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39B1 - 운동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39B1
KR970006339B1 KR1019890005780A KR890005780A KR970006339B1 KR 970006339 B1 KR970006339 B1 KR 970006339B1 KR 1019890005780 A KR1019890005780 A KR 1019890005780A KR 890005780 A KR890005780 A KR 890005780A KR 970006339 B1 KR970006339 B1 KR 97000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input shaft
torque
mo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652A (ko
Inventor
헤이자부로 가또
마사오 니시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 세이샤꾸쇼
Priority to KR101989000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339B1/ko
Publication of KR90001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운동 변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동 변환 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운동 변환 장치의 부분 단면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운동 변환 장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운동 변환 장치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입력축 2:출력축
3:전동 캠 장치 4, 4A:토오크 보상 캠 장치
5:캠 피동차 6:터릿
7:입체 캠 9, 9A:공기 실린더 장치
10, 10A:피스톤 14, 14A:실린더
15, 15A:캠 16, 16A:캠 피동차
17:모터 22:압력 조정장치
본 발명은 연속적인 회전운동을 간헐적 회전운동, 요동 회전운동 등의 특수한 회전운동, 혹은 이들 회전운동끼리, 또는 이들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조합한 것 같은 운동 등의 소정 형식의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운동 변환 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턴테이블 혹은 콘베이어 등의 피구동체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입력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전동(傳動) 캠 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형식의 운동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운동을 출력축을 거쳐 피구동체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입력축의 연속적 회전운동을 출력축의 소정 형식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 장치에 있어서는, 그 작동시에 출력축에 작용하는 토오크가 항상 변동함과 동시에, 그 토오크의 반력이 변동 토오크로서 입력축에 작용한다. 상기한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는 특히 고속작동시에 커져, 입력축의 균일한 회전을 방해하여 작동시의 진동 및 그에 수반하는 작동 오차를 발생하는 원인이 됨과 동시에, 그 변동토오크를 보상하기 위하여 큰 동력을 발생하는 큰 구동장치를 사용하거나 전동캠 장치를 크게 하거나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공 소 60-32058호 공보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운동 변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 장치는 전동캠 장치와는 별개의 토오크 보상캠 장치를 입력축에 설치하여 이 토오크 보상캠 장치에 의하여 관성 질량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입력축에 작용하는 상기 변동토오크를 토오크 보상캠 장치에 의하여 관성 질량체를 회전시킬 때에 입력축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에 의하여 상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운동 변환 장치에는 입력축에 큰 변동토오크가 작용할 때에는 이것에 대하여 관성 질량체를 큰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운동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캠 장치를 거쳐 입력축의 연속 회전 운동을 출력축의 소정 형식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장치에 있어서, 캠과 캠피동차를 가지고 캠이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토오크 보상캠 장치와, 토오크 보상캠 장치에 부하를 가하기 위한 부하체를 구성하는 기체압 실린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압 실린더 장치가, 기체압이 도입되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내에 수용되어 있어 상기 캠 피동차에 연결되고, 실린더내에 도입된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캠 피동차를 캠의 캠면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압압됨과 동시에, 그 기체를 압축, 팽창시키면서 실린더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동캠 장치를 거쳐 입력축의 운동을 출력축의 운동으로 변환할 때에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를, 상기 토오크 보상캠 장치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상기 피스톤의 실린더내에서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입력축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에 의하여 상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1실시예의 운동 변환 장치(A)는 구동장치 즉 모터(17)에 의하여 구동되는 입력축(1)의 연속회전운동을 전동캠 장치(3)를 거쳐 출력축(2)의 간헐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간헐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17)와 입력축(1)과는 모터(17)의 회전축(17a)에 감착된 풀리(19)와, 체결 부재(18)를 거쳐 입력축(1)에 감착된 풀리(20)와, 이들 풀리(19, 20)간에 감겨 걸쳐진 벨트(21)를 거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모터(17)에 의하여 입력축(1)을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전동캠 장치(3)의 주동부재는 입력축(1)에 연결된 입체캠(7)(도시한 실시예에서 롤러기어캠)으로 구성되고, 한편 그 종동부재는 입체캠(7)에 순차 계합하는 복수의 캠 피동차(5)를 주연(周緣)에 돌설한 터릿(6)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터릿(6)의 중앙부에 출력축(2)이 감착(嵌着)되어 있다.
또, 상기 운동 변환 장치(A)는 토오크 보상캠 장치(4)와, 토오크 보상캠 장치(4)에 부하를 가하기 위한 부하체를 구성하는 공기압 실린더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토오크 보상캠 장치(4)의 주동부재와 종동부재와는 각각 체결부재(8)를 거쳐 입력축(1)에 연결된 캠(15)과, 캠(15)의 캠면(15a)에 계합하는 캠 피동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 실린더장치(9)는 공기입구(12) 및 파이프(13)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도입되는 작용실(14a)를 가지고 캠(15)의 외주면의 우측부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14)와, 그 실린더(14)의 작용실(14a)내에 수용되고, 그 작용실(14a)내에서 캠(15)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피스톤(10)을 가지고 있고, 파이프(13)의 도중에는 작용실(14a)내의 공기압을 조절하고, 그에 의하여 토오크 보상장치(4)에 가해지는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정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보상캠 장치(4)의 캠(15)은 중앙부가 입력축(1)에 감착되어 있는 원반형상의 캠으로 되어 있고, 캠(15)의 외표면(15c)에, 그 외표면의 바깥쪽(제1도의 아래쪽)에 열려 있는 요(凹) 소(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소(15b)는 캠(15)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윤곽의 외주면 및 내주면(15d)을 가지고, 그 외주면이 상기 캠면(15a)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 피동차(16)는 캠면(15a)에 롤링 접촉하는 롤러부(16a)와, 롤러부(16a)를 전동(傳動)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16b)을 가지는 단일의 롤러 피동차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축(16b)이 공기압 실린더 장치(9)의 피스톤(10)의 로드(10a)에 연결되어 있어 그 로드(10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0)은 실린더(14)의 작용실(14a)에 도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항상 우측으로 압압되고, 이에 의하여 캠 피동차를 캠(15)의 캠면(15a)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피스톤(10)은 볼트(23)에 의하여 실린더(14)내에서의 회전이 방지되고 있고, 또 실린더(14)는 볼트(25)에 의하여 하우징(26)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면중 24는 니플, 28은 실린더(14)에 천설한 공기 통공(通孔)(27)의 외단을 폐쇄하는 플러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운동 변환 장치는 모터(17)에 의하여 입력축(1) 및 이것에 일체로 연결된 전동캠 장치(3)의 입체캠(7)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그 회전을 입체캠(7)과 캠 피동차(5)와의 계합에 의하여 터릿(6) 및 이것에 연결된 출력축(2)의 간헐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턴테이블 혹은 콘베이어 등의 피구동체(도시생략)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입력축(1)의 회전에 따라, 그 입력축(1)에 일체로 연결된 토오크 보상캠 장치(4)의 캠(15)이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그 회전이 캠(15)와 캠 피동차(16)와의 계합에 의하여, 실린더(14)내에서의 피스톤(1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피스톤의 왕복 운동은 실린더(14)의 작용실(14a)에 도입되어 이 작용실내에 갇혀져 있는 공기를 압축, 팽창을 행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토오크 보상캠 장치(4)를 작동시켜 피스톤(10)의 왕복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운동 변환 장치(A)의 작동시에 입력축(1)에 변동 토오크가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전동캠 장치(3)를 거쳐 입력축(1)의 연속적 회전운동을 출력축(2)의 간헐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그 출력축(2)의 운동을 피구동체에 전달할 때에는, 작동시의 마찰저항 및 특히 피구동체의 관성 등에 기인하여 출력축(2)에 작용하는 부하, 즉 토오크가 항상 변동하고, 그 토오크의 반력이 변동 토오크로서 입력축(1)에 작용한다. 이와 같이 입력축(1)에 변동토오크가 작용하면 입력축(1)의 균일한 회전이 방해되고, 이것이 운동 변환 장치의 진동 및 작동 오차 등을 발생하는 요인이 됨과 동시에, 그 변동토오크를 보상하기 위하여 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사용하거나 전동캠 장치(3)를 크게 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가, 토오크 보상캠 장치(4)가 작동하여 피스톤(10)이 작용실(14a)내의 공기를 압축, 팽창시키면서 왕복이동할 때에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에 의하여 상쇄되기 때문에 입력축(1)에는 거의 변동토오크가 작용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운동 변환 장치(A)를 설계할 때는 전동캠 장치(3)를 거쳐 피구동체를 간헐 구동할 때에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Q1)와, 토오크 보상캠 장치(4)를 거쳐 피스톤(10)을 왕복 이동시킬 때에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Q2)와의 합이 영(0)이 되도록 운동 변환 장치의 각부의 구성을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종래 간헐 구동장치 등의 캠을 사용하는 장치의 작동시에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를 계산하는 것은 널리 행해지고 있고, 상기와 같이 변동토오크 Q1과 Q2의 합을 영(0)으로 한다는 조건이 주어졌을 때에 장치 각부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용이한 일이다. 그 결정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변동토오크(Q1)는 피구동체의 관성부하에 의한 토오크, 마찰에 의한 토오크, 점성에 의한 토오크 등이 합성된 토오크이고, 변동토오크는 공기압 실린더 장치(9)에 의한 공기의 압축 팽창에 의한 토오크라고 가정했을 경우에, 다음 식 1, 식 2로 표시된다.
[식 1]
Figure kpo00001
[식 2]
Figure kpo00002
상기 식 1 및 식 2는 간헐 구동장치의 작동시에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를 계산하기 위한 공지의 공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식 1 및 식 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 식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 파라미터의 물리적 의미만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1, V1및 S1:전동캠 장치(3)의 출력축(2)의 가속도, 속도 및 변위
m1:피구동체의 부하질량
C1:점성 저하계수
K1:스프링 정수
F1:스프링의 초기장력
F1:마찰계수
Fg1:중력에 의한 힘
θ1및 θ2:할당각(출력축(2)이 1회의 산출(indexing) 즉 1회의 간헐회전을 하는데 요하는 입력축(1)의 회전각)
K2:공기압에 의한 스프링 정수
V2및 S2:공기압 실린더장치(9)의 피스톤(10)의 속도 및 변위
r1∼r5:작용점까지의 회전반경
운동 변환 장치(A)의 설계시에는 먼저 입력축(1)의 회전수, 출력축(2)의 운동형식 및 전동캠 장치(3)의 구성 등을 그 장치(A)에 연결해야 할 피구동체의 형식 및 그 부하질량 등에 따라 종래의 간헐 구동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의 결정이 행해졌을 때에는 상기 식 1에 사용되고 있는 파라미터의 수치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식 1, 식 2에 있어서, 변동토오크 Q1와 Q2의 차 Q3(비보존계 토오크)를 최소로 하도록 토오크 보상캠 장치(4) 및 공기압 실린더 장치(9)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Q1, Q2및 Q3의 관계를 아래 식 3, 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한다.
[식 3]
Figure kpo00003
[식 4]
Figure kpo00004
여기서, 전동캠 장치(3)의 입체캠(7)과 토오크 보상캠 장치(4)의 캠(15)이 동일한 입력축(1)에 감착되어 있어 그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를 상쇄할 때, θ1과θ2는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4)을 다음 식(5)과 같이 간략화할 수가 있다.
[식 5]
Figure kpo00005
그리고, 식 5에 있어서, A1, V1, S1, m1, C1, K1, F1, F1및 Fg1에 대해서는 이미 판명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Q3《Q1, 즉 Q3가 최소가 되도록 K2의 값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V2및 그 적분치인 S2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K2, V2및 S2에 의거하여 토오크 보상캠 장치(4) 및 공기 실린더 장치(9)의 구성을 설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동캠 장치(3)가 작동했을 때에 입력축(1)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는 관성부하 토오크, 마찰에 의한 토오크, 점성에 의한 토오크 등이 합성된 토오크이나, 고속 작동시에는 관성부하 토오크가 현저하게 커지고, 변동토오크는 실질적으로 관성부하 토오크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토오크 보상캠 장치(4) 및 공기압 실린더 장치(9)는 이 관성부하 토오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입력축(1)에 토오크를 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토오크 보상캠 장치(4)와 공기압 실린더 장치(9)와의 동작 관계는 토오크 보상캠 장치(4)에 의하여 왕복운동되는 피스톤(10)의 운동에너지를 그 운동에 의하여 작용실(14a)내에 공기가 압축, 팽창하는 에너지로 변환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기 압축, 팽창 에너지가 포텐셜 에너지와 동일 차원(dimension)을 가지고 있어 이것과 동가(同價)의 것이고, 따라서 토오크 보상캠 장치(4)와 공기압 실린더 장치(9)가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 성립하는 역학계, 즉 보존계의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것은 역학상 명백하다. 따라서, 그 작동에 의하여 보존계에 속하는 관성부하 토오크를 상쇄할 수 있는 한편, 비보존계에 속하는 마찰 및 점성에 의한 토오크 등은 상쇄되지 않는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압 실린더 장치(9)에는 작용실(14a)내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정장치(22)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구성은 전동캠 장치(3)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의 크기가 변화했을 때에, 그 변화에 따라 작용실(14a)내의 공기압을 변화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변화한 변동토오크 즉 관성부하 토오크를 토오크 보상캠 장치(3) 및 공기 실린더 장치(9)의 작동에 의하여 적합하게 상쇄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가져온다. 즉, 예를 들면 입력축(1)의 회전속도가 상승하면 전동캠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축에 가해지는 관성부하 토오크는 증대하나, 이럴 때에는 압력조정장치를 조절하여 작용실(14a)내의 공기압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증대한 관성부하토오크를 양호하게 상쇄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토오크 보상장치와 공기압 실린더 장치와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즉,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토오크 보상캠 장치(4A)의 캠(15A)은 중심을 입력축(1)의 중심축선과 정합시키도록 하여 볼트(30)에 의하여 입력축(1)에 연결된 원반상의 캠으로 되어 있고, 캠(15A)는 외표면(15C')에 그 외표면의 바깥쪽(제3도의 아래쪽)에 열린 요(凹) 소(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소(15b')는 캠(15A)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고 또 입력축(1)의 축선을 포함하는 일평면(X)에 대하여 상하(제4도)에 대칭형이 되도록 만곡된 윤곽의 외주면을 가지고, 그 외주면이 캠(15A)의 캠면(15a')으로 되어 있다. 한편, 토오크 보상캠 장치(15A)의 캠 피동차(16A)는 상기 캠면(15a')의 서로 180도 떨어진 위치의 각각에 롤링 접촉하는 2개의 롤러 피동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캠 피동차(16A)는 각각이 캠면(15a')에 롤링 접촉하는 롤러부(16a')와, 롤러부(16a')를 전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16b')를 가지고 있다.
또, 공기압 실린더 장치(9A)는 캠(15A)의 외측에 그 캠(15A)와 대면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4A)와, 이 실린더내의 입력축(1)의 축선으로부터 서로 역방향(제1도, 제2도의 좌우방향)에 등거리 떨어진 위치에 수용된 2개의 피스톤(10A, 10B)를 가지고 있고, 이들 피스톤(10A, 10B)이 각각 각 캠 피동차(16A)의 중심축(16b')에 연결되어 그 캠 피동차(16A)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14A)의 2개의 피스톤(10A, 10B) 사이의 부분이 작용실(14a')로 되어 있다. 이 작용실(14a')에 공기입구(12) 및 파이프(13)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피스톤(10A, 10B)은 작용실(14a')내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되고 있고, 그 압압력에 의하여 각 캠 피동차(16A)가 캠면(15a')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토오크 보상캠 장치(4A) 및 공기압 실린더 장치(9A)도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전동캠 장치(3)를 거쳐 입력축(1)의 연속회전운동을 출력축(2)의 간헐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때에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를 상쇄하는 변동토오크를 입력축(1)에 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축(1)의 좌우 양측에 피스톤(10A, 10B)가 배열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이 좌우 대칭의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캠(15A)의 회전에 따라 각 피스톤이 이동할 때에는, 각 피스톤은 서로 역방향(즉 서로 떨어지는 방향이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일량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작동시의 동적 밸런스가 얻어져 작동을 원활하게 행해지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는 캠면(15a')가 상기 일평면(X)에 대하여 대칭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캠 장치(3)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축(1)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의 패턴이 입력축의 180도의 회전마다 동일한 패턴의 반복이 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점 이외의 제2실시예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3도, 제4도에 있어서 제1도, 제2도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캠 장치를 거쳐 입력축의 운동을 출력축의 운동으로 변환할 때에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를 토오크 보상캠 장치 및 공기압 실린더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축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에 의하여 상쇄할 수가 있어, 장치의 부당한 대형화 및 소비전력의 부당한 증대 등을 수반하지 않고, 작동시의 진동 및 작동오차를 적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동캠 장치를 거쳐 입력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출력축의 소정형식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장치에 있어서, 캠과 캠 피동차를 가지고 캠이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토오크 보상캠 장치와, 토오크 보상캠 장치에 부하를 가하기 우한 부하체를 구성하는 기체압 실린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압 실린더 장치가 기체가 도입되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캠 피동차에 연결되고 실린더내에 도입된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캠 피동차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압압됨과 동시에 그 기체를 압축, 팽창시키면서 실린더내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동캠 장치를 거쳐 입력축의 운동을 출력축의 운동으로 변환할 때에 입력축에 작용하는 변동토오크를 상기 토오크 보상캠 장치의 작동 및 그것에 수반하는 상기 피스톤의 실린더내에서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입력축에 가해지는 변동토오크에 의하여 상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압 실린더 장치가 실린더내의 기체압을 조절하는 압력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운동 변환 장치.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원반상의 캠이고, 그 캠의 외표면에 그 캠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된 윤곽의 외주면을 가지고 또 캠의 외표면의 바깥쪽으로 열린 요소(凹所)가 형성되어 있어, 그 요소의 상기 외주면이 상기 캠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캠 피동차가 상기 캠면에 롤링 접촉하는 단일의 롤러 피동차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상기 롤러 피동차의 중심축에 연결된 단일의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있는 운동 변환 장치.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원반상의 캠이고, 그 캠의 외표면의 바깥쪽으로 열린 요소가 형성되고, 그 요소가 캠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되고, 또 입력축의 축선을 포함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대칭형이 되도록 만곡된 윤곽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고, 그 외주면이 상기 캠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캠 피동차가 상기 외주면의 서로 180도 간격을 둔 2개의 위치의 각각에 롤링 접촉하는 2개의 롤러 피동차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각각의 롤러 피동차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이들 롤러 피동차에 의하여 서로 이접(離接)하여 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진 2개의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있는 운동 변환 장치.
  5.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캠 장치가 입력축에 연결된 입체캠과, 그 입체캠에 순차 계합하는 복수의 캠 피동차가 주연(周緣)에 돌설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터릿을 구비하고, 입력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상기 입체캠을 거쳐 상기 터릿의 간헐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출력축으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변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캠 장치가 입력축에 연결된 입체캠과, 그 입체캠에 순차 계합하는 복수의 캠 피동차가 주연(周緣)에 돌설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터릿을 구비하고, 입력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상기 입체캠을 거쳐 상기 터릿의 간헐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출력축으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변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캠 장치가 입력축에 연결된 입체캠과, 그 입체캠에 순차 계합하는 복수의 캠 피동차가 주연(周緣)에 돌설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축에 연결된 터릿을 구비하고, 입력축의 연속회전운동을 상기 입체캠을 거쳐 상기 터릿의 간헐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출력축으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변환 장치.
KR1019890005780A 1989-04-29 1989-04-29 운동 변환 장치 KR97000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780A KR970006339B1 (ko) 1989-04-29 1989-04-29 운동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780A KR970006339B1 (ko) 1989-04-29 1989-04-29 운동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52A KR900016652A (ko) 1990-11-14
KR970006339B1 true KR970006339B1 (ko) 1997-04-25

Family

ID=1928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780A KR970006339B1 (ko) 1989-04-29 1989-04-29 운동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139A (ko) * 2002-09-02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선 이동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52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143B2 (ja) 変動トルク相殺装置
CN101004209B (zh) 摩擦传动装置
CN103459891B (zh) 摩擦辊式减速机以及电动汽车用驱动装置
JPS60256643A (ja) 減速装置
JPH07116897A (ja) 機械式プレス装置
US5544577A (en) Mechanical pressing machine with means for cancelling load fluctuation torque
US4955243A (en) Motion transforming apparatus
JPH0247623B2 (ko)
KR970006339B1 (ko) 운동 변환 장치
JPS6324177B2 (ko)
Troedsson et al. A method to determine the dynamic load distribution in a chain drive
Uzuka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several nutation motor types
HU223320B1 (hu) Fokozatmentes hajtómű és variációi
JPH0689825B2 (ja) 運動変換装置
CA1210612A (en) Differential rotary-to-rotary cam system to achieve long dwell periods with continuous rotary input
US4352296A (en) Chatter free gear driven cam actuated vacuum pump
SU1273613A1 (ru) Сильфонный двигатель
US3995709A (en) Automatic continuous transmission
SU1062946A1 (ru) Привод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 частей стана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труб
SU1697901A1 (ru) Вибровозбудитель
RU1807240C (ru) Ротационно-пластинчата машина
SU5397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в упруго установленной емкости (контейнера)
JP4084477B2 (ja) トルク補償装置
SU1553772A1 (ru) Волнова передача
KR950000331Y1 (ko) 스터링 기기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