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018A - 버튼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018A
KR20040068018A KR1020040004401A KR20040004401A KR20040068018A KR 20040068018 A KR20040068018 A KR 20040068018A KR 1020040004401 A KR1020040004401 A KR 1020040004401A KR 20040004401 A KR20040004401 A KR 20040004401A KR 20040068018 A KR20040068018 A KR 2004006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utton
shaft
button type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345B1 (ko
Inventor
찰스이.위플
Original Assignee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6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5Lugged member, rotary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늘고 긴 케이블 등은 물론 덕트분할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버튼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컵형상의 상부와 축 및 체결윙을 구비하되, 상기 컵형상의 상부는 덕트분할부재를 스냅고정시키는 가장자리부와 케이블을 덕트기저부에 고정시키는 묶음끈을 부착하는 끈통로를 갖추며, 상기 축은 컵형상의 상부에서 체결윙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체결윙은 이 장치를 덕트기저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버튼식 고정장치 {Button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부재와, 격리판, 플레이트, 분리벽, 또는 덕트조립체나 다른 지지구조물 내의 작은 덕트를 고정시키는 버튼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케이블고정구는 전기케이블, 와이어, 전선다발, 케이블 등이 고정될 수 있는 부착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계나 자동차 또는 다른 장치 뿐만 아니라 덕트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이 장치나 다른 부품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케이블을 적절하게 지지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이나 와이어가 움직이는 부품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반대의 상황일 때, 이를 적절히 고정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와이어나 케이블이 적절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걸리거나 뒤얽히게 되어서 결국 와이어가 닳거나 절단되게 된다. 와이어나 케이블의 이와 같은 손상은 부품이 고장나게 하여 수리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특정한 구조의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다른 부품을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하도록 배선이 특별한 곳에 위치될 필요가 있으나, 미리 계산하기 어려운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구조물에 배선을 최종적으로 설치한 후에야 케이블이나 배선의 정확하고 이상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배선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위치에 대한융통성을 제공하는 배선장착장치가 요구되었다.
케이블과, 와이어, 파이프, 호스, 전기도선 등과 같은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를 운반하기 위한 플라스틱으로 된 배선덕트 또는 케이블덕트를 사용하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덕트는 U형상의 단면을 갖는 채널과 상부뚜껑을 구비한다. 케이블은 그 유용한 공간을 채운 덕트를 통해 헐겁게 통과된다. 그러므로, 덕트 내의 유용한 제한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와이어를 위한 추가공간을 제공하도록 케이블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케이블고정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기술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고정구는 구조부재에 볼트로 조여져 고정되는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또는 끈(strap)이 뻗을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데, 이 끈은 와이어나 케이블 주위를 둘러싸서 와이어를 구조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단방향성 수단을 제공하여, 전형적으로 케이블은 구조부재가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의 일부가 그 나머지로부터 90°로 진행하는 것이 요구되어지면, 상기 고정구는 다방향으로 고정되지 못하였다. 전형적으로, 케이블의 일부는 케이블의 묶음으로부터 당겨져서 원하는 방향으로 헐렁하게 진행하게 된다.
공간의 제약과 더불어, 예컨대 다른 전압 또는 기능을 가진 회로의 분리와 같은 케이블의 분리도 요구되는 바, 이는 흔히 덕트의 내부를 분리벽으로 나누거나, 큰 덕트 내에 작은 덕트를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종래의 분리벽이나 격리판은 덕트기저부나 커버와 일체로 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장치를 구비한다.
일체로 부착된 격리판의 한 예가 데바르톨로 주니어(DeBartolo, Jr.) 등의 미국 특허 제6,084,180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 이 특허는 도선과, 케이블, 와이어, 동력선, 통화선 등을 둘러싸는 다수의 채널로 된 덕트가 소개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채널로 된 덕트는 베이스를 2개의 채널로 나누는 격리판과 일체로 형성된 내부커버가 있는 가늘고 긴 기저부와, 양쪽 채널을 모두 덮어씌우는 외부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채널로 된 덕트는 채널의 크기나 갯수를 조정할 수 없는 덕트 내에서 미리 형성된 격리판을 갖도록 미리 제조된다.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격리판은 격리판의 위치에 융통성을 제공함으로써 일체로 부착된 격리판보다 더욱 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격리판은 지지구조물에 미리 형성된 홈과 맞물려 지지구조물에 부착된다. 분리가능한 분리벽의 한 예로서 미국 특허 제3,697,667호가 있는데, 이는 채널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챔버를 형성하도록 된 분리바아(bar)가 위치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을 갖춘 채널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챔버는 채널을 제조하는 동안에 미리 형성된 홈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다. 통상, 홈은 덕트의 길이를 따라 진행한다. 챔버의 갯수와, 챔버의 크기 및, 덕트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거나 덕트를 통해 위치를 바꾸거나 덕트를 가로지르는 것과 같이 격리판의 방향을 고려하여 그 융통성이 제한된다. 또한, 격리판이 그 길이를 따라 가늘고 긴 홈과 미끄러지게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가능한 분리벽은 설치하고 분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분리벽의 다른 예로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www.iboco.com/mounting-inserts.htm (IBOCO ZP1 장착삽입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채널 안에 장착되는 작은 채널이 있는데, 이 작은 채널은 3부분으로 된 부착시스템을 이용하여 큰 채널에 장착된다. 상기 ZP1 장착삽입물은 채널에 미리 형성된 가늘고 긴 홈의 전체를 따라 분리벽과 맞물리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없앨 수 있으나, 작은 채널을 장착하기 위해 다수의 커넥터를 부분을 필요로 하며, 2개의 커넥터는 작은 채널과 제 3커넥터를 장착하기 전에 지지구조물에 장착되어야 한다. 다수의 장착부는 복잡하고, 분리벽의 설치시간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분리벽이나 케이블고정용 커넥터가 설치될 때 다른 커넥터가 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지구조물에 확실히 고정되고, 다양한 케이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방향으로 묶을 수 있는 케이블고정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덧붙여, 채널 내에 다수의 챔버를 제공하는 여러 위치에다 분리벽을 장착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고정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설치하는 데에 간편하고 효과적인 케이블고정구와, 분리벽을 설치하고 조합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한 커넥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덕트기저부와 같은 지지구조물에 고정되고 다방향으로 묶을 수 있는 버튼식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는 지지구조물에 케이블을 고정시키도록 끈을 묶거나 덕트의 격리판을 부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는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컵형상의 상부와 축 및 체결윙을 구비한다. 컵형상의 상부는 확장된 가장자리부(rim)를 한정하는 상부면과 이의 맞은편에 있는 바닥면 및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로 뻗은 원통형 측벽을 갖춘다. 가장자리부는 덕트의 격리판을 스냅고정시키며, 측벽은 덕트기저부에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묶음끈을 수용하는 끈통로를 구비한다. 축은 덕트기저부의 개구부내로 삽입되는 컵형상의 상부의 바닥면에 매달려 있다. 체결윙은 컵형상의 상부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있는 축으로부터 뻗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장치와 유사하되, 개구부의 벽과 맞물리는 마찰맞물림면을 갖춘 가늘고 긴 축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 1은 원형 축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사각형 축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체결구멍을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식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체결윙의 족적(footprint)을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식 고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를 구비한 덕트기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덕트기저부와 맞물리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7은 덕트기저부와 분할부재를 맞물리게 하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식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덕트기저부와 여러 구성부재를 맞물리게 하는 도 1에 도시된 버튼식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당해분야에서 알려진 덕트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사각형 축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축의 일부에 마찰맞물림면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적소에 케이블과 와이어를 보유지지하는 다양한 지지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지지구조물의 예로는 비임(beam)과, 파이프, 건축지지물, 자동차 차체부품, 기계패널, 덕트조립체 등을 포함하며, 사용되는 지지구조물의 유형은 용도에 따라 다르게 된다. 여기서는 덕트조립체가 기술되지만, 이와 동등한 것이 다른 지지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는 와이어와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조립체(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덕트조립체(20)는 덕트부(26)와, 이 덕트부(26)에 부착되거나 가장자리부에 걸림고정되는 커버(27)를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덕트조립체(20)의 덕트부(26)는 덕트기저부(21)와 이 덕트기저부(21)에 부착된 한쌍의 측벽(28,29)을 갖추고서 U형상의 채널로 한정된다. 이 덕트기저부(21)는 덕트기저부(21)에 있는 장착구멍을 통과한 나사와 같은 수단에 의해 지지패널이나 건축용 지지구조물에 장착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기저부(21)는 다수의 부착구멍(22)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들은 덕트조립체(20)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1)와 같은 부착물을 장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 경사져 있다. 케이블과, 와이어, 파이프, 호스, 전기도선 등과 같은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는 전기설비의 다양한 부재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덕트조립체를 통과하게 된다.
당해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는 다수의 케이블이나 물품을 묶기 위해 전기산업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케이블 타이(25)는 한끝에 체결용 헤드(25a)와 이 헤드로부터 뻗은 가늘고 긴 끈부(25b)를 구비한다. 이 끈부의 꼬리가 상기 헤드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데, 적당한 체결장치가 물품의 묶음 주위에다 이 케이블 타이를 체결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자면, 케이블을 덕트기저부(21)에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곳에서, 케이블 타이(25)는 버튼식 고정장치(1)와 함께 사용된다.
덧붙여, 예컨대 다른 전압 또는 기능을 갖는 케이블과 같은 가늘고 긴 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조립체의 내부를 다중체널로 분할하는 분할부재(23)가 사용된다. 이러한 분할부재(23)는 당해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플레이트와, 벽, 격리판, 작은 덕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분할부재(23)는 브라켓기저부(19)에 한끝이 부착된 평탄면을 구비하며, 이 브라켓기저부(19)는 분할부재(23)를 덕트기저부(21)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및 케이블과 같은 반송부품은 물론 분할부재(23)를 덕트기저부(21)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제 향상된 고정장치가 제공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고정장치(1)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버튼식 고정장치는 컵형상부(12)와 축(3) 및 체결윙(2)을 갖춘 유리잔 구조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컵형상부(12)는 원통형 측벽(4)과 바닥면(5) 및 이 컵형상부(12)의 내부를 한정하는 개방된 상부끝(13)을 구비한다. 또한, 바닥면(5)은 그 안의 중심에 위치된 개구부(11)를 갖춘다. 이 개구부(11)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덕트기저부(21)에 대해 버튼식 고정장치(1)를 체결하도록 이 장치를 1/4바퀴 회전시키는 드라이버(screwdriver)와 같은 도구를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측벽(4)의 개방된 상부끝(13)은 그 주위에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를 구비하는데, 이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는 가장자리부(8)와 측벽(4) 사이에 립(lip)을 형성하는 측벽의 외부면을 지나 밖으로 뻗어 있으며,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는 다소 안쪽으로 돌출하여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할부재(23)의 스냅고정을 위해 안으로 유도하는 외형을 제공하도록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컵형상부(12)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이 컵형상부(12)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과, 타원형, 직사각형 등으로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측벽(4)은 이를 통하여 뻗은 두쌍의 슬롯(6,7)을 구비하고, 각 쌍의 슬롯(6,7)은 직경의 반대쪽에 있는 슬롯들(6a,6b;7a,7b)을 구비한다. 이들 슬롯(6,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관통하는 케이블 타이나 유사한 고정장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슬롯(6,7)은 한쌍의 케이블 타이가 서로 방해되지 않고서 버튼식 고정장치(1)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슬롯(6,7)은 측벽(4)에서 다양한 곳에 위치될 수 있는 바, 도시된 예에서 슬롯(6)은 컵형상부(12)의 상부끝(13)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한편, 슬롯(7)은 바닥면(5)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6,7)의 쌍들은 90°로 벗어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식 고정장치(1)는 컵형상부(12)에 연결된 양쪽 축(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축(3)은 직각 및 일체로 축(3)에 연결되어 있는 체결윙(2)을 향하여 바닥면(5)에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축(3)의 두께는 덕트기저부(21)에 있는 구멍(22)의 폭보다 다소 작거나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1)를 돌려서 적소에 체결할 때 축(3)이 변형되거나 약화되지 않고서 구멍를 통해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축(3)의 길이는 바람직하기로 버튼식 고정장치(1)가 사용되는 대략 지지구조물의 두께로 되는데, 전형적인 덕트기저부인 경우에 이 축(3)은 약 0.05 내지 0.10인치, 바람직하기로 0.07 내지 0.09인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75 내지 0.08 인치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축(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상기 축(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축이 도 2와 도 10에 도시되 바와 같은 사각형이나, 육각형, 팔각형등과 같은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단체(單體)의 구조로 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8)의 립은 분할부재(23)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분할부재(23)는 분할부재가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에 걸쳐 스냅고정되게 하는 구멍을 갖춘 브라켓기저부(19)를 갖추고 있다. 상기 브라켓기저부(19)는 컵형상부(12)의 측벽(4)에 안착되어, 분할부재(23)를 덕트기저부(21)에 고정시키도록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와 맞물리게 된다. 분할부재(23)의 부라켓기저부(19)는 버튼식 고정장치(1)의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 주위를 덮어씌워서 이 분할부재(23)가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컵형상부(12)의 측벽(4)과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의 크기는 분할부재(23)의 유형과 브라켓기저부(19)에 있는 구멍의 폭 또는 분할부재(23)의 다른 부착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측벽(4)의 외경은 브라켓기저부(19)의 구멍보다 다소 큰 직경에서부터 대략 덕트기저부(21)에 있는 구멍(22)의 크기까지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안으로 유도하는 가장자리부(8)는 이 가장자리부(8)에 걸쳐 분할부재(23)를 스냅고정시킬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되지 않고서, 브라켓기저부(19)의 구멍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다.
버튼식 고정장치(1)의 저면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윙(2)은 달걀형의 족적 또는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되, 이러한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서 직사각형이나 다른 적당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체결윙(2)의 단면형상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기저부(21)의 구멍에 맞춰지도록 충분히작은 폭을 가져야 한다. 더구나, 도 2와 도 10은 축(3)의 양쪽으로 비틀려 경사져 있는 체결윙(2)의 경사진 구조부(110)를 도시하고 있는 바, 축의 양끝으로 뻗어 있는 체결윙(2)의 끝들은 나선형태로 축(3) 주위에 비틀려 있으며, 체결윙(2)의 각 끝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축(3) 주위에 나선형으로 비틀려 있다. 이 경사진 구조부(110)는 버튼식 조정장치(1)를 1/4바퀴 회전시킬 때 덕트기저부(21)에 있는 구멍의 적소에 이 버튼식 고정장치(1)를 체결하게 되되, 축(3)이 변형되지 않고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1)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튼식 조정장치(1)는 컵형상부(12)의 개구부(11)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적소에 체결되는데, 이는 회전하는 동안 버튼식 고정장치(1)와 맞물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1)는 분할부재(23)와 이에 지지된 케이블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고서 적소에 체결하도록 이 버튼식 고정장치(1)의 비틀림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적당한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머 및 나일론과 같은 합성재료가 있다.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와 대체로 유사한 버튼식 고정장치(100)로서, 이 버튼식 고정장치(100)는 컵형상부(120)와 축(30) 및 체결윙(20)을 구비한다. 또, 이 버튼식 고정장치(100)는 도 1의 원형 축(3) 대신에 사각형 축(30)을 갖추고 있다.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사각형 축(30)은 덕트기저부(21)의 구멍(22)에 상기 장치를 추가적으로 마찰고정시키는 덕트구멍(22)의 평탄면과 접촉하는 평탄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와 도 10에 도시된 장치(100)와 대체로 유사한 버튼식 고정장치(200)로서, 이 버튼식 고정장치(200)는 컵형상부(220)와 축(130) 및 체결윙(120)을 구비한다. 이 축(130)의 형상은 대체로 달걀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원통형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것들과 같이 대체로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는 이전의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축(130)은 축(130)의 표면 일부에 마찰맞물림면(133)을 갖추고 있다. 이 마찰맞물림면(133)은 울퉁불퉁한 표면으로서, 이 표면은 구멍내에 장치를 추가적으로 마찰고정시키도록 덕트기저부의 구멍의 벽과 맞물리게 된다.
또한,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상기 축(130)이 원형과,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여러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찰맞물림면(133)은 축(130)의 표면에 있는 임의의 부분 또는 전체 표면에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대체로 타원형인 축(130)의 만곡된 부분의 표면에 마찰맞물림면(133)을 나타내고 있다.
더구나, 마찰맞물림면(133)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될 수 있으며 축(13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나사산 구조와 같이 일련의 가늘고 긴 대체로 유사한 골과 마루들로 이루어진 마찰맞물림면(133)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 마찰맞물림면(133)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융기부와, 상승하는 대각선의 사선, 변칙적인 정점,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여러 다른 형상의 돌출부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의 울퉁불퉁한 표면의 크기와 형상은 축의 표면을 가로질러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축의 일부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축의 일부는 가늘고 긴 정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윙(120)은 덕트기저부의 구멍에 맞춰질 정도로 충분히 작고서 1/4바퀴 회전할 때 기저부에 체결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큰 체결윙(120)의 단면형상을 갖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상기 체결윙(120)은 도 10에 도시된 경사진 구조부(110)와 같이, 전술된 실시예의 반대로 경사지면서 나선형으로 비틀린 구조 대신에 평탄한 상부면(122)을 갖추고 있지만, 이 체결윙(120)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경사진 구조와, 울퉁불퉁한 표면, 돌출부, 거친 표면, 마찰맞물림면 등과 같이 여러 구조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조가 여기에 설명되었는 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그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구조는 한정 보다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구조물에 확실히 고정되고, 다양한 케이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방향으로 묶을 수 있음과 더불어, 채널 내에 다수의 챔버를 제공하는 여러 위치에다 분리벽을 장착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설치하는 데에 간편하고 효과적인 케이블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가늘고 긴 케이블 등은 물론 덕트분할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부착되되,
    확장된 가장자리부를 한정하는 상부면과, 반대쪽의 바닥면 및,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에 뻗어 있으면서 상기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원통형 측벽을 갖추며,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덕트분할부를 스냅고정시키고, 상기 측벽은 케이블을 덕트기저부에 고정시키는 묶음끈을 수용하는 끈통로를 구비하는 컵형상의 상부와;
    상기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삽입되기 위해 바닥면에 매달려 있는 가늘고 긴 축 및;
    상기 상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축에서부터 뻗어 있는 체결윙;을 구비한 버튼식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윙은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맞물림체결되는 경사진 상부면을 갖춘 버튼식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두쌍의 끈통로를 구비하고, 각각의 끈통로의 쌍은 서로 90° 벗어나 있는 버튼식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윙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버튼식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형상은 타원형인 버튼식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는 폴리머로 형성되는 버튼식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버튼식 고정장치.
  8. 가늘고 긴 케이블 등은 물론 덕트분할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부착되되,
    확장된 가장자리부를 한정하는 상부면과, 반대쪽의 바닥면 및,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에 뻗어 있으면서 상기 가장자리부에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원통형 측벽을 갖추며,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덕트분할부를 스냅고정시키고, 상기 측벽은 케이블을 덕트기저부에 고정시키는 묶음끈을 수용하는 끈통로를 구비하는 컵형상의 상부와;
    상기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삽입되기 위해 바닥면에 매달려 있고, 상기 개구부의 벽을 맞물기 위한 마찰맞물림면을 갖추는 가늘고 긴 축 및;
    상기 상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축에서부터 뻗어 있는 체결윙;을구비한 버튼식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두쌍의 끈통로를 구비하고, 각각의 끈통로의 쌍은 서로 90° 벗어나 있는 버튼식 고정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윙은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버튼식 고정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윙은 덕트기저부의 개구부에 맞물림체결되는 경사진 상부면을 갖춘 버튼식 고정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윙은 평탄한 상부면을 갖추는 버튼식 고정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버튼식 고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이 축의 타원형 형상의 만곡된 단면에 나사산구조를 갖추고, 이 축의 타원형 형상의 선형단면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추는 버튼식 고정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마찰면은 나사산구조를 구비하는 버튼식 고정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는 폴리머로 형성되는 버튼식 고정장치.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고정장치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버튼식 고정장치.
KR1020040004401A 2003-01-23 2004-01-20 버튼식 고정장치 KR100664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200903P 2003-01-23 2003-01-23
US60/442,009 2003-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18A true KR20040068018A (ko) 2004-07-30
KR100664345B1 KR100664345B1 (ko) 2007-01-02

Family

ID=3271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401A KR100664345B1 (ko) 2003-01-23 2004-01-20 버튼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35893B2 (ko)
EP (1) EP1441428B1 (ko)
JP (1) JP4414776B2 (ko)
KR (1) KR100664345B1 (ko)
CN (1) CN1252405C (ko)
CA (1) CA245537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66B1 (ko) * 2001-04-1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원분할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4791A1 (en) * 2001-04-09 2002-10-10 Lawrence Shell Locking end cap for roller shade
US7762503B2 (en) * 2005-04-20 2010-07-27 Avery Dennison Corporation Cable tie with oxygen sensor connector fastener
US20070290100A1 (en) * 2006-06-15 2007-12-20 Panduit Corp. Cable Mount for Cable Trays
EP2177774B1 (de) * 2008-10-13 2011-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element und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Befestigungselementes
AT11270U1 (de) * 2009-07-01 2010-07-15 Schnabl Stecktechnik Gmbh Verfahren zum festlegen eines befestigungselements sowi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 rohrartiges element
US8851786B2 (en) * 2009-12-01 2014-10-07 Lockhead Martin Corporation Bulkhead sealing mechanism
DE102010020212A1 (de) * 2010-05-12 2011-11-17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Kabelbefestigungsvorrichtung
US20110290171A1 (en) * 2010-05-27 2011-12-01 Christopher Allen Brick Assembly for attaching a flag to an object
CN102425350A (zh) * 2011-11-09 2012-04-25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铰链装置
GB2533682A (en) * 2014-10-22 2016-06-29 Grippl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necting devices
CN107508248B (zh) * 2017-09-25 2023-11-2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孔径可调的封堵器
CN107508225B (zh) * 2017-09-25 2023-11-17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防火封堵装置
CN111825344A (zh) * 2020-06-22 2020-10-27 东莞市微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加工用半成品钢化支撑架
CN113653856B (zh) * 2021-08-30 2024-06-18 上海澄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穿板管道的穿板饰盖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1290A (en) * 1945-04-03 1949-12-13 Tinnerman Products Inc Clamping device for supporting a bundle of wires
US3697667A (en) 1971-06-29 1972-10-10 Firm Tehalit Kunststofoffwerk Installation channel
FR2337451A1 (fr) 1975-12-31 1977-07-29 Technilec Sarl Conduit pour fils de distribution electrique et de signaux dans les batiments
IT1108759B (it) * 1978-11-30 1985-12-09 Bocchiotti Spa Sistema per il collegamento di un accessorio al fondo di una canaletta o di un collare utilizzabili per il sopporto di cavi elettrici
JPS63198324U (ko) 1987-06-09 1988-12-21
US4805856A (en) 1987-12-29 1989-02-21 Panduit Corp. Cable mount
DE4204187C2 (de) 1992-02-13 1993-12-02 Raymond A Gmbh & Co Kg Kabelkanal zur Aufnahme von Kabelbündel
US5333822A (en) 1992-04-30 1994-08-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ttachment system
KR950004610Y1 (ko) * 1993-06-14 1995-06-1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선안내용 채널
US6084180A (en) 1993-11-15 2000-07-04 Debartolo, Jr.; Joseph V. Multi-channel duct for power and tel/com conductors
US5411228A (en) * 1993-12-16 1995-05-02 Illinois Tool Works Inc. Cable clip
IT1262298B (it) * 1993-12-15 1996-06-19 Bocchiotti Societa Per L Indus Collare fermacavi per canalette.
KR970042014U (ko) * 1995-12-23 1997-07-29 케이블 장착고정용 클립
KR200165841Y1 (en) * 1996-12-27 2000-01-15 Hyundai Motor Co Ltd Battery connector
US5898134A (en) 1997-06-30 1999-04-27 Panduit Corp. Wire retainer
US6190083B1 (en) 1998-02-23 2001-02-20 Winton, Iii George R. Self-clinching cable tie mount
KR20000000683U (ko) * 1998-06-15 2000-01-15 김영환 케이블 홀더
US6367745B1 (en) 2000-07-17 2002-04-09 George R. Winton, III Self-clinching cable tie mount
US6634063B2 (en) * 2000-07-20 2003-10-21 John Michael Joseph Cable t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66B1 (ko) * 2001-04-1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원분할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1428A3 (en) 2010-06-23
CA2455371C (en) 2007-12-04
CN1252405C (zh) 2006-04-19
EP1441428A2 (en) 2004-07-28
CN1530581A (zh) 2004-09-22
CA2455371A1 (en) 2004-07-23
EP1441428B1 (en) 2012-03-07
US6835893B2 (en) 2004-12-28
JP4414776B2 (ja) 2010-02-10
KR100664345B1 (ko) 2007-01-02
JP2004263859A (ja) 2004-09-24
US20040161295A1 (en)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345B1 (ko) 버튼식 고정장치
US4408262A (en) Plaster frame for recessed lighting
US7615714B2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CA2927386C (en) Mounting device for tubular elements
US5831213A (en) Electrical outlet box and removable clamp therefor
US10644491B2 (en) Electrical box cable connector
US4649230A (en) Electrical universal connecting box
GB2275732A (en) Threaded stud bolt clip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US5939680A (en) Arcuate cable support
RU2264013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торцевой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монтажного короба, содержащего электрические провода или кабели
EP1113552A1 (en) Cable channel with inwardly projecting parts for passing through ties
JP2007020344A (ja) ケーブルクリート
JP2012029484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のバンドクランプ
JP4191083B2 (ja) ベルトクランプ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JPH10234124A (ja) 締付具
KR20120005001U (ko) 2중 와이어링 하네스 체결용 고정클립
HU219248B (en) Assembly molder half-covered box via cable-tunnel and method for mounting it
EP3531520B1 (en) Assembly of an installation box and electric installation material, and strain relief insert
KR200388599Y1 (ko) 유동방지 밴드 케이블
KR200391066Y1 (ko) 밴드케이블
JPH11155212A (ja) ケーブルラック
KR20036327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