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070Y1 - 전기 이중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070Y1
KR970005070Y1 KR2019910023134U KR910023134U KR970005070Y1 KR 970005070 Y1 KR970005070 Y1 KR 970005070Y1 KR 2019910023134 U KR2019910023134 U KR 2019910023134U KR 910023134 U KR910023134 U KR 910023134U KR 970005070 Y1 KR970005070 Y1 KR 970005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laye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onnecto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019U (ko
Inventor
임철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070Y1/ko
Publication of KR930016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이중층 콘덴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전기 이중층 콘덴서의 단위 셀을 도시한 상세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 셀 2, 3 : 플레이트
6 : 애폭시 몰드 11 : 적층구조
12 : 커넥터 40, 50 : 인출부
41, 51 : 커넥터 와이어 42, 52 : 접속부
61 : 열수축성 수지 튜브
본 고안은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 와이어(connector wire) 및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출단자를 형성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서는 전해액을 함유하는 전해물질과 이들을 격리시켜 주는 절연물질을 적층 또는 권취하여 절연시킨 후 필름상의 포장재를 외장용기로 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콘덴서는 다수의 전해지와 절연지를 권취하여 형성시킨 전해 콘덴서와 전해지를 필름상의 전해물질로 대용하여 각형으로 형성시킨 필름콘덴서 및 통상적인 전기 이중층이론을 적용하여 용량을 향상시킨 전기 이중층 콘덴서등으로 대별된다.
일반적인 애폭시 몰드 타입(epoxy mold type)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제3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격전압을 얻기 위해 서로 적층된 단위 셀(1)과 이러한 적층구조(11)의 양 끝단에 배치되어, 각각 편평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2, 3)와 이 플레이트(2, 3)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라이드(4, 5) 및 이들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외장용기로 사용되는 애폭시 몰드(6)로 이루어진다.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정격전압을 얻기 위하여 각각 내전압을 갖는 다수의 단위 셀(1)을 서로 적층하여 형성하는데, 이 적층된 단위 셀(1)을 제4도로 상세하게 도시하면 원판형의 집전전극제(7)와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링(ring)형의 개스캣(8)과, 이 개스캣(8)의 내측에 삽입되는 전해액이 함침된 원형의 활성탄소섬유(9)와 이들을 격리시키는 원판상의 이온투과성 세퍼레이터(10)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단위 셀(1)에 플레이트(2, 3)를 서로 대향되도록 접촉 형성한 후 애폭시 몰드(6)로서 외장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전기 이중층 콘덴서가 완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종래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다수의 집전전극제가 적층된 원통상의 적층구조(11)의 양 끝에 대향되는 플레이트(2, 3)를 접촉 형성하고 이 각각의 플레이트(2, 3)로부터 인출된 리이드(4, 5)에 외부 전극단자(도시생략)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있어서는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장착시, 리이드(4, 5)가 와이어 형상이기 때문에 납땜을 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 회로기판에서 수명이 다한 콘덴서를 교체하고자 할 때 작업이 어렵고, 이로인한 납땜불량으로 불안정한 동작등 제품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제품의 조립이 복잡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 와이어 및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출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에 장착시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서로 적층된 단위 셀과 이러한 적층구조에 서로 대향 배치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각각의 인출부와 이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애폭시 몰드와 상기 인출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와이어와 이 커넥터 와이어의 끝에 연결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와이어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외측부에 형성된 열수축성 수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3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정격전압을 얻기 위해 서로 적층된 단위 셀(1)과, 이러한 적층구조(11)의 양 끝에 대향 배치되어 각각 편평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2, 3)와 이 플레이트(2, 3)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인출부(40, 50) 및 이들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애폭시 몰드(6)를 포함한다.
또 상기외부로 출몰된 인출부(40, 50)에는 플랙시블한 커넥터 와이어(41, 51)가 접속되고 이러한 접속부(42, 52)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외측부에는 열수축성 수지튜브(61)를 씌워 외장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와이어(41, 51)의 끝에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용이한 접속 및 교체를 위하여 커넥터(12)가 연결된다.
이렇게 형성된 본 고안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적층구조(11)의 양 끝에 대향 형성된 플레이트(2, 3)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인출부(40, 50)에 커넥터 와이어(41, 51)가 접속되고, 이 커넥터 와이어(41, 51)의 끝에는 커넥터(12)가 연결되어 외부 전극단자(도시생략)와의 용이한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 와이어(41, 51) 및 커넥터(12)를 고려함으로써,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에 장착시, 종래의 납땜에 의한 조립과 달리, 용이한 결합 및 교체가 가능하며 납땜불량에 의한 불안정한 동작을 예방함으로써 제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적층된 단위 셀(1)과 이러한 적층구조(11)에 대향 배치되는 각각의 플레이트(2, 3)와, 이 플레이트(2, 3)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각각의 인출부(43, 53)와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접착제(13)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 하의 애폭시 몰드(6)와, 이 애폭시 몰드(6)의 외부로 대향되어 출몰된 인출부(43, 53)에 접속되는 커넥터 와이어(41, 51)와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외측에 형성된 열수축성 수지 튜브(61) 및 상기 커넥터 와이어(41, 51)의 끝에 연결된 커넥터(12)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전기 이중층 콘덴서용 전극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해콘덴서나 필름콘덴서 등과 같이 다른 타입의 콘덴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의하면, 종래의 납땜에 의한 방법에서와 달리 외부 전극단자와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 와이어 및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출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에 장착시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며 아울러 납땜 불량에 의한 불안정한 동작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용성을 얻을수 있다.

Claims (1)

  1. 정격전압을 얻기 위해 서로 적층된 단위 셀(1)과 이러한 적층구조(11)의 양 끝에 대향 배치되어 각각 편평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2, 3)와, 이 플레이트(2, 3)에서 연장된 각각의 인출부(40, 50) 및 이들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애폭시 몰드(6)로 구성되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40, 50)에는 가요성의 커넥터 와이어(41, 51)가 접속되고 이 커넥터 와이어(41, 51)의 끝에는 외부 전극단자와의 용이한 접속 및 교체를 위한 커넥터(12)가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 와이어(41, 51)의 접속부(42, 52)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외측부에는 열수축성 수지 튜브(6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
KR2019910023134U 1991-12-20 1991-12-20 전기 이중층 콘덴서 KR970005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134U KR970005070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이중층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134U KR970005070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이중층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19U KR930016019U (ko) 1993-07-28
KR970005070Y1 true KR970005070Y1 (ko) 1997-05-22

Family

ID=1932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134U KR970005070Y1 (ko) 1991-12-20 1991-12-20 전기 이중층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0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19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5342A (en) Flat electrolytic capacitor
US4204036A (en) Multiple duty battery
KR20090041906A (ko) 쿼지바이폴라 구조를 갖는 적층형 전기화학셀
KR20040101555A (ko) 커패시터 모듈 및 상기 커패시터 모듈을 포함하는커패시터 배터리
JPH0666235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20090037620A (ko) 쿼지바이폴라 구조를 갖는 전기화학셀
US3377201A (en) Spiral battery cell
JP2993069B2 (ja) 密閉形集合電池
KR970005070Y1 (ko) 전기 이중층 콘덴서
US2864880A (en) Battery construction and cell therefor
JPS6040146B2 (ja) 積層電池
JP3648152B2 (ja) 蓄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5191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S6038277Y2 (ja) 自立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200280951Y1 (ko) 전기이중층 캐패시터용 밀폐식 장방형 외장케이스
JPS6025894Y2 (ja) 電解コンデンサの端子構造
JP2005353722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N215834419U (zh) 一种铝电解电容器
KR830001931B1 (ko) 적층전지
KR101549814B1 (ko) 표면 실장형 슈퍼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06597A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JPH10135079A (ja) 巻回式二次電池
JPH0432748Y2 (ko)
KR0112795Y1 (ko) 전기 이중층 콘덴서
CN113593913A (zh) 一种铝电解电容器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