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25B1 - 계단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계단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25B1
KR970006625B1 KR1019890011608A KR890011608A KR970006625B1 KR 970006625 B1 KR970006625 B1 KR 970006625B1 KR 1019890011608 A KR1019890011608 A KR 1019890011608A KR 890011608 A KR890011608 A KR 890011608A KR 970006625 B1 KR970006625 B1 KR 97000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input
nmos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567A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625B1/ko
Publication of KR91000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e.g. staircase waveform
    • H03K4/02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e.g. staircase waveform using digital techniques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계단파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계단파 발생회로도.
제2a도는 P형 전류미러의 구성도이고, b도는 N형 전류미러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입력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한 카운터의 예시도.
제4a도 내지 e도는 제3도의 출력파형도.
제5도는 제3도 카운터의 입력파형 선택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계단파 발생회로도.
제7도는 제5도의 출력파형도.
제8도는 제6도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F1-FF6 : 플립플롭 I1-I11 : 인버터
T1-T8 : 전송게이트 P1-P4 : P형 전류미러
N1-N4 : N형 전류미러 RN, RP: 저항
B1 : 버퍼
본 발명은 계단파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미러의 입력대 출력전류를 조정하여 확실한 계단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계단파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계단파 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 접속된 저항(R1-Rn)의 접속점에 순차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W1-SWn)의 일측단자가 각기 접속되고, 이 스위치(SW1-SW4)의 타측단자가 출력단자(Vout)에 공통 접속되어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제어신호 입력단자(a,b,c,d,…,n)에 스위치(SW1-SWn)를 순차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시켜 계단파가 발생되게 하는데 즉, 제어신호 입력단자(a,b,c,d,…,n)에 (1,0,0,0,0,……), (0,1,0,0,……), (0,0,1,0,……), (0,0,0,1,……)과 같은 제어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출력단자(Vout)에 계단파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계단파 발생회로에 있어서는 제어신호 및 스위치 접점 불량 등으로 인하여 정확하고 안정된 계단파를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미러 및 카운트회로를 이용하여 확실한 계단파를 안정되게 출력할 수 있는 회로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a도는 피모스(PM1-OM3)로 구성한 피형 전류미러(P)를 보인 것이고, b도는 엔모스(NM1-NM4)로 구성한 N형 전류미러(N)를 보인 것이다.
또한 제3도는 D형플립플롭(FF1-FF4)을 직렬 접속하여 구성한 카운터의 예시도로서 출력단자(Q1-Q5)의 출력파형은 제4a도 내지 e도와 같으며, 이 카운터회로의 출력데이타(
Figure kpo00001
)를 제5도 선택회로의 입력데이타로 사용하여 클럭펄스(CK8)의 제어에 의해 전송게이트(T1-T8)에 데이타(X1-X5)를 출력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제6도는 본 발명의 계단파 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5도의 출력데이타(X1-X4)를 인버팅시킨 데이타(
Figure kpo00002
)가 각기 입력되는 P형미러(P1-P4)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하여 이 접속점을 저항(RP)에 접속함과 아울러 이 접속점(VP)을 엔모스(NM4)를 통해 버퍼(B1)의 입력단자에 접속한 후, 상기 제5도의 출력데이타(X1-X4)가 각기 인가되는 N형미러(N1-N4)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하여 이 접속점을 저항(RN)접속함과 아울러 이 접속점(VN)을 엔모스(NM5)를 통해 상기 버퍼(B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제5도의 출력데이타(X5)를 직접 상기 엔모스(NM4)의 게이트에 인가시키고, 인버터(I11)를 통해서 상기 엔모스(NM5)의 게이트에 인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버퍼(B1)의 출력단자를 출력단자(V0)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5도는 전형적인 선택회로(MUX)로써 16분주된 클럭신호(CK8)에 의해 전송게이트(T1-T8)가 제어되므로, 이에 따라 입력데이타가 선택되어 출력되게 되는데, 즉 클럭신호(CK8)가 0일 때 각각 출력데이타 X1=
Figure kpo00003
의 반전 출력데이타, X2=
Figure kpo00004
의 반전 출력데이타, X3=
Figure kpo00005
의 반전 출력데이타, X4=
Figure kpo00006
의 반전 출력데이타, X5=
Figure kpo00007
의 반전 출력데이타이고, 상기 클럭신호(CK8)가 1일 때 각각 출력데이타 X1=
Figure kpo00008
의 반전 출력데이타, X2=
Figure kpo00009
의 반전 출력데이타, X3=
Figure kpo00010
의 반전 출력데이타, X4=
Figure kpo00011
의 반전 출력데이타, X5=
Figure kpo00012
의 반전 출력데이타가 되며, 이와 같은 데이타의 파형도를 제7a도 내지 e도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데이타(X1-X4)가 제6도와 같이 N형 전류미러(N1-N4)를 통해 엔모스(NM5)의 드레인에 인가되고, 반전된 데이타(
Figure kpo00013
)로 변환되어서는 P형 전류미러(P1-P4)를 통해 엔모스(NM4)를 통해 엔모스(NM4)의 드레인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입력데이타(X5)가 0인 처음 4단계에서는 엔모스(NM4), (NM5)가 각기 오프, 온 되고, 이로 인하여 입력데이타(X1-X4)의 변화에 의해 상기 N형 전류미러(N1-N4)의 출력전류가 단속되므로 접속점(VN)의 전위가 변화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입력데이타(V5)가 1인 동안에서는 상기 엔모스(NM4), (NM5)가 온, 오프되고 이로 인해서 입력데이타()의 변화에 따라 상기 P형 전류미러(P1-P4)의 출력전류가 단속되므로 접속점(VP)의 전위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입력데이타(X5)가 0일 때는 변화되는 접속점(VN)의 전위가 버퍼(B1)를 통해 출력되고, 1일 때는 변화되는 접속점(VP)의 전위가 그 버퍼(B1)를 통해 출력되므로 결국 제8도와 같은 계단파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제2a도 및 b도의 출력단 피모스(PM3) 및 엔모스(NM3)와 같은 P형 전류미러(P1-P4)의 출력단 피모스 및 N형 전류미러(N1-N4)의 출력단 엔모스를 제조할 때 출력전류용량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계단파의 전압레벨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로 전류미러의 출력 전류를 변화시켜 정확한 계단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직렬 접속한 플립플롭(FF1-FF4)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Figure kpo00014
    ) 중에서 출력데이타(Q3)는 직접 인버터(I6)를 통해 데이타(X3)로 출력되게 하고, 나머지는 8분주된 클럭펄스(CK8)가 직접 또는 인버터(I1)를 통해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송게이트(T1,T2), (T3,T4), (T5,T6), (T7,T8)를 각기 통하여 데이타(X1,X2,X4,X5)로 출력되게 하며, 이 데이타(X1-X4)에 의해 변화되는 N형 전류미러(N1-N4)의 공통 출력단자와 저항(RN)의 접속점 전압을 상기 입력데이타(X5)의 반주기 동안 온되는 엔모스(NM5)를 통해 버퍼(B1)의 입력단자에 인가하고, 입력데이타(
    Figure kpo00015
    )에 의해 변화되는 P형 전류미러(P1-P4)의 공통 출력단자와 저항(RP)의 접속점 전압을 상기 입력데이타(X5)의 반주기 동안 온되는 엔모스(NM4)를 통해 상기 버퍼(B1)의 입력단자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파 발생회로.
KR1019890011608A 1989-08-14 1989-08-14 계단파 발생회로 KR97000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08A KR970006625B1 (ko) 1989-08-14 1989-08-14 계단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608A KR970006625B1 (ko) 1989-08-14 1989-08-14 계단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567A KR910005567A (ko) 1991-03-30
KR970006625B1 true KR970006625B1 (ko) 1997-04-29

Family

ID=1928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608A KR970006625B1 (ko) 1989-08-14 1989-08-14 계단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6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567A (ko) 199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4587A (en) Complementary IGFET Schmitt trigger logic circuit having a variable bias voltage logic gate section
US4806804A (en) Mosfet integrated delay line for digital signals
US5331322A (en) Current cell for digital-to-analog converter
US4366470A (en) Converter
US3663837A (en) Tri-stable state circuitry for digital computers
EP0254012B1 (en) Active load network
KR890004651B1 (ko) 인버터 제어회로
KR900002599B1 (ko) 게이트 회로장치
US4138613A (en) Switching circuit
KR970006625B1 (ko) 계단파 발생회로
US6100738A (en) High-speed current switch with complementary stages
US4516251A (en) Programmable prescaler
EP0403047A2 (en) A frequency divider circuit
KR100205004B1 (ko) 반도체 장치용 발진회로
JPH0691462B2 (ja) アナログカウンタ回路
JP2564431B2 (ja) 階段波発生回路
KR100275329B1 (ko) 반도체 소자의 링 오실레이터
KR900006822B1 (ko) Cmos lsi 내부에 구현한 뮤팅회로
US4191927A (en) Mixing circuit for digital signals
KR920002672B1 (ko) 전류스위치회로
JPH06311000A (ja) 半導体入力回路
JPH06224701A (ja) シュミットトリガ回路
JPS61173514A (ja) 信号処理回路
KR900006570B1 (ko) 브이 씨 알의 편집장치
JPH09107278A (ja) ゼロクロスシュミット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