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57B1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5857B1 KR970005857B1 KR1019930025584A KR930025584A KR970005857B1 KR 970005857 B1 KR970005857 B1 KR 970005857B1 KR 1019930025584 A KR1019930025584 A KR 1019930025584A KR 930025584 A KR930025584 A KR 930025584A KR 970005857 B1 KR970005857 B1 KR 970005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key
- drive shaft
- center
- compress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57—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 종단면도.
제2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의 단면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4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관한 카운터웨이트의 정면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 부시의 정면도.
제6도는 실시예의 압축기에 관한 제14도의 A-A선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 모식도.
제8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제19도 상태에서 편심량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모식도.
제9도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제19도 상태에서 편심량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모식도.
제10도는 종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모식도.
제11도는 종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모식도.
제12도는 종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모식도.
제13도는 종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14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대한 종단면도.
제15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16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 단면도.
제17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한 카운터 웨이트의 정면도.
제18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 부시의 정면도.
제19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구동축, 카운터웨이트 및 부시를 맞붙인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의 정면도.
제20도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 부쉬 및 슬라이드 키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
제21도는 실시예 3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22도는 실시예 4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23도는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요부 모식도.
제24도는 종래의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제25도는 앞서 제안된 압축기에 관한 구동축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 스크롤 3 : 가동 스크롤
32 : 주베어링부 33 : 구동축
33d : 큰 직경부 33b : 센터 홈
34 : 슬라이드 키 34a : 원주 형상 볼록부
36 : 구동부시 38 : 베어링부
39 : 압축실 50 : 센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동축에 돌출 설치하는 슬라이드키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이하, 간단히 압축기라 한다)로서 특개평4-50489호 공보 개시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는 하우징내에 고정측판과 고정 소용돌이체로 이루어진 고정 스크롤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는 가동측판 및 가동 소용돌이체로 이루어진 가동 스크롤이 서로 180。위상을 비켜서 맞물려져 있다. 또 하우징에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은 베어링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구동축의 상단에는 슬라이드키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키에는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구동부시가 끼워맞추져 있고, 상기 구동부시는 올덤 커플링으로 이루어진 자전 기구와의 협동으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가동 스크롤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슬라이드키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의 축심을 Os, 구동 부시의 축심을 Ob로 하는 경우, 구동축의 회전 방향(M)으로 α。경사되는 키 축선(S)을 가지며, 키 축선(S)상에 중심(Op)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에는 구동축이 축심(Os)를 중심으로 방향(M)에서 회전되어지면, 구동부시는 슬라이드키에 의해 구동된 축심(Ob)을 중심으로, 다시 말하면 설정 운전시에 거리(Os Ob)를 곤전반경(R)으로 하는 공전원(rc)에 따라 회전한다. 구동 부시의 회전은 베어링을 매개로 가동 스크롤에 전달되고, 가동 스크롤이 올덤 커플링에 의해 자전을 방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동 스크롤은 공전운동만 실행한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과 가동 스크롤의 만물림에 의해 형성된 압축실이 순차 용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냉매를 유체 흡입구로부터 압축실내로 흡입하고, 압축실내의 냉매를 순차 압축하여 토출실로 토출한다.
이때, 편심 방향에 y축, 편심방향과 직각에 x축을 취하여, 공전원(rc)에 구동부시의 축심(Ob)에서 접하는 접선(1)을 그리면 슬라이드키에는 구동축에서 키 축선(S)에 직각 또한 회전 방향(M)측에 구동력(F1)이 작용함과 동시에, 구동 부시의 자전 운동 및 가동 스크롤의 공전 운동을 행하기 위해 원심력(Fc)이 y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시는 슬라이드키의 끼워맞춤에 의해 키축선(S)에 따라 한정된 조정 직선 미끄럼운동이 허용되어 있다.
결국 구동력(F)을 x축(접선1)에 평행한 분력(Ft)과, 접선(1)에 수직인 분력(Fn)으로 분해하면, 분력(Ft)은 거의 접선(1)상에 작용하는 구동부시가 가동 스크롤로부터 받은 압축반력과 균형을 이룬다. 또 원심력(Fc)과 분력(Fn)과의 차, 다시 말하면 구동력(F)과 원심력(Fc)의 합력(Fp)의 y축 성분(Fpn)에 의해 구동 부시는 편심량(R)을 증가하는 방향(y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한다.
그 때문에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92)가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91)에 압착되도록 압축실의 직경 방향의 시일이 확보되어 있다. 동시에 구동부시는 편심량(R)을 감소한 방향(y축의 마이너스측)으로도 조정 미끄럼 운동가능하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91,92)의 상대 위치관계에 발생하는 미세한 차이를 흡수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정지시와 이물질 흡입등에 있어서 가동 스크롤의 역전에 기인하는 양쪽 소용돌이체(91,92)의 파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로서, 특개평2-176479호 공보 기재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는 하우징 내에 고정측판과 고정 소용돌이체로 이루어진 고정 스크롤의 고정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는 가동측판과 가동 소용돌이체로 이루어진 가동 스크롤이 서로 180。위상을 비켜서 맞물려져 있다. 또 하우징에는 구동축이 베어링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구동축의 후단에는 슬라이드키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키에는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구동부시가 끼워맞춰져 있고, 상기 구동부시는 자전 방지 기구와의 협동으로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가동 스크롤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키는 제 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의 축심을 Os, 구동부시의 축심을 Ob로 하는 경우, 구동축의 회전 방향(M)과 반대로 α。경사되는 키 축선(S)상에 축심(Op)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에는 구동축이 축심(Os)을 중심으로 방향(M)으로 회전되어지면, 구동부시는 슬라이드키에 의해 구동된 축심(Ob)을 중심으로, 다시 말하면 운전시동시에 설정 거리 (Os Ob)를 공전반경(R)으로 하는 공전원(rc)에 따라 회전한다.
구동부시의 회전은 베어링을 매개로 가동 스크롤에 전달되고, 가동 스크롤이 자전 방지기구에 의해 자전을 방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동 스크롤은 공전운동만 실행한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과 가동 스크롤의 맞물림에 의해 형성된 압축실이 순차 용적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냉매 가스를 유체 흡입구로부터 압축실내로 흡입하고, 압축실 내의 냉매 가스를 순차 압축하여 토출실로 토출한다.
이때, 편심 방향에 y축, 편심방향과 직각에 x축을 취하여, 공전원(rc)에 구동부시의 축심(Ob)에서 접하는 접선(1)을 그리면 슬라이드키에는 구동축에서 키축선(S)에 직각 또한 회전 방향(M)측에 구동력(F1)이 작용함과 동시에, 구동 부시의 자전 운동 및 가동 스크롤의 공전 운동을 행하기 위해 원심력(Fc)이 y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시는 슬라이드키의 끼워맞춤에 의해 키축선(S)에 따라 한정된 조정 직선 미끄럼운동이 허용되어 있다.
결국 구동력(F)을 x축(접선1)에 평행한 분력(Ft)과, 접선(1)에 수직인 분력(Fn)으로 분해하면, 분력(Ft)은 거의 접선(1)상에 작용하는 구동부시가 가동 스크롤로부터 받은 압축반력과 균형을 이룬다. 또 원심력(Fc)이 작더라도 구동력(F)과 원심력(Fc)의 합력(Fp)은 반드시 y축의 플러스측으로 경사지고, 합력(Fp)의 y축 성분(Fpn)은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를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에 압착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가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로 압착되어 구동축의 저 회전시에도 압축실의 직경 방향의 기밀이 확보되게 된다.
동시에 구동 부시는 편심량(R)을 감소하는 방향(y축의 마이너스측)으로도 조정 미끄럼 운동가능하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의 상대 위치 관계에 발생하는 미세한 차이를 흡수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정지시와 이물질 혼입등에 있어서 가동 스크롤이 역전에 기인하는 양쪽 소용돌이체의 파괴를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기 위한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의 회전수가 낮음으로 인해 원심력(Fc)이 작게 되면 구동력(F)과 원심력(Fc)의 합력(Fp)이 y축의 마이너스측으로 경사지고, 합력(Fp)의 y축 성분(Fpn)은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92)를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91)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용된다. 그 때문에 구동축이 저회전시에는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할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그러한 과제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키가 구동축의 반 회전 방향으로 α。경사지는 키축선(S)을 가짐으로서 해결된다. 특개평2-176179호 공보에는 그러한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에서는 원심력(Fc)이 작더라도 구동력(F)과 원심력(Fc)의 합력(Fp)은 반드시 플러스측으로 경사지고, 합력(Fp)의 y축 성분(Fpn)은 가동 스크롤의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92)를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91)에 압착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91,92)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구동축의 저회전시에도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드키가 구동축의 반 회전 방향으로 α。경사지는 키축선(S)을 갖는 것으로 할지라고,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축선(S)이 구동 부시의 축심(Ob)을 통과하는 것이라면, 키축선(S)상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키의 중심(Op)을 구동축의 축심(Os)에서 직접적으로 계측하는 일이 불가능하고, 중심(Op)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다. 그리고 그러한 곤란성 하에서 슬라이드키의 중심(Op)을 기초한 편심 방향(y축방향)에서 구동축의 반회전방향으로 α。경사지는 키축선(S)을 가정하고, 키축선(S)에서 미끄럼 운동면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를 위해 상기 경우에는 슬라이드키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므로 압축기의 양산화에 큰 비용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축선(S)이 구동 부시의 축심(Ob)을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면, 키축선(S)상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키(90)의 축심(Op)에서 구동축의 축심(Os)에서 직접적으로 계측하는 일이 불가능하고, 축심(Op)의 위치 결정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상기 곤란성하에서 슬라이드키(90)의 축심(Op)에 기초하여 편심방향(y축방향)에서 구동축의 반회전방향으로 α。경사지는 키축선(S)을 가정하여 키축선(S)과 평행하게 미끄럼운동면 (90a)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양쪽 소용돌이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구동축의 저회전시에도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스크롤과 상기 고정 스크롤과 맞물림으로서 압축실을 형성하는 가동 스크롤과, 베어링을 매개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큰 지름부 내단부에 돌출 설치된 슬라이드키와, 상기 슬라이드키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진 자전 방지 기구와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가동 스크롤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기종 스크롤의 공전 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스크롤의 공전 운동에 의해 상기 압축실이 냉매 가스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 가스의 압력을 높여 토출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는 상기 구동축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구동부시의 축심까지의 거리를 공전 반경으로 하는 공전원으로 하고, 상기 공전원에 상기 구동부시의 축심에서 접하는 접선과, 상기 구동축의 축심에서 상기 구동축의 반회전방향으로 경사지는 키 축선을 그려, 상기 접선과 키축선의 교점을 축심으로 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키축선과 평행하게 2면폭을 설치함으로서 형성되어지는 신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키는 상기 구동축의 축심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반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는 키 축선을 그려, 상기 구동축의 축심과 구동부시의 축심의 접속선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반회전방향측의 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상의 정점을 축심으로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기둥 형상부에는 상기 키축선과 평행하게 나뉘어진 미끄럼 운동면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점 위치는 상기 구동축 축심의 센터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정된 것이라는 신규 수단을 꾀하고 있다.
구체적인 형태인 점검 위치는 구동축의 큰 지름부 내단부에 있어서 슬라이드키를 돌출 설치시킨 아랫면 또는 슬라이드키의 윗면에 존재한다.
[작용]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슬라이드키의 키축선이 구동축의 반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구동축의 회전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구동력은 반드시 편심 방향측으로 경사져 작용한다. 이 때문에 구동력의 편심 방향 성분은 가동 스크롤의 가동 소용돌이체를 고정 스크롤의 고정 소용돌이체에 압착되도록 작용하고, 양쪽 소용돌이체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구동축의 축심에서 설정 각도로 키축선을 그어 공전원에 구동 부시의 축심에서 접하는 키축선의 교점을 구하면, 상기 교점이 슬라이드키의 축심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키의 축심을 구동축의 축심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축심의 위치 결정이 용이함으로 볼록부가 용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에 키축선과 평행하게 2면폭을 나눔으로서 미끄럼 운동면이 얻어져서, 슬라이드키는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압축기의 양산화에도 그다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더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드키의 축심으로 이루어진 정점 위치는 구동축 축심의 센서 지지를 하기 위해 선정되어 있고, 센터홀은 슬라이드키의 주위면과 간섭하는 일없이 구동축의 축심에 확실히 오목 설치되며, 또한 센터도 슬라이드키의 주위면과 간섭하지 않고 센터홀에 확실히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상기의 경우 기둥 형상 볼록부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기둥 형상 볼록부에 2면폭을 나누는 절삭 가공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압축기에서는 앞서 제안된 압축기와 같이 공전원에 구동 부시의 축심에서 접하는 접선상에 슬라이드키의 축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압축기에는 앞서 제안된 압축기와 같은 접선과 키축선과의 교점을 기둥 형상 볼록부의 축심으로서 슬라이드키를 형성시키는 일은 불가능하나, 기둥 형상 볼록부의 축심을 구동축의 축심에서 일정 거리 계측하는 것에 의해 구하는 것은 가능하여, 앞서 제안된 압축기와 비교하여 그다지 슬라이드키의 가동이 귀찮게 되지 않는다.
또 구동축의 축심에서 설정 각도로 키축선을 그어 구동축의 축심과 구동 부시의 축심의 접속선으로부터 구동축의 반회전 방향측의 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상의 정점을 구하면 그 정점이 슬라이드키의 축심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키의 축심을 구동축의 축심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축심의 위치 결정이 용이함으로 기둥 형상 볼록부가 용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 형상 볼록부에 키축선과 평행하게 2면폭을 나눔으로서 미끄럼 운동면이 얻어져서, 슬라이드키는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 때문에 압축기의 양산화에도 그다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내지 4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상기 압축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판(21)과, 상기 고정측판(21)과 일체로 형성된 외곽을 형성하는 셀부(22)와, 고정측판(21)의 내측에 인벌류트 곡선등에 형성된 고정 소용돌이체(23)로 이루어진 고정 스크롤(2)이, 가동측판(41)과 상기 가동측판(41)의 내측에 이벌류트 곡선등에 의해 형성된 가동 소용돌이체(42)로 이루어진 가동 스크롤(4)과 맞물림으로서 압축실(39)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2)의 셀부(22)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 전방 하우징(30)내에는 축봉 장치(31) 및 주베어링(32)을 매개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3)이 Os선을 축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 내단부에는 슬라이드키(3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키(34)에는 카운터 웨이트(35) 및 구동부시(36)가 끼워맞춰져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이러한 슬라이드키(34)에 가장 큰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제3도에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를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구동축(33)의 축심(Os)으로부터 구동부시(36)의 축심(Ob)까지의 거리를 설정 공전 반경(R)으로 하는 공전원(rc)으로 하고, 상기 공전원(rc)에 구동 부시(36)의 축심(Ob)에서 접하는 접선(1)을 그린다. 또 편심 방향에 y축, 편심방향과 직각으로 x축을 그린다. 그리고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설정 각도 α。로 키축선을 그리고 접선(1)과 키축선(S)의 교점을 구하면 상기 교점이 슬라이드키의 축심(Op)으로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키(34)의 축심(Op)은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직접 계측되고, 용이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키(34)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축심(Op)을 기준으로 하여 정밀 단조함으로서 원주 형상 볼록부(34a)를 형성한다. 상기 원주 형상 볼록부(34a)에 키축선(S)과 평행하게 절삭 가공에 의해 2면폭을 설치하고, 그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미끄럼 운동면(34b)을 형성한다. 그렇게 하여 슬라이드키(34)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압축기에서는 양산화에도 그다지 비용을 요하지 않는다.
카운터 웨이트(35)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축선(S)에 연장되는 슬라이드 홀(35a)이 관통 설치되고,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측에 중심선(Os)의 카운터 보어(3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홀(35a)에는 슬라이드키(34)가 삽입되어, 카운터 보어(35b)가 큰 직경부(33a) 내단부와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35)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홀(35a)에 슬라이드키(34)가 끼워맞춰짐으로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어 있으나,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a) 내단부는 키축선(S)에 따라 ±△로 접하고, 슬라이드홀(35a)과 슬라이드키(34)는 상기 간격 ±△로도 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카운터 웨이트(35)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은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a) 내단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5)의 구동 부시(36)측에는 키축선(S)과 직교하는 볼록부(35c)가 돌출되어져 있다.
구동 부시(36)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Ob선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전 방지기구(37)와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38)을 매개로 하여 가동 스크롤(4)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 부시(36)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홀(35a)과 동일 형상의 슬라이드홀(36a)이 관통 설치되어 있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홀(35a)에도 슬라이드키(34)가 삽입되어 있다. 또 구동부시(36)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트 웨이트(35)측에 키축선(S)과 직교하는 오목부(36b)가 오목하게 설치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36b)에 카운터 웨이트(35)의 볼록부(35c)가 걸어맞춰져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구동 부시(36)는 카운터 웨이트(35)와 함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되어 구동부시(36)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은 상기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내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슬라이드홀(35a) 및 슬라이드홀(36a)에 삽입된 슬라이드키(34)는 돌출단부에 스냅링(51)이 걸려 있고, 이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35)및 구동부시(36)의 빼고 멈춤이 이루어져 있다.
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30)에는 카운터 웨이트(34)의 주위면과 대향하여 냉동 회로와 통하는 냉매 흡입구(8)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매 흡입구(8)에는 전방 하우징(30) 및 자전 방지기구(37)의 일부를 관통함으로서 카운터 웨이트(35)를 회피하여 압축실(39)와 직접 통하는 흡입로(9)가 연통되어 있다. 또 고정 스코롤(2)의 고정측판(21) 중앙부분에는 토출단계의 압축실(39)과 연통하는 토출구(11)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2)에는 후방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있고, 토출구(11)는 역지 밸브(12)를 매개로 후방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토출실(13)과 연통하며, 토출실(13)은 도시되지 않은 냉매 토출구에서 냉동 회뢰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에는, 제1도에 도시된 구동축(33)이 차량용 엔진으로부터의 전자 클러치 등을 매개로 하여 회전된다. 그로 인해 제2도에 도시된 슬라이드키(34)가 축심(Os)을 중심으로 하여 구동되며, 구동부시(36)가 자전 방지 기구(37)와의 협동에 의해 가동 스크롤(4)을 축식(Os)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 편심량(R)에서 공전시킨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된 고정측판(21), 고정 소용돌이체(23), 가동 측판(41) 및 가동 소용돌이체(42)에 의해 형성된 압축실(39)은 순차 용적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냉동 회로로부터의 냉매가 냉매 흡입구(8)에서 흡입로(9)를 경유하여 압축실(39)로 흡입된다. 그후 압축실(39)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역지 밸브(12)를 누르기 시작하여 토출구(11)로부터 토출실(13)로 토출된다.
여기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키(34)에는 구동축(33)으로부터 키축선(S)에 직각 또는 회전방향(M)측으로 구동력(F)이 작용한다. 이때 카운터 웨이트(35)는 가동 스크롤 (4)의 동적 불균형을 흡수하여 진동방지를 도모하고, 구동부시(36)가 가동 스크롤(4)로부터 받는 편심 모멘트를 거의 상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키(34)에는 원심력(Fc)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동부시(36)는 카운터 웨이트(35)와 함께 키축선(S)에 따라 한정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을 행한다.
결국 구동력(F)을 x축(접선1)에 평행한 분력(Ft)과 접선-1에 수직인 분력(Fn)으로 분해하면, 분력 Ft(Ft=Fcos α)는 거의 접선1상에 작용하는 구동부시(36)가 가동 스크롤(4)로부터 받는 압축 반력과 균형을 이룬다.
또 카운터 웨이트(35)에 의해 원심력이 상쇄되어도, 구동축(33)의 회전수의 고저에 관계없이 구동력(F)은 필히 편심방향으로 경사져서 작용한다. 그 때문에 구동 부시(36)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력(Fn)에 의해 설정 편심량(R)을 편심량 R+Δ까지 증가시키는 방향(y축의 플러스측)으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한다. 따라서 가동 스크롤(4)의 가동 소용돌이체(42)가 고정 스크롤(2)의 고정 소용돌이체(23)로 압착되어 , 압축실(39) 직경 방향의 시일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압축 반력을 Fg로 하면 키축선(S)에 따라 Fgs=fg.sinθ인 힘이 작용하고, 상기 힘(Fgs)에 의해 구동부시(36) 및 카운터 웨이트(35)는 키축선(S)에 따라 편심량R+Δ까지 미끄럼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힘(Fgs)가운데 y축 방향에는Fgy(Fn)=Fg Sinθcosθ인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힘(Fgy)에 의해 가동 소용돌이체(42)는 고정 소용돌이체(22)에 최적으로 압착되어진다.
동시에 구동부시(36)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력(Fn)에 반하여 설정 편심량(R)을 편심량 R-Δ까지 감소하는 방향(y축의 마이너스측)으로도 조정 미끄럼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23,42)의 상대 위치 관계에 발생하는 미세 차이를 흡수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정지시와 이물질 혼입등에 있어서 가동 스크롤(4)의 역전에 기인하는 양쪽 소용돌이체(23,42)의 충돌을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는 양쪽 소용돌이체(23,42)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구동축(33)의 전회전시에도 압축실(39)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압축기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판(21)과, 상기 고정측판(21)과 일체로 형성된 외곽을 형성하는 셀부(22)와, 고정측판(21)의 내측에 인벌류트 곡선등에 의해 형성된 고정 소용돌이체(23)로 이루어진 고정 스크롤(2)이, 가동측판(41)과 상기 가동측판(41)의 내측에 인벌류트 곡선등에 의해 형성된 가동 소용돌이체(42)로 이루어진 가동 스크롤(4)과 맞물림으로서 압축실(39)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2)의 셀부(22)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 전방 하우징(30)내에는 축봉 장치(31) 및 주베어링(32)을 매개로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3)이 Os선을 축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 내단부에는 슬라이드키(3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키(34)에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5) 및 구동부시(36)가 끼워 맞춰져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이러한 슬라이드키(34)에 가장 큰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제15도에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의 아랫면을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구동축(33)의 축심(Os)으로부터 구동부시(36)의 축심(Ob)까지의 거리를 설정 공전 반경(R)으로 하고, 편심 방향에 y축, 편심 방향과 직각에 x축을 놓는다. 또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구동축(33)의 회전 방향(M)과 방대로 α° 경사된 키축선(5)을 그린다. 그리고 y축으로부터 구동축(33)의 반회전방향츠가의 1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5)상의 정점(Op)을 구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제15도의 x-y좌표에 있어서 제1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5)상의 정점을 구한다. 상기 정점은 슬라이드키의 축심(Op)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키(34)의 축심(OP)은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직접 계측되어 용이하게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축심(Op)을 기준으로 정밀단조함으로서 원주 형상 볼록부(34a)를 형성한다. 여기서 축심(Op)은 주위면이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어느 정도 이반시키기 위해, 구동축(33)의 축심(Os)에서 일정거리를 계측함으로서 구해지고 있으며, 구동축(33)의 큰 지름부(33a) 내단부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홀(33b)이 확실하게 오목 설치되며, 또한 선반의 센터(50)도 슬라이드키(34)의 주위면과 간섭하지 않고 센터홀(33b)에 확실히 걸어 맞춰진다. 이 때문에 상기 상태에서 절삭 가공함으로서 원주 형상 볼록부(34a)에 키축선(5)과 평행하게 2면폭을 나누고, 그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미끄럼 운동면(34b)을 형성한다. 또 슬라이드(34)의 선단에는 돌출 방향과 직각인 관통구멍(34c)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키(34)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압축기에서는 절삭 가공할 때 원주 형상 볼록부(33a)의 변형은 생기지 않고 절삭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양산화에도 그다지 비용을 요하지 않는다.
또 상기와 같이 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키(34)는 앞서 제안된 압축기에서의 슬라이드키(제25도의 부호 94 참조)와 비교하여 그다지 소형화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와 구동부시(36)도 대형화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시 슬라이드키(33)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되고, 또 압축기 전체의 본격적인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카운터 웨이트(35)에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축선(5)에 연장되는 슬라이드홀(35a)이 관통 설치되고, 구동축(33)의 큰 직경부(33a)측에 중심선(Os)의 카운터 보어(3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4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홀(35a)에는 슬라이드키(34)가 삽입되어, 카운터 보어(35b)가 큰 직경부(33a) 내단부와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35)는 슬라이드홀(35a)에 슬라이드키(34)가 끼워맞춰짐으로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이 허용되어 있으나,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a) 내단부는 키축선(5)에 따라 간격 ±Δ로 접하고, 슬라이드홀(35a)과 슬라이드키(34)는 상기 간격 ±Δ로도 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카운터 웨이트(35)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은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a) 내단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또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5)의 구동 부시(36)측에는 중심선(Ob)의 볼록부(35c)가 슬라이드홀(35a)에 의해 변형되어진 채 돌출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시(36)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Ob선을 중심선으로 하고 슬라이드홀(35a)과 동형의 슬라이드홀(36a)을 갖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시(36)는 제14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홀(36a)에 슬라이드키(34)가 삽입되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전 방지 기구(37)와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38)를 매개로 하여 가동 스크롤(4)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부시(36)에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운터 웨이트(35)측에 중심선(Ob)의 오목부(36b)가 슬라이드홀(36a)에 의해 변형된 채 오목 설치되고,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목부(36b)에 카운터 웨이트(35)의 볼록부(35c)가 걸어맞춰져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구동부시(36)는 카운터 웨이트(35)와 함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되어 구동부시(36)의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은 상기 카운터 보어(35b)와 큰 직경부(33a) 내단부과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슬라이드홀(35a) 및 슬라이드홀(36a)에 삽입된 슬라이드키(34)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단부의 관통구멍(34c)에 스냅링(51)이 걸려 있고, 이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35) 및 구동 부시(36)의 빼고 멈춤과, 구동 부시(36) 및 카운터 웨이트(35)의 형태 부착 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또 전방 하우징(30)에는 카운터 웨이트(34)의 주위면과 대향하여 냉동 회로와 통하는 냉매 흡입구(8)와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매 흡입구(8)에는 전방 하우징(30) 및 자전 방지기구(37)의 일부를 관통함으로서 카운터 웨이트(35)를 회피하여 압축실(39)과 직접 통하는 흡입로(9)가 연통되어 있다. 또 고정 스크롤(2)의 고정측판(21) 중앙부분에는 토출 단계의 압축실(39)과 연통하는 토출구(11)는 역지 밸브(12)를 매개로 후방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있고, 토출구(11)는 역지 밸브(12)를 매개로 후방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토출실(13)과 연통하며, 토출실(13)은 도시되지 않은 냉매 토출구에서 냉동 회로와 연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압축기에는, 제14도에 도시된 구동축(33)이 차량용 엔진으로부터의 전자 클러치등을 매개로 하여 회전된다. 그로 인해 제19도에 도시된 슬라이드키(34)가 축심(Os)을 중심으로 하여 구동되며, 구동부시(36)가 자전 방지 기구(37)와의 협동에 의해 가동 스크롤(4)을 축심(Os)을 중심으로 하여 설정 편심량(R)에서 공전시킨다. 그리고 제14도에 도시된 고정측판(21), 고정 소용돌이체(23), 가동 측판(41)및 가동 소용돌이체(42)에 의해 형성된 압축실(39)은 순차 용적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냉동 회로로부터의 냉매 가스가 냉매 흡입구(8)에서 흡입로(9)를 경유하여 압축실(39)로 흡입된다. 그후 압축실(39)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냉매 가스는 역지 밸브(1?)를 누르기 시작하여 토출구(110로부터 토출실(13)로 토출된다.
여기서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키(34)에는 구동축(33)으로부터 키축선(5)에 직각 또는 회전방향(M)측으로 구동력(F)이 작용한다. 이때 카운터 웨이트(35)는 가동 스크롤(4)의 동적 불균형을 흡수하여 진동방지를 도모하고, 구동부시(36)가 가동 스크롤(4)로부터 받는 편심 모멘트를 거의 상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키(34)에는 원심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동부시(36)는 카운터 웨이트(35)와 함께 키축선(5)에 따라 한정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을 행한다.
결국 구동력(F)을 x축에 평행한 분력(Ft)과 y축에 평행한 분력(Fn)으로 분해하면, 분력 Ft(Ft=F cos α)는 구동부시(36)가 가동 스크롤(4)로부터 받는 거의 x축과 평행하게 작용하는 압축 반력과 균형을 이룬다.
또 카운터 웨이트(35)에 의해 원심력이 상쇄되어도, 구동축(33)이 회전수의 고저에 관계없이 구동력(F)은 필히 편심방향(y축의 플러스측)으로 경사져서 작용한다. 그 때문에 구동부시(36)는 분력(Fn)에 의해 설정편심량(R)을 편심량 R+Δ cosα까지 증가시키는 방향(y축의 플러스측)으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한다.
따라서 가동 스크롤(4)의 가동 소용돌이체(42)가 고정 스크롤(2)의 고정 소용돌이체(23)로 압착되어, 압축실(39) 직경 방향의 시일이 확보되게 된다.
동시에 구동부시(36)는 분력(Fn)에 반하여 설정 편심량(R)을 편심량 R-Δ cos α까지 감소하는 방향(y축의 마이너스측)으로도 조정 미끄럼 운동가능하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23, 42)의 상대 위치 관계에 발생하는 미세 차이를 흡수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정지시와 이물질 혼입등에 있어서 가동 스크롤(4)의 역전에 기인하는 양쪽 소용돌이체(23, 42)의 충돌을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는, 양쪽 소용돌이체(23, 42)의 충돌을 회피하면시, 구동축(33)의 저회전시에도 압축실(39)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분한 내구성 및 탑재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압축기는 제21도의 x-y좌표에 있어서, 제3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5)상의 정점을 슬라이드키의 축심(Op)으로 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기에 있어서도, 슬라이드키(34)의 미끄럼 운동면(34b)이 키축선(5)고 평행하기 때문에 실시예 2의 압축기와 동일한 조정 직선 미끄럼 운동을 행할수 있다.
또 상기 압축기에서도 슬라이드키(34)의 축심(Op)은 주위면이 구동축(33)의 축심(Op)으로부터 어느정도 이반되기 위해, 구동축(33)의 축심(Os)으로부터 일정거리 계측함으로서 구하여져 있고, 실시예 2의 압축기와 동일하며 슬라이드키(34)의 가공이 용이하다.
[실시예 4]
상기 압축기에서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키(34)의 윗면에 센터홀(33b)을 오목 설치하고 있다.
또 제22도의 x-y좌표에 있어서, 구동축(33)의 축심(Os)과 슬라이드키(34)의 축심(Op)을 일치시키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기에 있어서도 슬라이드키(34)의 미끄럼 운동면(34b)이 키축선(5)과 평행하므로 실시예 2의 압축기와 동일한 조정 직선 미끄럼운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압축기에서는 슬라이드키(34)의 축심(Op)이 구동축(38) 축(Os)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실시예 2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보다 한층 슬라이드키(34)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더구나 상기 압축기에서는 슬라이드키(34)의 윗면에 센터홀(33b)을 오목 설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키(34)의 크기에 관계없이 슬라이드키(34)의 주위면이 센터(50)와 간섭하는 일은 전혀없다. 이 때문에 상기 압축기에는 슬라이드키(34)의 대형화가 가능하여짐으로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압축기에는 축심(Op)과 축심(Os)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미끄럼운동면(34b)과 축심(Os)과의 거리가 실시예 2,3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짧고, 그에 따라 구동축(33)으로 부터의 구동력이 구동부시(36)에 전달하기 어렵게 되지는 않는가라는 의구심도 있으나, 상기 의구심은 슬라이드키(34)의 대형화에 기인하여 미끄럼운동면(34b)은 큰 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해소된다.
실시예 2 내지 4의 압축기에서는 원호면 및 미끄럼 운동면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드키의 주위면이 센터홀로부터 이반되어져 있으나, 센터홀이 원호면 근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원호면을 센터홀 및 센터를 회피하기 위해 굴곡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에는 슬라이드키의 형성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압축기의 양산화에 큰 비용을 요구하였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원평4-317101호에서 양쪽 소용돌이체의 파괴를 회피하면서 구동축의 저회전시에도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안했다.
상기 압축기에서는,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의 내단부(93a)에 있어서, 축심(Os)으로부터 구동부시의 축심(Ob)까지의 거리(Os Ob)를 공전반경(R)으로 하는 공전원(rc)으로 하고, 상기 공전원(rc)에 구동부시의 축심(Ob)에서 접하는 접선(1)과, 구동축신 축심(Os)에서 구동축이 반회전방향으로 α° 경사지는 키축선(5)을 그려서, 접선(1)과 키축선(5)의 교점을 축심(Op)으로 하는 원주 형상 볼록부(94a)를 형성하고, 상기원주 형상 볼록부(94a)에 키축선(5)과 평행한 2면폭을 나누어, 그로 인해 서로 대향하는 미끄럼운동면(94b)을 갖는 슬라이드키(94)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기에도 접선(1)의 방향에 의하여는, 슬라이드키 주위면이 구동축의 축심(Os) 근방에 위치되어 버렸기 때문에 구동축의 축심(Os)에 오목 설치된 센터홀이 주위면과 간섭하는 경우를 발생시킨다. 또 만약 센터홀과 간섭하지 않도록 슬라이드키의 주위면을 형성했다 하여도, 상기 주위면은 센터홀에 걸어맞춰지는 센터와 간섭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의 경우, 센터홀이 확보되지 않거나 또는 무리하게 센터홀을 확보하여 걸어맞추면 기둥 형상 볼록부의 변형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키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 형상 볼록부에 2면폭을 나누는 절삭 가공이 곤란하게 되고, 미처 제조 비용의 충분한 저렴화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쪽 소용돌이체의 충돌 방지 및 구동축의 저회전시 압축실의 기밀 유지와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하였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쪽 소용돌이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구동축의 저회전시에도 압축실을 기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는 값싼 제조 비용하에서 양쪽 소용돌이체의 편마모와 미세차의 충돌등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양쪽 소용돌이체의 시일을 적절히 행함으로서 우수한 압축 효율을 발휘하며 또한 우수한 정숙성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 고정 스크롤(2)과, 상기 고정 스크롤(2)과 맞물림으로서 압축실(39)을 형성하는 가동 스크롤(4)과 베어링(32)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구동축(33)과, 상기 구동축의 큰 직경부 내단부에 돌출설치된 슬라이드키(34)와, 상기 슬라이드키(3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쳐져서 자전 방지 기구(37)와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가동 스크롤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부시(36)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스크롤의 공전 운동에 의해 압축실(39)이 냉매 가스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 가스 압력을 높여서 토출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34)는 상기 구동축(33)의 축심(Os)으로부터 구동축의 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키축선(5)을 그어, 상기 구동축의 축심과 구동부시(36)의 축심(Ob)과의 접속선으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반회전방향측의 일사분면에 위치하는 키축선상의 정점(Op)을 축심으로 하여 기둥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기둥 형상부에는 키축선과 평행하게 나누어진 미끄럼 운동면(34b)이 설치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정점 위치는 구동축 축심의 센터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 위치는 구동축의 큰 직경부 내단부에서의 슬라이드키를 돌출 설치시킨 아랫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 위치는 슬라이드키의 윗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 고정 스크롤(2)과, 상기 고정 스크롤(2)과 맞물림으로서 압축실(39)을 형성하는 가동 스크롤(4)과, 베어링(32)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구동축(33)과, 상기 구동축의 큰 직경부 내단부에 돌출설치된 슬라이드키(34)와, 상기 슬라이드키(34)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서 자전 방지 기구(37)과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가동 스크롤을 공전만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 부시(36)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스크롤의 공전 운동에 의해 압축실(39)이 냉매 가스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냉매 가스 압력을 높여서 토출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34)는 상기 구동축(33)의 축심(Os)으로부터 상기 구동부시(36) 축심(Ob)까지의 거리를 공전 반경(R)으로 하는 공전원(Rc)으로 하고, 상기 공전원(Rc)에 상기 구동부시(36)의 축심(Ob)에서 접하는 접선(ℓ)과 상기 구동충(33)의 축심(Os)으로부터 구동축의 반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는 키축선(5)을 그어 상기 접선(ℓ)과 키축선(S)의 교점(Op)을 축심으로 하는 볼록부(34a)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에 키축선(S)과 평행하게 2면폭(34b)을 설치함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2-317101 | 1992-11-26 | ||
JP04317101A JP3106743B2 (ja) | 1992-11-26 | 1992-11-26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JP93-73376 | 1993-03-31 | ||
JP05073376A JP3111737B2 (ja) | 1993-03-31 | 1993-03-31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1802A KR940011802A (ko) | 1994-06-22 |
KR970005857B1 true KR970005857B1 (ko) | 1997-04-21 |
Family
ID=2641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25584A KR970005857B1 (ko) | 1992-11-26 | 1993-11-26 | 스크롤형 압축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437543A (ko) |
KR (1) | KR970005857B1 (ko) |
DE (1) | DE43402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36144B2 (ja) * | 1993-09-14 | 2001-12-10 | 株式会社デンソー | 圧縮機 |
DE69504233T2 (de) * | 1994-03-15 | 1999-01-07 | Denso Corp., Kariya, Aichi | Spiralverdichter |
US6471499B1 (en) * | 2001-09-06 | 2002-10-29 | Scroll Technologies | Scroll compressor with lubrication directed to drive flat surfaces |
US7390179B2 (en) * | 2004-12-21 | 2008-06-24 |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 Scroll machine having counterweights with changeable cavity |
US20060233654A1 (en) * | 2005-04-11 | 2006-10-19 | Tecumseh Products Company | Compressor with radial compliance mechanism |
US9605676B2 (en) | 2013-05-31 | 2017-03-28 |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 Variable speed scroll compressor |
KR102291952B1 (ko) * | 2015-03-04 | 2021-08-23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스크롤 압축기의 편심부쉬 결합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9875B2 (ja) * | 1980-03-18 | 1983-04-20 | サンデン株式会社 | スクロ−ル型圧縮機 |
JP2730625B2 (ja) * | 1986-05-30 | 1998-03-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クロール圧縮機 |
JP2522213B2 (ja) * | 1988-12-27 | 1996-08-07 | 日本電装株式会社 | 圧縮機 |
US5199862A (en) * | 1990-07-24 | 1993-04-06 |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 Scroll type fluid machinery with counter weight on drive bushing |
JPH0487382U (ko) * | 1990-12-06 | 1992-07-29 |
-
1993
- 1993-11-24 US US08/157,829 patent/US543754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3-11-26 DE DE4340269A patent/DE4340269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3-11-26 KR KR1019930025584A patent/KR9700058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1802A (ko) | 1994-06-22 |
DE4340269A1 (de) | 1994-06-01 |
US5437543A (en) | 1995-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43806B1 (en) | Displacement type fluid machine | |
KR970005856B1 (ko) | 스크롤형 압축기 | |
JPS62186084A (ja) | スクロ−ル圧縮機 | |
JPH01302A (ja) | スクロ−ル流体機械 | |
JPH02227581A (ja) |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およびスクロール流体機械用オルダム継手 | |
WO2007111903A1 (en) | Scroll machine using floating seal with backer | |
KR970005857B1 (ko) | 스크롤형 압축기 | |
JPH02233892A (ja) | スクロール流体機械 | |
EP2378124B1 (en) | Scroll type compressor | |
KR0153006B1 (ko) | 스크롤형 유체 변위장치 | |
KR970009960B1 (ko) | 스크롤형 압축기 | |
KR100458799B1 (ko) | 스러스트면을가진스크롤엘레멘트 | |
JPH0783180A (ja) | 圧縮機 | |
CA2227682C (en) | Scroll hydraulic machine | |
JP3146751B2 (ja) | 無給油式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 |
KR0125292B1 (ko) | 스크롤형 압축기 | |
US9200633B2 (en) | Scroll compressor with oldham ring having scroll-side keys and bearing-side keys | |
CN111255682B (zh) | 涡旋压缩机 | |
JP3592810B2 (ja) |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 |
JPH0117669Y2 (ko) | ||
JP3106743B2 (ja)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JP3111737B2 (ja)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CN113494449A (zh) | 涡旋压缩机 | |
JP2009108762A (ja) | 回転式流体機械 | |
WO2021196543A1 (zh) | 涡旋压缩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4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