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505B1 -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 Google Patents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505B1
KR101898505B1 KR1020170019167A KR20170019167A KR101898505B1 KR 101898505 B1 KR101898505 B1 KR 101898505B1 KR 1020170019167 A KR1020170019167 A KR 1020170019167A KR 20170019167 A KR20170019167 A KR 20170019167A KR 101898505 B1 KR101898505 B1 KR 10189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hook
clamping ban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291A (ko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주) filed Critical 현대위아(주)
Priority to KR102017001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5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가 확보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CLAMPING BAND OF VEHICLE CONS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에 관한 것으로,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를 확보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조인트는 변속기를 통해 엔진의 출력 토크를 휠까지 전달하는 장치로서, 조인트 내부의 그리스를 보호하기 위한 부트를 하우징과 샤프트에 체결하게 된다.
여기서, 부트는 클램핑 밴드에 의해 등속조인트에 체결되는데, 클램핑 밴드는 상호 체결되는 돌기와 홈을 통해 부트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된다. 다만, 클램핑 밴드는 고정돌기와 홈이 형성된 위치에서 체결이 수행되어야 하는바, 체결 작업이 어렵고 체결 위치를 유지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핑 밴드는 부트에 끼울 때 발생하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체결 전 경을 키워야 하는데, 종래의 클램핑 밴드는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를 크게 할 수 없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 후 경도 같이 커져서 밴드의 체결력을 확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50817 (2005.06.0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를 확보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는 일단부에는 고정홀과 고정홀의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타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조립홀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가체결시 가조립홀에 체결되는 조립후크와 완전 체결시 고정홀에 체결되는 고정후크가 형성되며, 가체결시 가조립홀 상에 위치되고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절편이 형성된다.
일단부에는 고정홀과 가조립홀 사이에 가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조립후크와 고정후크 사이에 위치되어 가체결홀에 체결되는 가체결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홀, 가체결홀, 가조립홀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가조립홀, 가체결홀, 고정홀 순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체결후크는 가체결홀에 걸리는 걸림단의 길이가 조립후크 및 고정후크의 걸림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조립홀의 타측에는 끼움절편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는 가조립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끼움 공간을 형성하고, 끼움절편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끼움 공간에 삽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는 고정후크가 고정홀에 체결되는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 상에서 끼움절편이 이동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에 따르면,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가 확보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된다.
도 1은 클램핑 밴드가 적용되는 등속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밴드의 일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밴드의 타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클램핑 밴드가 적용되는 등속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밴드의 일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밴드의 타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등속조인트는 엔진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 샤프트(10)와, 드라이브 샤프트(10)에 연결되는 스파이더 조립체(20)와, 스파이더 조립체(20)의 외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30)과, 하우징(30)과 드라이브 샤프트(10)의 연결부를 밀봉시키는 부츠(40)와, 부츠(40)가 하우징(30)과 드라이브 샤프트(10)에 밀착되도록 조여주기 위한 클램핑 밴드(10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클램핑 밴드에 관한 것으로,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를 확보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1000)는 일단부(100)에는 고정홀(120)과 고정홀(120)의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타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조립홀(140)이 형성되며, 타단부(200)에는 가체결시 가조립홀(140)에 체결되는 조립후크(240)와 완전 체결시 고정홀(120)에 체결되는 고정후크(220)가 형성되며, 가체결시 가조립홀(140) 상에 위치되고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140)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절편(280)이 형성된다.
여기서, 클램핑 밴드(1000)의 일단부(100)와 타단부(200)는 하나의 몸체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클램핑 밴드는 직선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말려 부시에 고정되는바, 그 형태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식하지 않았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밴드(1000)는 일단부(100)에 고정홀(120) 및 가조립홀(140)이 형성되고 타단부(200)에 고정후크(220), 조립후크(240) 및 끼움절편(280)이 형성되어 일단부(100)와 타단부(200)를 이웃하여 겹칠 경우 클램프 밴드가 원형을 이루면서 부츠를 감싸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클램핑 밴드는 체결 전과 체결 후의 내경 차이를 크게 만들어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클램핑 밴드를 체결시 일단부(100)가 타단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일단부(100)에 형성된 가조립홀(140)에 타단부(200)에 형성된 조립후크(240)를 체결하면 가체결 상태가 된다. 이때, 클램핑 밴드는 부츠를 감쌀 수 있도록 내경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핑 밴드를 부츠와 드라이브 샤프트의 연결 부위에 위치시키고, 클램핑 밴드를 조일 경우 조립후크(240)가 가조립홀(140)에서 이동됨과 동시에 일정량 이동되면, 고정후크(220)가 고정홀(120)에 체결되고 끼움절편(280)이 가조립홀(140) 상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완전 체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에는 내경이 확보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체결 완료시 고정후크(220)와 고정홀(120) 및 끼움절편(280)과 가조립홀(140)의 체결을 통해 체결력이 확보된다.
한편, 도 2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부(100)에는 고정홀(120)과 가조립홀(140) 사이에 가체결홀(160)이 형성되고, 타단부(200)에는 조립후크(240)와 고정후크(220) 사이에 위치되어 가체결홀(160)에 체결되는 가체결후크(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일단부(100)에는 가체결홀(160)을 더 형성하고, 타단부(200)에는 가체결홀(160)에 체결되는 가체결후크(260)를 더 형성함으로써 가체결 부위가 증가됨에 따라 클램핑 밴드를 부트에 조립시 내경을 순차적으로 축소시켜 체결을 더욱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체결홀(160)과 가체결후크(260)은 그 개수를 증가시켜 다양한 위치에서 가체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클램핑 밴드를 체결시 가조립홀(140)에 조립후크(240)를 조립하여 가체결 상태를 이루고, 이후 클램핑 밴드를 조이거나 일단부(100)를 타단부(200) 측으로 누르면 조립후크(240)가 가조립홀(140)에서 이동됨에 따라 가체결홀(160)에 가체결후크(260)가 체결되어 2차 가체결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램핑 밴드가 부트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가고정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이후, 클램핑 밴드를 더 조여주면, 조립후크(240)가 가조립홀(140)에서 이동되고 고정홀(120)에 고정후크(220)가 체결됨으로써 조임력이 가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홀(120), 가체결홀(160), 가조립홀(14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가조립홀(140), 가체결홀(160), 고정홀(120) 순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가조립홀(140)의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하여 조립후크(240)가 가조립홀(140)에서 충분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고정홀(120)의 길이를 가장 짧게 형성하여 고정홀(120)에 고정후크(220) 체결시 고정후크(22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조립홀(140)의 길이는 일측 끝단에 조립후크(240)가 체결된 가체결 상태에서 고정홀(120)에 고정후크(220)가 체결되는 완전 체결시 조립후크(240)가 가조립홀(140)의 타측 끝단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형성될 수 있고, 가체결홀(160)의 길이는 일측 끝단에 가체결후크(260)가 체결된 상태에서 완전 체결시 가체결후크(260)가 가체결홀(160)의 타측 끝단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20)은 고정후크(220)가 체결되되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체결후크(260)는 가체결홀(160)에 걸리는 걸림단(262)의 길이가 조립후크(240) 및 고정후크(220)의 걸림단(242,22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체결후크(260)와 가체결홀(160)은 2차 가체결을 위한 것으로, 2차 가체결시에는 체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바, 가체결후크(260)의 걸림단(262)의 길이를 확보하여 가체결후크(260)가 가체결홀(160)에 체결된 상태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조립홀(140)의 타측에는 끼움절편(280)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는 지지부(1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80)는 가조립홀(140)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끼움 공간을 형성하고, 끼움절편(280)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끼움 공간에 삽입되게 형성되며, 고정후크(220)가 고정홀(120)에 체결되는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140) 상에서 끼움절편(280)이 이동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조립홀(140) 상에는 타측으로 지지부(180)가 형성됨으로써 가조립홀(140)에서 끼움절편(280)이 이동되어 지지부(180)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즉, 끼움절편(280)은 조립후크(240)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체결 상태에서 완전 체결시 끼움절편(280)이 가조립홀(140)에서 이동되어 지지부(180)의 끼움 공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일단부(100)가 타단부(200)가 견고히 결합됨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완전 체결시 고정홀(120)에 고정후크(220)가 체결되고 가체결후크(260)가 가체결홀(160)의 타측에 접촉되며 지지부(180)에 끼움절편(280)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클램핑 밴드의 일단부(100)와 타단부(200)가 견고히 고정되어 체결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의 체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클램핑 밴드의 일단부(100)가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부(200)가 일단부(100)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부(100)에 형성된 가조립홀(140)에 타단부(200)에 형성된 조립후크(240)를 체결하여 가체결 상태를 이룬다. 이때, 클램핑 밴드의 내경이 가장 크게 확보됨에 따라 부트에 클램핑 밴드를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100)를 눌러주거나 클램핑 밴드를 조여주면, 가조립홀(140)을 따라 조립후크(240)가 이동됨과 동시에 가체결홀(160)에 가체결후크(26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클램핑 밴드를 부트의 적정 위치에 배치 시킨 상태에서 가체결홀(160)에 가체결후크(260)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2차 가체결 상태가 되어 클램핑 밴드가 부트의 적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밴드를 조이면, 일단부(100)의 가조립홀(140) 상에서 타단부(200)의 끼움절편(280)과 조립후크(240)가 이동되고 고정후크(220)가 고정홀(120)에 체결됨과 동시에 끼움절편(280)이 가조립홀(140) 상에 형성된 지지부(180)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완전 체결이 된다. 이로 인해, 클램핑 밴드의 일단부(100)와 타단부(200)가 견고히 고정되어 체결력이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에 따르면, 클램핑 밴드의 체결 전후의 내경 차이가 확보되고, 등속조인트에 체결시 체결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일단부 120:고정홀
140:가조립홀 160:가체결홀
180:지지부 200:타단부
220:고정후크 240:조립후크
260:가체결후크 280:끼움절편

Claims (7)

  1. 일단부에는 고정홀과 고정홀의 타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타측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조립홀이 형성되며, 고정홀과 가조립홀 사이에 가체결홀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가체결시 가조립홀에 체결되는 조립후크와 완전 체결시 고정홀에 체결되는 고정후크가 형성되며, 조립후크와 고정후크 사이에 위치되어 가체결홀에 체결되는 가체결후크가 형성되고, 가체결시 가조립홀 상에 위치되고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절편이 형성되며, 가체결후크는 가체결홀에 걸리는 걸림단의 길이가 조립후크 및 고정후크의 걸림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홀, 가체결홀, 가조립홀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가조립홀, 가체결홀, 고정홀 순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조립홀의 타측에는 끼움절편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부는 가조립홀 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끼움 공간을 형성하고, 끼움절편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끼움 공간에 삽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부는 고정후크가 고정홀에 체결되는 완전 체결시 가조립홀 상에서 끼움절편이 이동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KR1020170019167A 2017-02-13 2017-02-13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KR10189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67A KR101898505B1 (ko) 2017-02-13 2017-02-13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67A KR101898505B1 (ko) 2017-02-13 2017-02-13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91A KR20180093291A (ko) 2018-08-22
KR101898505B1 true KR101898505B1 (ko) 2018-09-13

Family

ID=6345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67A KR101898505B1 (ko) 2017-02-13 2017-02-13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958A (ko) 2022-01-19 2023-07-26 현대위아 주식회사 부트가 결합된 등속조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824B2 (ja) * 2000-02-09 2009-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締付バンド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JP2013245785A (ja) * 2012-05-28 2013-12-09 Honda Motor Co Ltd ブーツバ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45B1 (ko) 2003-11-26 2006-01-11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등속조인트의 부츠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824B2 (ja) * 2000-02-09 2009-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締付バンド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JP2013245785A (ja) * 2012-05-28 2013-12-09 Honda Motor Co Ltd ブーツバ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91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132B2 (en) Wrap bracket clamp assembly
JP4621446B2 (ja) 燃料及びブレーキライン用二部品クリップ
US9631657B2 (en) Fastening element and assembly with such a fastening element and a receiving element
US20170001580A1 (en) Wire harness
JP5052498B2 (ja) 管連結用の固着要素
JP6015624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バンド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7016993A (ja) ハブを介してモータ軸とギアとを連結するクランプ
KR101898505B1 (ko) 차량 등속조인트의 클램핑 밴드
US10145444B2 (en) Systems for a crankshaft damper cover
WO2015060074A1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バンドクリップ取付構造
KR101417513B1 (ko) 차량용 인너샤프트의 조립장치
KR200476560Y1 (ko) 클램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US20170248219A1 (en) Damper cover and attachment interface for a crankshaft damper
KR200477672Y1 (ko) 클램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EP3038861B1 (en)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CN111065829B (zh) 长条部件组件
KR10196481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클립
US11193515B2 (en) Boot clamping structure for constant velocity joint
WO2019009043A1 (ja) 細長部材の保持構造
KR101317544B1 (ko) 가변형 부시 유닛
KR101314348B1 (ko) 등속 조인트용 댐퍼 조립체
KR101866094B1 (ko) 무단변속기의 조립장치 및 방법
JP2006325283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US20180202498A1 (en) Device for jointing engine damper and transmiss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