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31B1 - 적층전지 - Google Patents

적층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31B1
KR830001931B1 KR1019800004692A KR800004692A KR830001931B1 KR 830001931 B1 KR830001931 B1 KR 830001931B1 KR 1019800004692 A KR1019800004692 A KR 1019800004692A KR 800004692 A KR800004692 A KR 800004692A KR 830001931 B1 KR830001931 B1 KR 83000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pole
cells
batter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684A (ko
Inventor
히로노스께 이께다
사도시 나루가와
시게히로 나까이도
Original Assignee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우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우루 filed Critical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31B1/ko
Publication of KR83000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전지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전지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동 A-A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조립도중에서의 전지군의 사시도.
제5도는 소전지의 사시도.
제6도는 동 B-B 단면도.
본 발명은 상면에 +, - 극단자부를 소전지를 서로 겹친 신규한 적층전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적층전지의 일례인 006p형 전지(전지전압 9볼트)는 1.5볼트의 전지전압을 가진 통형의 알킬리 망간전기를 6개 사용하여, 이것들을 직렬 접속해서 외장 케이스내에 수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형의 소전지를 접합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각 소전지의 +, - 극단자가 전지의 상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지군을 직렬 접속함에 있어서, 각 소전지를 정위치에서 배열하면 접속편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절연구조가 번잡하게 됨과 동시 조립이 극히 복잡해진다. 한편 각 소전지를 교호로 정, 역전시켜서 배열하면 접속편의 길이는 짧아지기는 하나 전지를 역전위치에서 사용하는 것도 좋지 않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외장케이스가 사각형인 006p형 전지에 있어서는, 통형 소전지를 사용하면 공간체적이 커진다는 불편이 있음과 동시에 전지수가 많아지므로 각 소전지에는 적어도 2개이상의 소전지가 대향하게 되어, 인접전지간의 소망하지 않는 전기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소전지를 각각 절연시이트로 피복하지 않으면 안되어 전지조립이 번잡해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로 하는 바는 상면에 +, -극단자부를 갖춘 소전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 소전지를 정위치상태로 복수개 겹쳐서 전지군을 형성하고 전기접속을 전지군의 상면부에서 행하게 함과 동시에 한쌍의 절연판을 교묘하게 이용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소망하지 않는 전기 접속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는 적층전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 소전지로서 3볼트의 전지전압을 가진 사각형의 유기전해질 전지를 사용하므로서, 서두에서 설명한 통형의 알칼리망간전지를 사용하는 006P형 전지에 적합시킬 경우에는 전지수를 3개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인접전지간의 소망하지 않는 전기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심에 위치하는 소전지만을 절연체로 피복하면 되고, 전지조립의 간략화를 도모할수 있음과 동시에 사각형의 소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간 체적을 감소할 수 있어 극히 유익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소전지(1)의 구성을 전지전압 3볼트의 사각형 리튬 이산화 망간전지를 예로해서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2)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해서 된 +극단자 겸용인 외장통, (3)은 외장통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된 봉구덮개로서, 외장통(2)에 레이저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극단자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봉구덮개(3)에는 투공(31)이 있으며, 이 투공(31)에는 그 상하면 및 중심부를 덮는 것과 같이, 예를들면 테트론수지로 된 절연통체(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통체(4)의 중공부에 T자형의 -극단자핀(5)를 삽통하고, 그 하단을 상기 절연통체(4)의 하면에 배설된 금속링(6)에 코오킹하므로서 -극단자핀(5)은 봉구덮개(3)에 절연상태로 기, 액밀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7)은 이산화망간을 활 물질로 하는 +극으로서 외장통(2)에 전지 접속되어 있으며, 또 (8)은 리튬압연판으로 된 -극으로서 집전체 (9)의 연장단(91)을 -극단자핀(5)에 점 용접해서 전기접속되어 있다. (10)은 유기전해질을 함침한 세파레이터이다.
이와 같은 소전지를 사용해서 006p형의 적층전지로 조립하는 방법을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소전지(1)(1')(1")를 도면과 같이 인접전지의 -극단자핀이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겹쳐놓는다. 이때, 중심에 위치하는 소전지(11)만을 절연체(11)로 피복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소전지에서 +극단자 혹은 -극단자에 일단이 고착된 전지접속편(12)(12') 혹은 리이드편(13)(13")이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전지군의 상부에 접속된 도출구멍 (14)(14), 리이드편 도출구멍 (15)(15) 및 소전지의 -극단자가 면하는 구멍 (16)(16)을 형성한 제1절연판(17)을 장착하고, 이 절연판(17)의 상면을 지나서 소전지(1)의 +극단자에서 도출된 접속편 (12)의 타단을 소전지 (1')의 -극단자에 점 용접해서 전지접속함과 동시에 소전. (1')의 +극단자에서 도출된 접속편(12')의 타단을 소전지(1")의 -극단자에 점 융접해서 전기접속하므로서 전지군은 직렬접속된다. 이때의 상태도가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한 후, 한쌍의 리이드편 도출구멍 (18)(18)을 형성한 제2의 절연판(19)이 장착된다. 이 제2의 절연판(19)에 의해 접속편(12)과 리이드편(13") 및 접속편(12')과 리이드편(13)과의 접촉이 완전히 저지된다. 이어서, 전지군을 예를 들면 절연성의 열 수축성 튜우브로 되어 있는 절연부재(20)로 피복하여 단단하게 고정한 후, 소전지(1")의 +극단자부에서 도출된 리이드편(13") 및 소전지(1)의 -극단자에서 도출된 접속편(13)을 각각 단자판(21)에 부착한 +극외부단자(22) 및 -극외부단자(23)에 접속한다.
그 후, 내부칼라(24')를 형성한 외장케이스(24)를 씌워서, 바닥덮개(25)를 댄 뒤, 외장케이스(24)의 하단 가장자리(24")를 바닥덮개(25)에 압착해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완성전지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에 +, -극단자부를 갖춘 소전지를 이용한 적층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전지를 겹쳐서 전지군을 형성하고, 이 전지군의 상면에 배설한 제1의 절연판에 형성한 투공을 개재하여 접속편에 의해 전지군을 직렬접속하므로서, 접속편에 의한 인접전지간의 소망하지 않는 전기 접속을 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속부상에 배설한 제2의 절연판에 형성한 한쌍의 투공에 전지군의 +, -극리이드편을 관통시키므로서, 접속편과 리이드편과의 소망하지 않는 접촉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소전지를 접합한 전지군을 속에 넣는 적층전지에 있어서, 각 소전지를 전부 정위치상태로 사용하고, 또한 전기접속을 전지군의 상면부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조립이 극히 간략화됨과 동시에 한쌍의 절연판에 의해 소망하지 않는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소전지로서 3볼트의 전지전압을 가진 사각형의 유기전해질 전지를 사용하면, 006p형 전지를 구성할 경우에는 전지수가 3개로 되며, 또한 인접전지간의 소망하지 않는 전기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소전지만을 절연체로 피복하면 되므로 전지조립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각형 소전지를 사용하므로 공간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본 발명 적층전지는 여러가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에 +, -극단자부를 갖춘 소전지를 겹쳐서 전지군을 형성하고, 이 전지군의 상면에 배설된 제1의 절연판에 형성한 투공을 개재하여 접속편으로 전지군을 직렬접속함과 동시에 이 접속부상에 배설된 제2의 절연판에 형성한 한쌍의 투공에전지군의 +, -극리이편을 관통시켜, 이들 리이드편을 단자판에 착설된 +, -극외부단자에 각각 접속해서 된 적층전지.
KR1019800004692A 1980-12-10 1980-12-10 적층전지 KR83000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92A KR830001931B1 (ko) 1980-12-10 1980-12-10 적층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692A KR830001931B1 (ko) 1980-12-10 1980-12-10 적층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684A KR830004684A (ko) 1983-07-16
KR830001931B1 true KR830001931B1 (ko) 1983-09-23

Family

ID=1921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692A KR830001931B1 (ko) 1980-12-10 1980-12-10 적층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684A (ko) 198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83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stacked electrodes of batteries
KR100622199B1 (ko) 단추전지형 전기 재충전식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54989A (ko) 쌍극전지
JPH0582020B2 (ko)
CA1196376A (en) Elliptical column type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N216850254U (zh) 电池及电池组
CN107834013B (zh) 层叠电池
JP4802365B2 (ja) 電池
JPS6040146B2 (ja) 積層電池
KR830001931B1 (ko) 적층전지
JP2018045948A (ja) 積層型電池
CN114725477A (zh) 电芯单元、电池及电池的装配方法
CN114223077A (zh) 电池及用电设备
JPS61281457A (ja) 蓄電池の製造方法
JPS5814527Y2 (ja) 扁平型電池
US3268363A (en) Electric cell, particularly an electric storage battery
CN217086828U (zh) 电池及电池组
CN217086814U (zh) 电池及电池组
JPH0864233A (ja) 角型電池
JP3015663U (ja) スパイラル形リチウム電池
CN217086805U (zh) 电池及电池组
JPH0638157U (ja) 組電池
JP2567647B2 (ja) 角型密閉電池
KR970005070Y1 (ko) 전기 이중층 콘덴서
JPH01198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