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016B1 -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016B1
KR970008016B1 KR1019930026729A KR930026729A KR970008016B1 KR 970008016 B1 KR970008016 B1 KR 970008016B1 KR 1019930026729 A KR1019930026729 A KR 1019930026729A KR 930026729 A KR930026729 A KR 930026729A KR 970008016 B1 KR970008016 B1 KR 97000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rackball mouse
main body
wir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081A (ko
Inventor
홍승석
김재면
현상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016B1/ko
Priority to JP6304042A priority patent/JPH07200166A/ja
Priority to DE4443599A priority patent/DE4443599A1/de
Priority to CN94119845A priority patent/CN1047449C/zh
Priority to US08/350,671 priority patent/US6091404A/en
Publication of KR95002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제1도는 종래 트랙볼을 설명하기 위한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노트북 컴퓨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 노트북 컴퓨터를 폈을시에 트랙볼과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트랙볼과 본체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 유/무선 트랙볼의 시스템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트랙볼 마우스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9도는 제7도의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트랙볼 마우스,B : 본체,
300 :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1 : 충전수단,
302 : 제1전원제어수단,303 : 제1콘트롤러,
304 : 제1유/무선 검출수단,305 : 제1커넥터,
306 : 무선수신수단,307 : 화면제어수단,
401 : 충전전압 공급수단,402 : 제2전원제어수단,
403 : 제2콘트롤러404 : 제2유/무선 검출수단,
405 : 제2커넥터, 406 : 무선송신수단.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또는 일반 컴퓨터에서의 본체와 분리 가능한 트랙볼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 사용시에 트랙볼 마우스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일정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 또는 일반 컴퓨터에서의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지원하는 마우스와 본체에 내장되는 트랙볼이 있다.
상기 외부에서 지원하는 마우스는 컴퓨터의 본체와 유선으로 착탈 가능케 연결되어 X, Y축상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게 되고, 트랙볼은 컴퓨터의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랙볼을 X, Y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X, Y축상으로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 트랙볼 내장형 휴대용 컴퓨터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화면상에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와, 각종 데이타를 입력하는 키보드 어셈블리(201)와, 톱커버(202)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트랙볼(204)과, 상기 톱커버(202)와 결합되는 보톰(Bottom) 커버(20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트랙볼 내장형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도통한 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액정화면상에 화면을 띄운 후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키보드 어셈블리(201)의 키를 누르게 되면 화면상의 커서가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트랙볼(204)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톱커버(202)상에 설치된 트랙볼(204)을 돌리게 되면 화면상의 커서가 X, Y축상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는 트랙볼이 컴퓨터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본체와 다소 떨어진 거리에서 트랙볼만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외부에서 지원하는 마우스에 있어서도 본체와 유선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거리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 사용시에 본체가 놓이는 공간이 한정된 곳에서는 트랙볼 마우스를 본체에 결합하여 유선으로 사용하고, 공간이 충분한 곳에서는 트랙볼 마우스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일정거리내에서 간펀하게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 유무를 검출하여 접속시에는 유선으로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전송하고 무접속시에는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광신호로써 송출하는 트랙볼 마우스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내장되어 트랙볼 마우스와의 접속 유무를 검출하여 접속시에는 유선으로 전송된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무선시에는 송출된 커서 이동위치에 대한 광신호를 데이타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노트북 컴퓨터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노트북 컴퓨터를 떴을시에 트랙볼과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상의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와 각종 데이타를 입력하는 키보드 어셈블리(101)와 톱커버(105) 및 이와 결합되는 보톰커버(104)로 이루어진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A)에 있어서, 상기 본체(A)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검출하여 결합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고 분리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무선으로써 송출하는 트랙볼 마우스(102)와, 상기 본체(B)에 내장되어 상기 트랙볼 마우스(102)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검출하여 결합시에는 유선으로 전송된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데이타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에 표시하고 분리시에는 송출된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에 대한 무선신호를 데이타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에 표시하는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트랙볼 마우스(102)는 첨부된 도면 제8도에서와 같이, 볼의 움직임에 따라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검출하는 다수의 발광소자(D1) (D2), 저항(R1) 및 수광소자(PT1) (PT2)로 된 위치검출수단(408)과, 상기 트랙볼 마우스(102)의 메인보드에 고정 돌출되어 트랙볼 마우스(102)와 본체(B)와의 분리 및 결합되고 트랙볼 마우스(102)의 이동위치신호를 본체(B)로 전달 및 차단하는 착탈수단으로서의 제2커넥터(405)와, 상기 본체(B)로부터 트랙볼 마우스(102)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유/무선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5) (R6)으로 된 제2유/무선 검출수단(404)과, 상기 제2유/무선 검출수단(404)에서 얻어진 유/무선 절환신호 및 위치검출수단(408)에서 얻어진 X, Y축상의 커서 이동위치신호에 따라 트랙볼 마우스(102)의 전체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제2콘트롤러(403)와, 상기 위치검출수단(408)의 커서 이동위치신호에 대한 데이타를 제2콘트롤러(403)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트랜지스터(TR2), 저항(R4) 및 발광소자(D3)로 된 무선송신수단(406)과, 상기 제2유/무선 검출수단(404)의 유/무선 절환신호 검출에 따른 제2콘트롤러(40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송신수단(40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저항(R2) (R3) 및 트랜지스터(TR1)로 된 제2전원제어수단(402)과, 상기 본체(B)와의 결합시에는 전압을 충전하고 분리시에는 충전된 전압을 트랙볼 마우스(102)의 전체 시스템에 공급하는 밧데리(401a) 및 다이오드(D4)로 된 충전전압 공급수단(401)과, 상기 제2콘트롤러(403)에 접속되어 위치검출수단(408)에서 검출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취소 또는 커서가 위치한 곳을 선택하는 제1 지 제 3 스위치(S1 내지 S3)를 갖는 스위칭수단(407)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체(B)에 내장된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B) 내에 설치된 메인보드(111)에 고정 돌출되어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2커넥터(405)와의 결합 및 분리되어 유선의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를 입력받는 착탈수단으로서의 제1커넥터(405)와, 상기 제1커넥터(305)와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2커넥터(405)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유/무선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12) (R13)으로 된 제1유/무선 검출수단(304)과, 상기 트랙볼 마우스(102)의 무선송신수단(406)에서 송출된 커서 이동위치신호에 대한 무선신호를 보톰커버(104)에 형성된 윈도우(110)를 통해 입사받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수신수단(306)과, 상기 제1유/무선 검출수단(304)에서 얻어진 유/무선 절환신호에 따라 유/무선을 판단하여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전체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고 제1커넥터(305) 및 무선수신수단(306)을 통해 입력되는 유/무선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데이타와 클럭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1콘트롤러(303)와, 상기 제1콘트롤러(303)의 유/무선 판단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수신수단(306)에 동작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TR4)로 된 제1전원제어수단(302)과, 상기 트랙볼 마우스(102)와의 결합시 제1, 제2커넥터(305) (405)를 통해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압이 충만될때까지 본체(B)에서 공급된 전압을 제1, 제2커넥터(305) (405)를 통해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에 충전을 하는 충전수단(301)과, 상기 제1콘트롤러(303)에서 분리되어 출력된 데이타를 연산처리하고 입력 클럭에 동기시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액정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X, Y축상으로 이동을 시키는 화면제어수단(307)으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착탈수단의 제1, 제2커넥터(305) (405)는 그라운드와 접지되는 제1, 제2접지단자(GND1) (GND2)와 충전단자(CHA), 커서이동위치 데이타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랙단자(TRA) 및 화면제어수단(307), 제1, 제2콘트롤러(303) (403)의 상태를 인터페이스하는 상태단자(STA)로 상호 대향으로 이루어져 결합 및 분리된다.
또한 상기에서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충전수단(301)은 상기 제1 커넥터(305)의 제1접지단자(GND1)에 접속되어 전원단자(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저항(R7) (R8) (R9) 및 제너다이오드(ZD1)로 된 정전압부(301a)와, 상기 정전압부(31a)에서 입력되는 일정전압과 제1커넥터(305)의 충전단자(CHA)를 통해 입력되는 트랙볼 마우스(102)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301b)와, 상기 비교기(301b)의 출력신호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제1커넥터(305)의 충전단자(CHA)를 통해 트랙볼 마우스(102)의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에 충전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트랜지스터(TR3), 저항(R10) (R11) 및 다이오드(D5)로 된 전원공급제어부(301c)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300a는 마우스 수신테이타 처리수단(300)의 제1콘트롤러(303)를 리세트시키는 제1리세트부이고, 300 b는 제1발진부이며, 또한 102c는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2콘트롤러(403)를 리세트시키는 제2리세트부이고, 102d는 제2발진부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트랙볼 마우스(102)는 본체(B)에서 무선으로 사용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에 쥘 수 있도록 내부에 손잡이(102a)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는 트랙볼 마우스(102)의 케이스(102b)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B)의 적소에는 트랙볼 마우스(102)를 유선으로 사용시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B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제2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트랙볼 마우스(102)를 본체(B)에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즉, 본체(B)의 수납홈(B1)에 수납하여 유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트랙볼 마우스(102)의 내부 메인보드에 고정된 착탈수단으로서의 제2커넥터(405)를 본체(B)의 메인보드(111)에 고정된 제1커넥터(305)에 끼우게 되면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상태단자(STA), 제1, 제2전지단자(GND1) (GND2), 충전단자(CHA) 및 트랙단자(TRA)끼리 상호 접속되는데, 이때 상기 제1커넥터(405)의 제2접지단자(GND2)는 본체(B)의 샤시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제1, 제2접지단자(GND1) (GND2)가 공통으로 샤시에 접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본체(B)에 내장된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충전수단(301)이 전류루프가 형성되므로 그 충전수단(301)이 동작을 하여 트랙볼 마우스(102)의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에 구비된 밧데리(301a)의 충전 전압 유무에 따라 전압을 충전 및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의 충전수단(301)은 본체(B)에서 공급되어 전원단자(Vcc)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정전압부(301a)의 저항(R7) (R8) (R9)과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비교기(301b)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Vcc)의 전압은 충전수단(301)에 구성된 전원 공급제어부(301c)의 저항(R11)과 다이오드(D5)를 통해 비교기(301b)의 반전단자(-)애 입력됨과 아울러 제1커넥터(305)의 충전단자(CHA)와 제2커넥터(405)의 충전단자(CHA) 및 트랙볼 마우스(102)에 구성된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의 다이오드(D4)를 순차 통해 밧데리(401a)에 충전된다.
상기 밧데리(401a)에 전압이 지속적으로 충전됨에 따라 제1커넥터(305)의 충전단자(CHA)의 전압은 점점 높아지고 그 전압이 충전 수단(301)의 비교기(301b)의 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밧데리(401a)가 충전중일 때에는 비교기(301b)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정전압부(301a)로부터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보다 낮으므로 비교기(301b)는 그의 출력단자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전원공급제어부(301c)의 트랜지스터(TR3)를 도통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1c)의 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되면 전원단자(Vcc)의 많은 전류가 그 트랜지스터(TR3), 저항(R10), 다이오드(D5),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충전단자(CHA),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의 다이오드(D4)를 통해 급속하게 밧데리(401a)에 충전이 되고, 상기 밧데리(401a)에 전류가 점진적으로 충전되어 비교기(301b)의 반전단자(-)의 전압이 비반전단자(+)의 전압보다 높거나 같다지면 비교기(301b)의 출력은 저전위가 되어 전원공급제어부(301c)의 트랜지스터(TR3)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가 차단되면 전원단자(Vcc)의 전류가 저항(R11) 및 다이오드(D5)를 통해 적은 전류로써, 밧데리(401a)에 충전이 된다.
상기에서 전원공급제어부(301c)의 저항(R10)과 저항(R11)의 관계는 R10<R11이다.
한편, 상기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결합시에 전원단자(Vcc)의 전압은 제 1 유/무선 검출수단(304)의 저항(R12)과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제1, 제2접지단자(GND1) (GND2)를 통해 샤시로 바이패스됨으로써, 제1콘트롤러(303)의 입력단자(P2)에는 저전위(즉, "0")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1콘트롤러(303)는 제1유/무선검출수단(304)으로부터 입력된 저전위를 가지고 유선으로 판단, 즉 제1, 제2커넥터(305) (405)가 결합되었음을 판단하여 그의 출력단자(P5)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제1전원제어수단(302)의 저항(R14)를 통해 트랜지스터(TR4)를 차단(off)시킴과 아울러 제1커넥터(305)의 트랙단자(TRA)를 스캔하여 트랙볼 마우스(102)로부터의 커서 이동위치신호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상기에서 제1전원제어수단(302)의 트랜지스터(TR2)가 차단되면 무선수신수단(306)에 공급되는 전원단자(Vcc)의 동작전압이 차단됨으로써, 전력의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트랙볼 마우스(102)에서는 충전수단(301)의 전원공급제어부(301c)에서 공급된 전압이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충전단자(CHA) 및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2 유/무선 검출수단(404)의 저항(R5)을 통해 제2콘트롤러(403)의 입력포트(P12)로 고전위(즉 "1")로써, 입력되므로써, 그 제2콘트롤러(403)도 본체(B)와 트랙볼 마우스(102)와의 상태를 유선접속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유선으로 판단한 제2콘트롤러(403)는 그의 출력포트(P9)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제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제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가 차단되면 무선송신수단(406)의 트랜지스터(TR2)가 차단되고, 그 트랜지스터(TR2)가 차단되면 발광소자(D3)가 발광하지 못하여 전력의 소모가 줄어들게 되며, 아울러 위치검출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는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의 다이오드(D4)를 통한 전류에 의해 도통되어 광신호를 주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트랙볼 마우스(1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액정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X, Y좌표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볼(Ball)을 움직이게 되면 그 볼의 움직임에 따라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상기 위치검출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에서 주사된 광신호가 수광소자(PT1) (PT2)로 통과 또는 차단된다.
즉, 상기 위치감지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에서 주사된 빛이 볼의 움직인 거리에 비례하여 펄스 형태로 수광소자(PT1) (PT2)를 통해 X, Y로 제2콘트롤러(405)의 입력포트(P1 내지 P4)로 입력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스위칭수단(407)의 제1 내지 제3스위치(S1 내지 S3)가 도통 및 차단되고 커서의 취소 또는 선택신호가 제2콘트롤러(403)의 입력포트(P6 내지 P8)로 입력된다.
상기 제2콘트롤러(403)는 볼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검출수단(408)에서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데이타화하여 그의 출력포트(P1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콘트롤러(403)의 출력포트(P10)에서 출력된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는 제 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가 차단된 관계로 인하여 무선송신수단(406)으로 입력되지 못하고 제2커넥터(405)의 트랙단자(TRA) 및 이와 접속된 제1커넥터(305)의 트랙단자(TRA)를 통해 유선으로 본체(B)에 내장된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제1콘트롤러(303)의 입력포트(P6)로 입력된다.
상기 제1콘트롤러(303)는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타와 클럭으로 분리한 후 이를 데이타 및 클럭단자(DATA) (CLOCK)를 통해 화면제어수단(307)으로 입력하고 아울러 제1, 제2콘트롤러(303) (403)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상태단자(STA)를 통해 화면제어수단(307)으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화면제어수단(307)은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를 클럭에 동기시켜 연산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액정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X, Y축상으로 이동을 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트랙볼 마우스(102)를 본체(B)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수납홈(B1)으로부터 분리하여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때에는 트랙볼 마우스(102)가 작아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트랙볼 마우스(102)의 손잡이(102a)를 잡아 당기게 되면 그 손잡이 (102a)가 트랙볼 마우스(102)의 케이스(102b)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트랙볼 마우스(102)가 본체(B)의 수납홈(B1)으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본체(B)의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제1커넥터(305)로부터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 2커넥터(405)가 이탈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제1접지단자(GND1)는 본체(B)의 샤시와의 접지상태가 차단되어 충전수단(301)의 동작이 중지되고, 아울러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전원단자(Vcc)에서 공급된 전압이 제1유/무선 검출수단(304)의 저항(R12) 및 제1커넥터(305)의 제1접지단자(GND1)를 통해 샤시로의 접지상태가 차단됨으로써, 제1콘트롤러(303)의 입력포트(P2)에는 고전위(즉, "1")가 입력된다.
상기 제1콘트롤러(303)는 제1유/무선 검출수단(303)의 저항(R12)를 통해 입력되는 고전위를 가지고 무선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무선으로 판단되면 상기한 제1콘트롤러(303)는 그의 출력포트(P5)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제1전원제어수단(302)의 트랜지스터(TR4)를 도통시켜 무선수신수단(306)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그 무선수신수단(306)으로부터의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스캔하게 된다.
또한, 트랙볼 마우스(102)에서는 충전수단(301)의 전원공급제어부(301a)에서 공급된 전압이 제1, 제2커넥터(305) (405)의 충전단자(CHA) 이탈로 인하여 트랙볼 마우스(102)의 제2유/무선 검출수단(404)의 저항(R5)을 통해 제2콘트롤러(403)의 입력포트(P12)로 입력되는 전위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변환되어 입력되므로써, 그 제2콘트롤러(403)도 본체(B)와 트랙볼 마우스(102)와의 상태를 무선접속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무선으로 판단한 제2콘트롤러(403)는 그의 출력포트(P9)로 고전위를 출력하여 제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를 도통시키게 된다.
상기 제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 무선송신수단(406)의 트랜지스터(TR2)가 도통되고, 그 트랜지스터(TR2)가 도통되면 발광소자(D3)가 발광하게 되는데, 이때 위치검출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는 충전전압 급수단(401)의 밧데리(401a)에서 공급된 충전전압에 의해 도통되어 광신호를 주사하게 된다.
상기 충전전압 공급수단(401)의 다이오드(D4)는 무선으로 사용시 밧데리(401a)의 전압이 제2유/무선 검출수단(404)의 저항(R5)를 통해 제2콘트롤러(403)의 입력포트(P12)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이다.
이때, 사용자가 트랙볼 마우스(1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액정 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X, Y좌표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볼을 움직이게 되면 그 볼의 움직임에 따라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상기 위치검출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에서 주사된 광신호가 수광소자(PT1) (PT2)로 통과 또는 차단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408)의 발광소자(D1) (D2)에서 주사된 빛이 볼의 움직인 거리에 비례하여 펄스 형태로 수광소자(PT1) (PT2)를 통해 X, Y로 제2콘트롤러(405)의 입력포트(P1 내지 P4)로 입력된다.
상기 제2콘트롤러(403)는 볼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검출수단(408)에서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데이타화하여 그의 출력포트(P1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콘트롤러(403)의 출력포트(P10)에서 출력된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는 제 2전원제어수단(402)의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된 관계로 인하여 무선송신수단(406)의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발광소자(D3)를 도통 및 차단하게 됨으로써, 무선송신수단(406)의 발광소자(D3)는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에 따라 제어되면서 그에 상응한 광신호를 주사하여 본체(B)에 내장된 마우스 수신데이타 처리수단(300)의 윈도우(110)를 통해 무선수신수단(306)에 입사시키게 된다.
상기 무선수신수단(306)은 제1전원제어수단(302)에서 공급된 동작전압에 입사된 커서 이동위치신호에 대한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제1콘트롤러(303)의 입력포트(P6)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1콘트롤러(303)는 무선수신수단(306)으로부터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타와 클럭으로 분리한 후 이를 데이타 및 클럭단자(DATA) (CLOCK)를 통해 화면제어수단(307)으로 입력하고 아울러 제1, 제2콘트롤러(303) (403)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상태단자(STA)를 통해 시스템제어수단(307)으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화면제어수단(307)은 입력된 커서 이동위치 데이타를 클럭에 동기시켜 연산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0)의 액정화면상에 나타나는 커서를 X, Y축상으로 이동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무선수신수단(306)을 본체의 하단 또는 제6도에서와 같이, 본체(B)의 상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 사용시에 외부에서 지원하는 마우스가 필요없이 본체가 놓이는 공간이 한정된 곳에서는 트랙볼 마우스를 본체에 결합하여 유선으로 사용하고 공간이 충분한 곳에서는 트랙볼 마우스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일정거리내에서 간편하게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위치표시를 위한 커서컨트롤수단과, 커서컨트롤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보내기 위한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볼의 움직임에 따라 커서이동위치신호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본체와 분리 및 결합되고 이동위치신호를 본체로 전달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커서 이동위치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트랙볼 마우스와, 상기 트랙볼 마우스와 본체와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유/무선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유/무선 검출수단과, 상기 트랙볼 마우스의 송신수단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유/무선 검출수단에서 얻어진 유/무선 절한신호에 따라 유/무선을 판단하고 착탈수단 및 수신수단을 통해 입력된 커서이동위치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수단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의 유/무선판단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수단 및 수신수단에 동작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트랙볼 마우스가 본체와의 결합시 본체에서 공급된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분리시에는 충전된 전압을 트랙볼 마우스에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전압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수신단과 대향으로 본체에 형성되어 무선신호를 투과시키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착탈수단은 본체의 메인보드에 고정된 제1커넥터와 트랙볼 마우스의 메인보드에 고정된 제2커넥터로 구성되고, 유/무선 검출수단은 상기 제1커넥터의 제1접지단자와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전원단자에 공통접속되어 제1커넥터의 분리 및 결합에 따른 전압의 입력유무로써 유/무선을 검출하는 시스템제어수단의 입력포트인 제1유/무선 검출수단과, 제2커넥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어 제2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충전전압의 입력 유무로 유/무선을 검출하는 시스템제어수단의 입력포트인 제 2유/무선 검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충전수단은 상기 제1커넥터의 제1접지단자에 접속되어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정전압부와, 상기 정전압부에서 입력되는 일정전압과 제1커넥터의 충전단자을 통해 입력되는 트랙볼 마우스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 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트랙볼 마우스의 충전전압 공급수단에 충전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공급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트랙볼 마우스는 본체에서 분리되어 사용시 편리하게 손에 쥘수 있도록 내부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트랙볼 마우스의 케이스내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트랙볼 마우스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시스템제어수단에서 얻어진 전압의 레벨에 따라 스위칭되어 송신수단 및 수신수단을 차단 및 도통시키는 스위칭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충전전압 공급수단은 제2커넥터의 충전단자에서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 충전이 완료되고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 그 밧데리의 충전전압이 유/무선 검출수단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 장치.
KR1019930026729A 1993-12-07 1993-12-07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KR970008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729A KR970008016B1 (ko) 1993-12-07 1993-12-07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JP6304042A JPH07200166A (ja) 1993-12-07 1994-12-07 携帯用コンピュータのトラックボール
DE4443599A DE4443599A1 (de) 1993-12-07 1994-12-07 Steuerkugel für einen tragbaren Computer
CN94119845A CN1047449C (zh) 1993-12-07 1994-12-07 计算机用有线/无线跟踪球鼠标装置
US08/350,671 US6091404A (en) 1993-12-07 1994-12-07 Trackball for a portabl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729A KR970008016B1 (ko) 1993-12-07 1993-12-07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81A KR950020081A (ko) 1995-07-24
KR970008016B1 true KR970008016B1 (ko) 1997-05-20

Family

ID=1937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729A KR970008016B1 (ko) 1993-12-07 1993-12-07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91404A (ko)
JP (1) JPH07200166A (ko)
KR (1) KR970008016B1 (ko)
CN (1) CN1047449C (ko)
DE (1) DE444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57B1 (ko) * 1997-04-07 2000-12-1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59264B1 (ko) * 1997-10-02 2000-06-15 윤종용 두 타입의 포인팅 입력부를 갖는 유무선 겸용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US6509890B1 (en) * 1998-03-31 2003-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ni-TrackPoint IV pointing device
WO2000063761A1 (en) * 1999-04-16 2000-10-26 Sungjin C & C, Ltd. (Representative: Lim, Byeong-Jin) Computer having a built-in mouse rack
US6476795B1 (en) * 2000-01-20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Mouse recharging module
EP1197915A1 (en) * 2000-10-13 2002-04-17 Matthew Hercules Robinson computer mouse
US6830394B2 (en) 2001-06-04 2004-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board having a track ball mechanism and a scroll mechanism
US6666568B1 (en) * 2001-06-29 2003-12-23 Carl L. Carrillo Computer light
TW545648U (en) * 2002-03-21 2003-08-01 Paten Wireless Technology Inc Wireless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receiver
US20040145565A1 (en) * 2003-01-13 2004-07-29 Yao-Chia Yang Separable build-in mouse input device
US20040140955A1 (en) * 2003-01-21 2004-07-22 Metz Kristofer Erik Input device for a computer and method of operation
TWI237201B (en) * 2004-02-03 2005-08-01 Benq Corp Signal input apparatus
JP2005346661A (ja) * 2004-06-07 2005-12-15 Kg Mark Co Ltd 情報入力装置
US7280351B2 (en) * 2004-07-30 2007-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oring a structure within an electronic device
CN1321364C (zh) * 2004-10-11 2007-06-13 宇东电浆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指标信号输入装置
US20070097078A1 (en) * 2005-10-27 2007-05-03 A-Four Tech Co., Ltd. Battery-free wireless optical mouse
JP4693888B2 (ja) * 2008-10-20 2011-06-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102246124B (zh) 2008-12-08 2015-01-2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跟踪球模块
US8912911B2 (en) * 2009-10-14 2014-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rst energy storage device
KR101123673B1 (ko) 2012-01-11 2012-03-21 금창연 이온 스케일 부스터
US9400565B2 (en) * 2014-12-29 2016-07-26 Jye Wang Enterprise Co., Ltd. Keyboard with sensing switch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100A (ja) * 1983-11-26 1985-06-20 Toshiba Corp 超音波トランスジユ−サの製造方法
EP0171747A3 (en) * 1984-08-14 1989-02-01 Metaphor Computer Systems Cordless intelligent mouse
JPS6194134A (ja) * 1984-10-13 1986-05-13 Naretsuji:Kk 無線マウス装置
US4939508A (en) * 1988-10-31 1990-07-03 Emtek Health Care Systems, Inc. Point and select device
JPH02210522A (ja) * 1989-02-10 1990-08-21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DE69018623T2 (de) * 1989-12-20 1995-08-10 Icl Systems Ab Rechnersteuerungsmittel und anzeigeeinrichtung mit solchem steuerungsmittel.
US5166668A (en) * 1991-04-10 1992-11-24 Data Stream Corporation Wireless pen-type input device for use with a computer
US5546334A (en) * 1993-03-29 1996-08-13 Acer Incorporated Notebook computer system with a separable track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081A (ko) 1995-07-24
DE4443599A1 (de) 1995-06-22
CN1047449C (zh) 1999-12-15
CN1122029A (zh) 1996-05-08
US6091404A (en) 2000-07-18
JPH07200166A (ja) 199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016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유/무선 트랙볼 마우스장치
JP5123420B2 (ja) コンソールドロア
CA2634347C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US6195589B1 (en) Personal data assistant with remote control capabilities
US5109354A (en) Electronic system pocketbook apparatus
US20050035950A1 (en) Portable input device for computer
JPH02210522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20080108309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5175869A (en) Automatic data transmission system
US6785580B2 (en) Control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GB2369959A (en) Holder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a screen
US200400013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keyboard
KR100277146B1 (ko) 분리식 퍼스널 컴퓨터 카드
KR101228477B1 (ko)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마우스 기능을 갖는 케이스
JP3901018B2 (ja) 光学情報読取装置
CN214098378U (zh) 双模鼠标及其2.4g接收器
CN114442825A (zh) 鼠标装置
KR200144013Y1 (ko) 광센서를 이용한 노트북피씨의 전원제어장치
JPH09198189A (ja) データ入力装置
KR200230692Y1 (ko) 프리젠테이션용 포인터 겸용 무선 화면전환 장치
RU2109332C1 (ru) Модем
KR100525863B1 (ko)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79520Y1 (ko) 충천용무선입력장치를구비한컴퓨터시스템
KR200361804Y1 (ko) 휴대용 컴퓨터
US20210028806A1 (en) Waterproof case suitab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