되고, 이들의 편심축부(51a)∼(51c)에는 구름베어링(52a)∼(52c)이 각각 끼워장착되어 있고, 이 각각의 구름베어링(52a)∼(52c)의 외륜이 자재하게 회전하는 센터보강롤(53a), 좌우 1쌍의 쿼터보강롤(53b) 및 좌우 1쌍의 사이드보강롤(53c)로 되어 있다. 이들의 축방향으로 분할된 보강롤(53a)∼(53c)에는 원통형상의 슬리브(5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서 상분할형 보강롤(59)이 구성된다.
또, 롤축(51)의 양끝은 베어링박스(56)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 일단부에는 웜휠(57) 및 웜(5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6도중 (50)은 상작업롤, (60)은 하작업롤, (61)은 일체형의 하보강롤, (66)은 베어링박스이다.
제17도는 상분할형 보강롤(59)의 편심상태를 표시한 설명도이고, 각각의 보강롤(53a)∼(53c)의 축심 0a-0c는 롤축(51)의 축심 0로부터 편심하고 있고, 사이드보강롤(53c)은 센터보강롤(53a) 및 쿼터보강롤(53b)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분할형 보강롤(59)을 가진 압연기에 의해서 판재 S를 압연할때에, 베어링박스(56)를 압하함으로써 상작업롤(50)을 이 상분할형 보강롤(59)에 의해서 지지하고, 이 상태로부터 롤축(51)을 웜(58) 및 웜휠(57)에 의해서 적당히 회전운동으로써, 판재 S의 판형상에 따른 롤크라운이 형성된다. 제18도에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의 변화를 나타냈다.
종래의 분할형 보강롤에서는, 그 크라운패턴의 종류가 적고, 또, 롤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크라운패턴의 변화가 크므로, 미세조정이 어렵고, 판재의 압연에 있어서의 그 판형상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었다.
한편, 판재를 압연하면, 이 압연에 의한 발열에 의해서,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작업롤(50),(60)의 판재폭치수 W의 범위가 그 압연에 의해서 발열승온하고, 2점쇄선으로 표시한 써멀크라운이 발생한다.
제20도는 작업롤에 써멀크라운이 발생한 종래의 슬리브식 분할보강롤을 사용한 압연기의 개념을 표시한 정면도, 제21도는 동 분할롤의 편심상태 및 압하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22도는 제21도의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을 표시한 선도이다.
제20도는 소요의 각도에서 회전운동하는 롤축(71)에 회전가능하게 축장착되고, 제2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축심 0a, 0b, 0c가 롤축(21)의 축심 0로부터 편심한 구름베어링(73a)(73b)(73c)과, 이 구름베어링(73a),(73b),(73c)의 외축인 분할롤에 헐겁게 끼워진 원통형상의 슬리브(55)로 이루어진 슬리브식 분할보강롤(80) 및 보강롤초크(75)를 개재해서 작업롤(50)(60)을 압하하는 압연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써멀크라운이 발생한 작업롤(50)(60)을 압하해서 판재 S를 압연하면, 그 판재의 양단부로부터 100mm∼200mm 정도 들어간 개소인 쿼터부 Sa에 소의 쿼터부신장이 발생한다.
이 쿼터부신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20도, 제21도,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하위치가 350°되도록 롤축(71)을 회전운동하고, 슬리브식 분할보강롤(80)에 제22도에 표시한 형상의 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판의 중앙 및 양단부만 강압하하는 방법, 혹은 작업롤(50)(60)에 냉각액을 입혀서 냉각하는 방법에 의해서 써멀크라운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쿼터부신장의 발생방지방법에서는 써멀크라운의 발생방지가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았다.
또, 제22도에 표시한 형상의 크라운패턴은, 특정한 판폭, 즉 쿼터부신장위치에 대해서는 유효하나, 판폭이 변화되고, 쿼터부신장의 위치가 쿼터분할롤위치(73b)로부터 떨어지면, 효과가 없다.
또, 압연속도를 상승시키면, 작업롤(50)(60)의 승온이 커지므로, 압연라인의 고속화가 곤란해지는 등의 각종 불편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의 판형상제어에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분할형 보강롤을 구비한 압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판재의 판형상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분할형 보강롤을 구비한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써멀크라운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신규판재의 압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센터보강롤, 1쌍의 쿼터보강롤 및 1쌍의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보강롤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헐겁게 끼운 압연기의 분할형 보강롤과, 작업롤을 가진 압연기에 있어서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센터보강롤 및 상기 쿼터보강롤의 어느 한쪽의 보강롤 축심과 상기 사이드보강롤의 축심을 상기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센터보강롤 및 쿼터보강롤의 다른쪽의 보강롤의 축심을 상기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보강롤과 상기 한쪽의 롤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를 제공한다.
이들의 각 보강롤은, 예를들면 동일한 외경을 가진 것으로 하거나 혹은 상기 한쪽의 보강롤 및 상기 사이드보강롤의 외경을 상기 다른쪽의 보강롤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성형한 것들 여러가지 형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거해서 센터보강롤, 쿼터보강롤 및 사이드보강롤을 제2도에 표시한 편심상태의 배치로 한 경우, 이 분할보강롤에 있어서는, 롤축을 45°회전운동할때마다, 그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은 제3도와 같이 변화하고, 많은 종류의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의거해서 센터보강롤, 쿼터보강롤 및 사이드보강롤을 제5도에 표시한 편심상태의 배치로 한 경우, 이 분할형 보강롤을 구비한 압연기에 의해서 판재를 압연할 때에, 롤축을 45°회전운동할 때마다, 그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은 평면으로부터 제6도에 표시한 압하위치 III, V, VII, VIII의 크라운패턴으로 큰 패턴에서 원활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판재의 압연중에는, 그 판형상을 검출하면서 롤축을 적당한 각도 회전운동하고, 그 판형상제어에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은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센터보강롤, 1쌍의 쿼터보강롤 및 1쌍의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보강롤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헐겁게 끼운 압연기의 분할형 보강롤과 작업롤을 가진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쌍방의 쿼터보강롤의 축심을 상기 롤축의 축심과 동일하게 해서 형성하고, 상기 센터보강롤의 축심을 상기 롤축 및 상기 쿼터보강롤의 축심으로부터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쌍방의 사이드보강롤의 축심을 상기 롤축(1)의 축심(0)으로부터 상기 롤축 및 상기 쿼터보강롤의 축심과 상기 센터보강롤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를 제공한다.
이들의 각 보강롤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상기 센터보강롤과 상기 쌍방의 쿼터보강롤을 동일한 외경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 쌍방의 사이드보강롤의 외경을 상기 센터보강롤 및 상기 쿼터보강롤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본 발명에 의거해서 센터보강롤, 쿼터보강롤, 및 사이드보강롤을 제8도에 표시한 편심상태의 배치로 한 경우, 이 분할형 보강롤에서는, 롤축을 45°회전운동할때마다, 그 압하위치에 있어서의 크라운패턴은 제9도와 같이 변화하고, 패턴변화가 원활하다.
판재의 압연중에는, 그 판형상을 검출하면서 롤축을 적당한 각도 회전운동하고, 그 판형상제어에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킨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소요의 각도」란 20°∼160°의 범위에서 선택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보강롤의 각 롤초크에 벤딩실린더가 설치되고, 동 벤딩실린더에 의해 상기 작업롤의 롤초크를 눌러서 작업롤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압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벤딩실린더를 채용함으로써 작업롤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해서 판의 쿼터부신장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롤축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분할한 분할편심롤식 보강롤에 의해서 작업롤을 지지하고, 이 보강롤의 크라운패턴을 접시바닥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 형성해서 상하의 작업롤의 한쪽 또는 쌍압을 압하하고, 상기 작업롤에 접시바닥형상 또는 V자형상의 롤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또 보강롤초크에 설치한 각각의 벤딩실린더에 의해 작업롤초크를 눌러서 작업롤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해서 판재를 압연하는 판재의 압연방법을 제공한다.
이 본 발명의 판재압연방법에 의하면, 판재의 압연에 의한 발열승온에 의해서 작업롤에 써멀크라운이 발생하면, 압연되는 판재의 판폭이 넓은 경우는, 작업롤을 지지하는 분할편심롤식 보강롤의 크라운패턴을 접시바닥형상으로 형성해서 작업롤에 접시바닥형상의 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또 이 작업롤에 벤딩실린더에 의해서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함으로써, 작업롤 프로파일을 양단부에 부풀어올라 나옴부를 가진 편팡판 형상으로 한다.
또, 압연되는 판재의 판폭이 좁은 경우는, 작업롤을 지지하는 분할편심롤식 보강롤의 크라운패턴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해서 작업롤에 V자 형상의 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또 이 작업롤에 벤딩실린더에 의해서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함으로써 작업롤 프로파일을 물결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써멀크라운으로 인해서 강하게 압연되기 쉬운 부분을 피하게 함으로써 판재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 이미 설명한 제16도 이하에 표시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1도∼제3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축(1)에 각각 편심방향이 다른 센터편심축부(1a), 좌우 1쌍의 쿼터편심축부(1b) 및 좌우 1쌍의 사이드편심축부(1c)가 형성되고, 이들의 편심축부(1a)∼(1c)에는 구름베어링(2a)∼(2c)이 각각 끼워장착되어 있고, 이 각각의 구름베어링(2a)∼(2c)의 외륜이, 자재하게 회전하는 센터보강롤(3a), 좌우 1쌍의 쿼터보강롤(3b) 및 사이드보강롤(3c)로 되어 있다. 이들의 축방향으로 분할된 보강롤(3a)∼(3c)의 외경은 동일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슬리브(5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서 상분할형 보강롤(10)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센터보강롤 축심 0a와 쌍방의 사이드보강롤 축심 0c를 롤축 축심 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키고, 쌍방의 쿼터보강롤 축심 0b를 롤축 축심 0로부터 센터보강롤 축심 0a와 사이드보강롤 축심 0c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대략 90°방향으로 편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분할형 보강롤(10)을 가진 압연기에 의해서 판재 S를 압연할 때에 베어링박스(56)를 압하함으로써 상작업롤(50)을 이 상분할형 보강롤(10)에 의해서 지지하고, 압연기의 나오는 쪽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판형상검출기에 의해서 판재 S의 판폭방향의 판형상을 검출하면서 롤축(1)을 웜(58) 및 웜휠(57)에 의해서 적당한 각도 회전운동함으로써, 그 판형상에 따른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이 크라운패턴은, 롤축(1)의 회전운동각도에 따라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화하고, 가장 많은 종류의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롤축(1)을 편심시키지 않고, 각각의 구름베어링(2a)∼(2c)과 롤축(1)과의 사이에 편심부시를 각각 개장해도 된다.
이 제1실시예에 의한 압연기에 있어서의 분할형 보강롤에서는,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각각의 보강롤을 동일직경으로 하고, 센터보강롤과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키고, 쿼터보강롤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방향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켰으므로, 많은 종류의 크라운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판재의 판형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요의 각도로서는 20°∼160°의 범위에서 선택해도 된다.
이하, 제4도∼제6도에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압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축(21)에 각각 편심방향과 직경이 다른, 센터편심축부(21a), 좌우 1쌍의 쿼터편심축부(21b) 및 좌우 1쌍의 사이드편심축부(21c)가 형성되고, 이들의 편심축부(21a)∼(21c)에는 구름베어링(22a)∼(22c)이 각각 끼워장착되어 있고, 이 각각의 구름베어링(22a)∼(22c)의 외륜이 자재하게 회전하는 센터보강롤(23a), 쿼터보강롤(23b) 및 사이드보강롤(23c)로 되어 있다.
이 쿼터보강롤(23b)의 외경과, 사이드보강롤(23c)의 외경은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센터보강롤(23a)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방향으로 분할된 각각의 보강롤(23a)∼(23c)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슬리브(5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서 상분할형 보강롤(30)이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쿼터보강롤 축심 0a와 사이드보강을 축심 0c는 롤축 축심 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키고, 또 센터보강롤 축심 0a를 롤축 축심 0로부터 쿼터보강롤 축심 0b와 사이드보강롤 축심 0c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대략 90°방향으로 편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분할형 보강롤(30)을 구비한 압연기에 의해서 판재 S를 압연할 때에 베어링박스(56)를 압하함으로써 상작업롤(50)을 이 상분할형 보강롤(30)에 의해서 지지하고, 압연기의 나오는 쪽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는 판형상검출기에 의해서 판재 S의 판형상을 검출하면서 롤축(21)을 웜(58) 및 웜휠(57)에 의해서 적당한 각도 회전운동함으로써, 그 판형상에 따른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이 크라운패턴은, 롤축(21)의 회전운동각도에 따라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압하위치 III, V, VII, VIII의 크라운패턴으로 큰 패턴에 의해서 원활하게 변화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연기의 분할형 보강롤은, 쿼터보강롤 및 사이드보강롤을 센터보강롤 보다도 소직경으로 해서 그 축심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키고, 또 센터보강롤의 축심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방향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켰으므로, 그 크라운패턴을 평면으로부터 제6도의 압하위치 III, V, VII, VIII의 크라운패턴으로, 큰 패턴에 의해서 보다 원활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판재의 판형상의 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그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각 보강롤(23a)(23b) 및 (23c)의 외경을 모두 동등하게 해도 동등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7도∼제9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롤축(41)에 끼워장착된 구름베어링(32a)∼(32c)의 외륜인 센터보강롤(33a) 및 쿼터보강롤(33b)의 외경은 동일직경으로 되어있고, 사이드보강롤(33c)은 센터보강롤(33a) 및 쿼터보강롤(33b)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쌍방의 쿼터보강롤 축심 0b는 롤축 축심 0와 동일하게 되어 있고, 센터보강롤 축심 0a와 사이드보강롤 축심 0c는 롤축 중심 0 및 쿼터보강롤 축심 0b로부터 서로 대략 90°의 반대방향으로 편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분할형 보강롤(40)에 의해서 상작업롤(50)을 지지하고, 판재 S의 판형상을 검출하면서 롤축(41)을 적당한 각도 회전운동함으로써, 그 판형상에 따른 가장 적합한 크라운패턴을 형성한다.
이 크라운패턴은, 롤축(41)의 회전운동각도에 따라서,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화하고, 평면으로부터 그밖의 각종 패턴으로의 변화가 원활하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한 압연기에 있어서의 분할형 보강롤에서는, 사이드보강롤을 센터보강롤 및 쿼터보강롤보다도 소직경으로 하고, 쿼터보강롤을 롤축과 동심으로 하고, 센터보강롤과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소요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편심시켰으므로, 그 크라운패턴을 평면으로부터 그밖의 각종 패턴으로 원활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양호한 판형상의 판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보강롤의 외경을 동일하게 해도 상기 실시예와 동등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10도∼제12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41)은 복수개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슬리브식 분할보강롤(46)의 롤축이며, 각각의 축심 0a, 0b, 0c가, 이 롤축(41)의 축심 0으로부터 각각 편심한 센터편심부(41a), 쿼터편심부(41b), 사이드편심부(41c)가 설치되고, 그 양끝은 보강롤초크(44)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이 각각의 편심부(41a)(41b)(41c)에는 구름베어링(43a)(43b)(43c)을 개재해서 원통형상의 슬리브(55)가 회전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고, 이들의 구름베어링(43a)(43b)(43c)의 외륜이 분할롤이 되고 있다.
각각의 보강롤초크(44)에는, 각각 벤딩실린더(45)가 심어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서 슬리브식 분할보강롤(46)이 구성되어 있다.
(50)(60)은 압연에 의한 발열승온에 의해서 써멀크라운이 발생한 작업롤, (47)은 이 작업롤(50)(60)을 지지하는 작업롤초크, S는 압연되는 판재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이 판재 S는 광폭재인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판재압연방법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판재 S의 압연에 의해서, 작업롤(50)(60)이 승온해서 이 작업롤(50)(60)에 써멀크라운이 발생하면,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롤축(41)을 0°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운동하고, 분할편심롤식 보강롤(46)의 크라운패턴을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해서 상·하의 작업롤(50)(60)을 압하하고, 이 작업롤(50)(60)에 접시바닥형상의 크라운패턴을 부여한다.
또, 각 보강롤초크(44)에 심어 설치한 각각의 벤딩실린더(45)에 의해서, 상하의 작업롤초크(47)를 눌러서 상·하의 작업롤(50)(60)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하고, 판재 S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한다.
다음에 제13도∼제15도에 표시한 제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슬리브식 분할보강롤(46)을 위쪽의 보강롤로서 사용한 것이며, 압연되는 판재 S는 일례로서 협폭의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아래쪽의 보강롤(48)은 통상의 보강롤을 사용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작업롤(50)(60)에 써멀크라운이 발생하면, 롤축(41)을 0°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운동하고, 작업롤(41)을 지지하는 분할편심롤식 보강롤(46)의 크라운패턴을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V자형상으로 형성해서 이 보강롤(46)에 의해 위쪽의 작업롤(50)을 압하하고, 이 위쪽의 작업롤(50)에 V자형상의 크라운패턴을 부여한다.
그리고,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의 작업롤(50)(60)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한다.
이 결과 제4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협폭의 판재 S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식 보강롤(46)을 아래쪽의 보강롤로서만 사용해도 그 작용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압연방법은 상기한 제4, 제5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작업롤을 중간롤을 개재해서 복수의 분할보강롤에 의해서 지지하는 다단 클러스터압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예를들면 쌍방의 쿼터보강롤 및 사이드보강롤의 외경을 센터보강롤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성형하고, 쌍방의 쿼터보강롤의 축심과 쌍방의 사이드보강롤의 축심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켜서 설치하고, 센터보강롤의 축심을 롤축의 축심으로부터, 쿼터보강롤의 축심과 사이드보강롤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슬리브식 분할보강롤을 사용해도 그 작용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의 압연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본 발명 기술사상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판재의 압연방법에 의하면, 판재의 압연시 발연승온에 의해 작업롤에 써멀크라운이 발생하면 분할편심롤식 보강롤의 크라운패턴을 접시바닥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 형성해서 작업롤에 동 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또 작업롤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함으로써, 판재의 쿼터부신장을 방지하고, 평탄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작업롤의 승온에 의한 써멀크라운이 발생해도, 상기한 바와 같이, 판재의 판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압연라인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제5실시예에서는, 축방향으로 5분할된 보강롤을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축방향으로 6분할 또는 7분할된 보강롤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6분할에서는 중앙의 2개를 센터보강롤로 한다. 또 7분할에서는 중앙의 1개를 센터보강롤로 하고, 그 양옆의 각 2개(합 4개)를 쿼터보강롤로 한다.
따라서, 이 경우의 크라운패턴은 상기 각 실시예의 것과 각각 대략 동일하게 된다.

Claims (6)

  1.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센터보강롤, 1쌍의 쿼터보강롤 및 1쌍의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보강롤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헐겁게 끼운 압연기의 분할형 보강롤과, 작업롤을 가진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강롤(3a,23a) 및 상기 쿼터보강롤(3b,23b)의 어느 한쪽의 보강롤의 축심(0a 또는 0b)과 상기 사이드보강롤(3c,23c)의 축심(0c)을 상기 롤축(1,21)의 축심(0)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센터보강롤(3a,23a) 및 상기 쿼터보강롤(3b,23b)의 다른쪽의 보강롤의 축심(0b 또는 0a)을 상기 롤축(1,21)의 축심(0)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보강롤(3c,23c)과 상기 한쪽의 롤의 축심(0a 또는 0c)을 연결하는 선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보강롤의 각 롤초크에 벤딩실린더(45)가 설치되고, 동 벤딩실린더(45)에 의해, 상기 작업롤(50,60)의 롤초크(47)를 눌러서 작업롤(50,60)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 롤축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할한 분할편심롤식 보강롤(46)에 의해서 작업롤(50,60)을 지지하고, 이 보강롤(46)의 크라운패턴을 접시바닥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 형성해서 상하의 작업롤(50,60)의 한쪽 또는 쌍방을 압하하고, 상기 작업롤(50,60)에 접시바닥형상 또는 V자형상의 롤크라운패턴을 부여하고, 또 보강롤초크(44)에 설치한 각각의 벤딩실린더(45)에 의해 작업롤초크(47)를 눌러서 작업롤(50,60)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해서 판재를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3. 롤축방향으로 분할한 센터보강롤, 1쌍의 쿼터보강롤 및 1쌍의 사이드보강롤을 롤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보강롤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헐겁게 끼운 압연기의 분할형 보강롤과 작업롤을 가진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쌍방의 쿼터보강롤(33b)의 축심(0a)을 상기 롤축(41)의 축심(0)과 동일하게 해서 설치하고, 상기 센터보강롤(33a)의 축심(0b)을 상기 롤축(41) 및 상기 쿼터보강롤(33b)의 축심(0,0b)으로부터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쌍방의 사이드보강롤(33c)의 축심(0c)을 상기 롤축(41)의 축심(0)으로부터 상기 롤축(41) 및 상기 쿼터보강롤(33b)의 축심(0b)과 상기 센터보강롤(33a)의 축심(0a)을 연결하는 선과 소요의 각도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형성하고, 상기 보강롤의 각 롤초크에 벤딩실린더(45)가 설치되고, 동 벤딩실린더(45)에 의해, 상기 작업롤(50,60)의 롤초크(47)를 눌러서 작업롤(50,60)에 디크리즈벤딩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롤(3a,23a : 3b,23b : 3c,23c)의 외경을 동일하게 성형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보강롤 및 상기 사이드보강롤(3c,23c)의 외경을 상기 다른쪽의 보강롤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강롤(33a)과 상기 쌍방의 쿼터보강롤(33b)을 동일한 외경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 쌍방의 사이드보강롤(33c)의 외경을 상기 센터보강롤(33a) 및 상기 쿼터보강롤(33b)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KR1019930014119A 1992-07-24 1993-07-24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KR970008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97931A JP2977379B2 (ja) 1992-07-24 1992-07-24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JP92-197931 1992-07-24
JP92-235147 1992-08-12
JP92-235146 1992-08-12
JP4235147A JP2984477B2 (ja) 1992-08-12 1992-08-12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JP4235146A JP2971261B2 (ja) 1992-08-12 1992-08-12 板材の圧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330A KR940005330A (ko) 1994-03-21
KR970008030B1 true KR970008030B1 (ko) 1997-05-20

Family

ID=2732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119A KR970008030B1 (ko) 1992-07-24 1993-07-24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70008030B1 (ko)
TW (1) TW31576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330A (ko) 1994-03-21
TW315762U (en) 199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030B1 (ko) 압연기 및 판재의 압연방법
JP3848945B2 (ja) 可変幅ロール成形装置
EP0584642B1 (en) Rolling mill
JP4778596B2 (ja) 平坦度を制御するためのロール
US6286355B1 (en) Rolling mill with working rollers and multipart support rollers
JPS617003A (ja) 圧延機
JP2971261B2 (ja) 板材の圧延方法
JPS62176604A (ja) ロ−ル幅調整装置
JP2587511B2 (ja)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JP2984504B2 (ja)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JP2977379B2 (ja)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FI119194B (fi) Paperi-/kartonki- tai jälkikäsittelykoneen taipumakompensoidun telan nivellaakerointi
JPS6235842B2 (ko)
JP3099575B2 (ja) 多段クラスター圧延機
JPH0133243B2 (ko)
JPH03248704A (ja) クラウン調整ロールとそれを備えた圧延機
JPH0756081Y2 (ja) 圧延スタンド
RU2108884C1 (ru) Клеть профилегибочного стана
JPS61232007A (ja) 多段圧延機
JPS61119307A (ja) 多段圧延機
JPS63154204A (ja) H形及び類似形材のエツジング圧延装置
JPH09271809A (ja) 分割バックアップロール式圧延機
JP2984477B2 (ja) 圧延機の分割型補強ロール
KR20020052755A (ko) 캠버를 제어하는 후판 마무리 압연기 및 그 압연기를이용한 캠버 제어방법
SU1405918A1 (ru) Рабоча клеть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