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60B1 -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 Google Patents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60B1
KR970005660B1 KR1019910010964A KR910010964A KR970005660B1 KR 970005660 B1 KR970005660 B1 KR 970005660B1 KR 1019910010964 A KR1019910010964 A KR 1019910010964A KR 910010964 A KR910010964 A KR 910010964A KR 970005660 B1 KR970005660 B1 KR 970005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orrection
amplifier
error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128A (ko
Inventor
양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60B1/ko
Priority to JP3317042A priority patent/JP2501988B2/ja
Publication of KR93000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 Detection And Correction Of Err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제1도는 디지탈 자기 재생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디지탈 기록 재생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4도는 B급 푸쉬-풀 증폭기(PUSH-PULL AMP)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적용시 재생파형도.
제6도는 에러정정 판단부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증폭기 20 : 푸쉬-풀 증폭기
30 : 제2증폭기 40 : 에러정정 복호부
50 : 에러정정판단부 60 : D/A 변환기
Q1,Q2 : 트랜지스터 C1,C2 : 캐패시터(capacitor)
R : 저항 +Vcc,-Vcc : 전원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를 자기매체에 기록하고 재생할 때 에러없이 원래의 디지탈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된 파형을 전송채널의 특성에 따라 정형하는 디지탈자기기록재생용 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신호를 자기매체에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된 신호파형을 전송채널의 특성에 적합하게 정형하고 검출하여 디지탈신호로 복원해야 한다.
따라서,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재생부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매체(1)와, 신호를 검출하는 헤드(2)와, 검출된 미소신호를 증폭하는 재생증폭기(3)와, 파형을 검출하는데 에러가 없도록 정형하는 등화기(4), 재생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복원하는 검출기(5)와, 기록시 변조했던 데이타를 복조하는 복조기(6)와, 에러정정하는 에러정정복호기(7)와, 기록시 데이타를 압축했던 것을 복원하는 데이타 압축복호기(8)와, 아날로그 영상으로 바꾸는 D/A변환기(9)로 구성된다.
그러나, 자기기록/재생에 이용되는 헤드와 매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2도의 (a)와 같은 신호를 기록하면 제2도의 (b)와 같이 1과 0의 변하는 부분이 좌우로 늘어지게 된다.
그와같은 신호파형의 좌우 늘어짐은 인접데이타와 영향을 주게됨에 따라 재생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복우너하는 검출기(제1도의 5)에서 데이타 복원시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그와 같은 늘어짐은 인접하형에 영향을 주게되어 신호의 자리이동(shift) 및 진폭감소의 원인이 되어 검출오동작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 파형의 늘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등화기로 코사인 등화기(COSINE EQ.)와 자동등화기(AUTOMATIC EQ.)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코사인 등화기는 회로의 구현이 복잡하고 회로의 조정상태가 고정되므로 부품의 상태나 주변 환경이 변할 경우에 적응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자동등화기는 회로의 조정상태는 자동으로 조절되지만 A/D변환기, 메모리, 연산기, D/A변환기 등의 구성요로소 인하여 전체회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재생신호의 진폭을 에러검출에 따라 자동조절되도록 하여 재생신호파형의 푹줄임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검출오동작을 방지하는 등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B급 푸쉬-풀 증폭기를 이용하였는데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등화기는 헤드에서 읽어들인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10)와, 캐패시터(CI)를 통하여 파형의 폭을 줄이는 푸쉬-풀 증폭기(20)와, 검출기(제1도의 5)가 적합하게 동작되도록 파형의 크기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30)와, 에러발생율 데이타를 생성하는 에러정정복호부(40)와, 상기 에러정정복호부(40)의 에러발생율 데이타에 따라 적절한 제어신호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에러정정판단부(50) 및, 상기 에러정정판단부(50)의 디지탈신호제어데이타를 아날로그 제어신호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1증폭기(10)의 이득조정 단자에 제공하는 D/A변환기(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푸쉬-풀 증폭기(20)의 베이스입력은 상기 제1증폭기(10)의 출력에 연결되고, 에미터출력은 저항(R) 및 개패시터(C2)를 통하여 상기 제2증폭기(30)의 입력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1증폭기(10)의 이득조정단에는 상기 D/A 변환기(60)와 상기 에러정정판단부(50) 및 에러정정복호부(40)가 순차로 연결된다.
제4도는 B급 푸쉬-풀 증폭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트팬지스터의 에미터 접합에서 동작차단전압(Vr)이상 순방향 바이어스되기까지 베이스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4도의 (a) 그림과 같이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이 동작차단전압(Vr)보다 작으면 신호가 출력단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면 제4도의 (b)와 같은 신호를 입력할 때 (c)와 같이 파형의 폭이 줄게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제3도의 회로를 제1도의 등호기(4)에 적용한다.
이때 B급 푸쉬풀 증폭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진폭의 크기에 따라 폭줄임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효과를 제5도에 나타내었다.
제5도의 (a)와 같이 기록하면 제5도의 (b)와 같은 파형이 제3도의 제1증폭기(10)의 출력에 나타난다.
등화기(4)를 거치면 (c)와 같은 파형폭이 감소된 신호가 된다.
여기서 등화기에 입력되는 진폭의 크기가 제5도의 (b)의 1 및 2의 파형과 같이 다르면 제5도의 (c)의 1' 및 2'와 같이 폭줄임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자동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에러정정복호부(40)에서는 기록시 부가했던 에러정정용 부가비트(Bit)를 이용하여 에러정정을 함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에러율을 나타낸다.
그 에러율 에러정정 판단부(50)에서 받아 적절한 제어 데이타를 D/A변환기(60)에 공급하고 D/A변환기(60)는 그 정도를 전압으로 바꾸어 제1증폭기(10)의 이득조정단자로 공급하여 출력신호의 진폭크기를 조절한다.
결국 B급 푸쉬풀 증폭기의 입력신호의 크기가 변화하여 폭줄임 정도가 달라지며 에러발생도 줄게 된다.
에러정정 판단부(50)에서 제어 데이타를 만드는 방법은 제6도와 같이 소정의 한계 에러발생율을 넘어서게 되면 폭줄임 정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데이타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나가고 에러정정 복호부(40)의 처리단위마다 판단하여 계속 조절한다.
제6도에 의하여 에러정정판단부(50)가 제어신호데이타(CD)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에러정정복호부(40)로부터 입력된 최근 입력에러율(NEW)이 한계에러율(REF)보다 크지 않으면 파형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데이타(CD)는 변하지 않고 종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최근 입력에러율(NEW)이 한계에러율(REF)보다 크면 종래의 연산자(OP)가 +인 경우 -로 바뀌고, 연산자(OP)가 -인 경우에는 +로 바뀌게 되어 제어신호데이타(CD)가 1감소 또는 증가한다.
그후, 최신 입력에러율(NEW)은 구입력에러율(OLD)이 되고 에러정정판단부(50)는 에러정정복호부(40)로부터 새로운 에러율을 받아들여 최신 입력에러율(NEW)로 취한다.
이때, 제어데이타(CD)의 초기값은 실험으로 얻은 적정값으로 고정한다.
디지탈 신호의 자기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시 검출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재생신호의 폭을 줄여야 하는데 본 발명을 이용하면 등화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소자의 변화 및 주변상황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Claims (3)

  1. 디지탈 신호를 자기매체에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매체로부터 헤드를 통하여 읽어들인 재생신호를 증폭하는 이득가변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신호를 진폭조절하는 등화수단과, 기록시의 에러 정정용 부가비트에 의해 상기 증폭 수단의 이득을 조절하는 증폭이득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등화수단은 B급 푸쉬 풀 증폭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기록시 부가했던 에러 정정용 부가비트에 의해 에러율을 발생하는 에러 정정복호부(40)와, 상기 에러 정정복호부(40)의 에러율에 따라 증폭 이득을 증감시키는 에러 정정판단부(50)와, 상기 에러 정정판단부(50)의 출력을 이득가변 증폭수단으로 제공하는 D/A 변환기(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KR1019910010964A 1991-06-28 1991-06-28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KR97000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964A KR970005660B1 (ko) 1991-06-28 1991-06-28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JP3317042A JP2501988B2 (ja) 1991-06-28 1991-11-29 デジタル磁気記録再生用等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964A KR970005660B1 (ko) 1991-06-28 1991-06-28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128A KR930001128A (ko) 1993-01-16
KR970005660B1 true KR970005660B1 (ko) 1997-04-18

Family

ID=1931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964A KR970005660B1 (ko) 1991-06-28 1991-06-28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01988B2 (ko)
KR (1) KR970005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562B1 (ko) * 1995-05-31 1997-03-2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128A (ko) 1993-01-16
JPH0520618A (ja) 1993-01-29
JP2501988B2 (ja) 199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755B1 (ko) 디지탈 변조신호 판독장치
KR910002980B1 (ko) 이득 제어 장치
KR100247964B1 (ko) 자동 문턱값 제어를 이용한 피크 검출기와 그 방법
KR19980064798A (ko) 적응형 등화기
KR970005660B1 (ko)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용 등화기
US6845134B2 (en) Arrangement for receiving a digital signal from a transmission medium
KR100213032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 디지탈 신호 검출 장치
KR950001712A (ko) 재생신호 등화방법 및 그 장치
KR970003243Y1 (ko) 등화회로
JP2001118337A (ja) ドロップアウト検出方法及び信号再生装置
KR0178715B1 (ko) 예측등화장치
JPH04216303A (ja) ビデオレコーダ用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回路
KR0185908B1 (ko) 재생신호 보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25572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파형등화방법
KR100247954B1 (ko) 디지털vcr의채널프로세싱장치
US6628587B2 (en) Disk drive apparatus including compensation and error correction circuits for having a high accuracy reading capability
KR200184175Y1 (ko) 하이-파이 브이씨알의 기록 전류 레벨 보상 회로
KR0170647B1 (ko) 최적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H0473236B2 (ko)
KR950024197A (ko) 디스크 재생장치
KR0151030B1 (ko) 통합등화기를 갖는 디지탈 기록재생장치
KR100568370B1 (ko) 디지털 자화기록신호의 보상기록장치 및 방법
KR100230229B1 (ko) 광디스크장치의 재생신호증폭기
KR100215438B1 (ko) 디지탈 영상재생장치의 위상등화회로
JPH05307838A (ja) 誤り訂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