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836Y1 -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836Y1
KR970006836Y1 KR2019940009125U KR19940009125U KR970006836Y1 KR 970006836 Y1 KR970006836 Y1 KR 970006836Y1 KR 2019940009125 U KR2019940009125 U KR 2019940009125U KR 19940009125 U KR19940009125 U KR 19940009125U KR 970006836 Y1 KR970006836 Y1 KR 970006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wire
fixture
bracket
elastic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837U (ko
Inventor
성기원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9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836Y1/ko
Publication of KR950030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16C1/145Attachment of the end-piece to the flexi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제 1 도는 종래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와이어 케이블과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도의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가 와이어 케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횡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와이어 케이블11 : 케이블
12 : 와이어20 : 와이어케이블 고정구
21 : 브라켓22 : 원형돌기
23, 24 : 탄성후크편30 : 고정물체
31 : 원형구멍33, 34 : 걸림턱
D : 외경d : 내경
본 고안은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을 고정물체에 안정되게 고정 지지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이라 함은 다소 원거리이며, 링크나 벨트, 기어, 축과 같은 공차를 요하고 운동공간을 필요로 하는 공간 사이에 동력전달 장치의 설치가 어렵고, 장소가 협소하며, 각이진 통로에 원만한 동력을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케이블의 구성은 제 1도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형태의 플렉시블한 케이블(11) 내부에 강선의 와이어(12)가 내재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일측단의 인장력을 타측단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이어 케이블(10)은 자유로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반면, 케이블(11) 자체가 플렉시블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와이어 케이블(10)의 정확한 동력전달과 자체적인 유동을 막기위해 와이어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11)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브라켓(21)을 설치하게 되는 바, 이러한 브라켓(21)은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10)의 설치장소인 고정물체(30)에 별도의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스크류(15)등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크류(15)가 체결될 수 있는 별도의 나사구멍을 가공해야 함은 물론, 설상 나사구멍을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협소한 설치공간 예컨대,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은 설치공간에서는 스크류(15)를 체결하는 전동드라이버의 사용이 어려우며 아예 작업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제품설계의 제약조건이 되어 왔다.
또한 와이어(12)가 케이블(11)내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와이어 케이블(10) 전체를 유동시켜 스크류(15)가 풀려 결국에는 와이어 케이블(10)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케이블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와이어 케이블을 안정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강선의 와이어가 내재된 와이어 케이블을 브라켓에 의해 고정물체에 고정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그 중앙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형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원형돌기의 양측에는 이격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방향의 탄성후크편을 형성한 와이어케이블 고정구와, 상기 와이어케이블 고정구가 결합되는 고정 물체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의 원형돌기가 삽입되는 내경의 원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구멍의 외측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의 탄성후크편이 탄성 지지될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한 고정물체로 이루어진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도 내지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깅이를 갖는 강선의 와이어(12)와, 이 와이어(12)가 정확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와이어(12)가 자유로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그 외주를 감싸는 케이블(11)의 일측단에, 와이어 케이블(10)을 고정하는 브라켓(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돌기(22)와, 이 원형돌기(22)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탄성후크편(23, 24)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케이블 고정구(20)를 와이어 케이블(10) 외주연에 삽입 형설한다. 또한 이렇게 형설된 와이어케이블 고정구(20)와 끼움 결합되어 와이어 케이블(1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물체(30)상에는 상기 원형돌기(22)의 외경(D)과 같은 내경(d)을 갖는 원형구멍(31)을 형성하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의 탄성후크편(23, 24)이 이루는 내형에 체결될 수 있는 걸림턱(33, 3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형돌기(22)의 선단부와 이것이 끼워지는 고정물체(30)의 원형구멍(31)의 진입단은 모따기 가공하여 상호 끼워질 때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탄성후크편(23, 24) 내측 선단과 이것과 대응하는 고정물체(30)의 모서리 또한 모따기 가공하여 결합시 서로 슬라이드 용이하게 형성한다.
한편,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에서 횡으로 뻗은 브라켓(21)을 설치장소에 따라 소정각도(θ) 비틀리게 형성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5도와 같이 고정물체(30)에 형성된 원형구멍(31)에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의 브라켓(21)에 형성된 원형돌기(22)를 선두로 하여 진입시키면 두개의 탄성후크편(23, 24)이 고정물체(30)의 경사각(30a)를 타고 저항을 받으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벌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를 계속해서 밀게되면, 탄성후크편(23, 24)이 고정물체(50)에 형성된 걸림턱(33, 34)에 걸리면서 탄성을 잃고 원형으로 복원되어 고정물체(5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는 고정물체(30)의 양측면을 협지하고 있으므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며, 탄성후크편(23, 24)을 벌리지 않는 이상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는 고정물체(30)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적용하게 되면, 와이어에 의한 동력전달 과정에서 발생되는 와이어 케이블의 흔들림에 의한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별도의 공구없이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강선의 와이어(12)가 내재된 와이어 케이블(10)을 브라켓(21)에 의해 고정물체(30)에 고정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의 그 중앙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형돌기(22)를 돌설하고, 상기 원형돌기(22)의 양측에는 이격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방향의 탄성후크편(23, 24)을 형성한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와,
    상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가 결합되는 고정물체(30)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의 원형돌기(22)가 삽입되는 내경(d)의 원형구멍(31)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구멍(31)의 외측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 고정구(20)의 탄성후크편(23, 24)이 탄성 지지될 수 있는 걸림턱(33, 34)을 형성한 고정물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KR2019940009125U 1994-04-28 1994-04-28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KR970006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125U KR970006836Y1 (ko) 1994-04-28 1994-04-28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125U KR970006836Y1 (ko) 1994-04-28 1994-04-28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37U KR950030837U (ko) 1995-11-22
KR970006836Y1 true KR970006836Y1 (ko) 1997-07-08

Family

ID=1938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125U KR970006836Y1 (ko) 1994-04-28 1994-04-28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8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37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3504B2 (ja) スタッド係合装置
US6849803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855884B2 (en) Protection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and a tray including said member
US3954238A (en) Safety clamp
JP4621446B2 (ja) 燃料及びブレーキライン用二部品クリップ
US4294133A (en) Bowden cable retainer and adjuster
US9157564B2 (en)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US20060060725A1 (en) Holding tool for elongated member
US6062516A (en) Cable clip movement restrictor
US6825417B2 (en) Slide and snap cable end fitting
JP5729168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クランプ取付構造
US6254042B1 (en) Wire harness mounting construction
US5362018A (en) Reversible clip for wiring harness
KR970006836Y1 (ko) 와이어 케이블의 취부구조
JPH0913552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結束具
CA1165983A (en) Releasable clamp assembly
KR20040068018A (ko) 버튼식 고정장치
KR200229435Y1 (ko) 커넥터 고정용 밴드케이블
JP2596427Y2 (ja) クランプ
CN210517632U (zh) 用于线束的线束保持装置
US5533419A (en) Cable locator/retainer
KR101898505B1 (ko)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US5397270A (en) Flex shaft cover retention device
KR20022392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회전방지구조
JPH11280726A (ja) 抜け止め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