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46B1 - 휴대가능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능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46B1
KR970006646B1 KR1019890002891A KR890002891A KR970006646B1 KR 970006646 B1 KR970006646 B1 KR 970006646B1 KR 1019890002891 A KR1019890002891 A KR 1019890002891A KR 890002891 A KR890002891 A KR 890002891A KR 970006646 B1 KR970006646 B1 KR 97000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directory
inform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151A (ko
Inventor
야스오 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55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77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0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5028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6Multiple memory zones on card
    • G06Q20/35765Access rights to memory z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휴대가능전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인 IC카드를 취급하는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IC카드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에 나타낸 데이터메모리의 메모리맵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상기 제4도에 도시한 디렉토리명 격납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설명도.
제6a도는 링크등록을 수행하기 전의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b도는 링크등록을 수행한 후의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4도에 나타낸 영역군 격납영역의 메모리맵
제8a도는 제6a도에 나타낸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에 대한 영역의 소속개념도.
제8b도는 제6b도에 나타낸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에 대한 영역의 소속개념도.
제9a도 내지 제9e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의 1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10도는 디렉토리명 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예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디렉토리선택명령데이터의 형식예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영역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예을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영역링크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예을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영역에 대한 독출명령데이터의 형식예을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영역에 대한 기입명령의 형식예를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메모리의 메모리맵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 및 디렉토리제어정보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8a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등록을 수행하기 던의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8b도는 링크등록을 수행한 후의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 및 영역정의정보의 격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9a도 내지 제19g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디렉토리제어정보 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영역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영역링크등록명령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C카드 2 : 카드독출/기입기
3 : 제어부 4 : 키보드
5 : CRT디스플레이장치 6 : 프린터
7 : 프롤피디스크장치 11 : 독축/기입부
12 : 비밀설정/대조부 13 : 암호화/복호화부
14 : 수퍼바이져 15 : 제어소자
16 : 데이터메모리 17 : 프로그램메모리
18 : 접촉부 21 : 디렉토리명격납영역
23, 179 : 영역정의정보격납영역 25 : 영역군 격납영역
27 : 영역군 선두어드레스격납영역 29 : 디렉토리명
30 : 영역정의정보 31, 33 : 디렉토리식별정보
35 : 영역번호 37 : 영역선두어드레스
39 : 영역크기 41 : 영역링크정보
43 : 링크행선지 지정정보 52 : 디렉토리명등록명령
65 : 디렉토리선택명령 85, 223 : 영역등록명령
111, 253 : 영역링크등록명령 195 : 디렉토리제어정보등록명령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불휘발성 메모리 및 CPU 등의 제어소자를 갖춘 IC칩을 내장한 IC카드라는 휴대가능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능전자장치에 내장된 메모리의 영역억세스방법을 개량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새로운 휴대가능한 데이터기억매체로서 소거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및 CPU 등의 제어소자를 갖춘 IC칩을 내장한 이른바 IC카드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IC카드는 복수의 비밀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또한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등록된 비밀번호를 내부에서 대조해서 그 대조결과 긍정적인 경우에는 내부메모리에 대한 억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기밀성이 높은 데이터기억매체로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운용면에서는 여러 응용형태(application)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영역을 억세스대상으로 해서 논리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의 물리적인 데이터격납위치를 외부에서 알 수 없으므로 기밀성이 높아지게 되고, 또한 논리적으로 억세스를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메모리를 관리하기 용이해진다.
메모리의 각 영역에는 각각 영역번호라는 영역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명령데이터중에 이러한 식별정보를 지정하면, IC카드는 억세스대상영역을 식별하고 물리적인 위치등을 인식한 후, 억세스를 행한다.
또 최근에는 다목적 IC카드가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들면 1매의 IC카드를 은행의 현금카드, 신용카드, 레저카드, 전자수첩카드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예컨대 1매의 IC카드를 은행의 현금카드 및 신용카드로 이용하는 경우, 현금카드의 소지자와 신용카드의 소지자는 동일인이므로 메모리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소지자명, 주소, 전화번호 등을 기억시켜 놓고서 현금카드를 이용하거나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공통의 소지자를 억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C카드내의 어떤 영역을 예컨대 은행의 통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비밀유지의 측면에 있어서 은행에서는 억세스를 할 수 있고 신용카드회사에서는 억세스를 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금카드의 소지자명과 신용카드의 소지자명을 별도의 영역에 등록하는 경우에는 소지자의 갱신처리에 있어서 불합리한 문제가 생기는 바, 예컨대 일본의 경우 여성이 결혼때문에 이름을 바꾼 경우에 현금카드의 소지자명은 변경했지만 신용카드의 소지자명을 변경하지 않았다면 IC카드의 운용상 불합리한 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현금카드와 신용카드에 대하여 1개의 소지자명을 IC카드의 특정영역에 기억시켜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응용형태에 관계없이 억세스가 가능한 공통데이터필드(COMMON DATA FIELD)와, 임의의 응용형태에 있어서 그 응용형태에 대해서만 억세스가 허용되고 그 이외의 응용형태에 대해서는 억세스되지 않도록 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필드(application data field)를 설정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IC카드는 물리적으로 메모리상에 베치된 각 영역에 대해 각각 1대 1로 대응되게 영역번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한개의 응용형태에서 예컨대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하여 동일영역을 억세스하거나 다른 응용형태간에 동일한 영역을 억세스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영역을 억세스할 수 있는 휴대가능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가능전자장치는, 복수의 데이터영역근(data, 領域群)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분할된 영역에는 각각 개별적인 식별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영역의 적어도 1개에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식별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메모리수단과; 외부에서 입력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최소한 2개의 다른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전자장치인 IC카드를 취급하는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 단말장치는 IC카드(1)가 카드독출/기입기(2)를 매개하여 CPU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3)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에 키보드(4)와 CRT 디스플레이장치(5), 프린터(6) 및 플로피디스크장치(7)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IC카드(1)에는 사용자가 보유한, 예컨대 상품구입 등을 할 때에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비밀번호의 참조나 필요한 데이터의 축적 등을 행한다. 예컨대 제2도는 그러한 기능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으로, IC카드(1)는 독출/기입부(11)와 비밀설정/대조부(12), 암호화/복호부(13)등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과, 이들 기본적인 기능을 관리하는 수퍼바이져(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독출/기입부(11)는 데이터 메모리(16)등에 대해 데이터의 독출이나 기입 또는 소거를 행하는 것이고, 상기 비밀설정/대조부(12)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의 기억 및 독출금지처리를 행함과 더불어 비밀번호가 설정된 후 비밀번호를 대조해서 이후의 처리를 허가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복호화부(13)는 예컨대 통신회선을 매개로하여 데이터를 제어부(3)로부터 다른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통신데이터의 누설 및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나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DES(Data Encryption Standard)등과 같이 충분한 암호강도를 갖고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 수퍼바이져(14)는 카드독출/기입기(2)에 입력된 기능코드를 해독해서 상기한 기본기능중에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모든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하여 IC카드(1)는 예컨대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CPU 등의 제어소자(제어부; 15)와 데이터메모리(메모리부; 16), 프로그램메모리(17) 및, 카드독출/기입기(2)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부(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제어소자(15)와 데이터메모리(16) 및 프로그램메모리(17)는 1개의 IC칩(또는 복수의 IC칩)으로 구성되어 IC카드 자체내에 매립.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로그램메모리(17)는 예컨대 마스크 ROM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각 기본기능을 실현하는 서브루틴을 갖춘 제어소자(15)의 제어프로그램등을 기억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메모리(16)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EEPROM과 같은 소거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바, 이 데이터메모리(16)는 예컨대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 각각의 영역은 디렉토리명 격납영역(21)과 영역의정보 격납영역(23), 영역군 격납영역(25) 및 영역군 선두어드레스 격납영역(27)으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렉토리명 격납영역(21)은 메모리구조에 기인하는 디렉토리의 명칭을 격납하는 영역으로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렉토리명(29)과 디렉토리식별정보(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23)은 마찬가지로 메모리구조에 기인하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위치 등을 규정하기 위한 영역정의정보(30)를 격납하는 영역으로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렉토리식별정보(33)와 영역번호(35), 영역선두어드레스(37), 영역크기(39), 영역링크정보(41) 및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렉토리식별정보(33)는 영역정의정보(30)로 규정되는 영역이 어느 디렉토리의 지배하에 속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5도의 각 디렉토리명(29)에 대응시켜 부여된 디렉토리식별정보(31)와 관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렉토리식별정보(33)가 0인 경우에는 어떤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그리고 영역번호(35)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을 억세스하는 경우에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번호이다.
또한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 및 영역크기정보(39)는 영역정의정보(30)에 의해 규정된 영역이 제7도에 나타낸 영역군 격납영역(25)중 어느 곳을 물리적으로 점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영역링크정보(41)는 영역정의정보(30)로 규정된 영역이 영역등록된 것인가 아니면 영역링크등록된 것인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영역등록된 것이라면 0이 주어져서 이후에 부가되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가 무효화되고, 또 영역링크등록된 것이라면 1이 주어져서 이후에 지정되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가 무효화되고 앞의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 및 영역크기정보(39)도 무효화된다.
상기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로서는 영역정의정보(30)에 의해 규정된 영역이 어느 영역과 링크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데, 링크행선지의 디렉토리식별정보(33) 및 영역번호(35)가 주어진다.
제4도와 제5도, 제6a도 및 제6b도를 사용하여 메모리구조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는 예컨대 3개의 디렉토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디렉토리명(29)은 각각 AAA, BBB, 그리고 CCC로 되어 있다. 또 후술하겠지만 각 디렉토리명(29)에는 디렉토리식별정보(31)로서 1, 2, 3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제6a도에 있어서는 예컨대 5개의 영역이 규정되어 있으며 물리적인 위치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다. 예컨대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로서 A01과 영역크기정보(39)로서 S01을 갖는 영역 A는 영역번호(35)가 8로 등록되어 있다. 또 디렉토리식별정보(33)가 0인데, 이는 영역 A가 어느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로서 A03과 영역크기정보(39)로서 S03을 갖는 영역 C 및, 영역선두어르레스정보(37)로서 A05와 영역크기정보(39)로서 S05를 갖는 영역 E는 디렉토리식별정보(33)가 동일하게 1이므로 이 두 영역은 AAA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이다. 또 부여되어 있는 영역번호는 전자가 1, 후자가 3이다.
마찬가지로 영역 B는 BBB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으로서 영역번호는 1로 등록되어 있고, 영역 D는 CCC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입력으로서 영역번호는 1로 등록되어 있다.
영역군 선두어드레스 격납영역(27)에는 영역군으로 할당된 영역이 어디까지 할당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으며, 아무것도 할당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는 영역군 격납영역(25)의 최종 어드레스값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영역 A가 할당된 후에는 A01에서 1을 뺀 값 등으로 되고, 이후 영역을 할당할 때마다 그 값은 갱신된다.
제8a도및 제8b도는 각 영여과 디렉토리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AA를 명칭으로 하는 디렉토리에는 영역 C 및 영역 E가 속해 있으며 각각 영역번호 1과 3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BBB를 명칭으로 하는 어드레스에는 영역 B가 속해 있으며 영역번호는 1이다. 또 CCC를 명칭으로 하는 디렉토리에는 영역 D가 속해 있으며 영역번호는 1이다. 또한 영역 A는 어떤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으며 영역번호는 8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9a도 내지 제9e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겠는 바, 먼저 디렉토리명의 등록처리를 설명한다. 제9a도에 나타낸 흐름도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는 명령대기상태에 있는데, 스텝 51에서 명령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53에서 상기 명령데이터가 제10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것과 같은 디렉토리명 등록명령(5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디렉토리명 등록명령(52)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제9b도]를 행한다.
상기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디렉토리명 등록명령(52)이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55에서 제5도의 디렉토리명 격납영역(21)을 참조하여 영역(21)중에 디렉토리명 격납공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없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57에서 디렉토리명을 격납할 공간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59에서 영역(21)중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61에서 디렉토리식별정보를 1로 하여 디렉토리명을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후에 제어소자(15)는 스텝 63에서 디렉토리명이 등록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 59에서 격납된 디렉토리명이 존재한다면 제어소자(15)는 기존의 디렉토리명중에서 이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과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가를 스텝 65에서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존재한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66에서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이미 격납되어 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스텝 65에서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과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68에서 본 영역(21)내에 마지막으로 등록된 디렉토리명에 부여되어 있는 디렉토리식별정보를 하나씩 증가시키고 그 데이터를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에 부가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후에 제어소자(15)는 스텝 63에서 디렉토리명이 등록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디렉토리명의 등록처리에 의해 디렉토리명 AAA와 BBB 및 CCC를 차례로 등록한 결과가 제5도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디렉토리선택처리를 제9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텝 53에서 상기 입력된 명령데이터가 디렉토리명등록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디렉토리명등록명령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67에서 다음의 제11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이 디렉토리선택명령(65)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디렉토리선택명령(65)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제9도(C) 참조]를 행한다.
상기 스텝 67에서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디렉토리선택명령(65)이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69에서 앞의 제5도의 디렉토리명 격납영역(21)을 참조하여 본 영역(21)중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71에서 해당 디렉토리명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69에서 기존의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가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73에서 기존의 디렉토리명중에서 본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과 동일한 디렉토리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동일한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75에서 해당 디렉토리명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73에서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과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존재한다면 제어소자(15)는 본 영역(21)중에서 찾아낸 동일한 디렉토리명에 부가되어 있는 디렉토리식별정보를 제어소자(15)에 내장된 RAM내에 확보된 커런트버퍼(current buffer; 도시하지 않았음)에 셋트시킨다. 또 커런트버퍼의 내용은 제어소자(15)가 동작하면 0으로 셋트되며, 이어서 제어소자(15)는 스텝 81에서 디렉토리선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다음에 영역등록처리에 대해서 제9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텝 67에서 디렉토리선택명령인지의 판단결과, 디렉토리선택명령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스텝 83에서 제12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영역등록명령(85)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영역등록명령(85)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제9d도 참조]를 행한다.
상기 명령데이터 판단결과, 영역등록명령(85)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87에서 제6도의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23)을 참조하여 본 영역(23)중에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 공간이 없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89에서 영역정의정보의 격납공간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 87의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할 공간이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91에서 현재의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또 명령데이터중의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93에서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95에서 영역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93에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97에서 이번에 등록된 영역의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를 계산한다. 실제로는 영역군 선두어드레스격납영역(25)의 격납값에서 이번에 입력된 명령데이터중 영역크기정보를 감산해서 계산한다. 이어서 제어소자(15)는 스텝 99에서 상기 계산결과로 얻은 영역선두어드레스 정보와 영역군 격납영역(23)의 선두어드레스를 비교하며, 이 비교결과 전자가 후자의 값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01에서 영역크기가 부적당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그에 반하여 스텝 99의 비교결과, 전자가 후자의 값보다 크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03에서 상기 스텝 97의 계산결과를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로, 명령데이터중 입력크기정보를 영역크기정보로, 명령데이터중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특히 커런터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하여, 이들 영역정의정보를 영역정의정보 겨납영역(23)에 격납한다. 그후, 제어소자(15)는 스텝 105에서 상기 스텝 97의 계산결과에서 1씩 감소한 값을 사용하여 영역군 선두어드레스를 갱신하며, 스텝 107에서 영역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한 후에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영역링크등록처리를 제9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텝 83에서 영역등록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 영역등록명령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09에서 제13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영역링크등록명령(1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결과, 영역링크등록명령(111)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를 행한다.
상기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영역링크등록명령(111)이면 제어소자(15)는 실시예 113에서 제16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23)을 참조하여 영역(23)중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바, 격납할 공간이 없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5에서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없다는 응답을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그러나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17, 119에서 현재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또 명령데이터중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119에서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21에서 디렉토리명이 이미 등록되어 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119에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상기 스텝 117에서 커런트버퍼의 내용에 영역번호를 부가하고 이를 데이터 1로 한다. 그리고 제어소자(15)는 스텝 123, 125에서 명령데이터중 링크대상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바, 이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27에서 링크대상 디렉토리명이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125에서 링크대상 디렉토리명을 판단한 결과, 존재하고 있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29, 131에서는 상기 스텝 123에서 찾아낸 디렉토리명에 대한 디렉토리식별정보와 명령데이터중 링크대상 영역번호를 갖는 영역정의정보가 기존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링크대상영역이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영역정의정보를 판단한 결과,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35에서 이들 데이터를 데이터 2로 한다. 이어서 제어소자(15)는 상기 데이터 1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데이터 2를 링크행선지 지정정보, 영역링크정보를 1로 하여, 이들 영역정의정보를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23)에 격납한다. 그후 제어소자(15)는 스텝 137에서 링크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영역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과 독출처리를 제9e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텝 109에서 영역링크등록명령의 가부를 판단한 결과, 영역링크등록명령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39에서 제14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독출명령(141)인지 또는 제15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입명령(143)이지를 판단한다. 스엡 139의 판단결과 두 명령중 어느쪽도 아니라고 제어소자(15)는 스텝 145에서 명력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판단결과, 두 명령중 어느쪽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47, 149에서 현재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명령데이터중의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며, 또 명령데이터중의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30)가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23)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149의 판단결과, 상기와 같은 영역정의정보가 존제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51에서 이미 등록된 영역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실시예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스텝 149의 판단결과, 존재한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53에서 영역링크정보가 1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 1이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55에서 대응되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와 동일한 디렉토리식별정보와 영역번호를 갖는 영역정의정보를 찾아낸 다음 상기 스텝 149로 돌아가서 찾아낸 영역정의정보의 영역링크정보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처리는 영역링크정보가 0인 영역정의정보를 찾아낼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한다.
상기 스텝 153에서 영역링크정보를 판단한 결과, 영역링크정보가 0인 영역정의정보를 찾아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57에서 명령데이터의 내용이 독출명령인지 아니면 기입명령인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독출명령으로 판단되면 스텝 159에서 독출처리를 행하는 한편, 기입명령이면 스텝 161에서 기입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제어소자(15)는 스텝 163에서 처리결과를 응답데이터로서 출력하고 스텝 5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제6a도의 예에서는 디렉토리를 먼저 선택하지 않고 영역등록명령데이터에 의하여 영역 A를 할당(영역번호=08, 영역크기정보=S01)하고, 이어서 디렉토리명이 BBB인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등록명령 데이터에 의하여 영역 B를 할당(영역번호=01, 레이저영역크기정보=S02)하며, 이어서 디렉토리명이 AAA인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등록명령데이터에 의하여 영역 C를 할당(영역번호=01, 영역크기정보=S03)하고, 다음에 디렉토리명이 CCC인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등록명령데이터에 의하여 영역 D를 할당(영역번호=01, 영역크기정보=S04)하며, 마지막으로 디렉토리명이 AAA인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등록데이터에 의하여 영역 E를 할당(영역번호=03, 영역크기정보=S05)한 결과인 영역정의정보 격납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개념도로서 제8a도에 나타내었다.
제6b도에서는 우선 디렉토리명이 BBB이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링크등록명령데이터에 의하여 영역번호를 2, 링크대상 디렉토리명을 AAA, 그리고 링크대상 영역번호를 1로 하여 영역을 링크시킨다. 이어서 디렉토리명이 CCC인 디렉토리를 선택한 다음 영역링크등록명령데이터에 의하여 영역번호를 2, 링크대상 디렉토리명을 AAA, 링크대상 영역번호를 3로 하여 영역을 링크시킨 결과인 영역정의정보 격납상태를 나타낸다. 제8b도는 이것을 개념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에따라 디렉토리를 선택하기에 앞서 영역번호 8을 사용하여 독출 및 기입명령을 실행하도록 독출명령 및 기입처리는 영역 A에 대하여 행해진다.
또, 디렉토리 AAA를 선택한 다음 영역번호 1을 사용하면 영역 C에, 또 영역번호 3을 사용하면 영역 E에 대해서 독출 및 기입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디렉토리명 BBB를 선택하면 다음에 영역번호 1을 사용하면 영역 B에, 또, 영역번호 2를 사용하면 앞의 디렉토리명 AAA를 선택하고 나서 영역번호 1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영역 C에 대해서 독출 및 기입처리가 행해진다.
또, 디렉토리명 CCC를 선택한 다음에 영역번호 1을 사용하면 영역 D에, 영역번호 2를 사용하면 앞의 디렉토리명 AAA를 선택하고 나서 영역번호 3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영역 E에 대해서 각각 독출 및 기입처리가 행해진다. 또 이 상태에서 영역군 선두어드레스격납영역(27)에는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인 A05의 값에서 1씩 감소한 값이 격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1개의 영역의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복수의 영역번호로 공유하는 기능을 구비해서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한 억세스에서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하는 억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영역정의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의하면 영역번호나 응용형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영역으로 억세스를 할 수 있지만, 영역정의정보중에는 영역에 대한 억세스조건을 규정하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억세스조건을 공유하면 각 응용형태에 대해서 고유의 억세스조건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영역정의정보를 공유하는 경우에 댜른 억세스조건을 입력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단, 응용의 운용에 따라서는 억세스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영역정의정보의 공유시의 공유대상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억세스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여 동일한 억세스조건을 설정해야만 한다.
이하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한 억세스에 있어서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 혹은 다른 응용형태간의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가 가능하며, 동시에 각각의 억세스조건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휴대가능전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 영역의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복수의 영역번호(식별)정보로 공유하며 그들의 영역번호에 대한 억세스시에 그 억세스의 가부조건을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한 억세스에 있어서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 혹은 다른 응용형태간의 동일한 영역으로의 억세스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각각의 억세스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1개 영역의 물리적 위치정보를 복수의 영역번호로 공유하며 그들 억세스에 대한 가부조건을 각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한 억세스에 있어서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 혹은 다른 응용형태간의 동일한 영역으로의 억세스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각각의 억세스조건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1개 영역의 물리적 위치정보를 복수의 영역번호로 공유하며 그들의 영역번호에 대한 억세스시에 그 억세스의 가부조건을 각각 다르게 할 것인지 동일하게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한 억세스에 있어서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 혹은 다른 응용형태간의 동일한 영역으로의 억세스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각각의 억세스조건을 각각 다르게 할 것인지 여부를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6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메모리(16)에는 디렉토리명 격납영역(21) 대신에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171)이 설치되어 있는대. 이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171)은 예컨대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렉토리명(29)과 디렉토리식별정보(31) 및 디렉토리억세스조건정보(177)로 구성되어 있다. 디렉토리억세스조건정보(177)는 영역등록 혹은 영역링크등록을 행할 때 가부판정을 위한 정보로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에 영역정의정보를 기입하는 경우에 필요한 써비스제공자의 키(key) 정보를 대조하기 위하여 살용될 수 있다.
상기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는 제18a도 와 제18b도에 나타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영역정의정보는 제1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렉토리식별정보(33)와 영역번호(식별정보; 35),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 영역크기정보(39), 영역링크정보(41),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 억세스조건선택정보(185) 및 억세스조건정보(187)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렉토리식별정보(33)와 영역번호(35),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37), 영역크기정보(39), 영역링크정보(41) 및 링크행선지 지정정보(43)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억세스조건선택정보(185)는 예컨대 0 또는 1인 값을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억세스조건선택정보(185)가 0이면 랭크행선지의 영역정의정보중의 억세스조건정보를 기초로, 또 1이면 자체의 영역정의정보중 억세스조건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억세스의 가부판정을 행한다. 또 영역등록되면 억세스조건선택정보(185)는 1로 되며, 영역링크등록되면 후술할 영역링크등록명령에 의하여 0 또는 1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억세스조건정보(187)는 해당 영역에 대한 억세스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해당 영역을 억세스할 때 필요한 카드소지자의 키(key)정보를 대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7도에 있어서 디렉토리명에 식별정보 1, 2, 3 및 디렉토리억세스조건정보 Y01, Y02, Y03이 각각 부여되어 있다. 특히 디렉토리명 ***는 디렉토리선택명령(65)에 관계없이 IC카드의 가동후에는 반드시 선택되는 디렉토리이고, 이것에는 디렉토리식별정보 0 및 디렉토리억세스조건정보 Y00가 부여되어 있다.
또 제18a도에는 예컨대 5개의 영역이 규정되어 있으며, 그 물리적인 위치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예컨대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로서 A01과 영역크기정보로서 S01을 갖는 영역 A는 영역번호가 8로서 등록되어 있다. 또한 디렉토리식별정보가 0인 영역 A는 어떤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로서 A03 또한 영역크기정보로서 S03을 갖는 영역 C 및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로서 A05 또한 영역크기정보로서 S05을 갖는 영역 E는 디렉토리식별정보가 동일한 1이므로 이 2개의 영역은 AAA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각각에 부여되어 있는 영역번호는 전자가 1, 후자가 3이다.
마찬가지로 영역 B는 BBB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으로 영역번호가 1로 등록되어 있으며, 영역 D는 CCC의 명칭을 갖는 디렉토리에 딸린 영역으로 영역번호가 1로 등록되어 있다.
또 이들 5개의 영역정의정보는 영역등록이 되어 있으므로 억세스조건선택정보는 모두 1로 되어 있고 자체의 억세스조건 X01 내지 X05가 각각 대응해서 부여되어 있다.
제8a도와 제8b도에 나타낸 각 영역과 디렉토리간의 관계에 있어서 영역 A는 어느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으며(즉 디렉토리명 ***에 속한다) 영역번호는 8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동작을 제19a도 내지 제19g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디렉토리제어정보의 동작을 제19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상상태에서 제어소자(15)는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명령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93에서 상기 입력되는 명령데이터가 제20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디렉토리제어정보 등록명령(195)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 디렉토리제어정보 등록명령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제19b도 참조]를 행한다.
상기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디렉토리제어정보 등록명령(195)으로 판단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97에서 제16도의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171)을 참조하여 본 영역중에 디렉토리제어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199에서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공간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197의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01에서 본 명령데이터중에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203에서 본 영역(171)중의 이미 격납된 디렉토리제어정보중에서 디렉토리식별정보가 0으로 되어 있는 디렉토리명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203의 판단결과,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05에서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이미 존재한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 스텝 203의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07에서 디렉토리식별정보 0으로 하고, 본 명령데이터중에 디렉토리억세스조건정보와 함께 디렉토리명 ***를 등록한다. 등록후 제어소자(15)는 스텝 217에서 디렉토리제어정보의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09의 판단결과,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09에서 본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117)중에 디렉토리제어정보 이외에 격납되어 있는 디렉토리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11에서 디렉토리식별정보 1으로 하여, 디렉토제어정보를 등록하며, 등록후 제어소자(15)는 스텝 217에서 디렉토리제어정보가 등록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09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13에서 기존의 디렉토리제어정보중애 본 명령데이터중의 디렉토리명과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있는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동일한 것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05에서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존재한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13의 판단결과, 동일한 디렉토리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15에서 본 영역(171)내에 마지막으로 등록된 디렉토리식별정보 0을 갖는 디렉토리제어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디렉토리제어정보의 디렉토리식별정보의 값을 1씩 증가시켜 현재의 디렉토리제어정보에 부가하여 이를 등록한다. 그후 제어소자(15)는 스텝 217에서 디렉토리제어정보가 등록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디렉토리등록처리에 의하여 디렉토리명 ***,와 AAA, BBB, 및 CCC가 차례로 등록된 결과를 제17도에 나타내었다.
디렉토리선택처리는 제19b도에 나타낸 디렉토리선택처리에 있어서 디렉토리명이 디렉토리제어정보로 변환된 이후의 처리는 제9b도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영역등록처리를 설명한다. 제어소자(15)는 제19b도의 스텝 221에서 제21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영역등록명령(223)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영역등록명령(223)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영역등록명령(223)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25에서 제16도의 영역정보 격납영역(179)을 참조하여 본 영역(179)중에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공간이 없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27에서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25의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29, 231에서 커런트버퍼의 내용과 동일한 디렉토리식별정보를 갖는 디렉토리제어정보를 참조해서 대응하는 억세스조건정보에 따라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한다. 스텝 231의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33에서 억세스조건이 부적합하다는 억세스조건 에러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 스텝 231의 판단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35, 237에서 현재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또한 본 명령데이터중에서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가 이미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39에서 영역등록이 끝났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영역정의정보의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41에서 현재 등록된 영역의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를 계산한다. 실제의 계산은 영역군 선두어드레스 격납영역(183)에 격납되어 있는 값에서 현재 입력된 명령데이터중의 영역크기정보를 감산함으로써 구해진다. 이어서 제어소자(15)는 스텝 243에서 상기 계산결과인 영역선두어드레스와 영역군 격납영역(181)의 선두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전자의 값이 후자의 값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45에서 영역크기가 부적합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전자의 값이 후자의 값보다 크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47에서 상기 계산결과를 영역선두어드레스정보로, 본 명령데이터중의 영역크기정보를 영역크기정보로, 본 명령데이터중의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본 명령데이터중의 억세스조건정보를 억세스조건정보로,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또 영역링크정보를 0으로 하여, 영역정의정보를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에 격납한다. 그후 제어소자(15)는 스텝 249에서 상기 계산결과에서 1씩 감산한 값을 사용하여 영역선두어드레스를 갱신하며, 스텝 251에서 영역이 등록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어서 영역링크등록처리를 제9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소자(15)는 스텝 251에서 제22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바와 같은 영역링크등록명령(253)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 영역링크등록명령(253)이 아니면 제어소자(15)는 별도의 처리[제19f도 참조]를 행한다.
상기 명령데이터 판단결과, 영역링크등록명령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55에서 제16도에 나타낸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을 참조해서 영역(179)중에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없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57에서 영역정의정보를 격납할 공간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55에서 영역정의정보 격납공간의 판단결과 격납할 공간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59에서 커런트버퍼의 내용과 동일한 디렉토리식별정보를 갖고 있는 디렉토리제어정보를 참조해서 스텝 261에서 대응하는 억세스조건정보에 따라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하며, 그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63에서 억세스조건이 부적합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의 억세스조건에 대한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65, 267에서 현재의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또한 본 명령데이터중의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존제하고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69에서 영역등록을 마쳤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67에서 영역정의정보를 판단한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커런트버퍼의 내용에 영역번호를 부가하고 이를 데이터 1로 한다. 그리고 제어소자(15)는 스텝 271, 273에서 본 명령데이터중의 링크대상디렉토리명이 디렉토리제어정보 격납영역(171)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지 않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75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링크대상디렉토리명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링크대상디렉토리명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77, 279에서 그 디렉토리명을 갖는 디렉토리제어정보를 참조하고 대응되는 억세스조건정보에 따라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한다.
상기 스텝 279의 판단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81에서 억세스조건이 부적합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279에서 억세스조건의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83, 285에서 찾아낸 디렉토리명에 대응되는 디렉토리식별정보와 본 명령데이터중의 링크대상영역번호를 갖는 영역정의정보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285의 판단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287에서 링크대상영역이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영역정의정보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으면 제어소자(15)는 디렉토리명에 대응하는 디렉토리식별정보와 본 명령데이터중의 링크대상영역번호를 데이터 2로 한다. 그리고 제어소자(15)는 상기 데이터 1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데이터 2를 링크행선지 지정정보로, 본 명령데이터중의 억세스조건선택정보를 억세스조건선택정보로, 본 명령데이터중의 억세스조건정보를 억세스조건정보로, 또 영역링크정보를 1로 하여, 이들 영역정의정보를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에서 격납한다. 제어소자(15)는 스텝 291에서 영역링크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어서 영역에서 대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251에서 영역링크등록명령인지의 판단결과, 영역등록명령이 아니라면 제어소자(15)는 제19f도의 스텝 301에서 제14도에 그 형식을 나타낸 독출명령인지 혹은 제15도에 나타낸 기입명령인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두 명령중 어느 명령도 아니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03에서 명령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명령데이터의 판단결과, 두 명령중 어느 명령이라도 주어지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05, 307에서 현재 커런트버퍼의 내용을 디렉토리식별정보로 하고, 또한 본 명령데이터중에서 영역번호를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가 영역정의정보 격납영역(179)중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스텝 307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09에서 미리 등록된 영역이 없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307에서 영역정의정보의 판단결과, 존재하고 있다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11에서 영역링크정보가 1인지를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 1이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13에서 대응되는 억세스조건선택정보를 참조하여 스텝 315에서 영역링크정보가 0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315의 판단결과, 0이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17에서 내장되어 있는 RAM내에 설치된 플래그를 0으로 하고 스텝 319에서 대응되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와 동일한 값을 디렉토리식별정보와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를 찾는다. 상기 스텝 315에서 억세스조건선택정보를 판단한 결과 1이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20, 324에서 대응되는 억세스조건정보에 따라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한다. 상기 스텝 324의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28에서 억세스조건이 부적합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 324에서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한 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스텝 326에서 상기 플래그 1로 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대응되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와 동일한 값을 디렉토리식별정보와 영역번호로 하는 영역정의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제어소자(15)는 스텝 321에서 기록된 플래그가 1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소자(15)는 스텝 323에서 기입명령이 주어지는가를 판단하고, 기입명령이면 스텝 327에서 기입처리를 실행하며, 기입명령이 아니라면 스텝 325에서 독출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329에서 처리결과를 나타내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와는 달리 스텝 321의 판단결과, 플래그가 0이라면 스텝 331, 333에서 대응되는 억세스조건정보에 따라 억세스의 가부를 판정하며, 그 판정결과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335에서 억세스조건이 부적합하다는 응답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텝 191의 명령데이터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또 스텝 333에서 억세스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제어소자(15)는 상술한 스텝 323 내지 329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 311에서 영역링크정보가 0이라고 판단되면 처리과정은 상술한 스텝 331으로 진행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1개의 영역의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복수의 영역번호로서 공유하며, 이들 영역번호에 대해 억세스를 할 경우에 그 억세스의 가부조건을 각각 다르게 하는 기능 및 억세스의 가부조건을 각각 같도록 하는 기능과 이들 기능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영역번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억세스나 다른 응용형태간의 동일한 영역으로의 억세스가 가능해지며, 동시에 각각의 억세스조건을 다르게 하거나, 동일하게 하는 것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링크행선지 지정정보를 링크에 앞서 디렉토리식별정보 및 영역번호로 사용하고 있으나 링크에 앞서 영역정의정보만 식별된다면 별문제는 없다. 예컨대 링크에 앞서 영역정의정보가 격납되어 있는 위치정보 등만 주어지면 된다.
또 링크등록명령데이터중의 링크대상디렉토리명은 링크대상인 디렉토리명을 내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무엇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응용형태에 따른 데이터를 격납하는 영역에 관해서 설명하거나, 예를들면 비밀번호 등과 같은 IC카드이 억세스에 필요한 각종 인증정보영역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IC카드의 억세스에 필요한 인증정보영역에 대해서도 각각 영역번호를 부여하면 대조명령데이터 등에서 이 인증정보와 마찬가지로 대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선택적으로 외부장치와 데티어 입출력을 행하도록 된 휴대가능전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한개의 데이터영역으로 이루어져 상기 데이터의 제1부분을 격납하기 위한 제1영역군과 상기 제1영역군의 데이터영역과는 다른 적어도 한개의 데이터영역으로 이루어져 상기 데이터의 제2부분을 격납하기 위한 제2영역군,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제1영역군과 제2영역군을 식별하는 디렉토리정보를 격납하기 위한 디렉토리명격납영역 및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데이터영역들이 상기 영역군들중 어느 영역군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영역식별정보로 이루어진 영역정의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영역정의격납데이터영역을 갖추고서 상기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렉토리정보와 상기 영역정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를 해독해서 기능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제1영역군 및 제2영역군이 상기 데이터영역에 대해 상기 데이터의 독출 및 기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기능신호에 따라 상기 제1영역군 및 제2영역군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영역군과 상기 제2영역군을 경유해서 상기 제1영역군의 상기 데이터영역을 억세스하고 상기 제1영역군과 상기 제2영역군을 경유해서 상기 제2영역군의 상기 데이터영역을 억세스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외부장치의 데이터 거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의데이터가 상기 영역을 표지하는 영역정지정보와, 상기 영역정의정보에 의해 지정된 영역이 할당된 상기 메모리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영역선두어드레스데이터, 영역크기데이터, 영역이 영역등록되어 있는지 또한 영역링크등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영역링크데이터, 상기 영역이 속하는 상기 영역군 이외의 상기 영역군중 하나의 영역군으로 링크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링크행선지 지정데이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식별데이터가 영역이 어느 디렉토리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링크데이터가 상기 영역의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영역이 영역등록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행선지 지정데이터가 무효로 되고, 상기 영역링크데이터 상기 영역정의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영역이 영역링크등록된 것임을 나타내는 상기 영역선두어드레스데이터와 상기 영역크기데이터가 무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디렉토리명을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운용코드와 디렉토리명을 나타내는 오퍼랜드를 포함하는 등록명령에 따라 디렉토리명을 디렉토리명 격납영역에 격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이 상기 디렉토리격납영역에 격납된 디렉토리명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디렉토리수단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운용코드와 상기 디렉토리명을 나타내는 오퍼랜드를 포함하는 디렉토리선택명령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영역정의데이터격납영역에 영역을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영역을 등록하기 위한 운용코드와 영역번호와 영역크기를 나타내는 오퍼랜드를 제공하고, 디렉토리식별데이터가 상기 디렉토리선택명령수단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지와 상기 영역정의정보가 이미 격납되어 있는지를 점거해서, 상기 영역등록명령수단이 상기 디렉토리선택명령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정의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영역의 선두어드레스를 계산하여, 상기 디렉토리선택명령수단에 의해 선택된 디렉토리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정의데이터와, 상기 영역등록명령수단에 의해 지정된 영역번호 및 영역크기, 상기 계산된 영역선두어드레스 및 등록되는 영역이 다른 영역과 링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영역링크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정의데이터를 영역정의데이터격납영역에 격납하는 영역등록명령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영역지정정보중 하나의 목표디렉토리명에 속하는 상기 영역지정정보중 다른 하나 및 링크될 상기 목표디렉토리명을 포함하는 오퍼랜드와, 영역링크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운용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신호에 의해 제공된 영역링크등록명령에 따라 영역링크데이터를 영역정의데이터격납영역에 등록하는 수단과; 상기 디렉토리명격납영역으로부터 링크될 목표디렉토리명을 검색하는 수단; 상기 영역정의데이터격납영역으로부터 상기 검색된 목표디렉토리명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링크될 목표영역번호를 갖춘 영역정의 데이타를 검색하는 수단; 영역이 링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영역링크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수단 및; 링크행선지 지정데이터로서 링크될 영역의 디렉토리식별데이터와 영역지정정보가 영역정의데이터격납영역에 설정되도록 영역정의데이터를 격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의데이터는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억세스조건을 나타내는 억세스조건데이터와, 상기 억세스조건데이터가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억세스조건선택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억세스조건데이터가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억세스조건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영역정의데이터의 행선지 지정데이터를 참조하는 수단과, 링크행선지영역의 영역정의데이터의 억세스조건데이터를 대응하는 영역의 억세스조건으로 사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정보와 상기 영역식별정보가 어드레스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능신호에 따라 조건을 설정해서 상기 제1영역군과 제2영역군중 하나를 경유해서 상기 데이터영역중 하나로의 억세스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데이터영역에 설치된 조건설정수단과, 상기 데이터영역중 하나가 상기 제1영역군과 제2영역군을 경유해서 억세스되는지의 여부를 상기 조건설정수단으로부터 결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전자장치.
KR1019890002891A 1988-03-09 1989-03-09 휴대가능전자장치 KR970006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55376A JP3017736B2 (ja) 1988-03-09 1988-03-09 携帯可能電子装置
JP63-55376 1988-03-09
JP200017 1988-08-12
JP63200017A JPH0250286A (ja) 1988-08-12 1988-08-12 携帯可能電子装置
JP63-200017 1988-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151A KR890015151A (ko) 1989-10-28
KR970006646B1 true KR970006646B1 (ko) 1997-04-29

Family

ID=2639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891A KR970006646B1 (ko) 1988-03-09 1989-03-09 휴대가능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97118A (ko)
EP (1) EP0332117B1 (ko)
KR (1) KR970006646B1 (ko)
DE (1) DE68915186T2 (ko)
HK (1) HK1002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010A (en) * 1990-04-05 1993-07-06 Micr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interleaved access of multiple memories by multiple ports
JP2854680B2 (ja) * 1990-06-15 1999-02-03 株式会社東芝 Icメモリカード
US5235551A (en) * 1991-01-08 1993-08-10 Pacific Data Products, Inc. Memory addressing scheme
JPH06274397A (ja) * 1993-03-24 1994-09-30 Toshiba Corp ファイル管理方式
WO1997034265A1 (de) * 1996-03-11 1997-09-18 Kaba Schliesssysteme Ag Identifikationsmedium mit passivem elektronischem datenträger
SG54485A1 (en) * 1996-03-29 1998-11-16 Toshiba Kk File managing method requiring a change in key data and ic card device using the method
TW357298B (en) * 1996-09-12 1999-05-01 Toshiba Corp IC card portable terminal
FR2765362B1 (fr) * 1997-06-26 2001-08-17 Bull Cp8 Module de securite comportant des moyens de creation de liens entre des fichiers principaux et des fichiers auxiliaires
JPH1153482A (ja) * 1997-07-31 1999-02-26 Fujitsu Ltd カード読み取り装置
JP4051510B2 (ja) 1998-07-16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記憶方法
DE19847414A1 (de) * 1998-10-14 2000-04-20 Orga Consult Gmbh System zur Verarbeitung von Informationen und Informationsträger
FR2785424B1 (fr) * 1998-10-30 2000-12-15 Schlumberger Ind Sa Dispositif pour la gestion d'acces dans une carte a circuit integre
DE19852533C2 (de) * 1998-11-08 2002-05-29 Florian Hoeffle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Daten und/oder Applikationen in mindestens einem Datenspeicher und/oder Mikroprozessor eines mobilen Datenträgers
JP2000231608A (ja) * 1999-02-10 2000-08-22 Hitachi Ltd 移動体識別装置及びicカード
JP4204133B2 (ja) * 1999-02-26 2009-01-07 ロー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WO2002035464A2 (fr) * 2000-10-23 2002-05-02 Omega Electronics S.A. Systeme d'identification electronique sans contact
JP4393733B2 (ja) * 2001-11-27 2010-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
US6892985B2 (en) * 2002-07-25 2005-05-17 The Boeing Company Store ejection system with disposable pressure vessel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US7844961B2 (en) * 2004-12-22 2010-11-30 Sap Ag Automatic field linking
US7788438B2 (en) * 2006-10-13 2010-08-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ulti-input/output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9529708B2 (en) 2011-09-30 2016-12-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figuring partitions within phase change memory of tablet computer with integrated memory controller emulating mass storage to storage driver based on request from software
US9430372B2 (en) 2011-09-30 2016-08-3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that stores bios in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CN103946811B (zh) 2011-09-30 2017-08-11 英特尔公司 用于实现具有不同操作模式的多级存储器分级结构的设备和方法
CN103946814B (zh) 2011-09-30 2017-06-06 英特尔公司 计算机系统中的非易失性随机存取存储器的自主初始化
US20130275661A1 (en) * 2011-09-30 2013-10-17 Vincent J. Zimmer Platform storage hierarchy with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with configurable partitions
TW201427366A (zh) * 2012-12-28 2014-07-01 Ibm 企業網路中為了資料外洩保護而解密檔案的方法與資訊裝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9837A (en) * 1971-06-24 1974-08-13 Honeywell Inf Systems Controller for rotational storage device having linked information organization
US3828320A (en) * 1972-12-29 1974-08-06 Burroughs Corp Shared memory addressor
FR2523745B1 (fr) * 1982-03-18 1987-06-26 Bull Sa Procede et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logiciel livre par un fournisseur a un utilisateur
US4575827A (en) * 1984-05-18 1986-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rchiving data recording
JPH0818473B2 (ja) * 1985-07-31 1996-02-28 トッパン・ムーア株式会社 機密水準を設定できるicカード
JPH0635227B2 (ja) * 1985-07-31 1994-05-11 トツパン・ム−ア株式会社 更新情報と履歴情報の読出し手段を有するicカ−ド
US4742215A (en) * 1986-05-07 1988-05-03 Personal Computer Card Corporation IC car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2117A2 (en) 1989-09-13
EP0332117A3 (en) 1990-05-30
KR890015151A (ko) 1989-10-28
DE68915186T2 (de) 1994-08-25
US5097118A (en) 1992-03-17
HK1002922A1 (en) 1998-09-25
DE68915186D1 (de) 1994-06-16
EP0332117B1 (en) 199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646B1 (ko) 휴대가능전자장치
US4985615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key data for limiting memory access
KR960005397B1 (ko) 휴대가능전자장치
US5161256A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file area in memory area of ic card
KR100417502B1 (ko)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한 데이터 교환 시스템
EP0330404B1 (en) Integrated circuit cards
KR970007267B1 (ko) Ic 카드의 데이터처리시스템 및 그 데이터처리방법
JP2537199B2 (ja) Icカ―ド
JPH06274397A (ja) ファイル管理方式
JPS63204493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US20060206704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data transmission system
JPH0440587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US5384454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671213B2 (ja) Icカード
JP301773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695857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0250286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3004236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携帯可能電子装置におけるアクセス管理方法
US7296289B2 (en) Setting or changing an access condition for an access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537200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H0253154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3209994B2 (ja) 携帯可能電子装置
JP2001202487A (ja) 携帯可能電子装置およびキー照合方法
JPH0746376B2 (ja) Icカード
JP3015376B2 (ja) Ic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