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05B1 -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05B1
KR970006105B1 KR1019930021879A KR930021879A KR970006105B1 KR 970006105 B1 KR970006105 B1 KR 970006105B1 KR 1019930021879 A KR1019930021879 A KR 1019930021879A KR 930021879 A KR930021879 A KR 930021879A KR 970006105 B1 KR970006105 B1 KR 97000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piece
reversal prevention
rotation
reve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452A (ko
Inventor
슈이찌 후루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4001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제1도는 로터의 회전을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할 때의 역전방지구조의 평면도.
제2도는 역전방지구조의 측면도.
제3도는 로터의 회전을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로, 역전방지체를 역으로 장착한 상태로 삽입했을 때의 평면도.
제4도는 로터의 회전을 시계방향으로 설정할 때의 역전방지구조의 평면도.
제5도는 로터의 회전을 시계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로, 역전방지체를 역으로 장착한 상태로 삽입했을 때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전동기 2 : 로터
3 : 스테이터코어 4 : 스테이터 극
5 : 역전방지체 6 : 역전방지편
7 : 돌편 8 : 걸림편
9 : 걸림편 10 : 짧은원호부
11 : 긴원호부 12 : 퇴피편
본 발명은 소형전동기의 로터회전방향을 규제하는 역전방지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소형의 동기전동기 또는 교류전동기에서는 로터의 회전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방향의 회전을 필요로하는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 역전방지 수단이 장착된다. 종래의 것으로는 로터의 시계방향의 회전설정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설정에 따라서 2종류의 역전방지레버가 준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그들의 부품을 용도에 따라 분리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부품수가 많아져서 그 관리나 분리 사용이 복잡하게 된다. 또 그 역전 방지레버를 장착할 때에 앞뒤를 정확히 규제하여야만 하고, 만약 앞뒤가 역으로 장착되면, 필요한 역전방지 기능을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의 시계방향의 회전이나 반시계방향의 어느 회전방향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또 역전방지체의 앞뒤가 역으로 장착되는 것을 조립단계에서 미연에 방지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목적과 함께 본 발명은 로터의 회전에 추종시켜서 역전방지체를 로터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로터의 정전(正轉)시에는 역전방지 체의 역전방지편을 로터 돌편의 회전궤적외의 퇴출(退出)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로터의 역전시에는 역전방지체의 역전방지편을 로터 돌편의 회전궤적내로 진입시켜 돌편과 역전방지편과의 충돌에 의하여 로터의 회전을 정전방향으로 수정하는 역전방지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역전방지편과 상기 역전방지체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경선의 일측에, 로터의 2개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형전동기의 고정부에 마련된 퇴피편과 접촉하여 역전방지편의 퇴출위치를 유지하는 2개의 걸림편을 마련하고, 양 걸림편간의 회전중심에서의 거리를 한쪽을 다른쪽보다 작게 설정하여 역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로터의 어느 회전방향으로 역전방지체를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역으로 장착할 때에 역전방지체를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역전방지체의 앞뒤가 역으로 장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소형전동기(1)의 주요부분으로서의 로터(2), 스테이터코어(3)와의 관계로, 본 발명의 역전 방지구조의 주요부분 즉 역전방지체(5)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도는 로터(2)의 회전방향을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할 때의 역전방지체(5)의 장착상태를 도시하고, 또 제3도는 역전방지체(5)를 잘못 뒤집어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며, 다시 제4도는 로터(2)의 회전방향을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설정할 때의 역전방향체(5)의 장착상태를 도시하고, 또 제5도는 역전방지체(5)를 잘못뒤집어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로터(2)는 영구자석제로서 도시하지 않은 케이싱의 내부에서 로터축(13)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쪽의 측면에서 중심부와 일체적으로 돌편(7)을 가지고 있다. 또 스테이터코어(3)는 로터(2)의 외주부분을 둘러싸며 예를들면 4개의 스테이터극(4)을 형성하고 있다.
역전방지체(5)는 제2도와 같이 톱니바퀴(14)의 보스(15)의 부분에 대하여 1쌍의 탄성편(16)에 의하여 마찰적으로 회전을 받으며 또 필요에 따라서 양자간의 그리스등의 점성력에 의하여 로터(2)에 추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이 톱니바퀴(14)는 축(18)에 의하여 케이싱등에 대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로터(2)의 피니온(17)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역전방지체(5)는 원형으로서 플라스틱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분에서 1개의 역전방지편(6)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역전방지편(6)을 지나는 직경선(19)의 일측에서 역전방지체(5)의 퇴출위치를 유지하는 2개의 걸핌편(8,9)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역전방지편(6)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선단부분에서 두껍게 형성되고 보강되어 있으며, 또 돌편(7)에 확실히 닿도록 되어 있다.
걸림편(8,9)의 회전중심에 대한 중심각 α은 역전방지체(5)를 회전방향의 설정에 따라서 장착하였을 때 그때그때의 역전방지편(6)의 개방각도(β)에 대응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그들의 관계는 [중심각 α=개방각도 β-후술하는 퇴피편(12)의 두께]이다. 또 양 걸림편(8) 사이의 짧은 원호부(10)의 반경 Rl은 긴 원호부(11)의 반경 R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코어(3)는 소형전동기(1)의 고정부이고, 2개의 걸림편(8,9) 사이에서 로터(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2개의 걸림편(8,9)의 어느 것인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짧은 원호부(10)에 접근시켜서 퇴피편(12)을 예를들면 끊어 올림에 의하여 가지고 있다. 그 결과 퇴피편(12)은 짧은 원호부(10)에 접하지 않으나, 역전방지체(5)를 뒤집은 상태로 장착하였을 때 긴 원호부(11)에 접촉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로터(2)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역전방지체(5)는 제1도와 같이 장착되고, 걸림편(8)을 퇴피편(12)의 한쪽면과 대향시킨다. 소형전동기(1)의 기동시에 로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톱니바퀴(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역전방지체(5)는 톱니바퀴(14)에 추종하여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역전방지체(5)의 역전방지편(6)은 돌편(7)의 회전궤적이로 퇴출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2)의 회전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편(8)과 퇴피편(12)의 접촉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러나 기동시에 로터(2)가 시계방향으로 역전기동하면 역전방지체(5)가 톱니바퀴(14)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역전방지체(5)의 역전방지편(6)은 돌편(7)의 회전궤적내에 진출하여 그 선단부분에서 돌편(7) 측면에 충돌한다. 이 충돌의 반동에 의하여 로터(2)의 회전방향은 바른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수정된다.
역전방지체(5)의 장착과정에서, 잘못하여 역전방지체(5)의 앞뒤가 역방향으로 장착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경의 긴 원호부(11)의 일부가 퇴피편(12)에 닿으므로, 역전방지체(5) 및 톱니바퀴(14)는 축(18)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삽입불가의 상태에 의하여 역전방지체(5)의 앞뒤가 역으로 장착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 로터(2)의 회전방향을 시계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역전방지체(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핌편(9)을 퇴피편(12)의 다른쪽면과 대향하도록 장착한다. 바르게 장착한 상태에서, 로터(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역전방지체(5)는 톱니바퀴(14)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그 역전방지편(5)은 돌편(7)의 회동궤적외로 퇴출하여 걸핌편(9)과 퇴피편(12)의 접촉에 의하여 정지한다. 그러나 기동초기에 로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역전기동하면 역전방지체(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역전방지편(6)을 돌편(7)의 회동궤적내로 진입시켜 돌편(7)에 역전방지편(6)을 충돌시키므로, 이 때의 충돌에 의하여 로터(2)는 바른 방향 즉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수정된다.
로터(2)의 시계방향의 회전의 설정시에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역전방지체(5)가 잘못하여 앞뒤가 역상태 즉 역으로 장착되면 대경의 긴 원호부(11)의 일부가 퇴피편(12)에 닿기 때문에, 역전방지체(5) 및 톱니바퀴(14)는 축(18)에 대하여 바른 상태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역으로 장착된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조립 단계에서 바른 상태로 수정된다.
상기 실시예는 스테이터코어(3)의 자장의 영향을 고려하여 하나의 끊어올림에 의하여 퇴피편(12)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 퇴피편(12)은 스테이터코어(3)와 다른 부재에 의하여 스테이터코어(3)에 고정하는 수단에 의하여 마련하여도 좋고, 또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부재로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역전방지체(5)는 탄성편(16)등에 의하지 않고, 면접촉의 상태에서 톱니바퀴(14)에서 회전을 마찰적으로 회전을 받는 마찰슬립 형식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필요한 전달 토오크는 역전시에 역전방지체(5)의 역전방지편(6)을 돌편(7)의 회전궤적 구역으로 진입시키는 정도의 것으로 족하고, 너무 크게하면 로터(2)의 정전회전시의 부가하 되므로 필요 최소한 도의 것으로 하여 설정된다. 또 그리스와 같은 점성체는 온도변화에 대하여 특성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같이 탄성편(16)과 함께 이용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역전방지체가 로터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규제용으로서 공통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부품이 적어지고 그 관리나 제조공정도 생략되는 외에 역전방지체를 역으로 장착한 때에 역전방지체가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역으로 장착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Claims (1)

  1. 로터(2)의 회전에 추종시켜서 역전방지체(5)를 로터(2)의 회전방향과 역전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터(2)의 정전시에는 역전방지체(5)의 역전방지편(6)을 로터(2)의 돌편(7)의 회전궤적외의 퇴출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로터(2)의 역전시에는 역전방지체(5)의 역전방지편(6)을 로터(2)의 돌편(7)의 회전궤적내에 진입시켜, 돌편(7)과 역전방지편(6)의 충돌에 의하여 로터(2)의 회전을 정전방향으로 수정하는 역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전방지편(6)과 상기 역전방지체(5)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직경선의 일측에 로터(2)의 2개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형전동기의 고정부에 마련한 퇴피편(12)자 접촉하여 역전방지편(6)의 퇴출위치를 유지하는 2개의 걸림편(8,9)을 마련하고, 양 걸림편(8,9)간의 회전중심에서의 거리를 한쪽을 다른 한쪽보다 작게 설정하여 역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기구.
KR1019930021879A 1992-10-30 1993-10-21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KR970006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81063 1992-10-30
JP1992081063U JP2564651Y2 (ja) 1992-10-30 1992-10-30 小型電動機の逆転防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452A KR940010452A (ko) 1994-05-26
KR970006105B1 true KR970006105B1 (ko) 1997-04-23

Family

ID=1373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79A KR970006105B1 (ko) 1992-10-30 1993-10-21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64651Y2 (ko)
KR (1) KR970006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452A (ko) 1994-05-26
JP2564651Y2 (ja) 1998-03-09
JPH0641372U (ja) 199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353A (en) Stepping motor-driven sector opening/closing device
US5248260A (en) Cable reel
CN111033080B (zh) 带减速机构的马达
GB1562630A (en) Control means for a movement-transmission member
PT730710E (pt) Inalador que compreende um dispositivo para a transmissao de um binario unidireccional
KR970006105B1 (ko) 소형전동기의 역전방지구조
JP2002034139A (ja) 回転接続装置
US2874809A (en) Rotation controlling device
WO1986002251A1 (en) Mechanism for limiting angle of rotation of rotor
KR100331713B1 (ko) 모터의동력을가동부재에전달하는장치
US4532444A (en) Rotational restriction lock for the rotor of a synchronous motor
EP0071875A1 (en) Limited rotation electrical coupling device
FI84767B (fi) Omstaellningsanordning foer elektrisk kontakt.
US3200915A (en) No-back mechanism for small synchronous motors
JPH04105540A (ja) 2極単相同期モータ
US4061936A (en) Synchronous motor
US5586088A (en) Metronome mechanism
JP2586679Y2 (ja) モータ
US3001092A (en) Stepper motor
KR900007222Y1 (ko) 모터의 자석보호 지지장치
WO2024065782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encoder and encoder
KR0136101Y1 (ko)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JPH03112337A (ja) リニア モーション モータのエンドストップ機構
EP0524574A1 (en) Actuating device, particularly for activating the safety lever of a vehicle door lock
US4182952A (en) Centrifuga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