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101Y1 -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101Y1
KR0136101Y1 KR2019950034449U KR19950034449U KR0136101Y1 KR 0136101 Y1 KR0136101 Y1 KR 0136101Y1 KR 2019950034449 U KR2019950034449 U KR 2019950034449U KR 19950034449 U KR19950034449 U KR 19950034449U KR 0136101 Y1 KR0136101 Y1 KR 013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liders
door actuator
flywhee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68U (ko
Inventor
정병성
Original Assignee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Priority to KR2019950034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101Y1/ko
Publication of KR970026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목적)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확실한 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를 제공함.
구성) 모터(4)의 출력축(20) 종단에 플라이 휘일(28)을 장착 고정하고, 이 플라이 휘일(28)의 외주로 1쌍의 안내공(38)을 대칭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안내공(30)에는 토션스프링(32)에 의해 위치 보전되는 1쌍의 슬라이더(30)를 각각 수납 배치하고, 또한 워엄축(24)의 종단부로는 상기한 플라이 휘일(28)의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시일드(26)를 장착 고정하여 그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계지돌기(36)가 상기한 슬라이더(30)와 연게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터 크러치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 액츄에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정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묘사된 크러치장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모터 20 : 출력축
24 : 워엄축 26 : 시일드
28 : 플라이 휘일 30 : 슬라이더
32 : 토션스프링 36 : 게지돌기
38 : 안내공
본 고안은 모터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로크기구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에 도어 액츄에이터 가 보유하고 있는 모터가 연동되지 않게 하기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 용 모터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액츄에이터 는 차량의 도어 래치를 시정 및 해정시키기 위한 도어 로크기구의 주요 부품으로서 상기한 도어 래치에 링크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상기한 도어 로크기구에서 도어 액츄에이터 는 내부에 수납된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한 도어 래치를 시정 또는 해정시켜 주게 되어 있다.
제3도는 종래의 도어 액츄에이터 에 관한 내부 구성을 묘사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모터(4)가 수용되어 있고, 이 모터(4)의 축에 연결된 워엄기어(6)는 워엄휘일(8)을 종동 시키게 되어 있다.
또, 워엄휘일(8)의 중심에는 피니온(10)이 축 지지되어서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고, 이 피니온(10)은 랙(12)과 치차 연결되어 이를 연동시킴으로써 상기한 랙(12)에 연결된 로드(14)를 승강 작동하게 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로드(14)는 링크를 개재하여 도어 래치로 연결되어 이를 시정 및 해정시키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모터(4)아 워엄기어(6) 사이에는 클러치(18)가 개재된다.
이 클러치(18)는 모터(4)가 회전 구동할 때에 그 회전력을 워엄기어(6)로 전달되게 하고, 반대로 동력이 워엄기어(6)에서 모터(4) 쪽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를 차단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에를 들면 도어 로크기구는 상기한 도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나, 때로는 승객이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한 모터(4)에는 클러치(18)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 로크기구의 수동 조작은 로드(14)를 통해 도어 액츄에이터로 전달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에 클러치(18)가 존재하지 않으면 피니온(10)과 워엄휘일(8), 그리고 워엄기어(6)를 경유하여 모터(4)까지 연동되어 상당한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로크기구의 수동 조작이 가볍게 될 수 없는 무제가 생기므로 상기한 클러치(18)는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도어 액츄에이터에서 클러치(18)의 일반저인 구조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되어 있다.
모터(4)에서 연장된 출력축(20)은 그 종단부의 외주에 복수개의 마그네트(22)를 설치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워엄기어(6)를 지지하는 워엄축(24)의 종단부에는 자성체로 된 시일드(26)가 장착되어서 상기한 마그네트(22)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출력축(20)이 회전할 때에 그 종단부의 마그네트(22)도 함께 회전하면서 소용돌이 자계를 일으키게 되고, 이 자계의 연향으로 워엄축(24)의 시일드(26)가 연동 회전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동력의 단속을 구현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오래 사용하면 상기한 시일드(26)가 자화되어 수동 조작 시에 부하로 나타나게 되고, 또 모터(4)의 회전수도 비교적 높게 설정되어 있어야만 소기의 동력 단속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모터 크러치장치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확실한 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의 출력축 종단에 플라이휘일을 장착 고정하고, 이 플라이 휘일의 외주로 1쌍의 안내공을 대칭되게 형성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한 안내공에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위치 보전되는 1쌍의 슬라이더를 각각 수납 배치하고, 또한 워엄축의 종단부로는 상기한 플라이휘일의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시일드를 장착 고정하여 그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계지 돌기가 상기한 슬라이더와 연계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한 1쌍의 슬라이더가 외주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므로써 상기한 시일드의 게지돌기와 접촉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모터의 비회전 시에는 토션스프링이 양 슬라이더를 압박하여 플라이 휘일의 안내공으로 몰입되어 있게 함으로써 동력이 차단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시릿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제3도 및 제4도에 묘사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모터(4)는 그 출력축(20)의 종단부에 플라이 휘일(28)을 고정 장착시키고 있다. 이 플라이 휘일(28)의 외주면에는 대칭방향으로 1쌍의 슬라이더(30)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토션스프링(32)에 의해 일정의 위치로 보전된다.
한편, 워엄축(24)의 종단부에는 상기한 플라이 휘일(28)의 주위를 둘러싸는 시일드(34)가 장착 고정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한 슬라이더(30)에 연계되는 1쌍의 게지돌기(36)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플라이 휘일(28)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이 1쌍의 슬라이더(30)를 수납하기 위한 안내공(38)과, 상기한 토션스프링(32)이 삽입 배치되는 홈(40)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안내공(38)은 상호 대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홈(40)은 실제에 있어서 이들 안내공(38) 사이를 연결하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4)가 회전할 때 플라이 휘일(28)의 주위로 발생하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양 슬라이더(30)는 안내공(38)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이 경향은 모터(4)의 회전력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그러므로 원심력에 의한 영향이 토션스프링(32)의 탄성력을 초월하게 되면, 양 슬라이더(30)가 안내공(38)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양 슬라이더(30)의 위치 이동이 워엄축(24)의 시일드(34)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돌기(36)와 맞닿게 되는 범위까지 이르게 되면 상기한 양 슬라이더(30)가 각각 대응하는 게지돌기(36)에 걸려진 채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한 워엄축(24)이 연동하여 동력 전달 상태로 된다.
반대로 모터(4)가 비회전상태이면 플라이 휘일(28)에 생성된 원심력이 소멸되어 버리므로 토션스프링(32)의 탄성력이 다시 작용하여 양 슬라이더(30)를 안내공(38)으로 밀어 넣게 된다.
따라서 양 슬라이더(30)와 계지돌기(36) 사이가 벗겨져서 동력 차단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토션스프링에 구속된 1쌍의 스랄이더를 플라이 휘일의 외주에 배치시킨 간단한 구조 만으로 모터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므로 마그네트 등에 의해 자화되는 일이 없어 오래 사용하여도 수동 조작 시의 감각이 가볍게 유지되고, 또한 모터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낮게 설정하여도 작동되기 때문에 실용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모터(4)의 출력축(20) 종단에 장착 고정되는 플라이 휘일(28)과, 상기한 플라이 휘일(28)의 외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1쌍의 안내공(38)과, 상기한 양 안내공(30) 사이로 오목하게 새겨지는 홈(40)과, 상기한 양 안내공(30)으로 활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1쌍의 슬라이더(30)와, 상기한 양 슬라이더(30)를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한 홈(40)으로 삽입 배치되는 토션스프링(32)과, 워엄축(24)의 종단부에 장착 고정되어서 상기한 플라이 휘일(28)의 주위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내주면에 상기한 슬라이더(30)와 연계되는 계지돌기(36)를 갖추고 있는 시일드(26)로 이루어진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KR2019950034449U 1995-11-20 1995-11-20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KR0136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449U KR0136101Y1 (ko) 1995-11-20 1995-11-20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449U KR0136101Y1 (ko) 1995-11-20 1995-11-20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68U KR970026068U (ko) 1997-06-20
KR0136101Y1 true KR0136101Y1 (ko) 1999-05-15

Family

ID=1942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449U KR0136101Y1 (ko) 1995-11-20 1995-11-20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1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41A (ko) 2022-06-02 2023-12-11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추에이터용 멀티디스크 클러치 장치
KR20230171108A (ko) 2022-06-13 2023-12-20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도어 액추에이터용 모터 클러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41A (ko) 2022-06-02 2023-12-11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추에이터용 멀티디스크 클러치 장치
KR20230171108A (ko) 2022-06-13 2023-12-20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도어 액추에이터용 모터 클러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68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914A (en) Centrifugal clutch with radially movable magnetic member
US4966266A (en) Clutch for automobile door lock actuator
KR870009096A (ko) 전자 록킹시스템 및 이의 키 시스템
US4223773A (en) Drive engaging apparatus
KR930000008A (ko) 릴의 클러치 구조
KR960011188A (ko) 차량용 마찰 클러치의 엑츄에이팅 장치
JPS5872728A (ja) 電磁クラツチ機構を備える減速装置
KR0136101Y1 (ko)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ITMI941372A1 (it) Azionamento rotante chiudibile per interruttori di potenza con una serratura per l'apparecchio elettrico con un glifo di manovra
DE3477221D1 (en) Safety locking installation with a biaxial clutch device, locking magnet, driver and reserve circuit
RU1828559C (ru) Пружинный привод прерывистого действи дл силовых переключателей ступенчатых выключателей
US4893038A (en) Device for limiting direction of rotation of synchronous motor
EP0310570A3 (en) Torque transmitting device
KR19980018375A (ko) 모터의 동력을 가동부재에 전달하는 장치
JPH0312065Y2 (ko)
JPH04336187A (ja)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SU677049A1 (ru) Бесконтактна магнитна черв чна передача
US5909787A (en) Electromagnetic clutch
KR0136258Y1 (ko) 도어 액츄에이터용 모터 클러치장치
EP0201464A1 (en) Device for manoeuvring fast connection tangential button operated of splined profile clutches, especially on end forks of agriculture cardanic shafts
ES296476U (es) Un tope de desembrague, principalmente para vehiculo automovil
JPS59109678A (ja) ロツク装置
JPH0681966B2 (ja) 車両の施解錠装置
FR2510213B1 (ko)
JP3865824B2 (ja) 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