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11Y1 -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 Google Patents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11Y1
KR970006611Y1 KR2019940032990U KR19940032990U KR970006611Y1 KR 970006611 Y1 KR970006611 Y1 KR 970006611Y1 KR 2019940032990 U KR2019940032990 U KR 2019940032990U KR 19940032990 U KR19940032990 U KR 19940032990U KR 970006611 Y1 KR970006611 Y1 KR 970006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ynthetic resin
support
ho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859U (ko
Inventor
양승룡
Original Assignee
양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룡 filed Critical 양승룡
Priority to KR2019940032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611Y1/ko
Publication of KR960019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03Producing profiled members, e.g.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지지간 일부를 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간을 사용하여 선반을 설치한 상태의 종단면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금속제 인서트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간의 사출과정의 개략적인 단면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간3 : 인서트
13,13' : 구멍21,21' : 합성수지
본 고안은 일반주택이나 건물 등의 실내벽면에 설치되는 벽부착용 선반의 지지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제인 지지간의 내부에 판상의 금속제 인서트(INSERT)를 삽입하여 사출되도록 한 것으로서 사출과정에서 인서트를 지지하는 압지핀의 자국으로 발생하는 핀공부위의 균열을 방지하여 외관불량이 없는 깔끔한 지지간을 양산할 수 있게한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과정에서 인서트가 시이트 메탈(SHEET METAL), 즉 판상의 금속재인 경우는 금형의 성형공간인 캐비티(CAVITY)내에서의 요동방지를 위하여 인서트에 관통구멍, 노치(NOTCH) 또는 끝을 구부리는 등의 방법으로 그 고정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벽부착용 선반의 지지간 역시 합성수지제의 인서트사출식 성형제품으로서, 사출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서트의 요동방지의 수단으로는 상기 고정방법중에서 인서트에 관통구멍을 뚫는 방법을 선택하여 고정측 금형상의 고정핀에 꽂아서 수직방향의 요동을 제어하고, 이에 더하여 수평방향의 요동은 고정측과 가동측 금형의 양측 캐비티내의 요소요소에 위치하는 압자핀들에 의한 양쪽면의 지지로 요동을 제어시켜 인서트의 자세를 고정되게한 것이다.
이렇게 인서트가 고정측과 가동측 금형의 캐비티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상태의 합성수지(이하 "용융수지"라 칭함)가 캐비티에 투입되어 인서트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간이 성형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사출성형에서는 금속재인 인서트와 수지의 팽창내지는 수축률이 다르기 때문에 수지의 냉각에 따르는 고화(固化)과정에서 팽창되었던 금속과 합성수지의 상이한 수축작용으로 내부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내부변형은 관통상태의 약한 압지핀의 핀공부위에 집중적으로 미치게 됨에 따라 모든 핀공부위의 균열로 인하여 성형품인 지지간의 외관이 조잡하고 사용중 습기로 인한 산화로 녹이 발생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간의 보강부재인 금속제 인서트를 내부에 삽입,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성형품의 압지핀 자국인 핀공부위의 균열발생이 배제되어 외관이 깔끔하게 돋보이고 인서트와 합성수지간의 결합이 견고한 합성수지제 지지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제 인서트의 길이방향으로 동간격의 구멍을 뚫어 금형의 캐비티내에 고정시킨 상태로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가 구멍내로 침투되어 인서트의 양쪽면에 덧씌워지는 합성수지와 일체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질(異質)간의 인서트사출에서 흔히 발생하는 들뜸현상의 방지로 결합상태가 견고하며, 또한 수지의 냉각에 의한 고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작용을 양쪽 합성수지의 결합부분인 구멍과 구멍 사이의 간격 만큼씩 동간격으로 짧게 분산시킴에 따라 수축간격의 축소로 수축률이 극소화되므로 높은 수축률로 인하여 발생되었던 핀공부위의 균열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지지간(1)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통상의 받침봉(2,2') 양측단을 끼우는 고정홈(11,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역시 길이방향으로 판상의 보강재인 금속제 인서트(3)를 삽입시켜 이 인서트(3)의 외면에 합성수지가 덧씌움되는 상태로 사출성형되도록 한 구성은 종래 지지간의 구성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특이한 점은 지지간(1)의 사출성형에 의한 냉각과정에서 이질요소인 금속제 인서트(3)와 합성수지의 수축률이 서로 상이하여 발생하는 특정부위의 균열방지를 위한 구성에 있는 것이다.
즉, 합성수지제 지지간(1)의 보강부재로 사용되는 판상의 금속제 인서트(3)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선상에 등간격의 구멍(13,13')을 뚫어서, 이들 구멍(13,13')을 뚫은 인서트(3)를 지지간(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사출성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멍(13,13')을 뚫은 인서트(3)를 삽입하여 사출성형하게 되면 용융수지(20)가 구멍(13,13')내로 침투되어 인서트(3)를 덧씌움되도록 한 양쪽의 합성수지(21,21')와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용융수지(20)의 투입으로 인서트(3)의 양쪽을 포함한 전체의 외면은 물론 각 구멍(13,13')까지 침투한 상태에서 고화과정을 거치게 되면 인서트(3) 양면의 합성수지(21,21')는 각 구멍(13,13')부분에서는 일체화가 되고, 이 일체화가 되는 부분은 길이방향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지간(1)의 길이방향으로 이러한 일체화된 부분을 일정하게 등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지지간(1)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미치는 수축작용을 일체화된 각 구멍(13)과 구멍(13')의 간격만큼씩 짧은 구간으로 분산시켜 수축률을 최소화가 되도록 구성하여, 사출성형후의 고화과정에서 후술하는 고정측과 가동측 금형(4,4')의 압지핀(14,14') 자국인 핀공(31,31')부위에 균열이 발생됨이 없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고정핀, 6,6'는 삽지공, 7은 캐비티, 8은 런너(RUNNER), 9는 노즐, 10은 고정구, 10'는 걸림돌기, 30은 지주, 40은 벽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제 지지간(1)의 사출성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동측 금형(4')이 열린상태에서 고정측 금형(4')의 전,후 고정핀(5)에 인서트(3)의 삽지공(6,6')을 끼워서 자세를 바로 잡은 후에 가동측 금형(4')을 닫으면 인서트(3)는 금형(4,4')이 합치된 상태에서 그 양쪽면이 양쪽 캐비티(7)내의 압지핀(14,14')의 선단에 눌려서 수직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인서트(3)의 자세가 요동없이 고정된 모습은 제4도의 금형(4,4')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에서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출기를 가동시켜 노즐(9)을 통하여 용융수지(20)를 사출하게 되면 노즐(9)을 벗어난 용융수지(20)는 런너(8)를 지나 캐비티(7)내로 투입되고, 투입되는 용융수지(20)는 인서트(3)의 주위를 채움과 동시에 각 구멍(13,13')에까지 골고루 침투되어 구멍(13,13')부분에서 인서트(3)의 양쪽에 덧씌워지는 용융수지와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의 고화과정을 거친후에 가동측 금형(4')을 열어 성형품을 분리하면 내부에 인서트(3)가 삽입되고 양쪽면에 압지핀(14,14')의 눌림자국인 핀공(31,31')과 삽지공(6,6')이 형성된 상태의 합성수지제 지지간(1)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서트식 사출과정은 거쳐서 성형된 합성수지제 지지간(1)에서의 압지핀(14,14')의 눌림자국인 핀공(31,31')은 등간격으로 구성한 인서트(3)의 각 구멍(13,13')부분에서 양쪽면의 합성수지(21,21')와 일체화되도록 한 것이어서 고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길이방향의 수축을 각 구멍(13)과 구멍(13') 사이 만큼씩 분산시켜 짧은 구간에서 이루어지게 함에 따른 수축률의 고화로 핀공(31,31')주위의 균열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출성형한 지지간(1)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후측단에 고정구(10)를 리벳팅한 다음, 벽면(40)에 고정설치한 지주(30)의 삽지공을 선택하여 고정구(10)의 걸림돌기(10')를 꽂아서 선반의 지지간으로 사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은 사출성형후의 냉각에 따른 고화과정에서 핀공부위의 균열발생이 없어 외관이 깔끔하고, 또한 균열부분이 없음에 따라 습기침투의 방지로 녹이 쓰는 일이 없으며, 인서트 양쪽면의 합성수지가 등간격의 구멍위치에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인서트와 합성수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받침봉(2,2') 양측단을 끼우는 고정홈(11,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판상의 보강부재인 금속제 인서트(3)를 삽입시켜 이 인서트(3)의 외면에 합성수지가 덧씌움되는 상태로 사출성형되도록 구성한 선반의 합성수지제 지지간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3)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선상에 등간격의 구멍(13,13')을 뚫은 인서트(3)와 이 인서트(3)를 지지간(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양쪽의 덧씌움된 합성수지(21,21')가 구멍(13,13')부분에서 일체화를 이루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KR2019940032990U 1994-12-06 1994-12-06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KR970006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90U KR970006611Y1 (ko) 1994-12-06 1994-12-06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90U KR970006611Y1 (ko) 1994-12-06 1994-12-06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59U KR960019859U (ko) 1996-07-18
KR970006611Y1 true KR970006611Y1 (ko) 1997-06-27

Family

ID=1940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990U KR970006611Y1 (ko) 1994-12-06 1994-12-06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59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6444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and a plastic article having a hollow rib formed thereby
KR970033203A (ko) 온수순환펌프용 펌프하우징의 성형방법과 그 성형물
KR970006611Y1 (ko)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US4619048A (en) Method for forming composite part comprising a plastic frame and a perforated metal foil
JP2634934B2 (ja) グラスラン一体型ガラスガイドの成形方法
JP2002052587A (ja) 射出成形機のマニホルド及びマニホルド製造方法並びにヒータ固定方法
JPH06305343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コア及びその成形方法
US627407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moldings using a water soluble core
JPH0571242B2 (ko)
GB2167001A (en) Method of moulding a frame around a household sieve
JP3944984B2 (ja) 樹脂成形体製造用金型
JP2000280830A (ja) ルーフレールステイの成形方法
CN218700901U (zh) 一种注塑模具镶件
JP3780053B2 (ja) ガス射出成形用ガス注入ピン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用金型
CN215882402U (zh) 用于成型插座配件的模具
JP2553527Y2 (ja) 射出成形金型
JPS6031932A (ja) モ−ルデイングの端末成形方法
JP3526543B2 (ja) クリップ付モール及びクリップ付モール製造金型
KR100217233B1 (ko)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JPS5818237A (ja) 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JP4375384B2 (ja) 樹脂成形体製造用金型
KR880003882Y1 (ko) 체결구 사출 금형(mold)
KR20010048574A (ko) 금속부재 또는 보강부재가 삽입된 수지제품의 제조방법
KR200151954Y1 (ko) 웰드라인을 방지하는 금형
JP4067229B2 (ja) 椅子の樹脂製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