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065B1 - 자동 배수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배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065B1
KR970005065B1 KR1019880005975A KR880005975A KR970005065B1 KR 970005065 B1 KR970005065 B1 KR 970005065B1 KR 1019880005975 A KR1019880005975 A KR 1019880005975A KR 880005975 A KR880005975 A KR 880005975A KR 970005065 B1 KR970005065 B1 KR 97000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ontainer
cylindrical wall
neck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65A (ko
Inventor
제이 크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오오엔즈-이리노이 플라스틱 프로닥츠 인코포레이팃드
하워드 지이 브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엔즈-이리노이 플라스틱 프로닥츠 인코포레이팃드, 하워드 지이 브루스 filed Critical 오오엔즈-이리노이 플라스틱 프로닥츠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9001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6Integral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배수 용기
제1도는 뚜껑이 분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제2도는 뚜껑이 닫혀있는 용기의 윗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변형예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4도는 뚜껑이 분리되어 도시된, 제2도의 용기의 윗부분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용기를 한 작업 공정에서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형의 취입 성형기의 개략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의 취입 성형기에서 용기를 성형하는 여러 다른 공정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용기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취입성형기의 압출 다이와 사출 금형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용기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또다른 형태의 취입 성형기의 압출 다이와 사출 금형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몸체 부분
12 : 목 부분 13,13a : 웨브
14 : 원통형 벽 16 : 주둥이 부분
20 : 뚜껑 24 : 돌출부
30 : 채널 40 : 압출 헤드
43,43' : 취입 금형 44 : 유압 실린더
45 : 취입 헤드 46 : 취입 핀
70,100 : 압출 다이 71,103 : 오리피스
72 : 사출 금형 75 : 취입 헤드 조립체
76 : 취입 파이프 80,114 : 슬리이브
90 : 봉 100 : 압출 다이
101 : 부싱 102 : 맨드렐
110 : 목부분 링 조립체 113 : 코어핀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배수 특징을 갖는 일체형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액체 세제나 표백제와 같은 제품의 경우에서 액체를 배출할때 한번에 그 용기의 내용물중 일부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출을 중지하였을때 용기의 목 부분과 측면에서 흘러내리는 액체 내용물의 방울에 의해 발생되는 지저분함고 오염에 신경을 쓰게 된다. 따라서, 상부 목 부분을 갖는 병을 정상의 직립 저장 위치로부터 역전의 배출위치로 기울인 다음, 다시 직립위치로 복귀시키면, 그 액체중 몇방울이 용기 목 부분의 외측에서 흘러내리게 된다. 종래의 대부분의 용기들은 이러한 과잉의 유체를 수집하여, 목 부분이나 측면으로 흘러 내리게 하기 보다는 용기안으로 다시 배수되게 하는 여러 특징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미국특허 제4,640,855호와, 제4,671,421호 및 제4,550,862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서 종래 기술로 인용된 다른 형태의 용기들도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상기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용기들은 자동 배수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 성형 작업에서 조립되는 여러 부품들을 필요로 하게 되며, 특히 미국특허 제4,640,855호의 경우에는 주둥이 부분을 재위치시키는 재성형 작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외에, 상기 특허에 기재된 용기들은 각자 용기에 부착되는 별도의 성형 요소를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요소는 몇몇 다른 요소들과 협동하여 자동배수 특징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배수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용기에서는 각 요소들을 성형하는데 별도의 성형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이러한 요소에 의해 자동 배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립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자동 배수 용기는 성형 작업중에 일체로 성형되어 자동 배수 특징을 구비하기 때문에 종래의 용기에 비해 그 구성부품 각각에 대한 성형작업이 필요없는 동시에, 이렇게 성형된 구성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완전한 용기에 필요한 유일한 다른 요소는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여러 부품을 필요로 하는 용기보다 그 제조가 매우 경제적이라는데 장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성형기에서 성형될 수 있고 별도의 조립작업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배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취입 성형기들중 어느 것에서도 서로 다른 성형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와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팩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 내지 제5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 배수 용기는 몸체 부분(11)과, 상기 몸체 부분의 상단부에 위치된 목 부분(12)을 갖는 용기(10)로 구성된다. 웨브는 상기 목 부분(12)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웨브는 제1도와 제2도 및 제4도의 웨브(13)와 같이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거나, 제3도 및 5도의 웨브(13a)와 같이 목 부분의 축선(A)에 직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원통형 벽(14)은 목 부분의 축선(A)에 평행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내면에는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20)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나선(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21)과 이러한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환형의 스커어트 부분(22)을 포함한다. 스커어트 부분(22)의 하부 부분에는 원통형 벽(14)의 나선(15)과 결합되는 나선(23)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할 경우, 상기 나선 대신에 환형의 비이드(bead)나 기타 공지의 뚜껑 지지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나선이 이용되는 경우, 원통형 벽(14)과 스커어트 부분(22)의 하부 부분은 원통형이 될 것이다. 그러나, 환형 비이드 또는 다른 형태의 뚜껑 지지 특징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원통형 벽(14)과 스커어트 부분(22)은 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선(23)의 윗쪽에서 스커어트 부분(2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부(24)가 연장되는데, 상기 돌출부(24)는 나선(23,15)이 완전히 결합되었을때 원통형 벽(14)의 상부에 안착되어 용기를 밀봉한다.
원통형 벽(14) 안쪽에는 주둥이 부분(16)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둥이 부분(16)은 원통형 벽(14)의 상단부를 지나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연부(17)(제1도)에서 종료된다. 제1도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둥이 부분(16)은 웨브(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목 부분(12)의 개구보다 큰 개구부를 갖는다. 제3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는, 주둥이 부분(16)은 목 부분(12)과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목 부분(12)과 정렬되어 그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주둥이 부분(16)은 목 부분(12)의 상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목 부분을 둘러싸게 된다. 그 결과 유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주둥이 부분의 수평위치나 역전된 위치가 되어 용기가 배출위치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체는 목 부분(12)을 지나 주둥이 부분(16)까지 흘러서 상연부(17)로 흐르게 된다. 제1도와 제2도 및 제4도의 실시예에서 유체는 주둥이 부분(16)에 도착되기 전에 웨브(13)의 하부 부분을 가로질러 흐르게 된다.
주둥이 부분(16)과 목 부분(12)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배수 용기에서, 주둥이 부분의 개구부의 크기는 적어도 목 부분의 개구부와 동일하거나 더 커야 한다. 그러므로, 목 부분과 주둥이 부분의 개구부들의 단면이 원형인데, 주둥이 부분(16)의 직경은 목 부분(1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커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용기는 취입 성형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여러 형태의 다양한 성형기에서 성형될 수 있다. 이것은 하기에 서술되는 자동 배수 용기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둥이 부분(16)은 그 양쪽 연부(19a,19b)에 의해 간극(18)이 형성되도록 180° 내지 360°범위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주둥이 부분(16)의 외측면은 원통형 벽(14)의 내측면 및 웨브(13)와 협동하여 채널(30)을 형성한다. 상기 간극(18)을 통하여 몸체 부분(11)과 상기 채널(30)이 연결된다. 따라서, 용기에서 유체를 배출하고 상기 용기를 정상의 직립 위치로 복귀시킨 후에는, 주둥이 부분(16)의 상연부(17) 위로 흐른 유체중 소량이 주둥이 부분의 내외측벽을 따라 흘러내린다. 물론, 주둥이 부분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는 곧바로 용기(10)의 몸체 부분(11)으로 흘러들어가고, 주둥이 부분의 외면으로 흘러내리는 유체는 채널(30)에 고인 뒤 채널(30)의 주위로 흘러 간극(18)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간극(18)을 통해 용기의 몸체 부분으로 흘러들어간다. 주둥이 부분(16)은 완전히 360° 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유체를 채널(30)로부터 용기의 몸체 부분(11)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주둥이 부분(16)의 측벽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성형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웨브(13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 용기가 직립의 저장 위치에 있을때 상기 웨브(13a)는 거의 수평으로 위치된다. 필요할 경우, 채널(30)로부터 몸체 부분으로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간극(18)과 정렬하여 웨브(13a)의 상면에 비스듬한 절결홈(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는 플라스틱 용기 제조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취입 성형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전반적인 성형 동작을 이용하는 이런 형태의 성형기들을 도일의 서베를린에 소재하는 베쿰 마시넨-파브리겐사, 독일의 본에 소재하는 크루프 카우텍스 마시넨바우사, 및 독일의 로흐마르에 소자하는 바렌펠드 피셔사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서 제조하고 있고 미국특허 제3,583,031호를 비롯한 많은 미국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취입 성형기들은 압출 헤드(40)를 포함하고, 그 압출 헤드(40)는, 통상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용융시켜 압출 헤드를 통해 그 물질에 힘을 가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연속적인 압출 튜브(용융 예비 성형물)(41)를 성형하는 압출기(도시안됨)에 연결된다. 상기 튜브(41)는 칼(42)이나 열선에 의해 압출 헤드(40)로부터 절단된다. 상기 튜브(41)는, 금형 절반부(43a,43b)가 유압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튜브 둘레를 폐쇄함에 따라 2세트의 취입 금형(43)중 하나에 의해 파지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절반부(43a',43b')를 갖는 다른 세트의 취입 금형(43')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6도에서, 이미 압출된 튜브(41')가 고정되어 있는 폐쇄된 취입 금형(43')은, 튜브가 연속적으로 압출될 수 있도록 도시않은 수단에 의해 압출 헤드(40)의 하부 위치로부터 압출 헤드와는 이격된 위치까지 이동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입 금형(43')은 목 부분(12)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취입핀(46)을 갖는 취입 헤드(45)의 하부 위치까지 이동된다. 절단 및 압축 성형슬리이브(47)는 상기 취입 핀(46)을 감싸고 있다. 튜브(41)를 둘러싼 취입 금형(43')이 취입 헤드(45)의 하부에 위치된 후, 취입 핀(46)은 플라스틱을 압축 성형하여 목부분(12)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이동되어 튜브(41)의 개방 단부 안으로 삽입된다. 절단 및 압축 성형슬리이브(47)는 취입 핀(46)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어 용기의 주둥이 부분(16)과, 웨브(13)와, 원통형 벽(14)을 압축 성형하고 과잉의 플라스틱 폐기물(50)을 절단한다. 그 직후, 취입 핀(46)내이 통로(48)를 통해 공기가 취입되므로써 튜브(41)를 취입 금형(43)의 공동과 일치하게 팽창시켜 용기(10)를 성형한다. 이러한 내용이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성형된 용기로부터 꼬리 폐기물(52)이 제거된다. 취입 공정후에는, 금형 절반부(43a',43b')를 개방하여 용기(10)를 취출한다.
이런 형태의 취입 성형기에 익숙한 숙련자에 공지된 바와 같이, 추입 헤드(45)와는 다른 쪽에 위치된 압출 헤드(40)에 제2의 취입 헤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취입 금형(43)이 개방된 금형 절반부 사이에 있는 튜브 둘레를 폐쇄하고, 다른 취입 금형(43')을 개방하여 새로 성형된 용기를 취출한 후에, 양 세트의 취입 금형은 도시않은 수단에 의해 제6도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므로써 그 결과, 개방된 금형 절반부(43a',43b')는 압출 헤드(40)의 하부에 위치되어 다음번 튜브(41)를 고정하며 그전에 압출된 튜브 둘레에 폐쇄된 다른 취입 주형(43)은 성형 공정이 복되는 제2의 취입 헤드의 하부에 위치된다.
양 세트의 취입 금형(43,43')은 몸체 부분(11)의 요구되는 형상과 일치하는 몸체 성형 벽 부분(51)을 포함한다. 상기 벽 부분(51)은 금형 절반부들이 폐쇄되었을때 용기(10)의 목 부분(12)의 외부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제한부(52)에서 종료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웨브(13)의 외면을 형성하는 선반부(53)는 상기 제한부(5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53)는, 웨브가 제3도의 실시예의 웨브(13a)처럼 목부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와 제1도와 제2도 및 제4도의 웨브(13)처럼 윗쪽으로 경사질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끝으로, 금형 절단부(43a,43b)는 금형 절반부가 폐쇄되었을때 원통형 벽(14)의 외면을 성형하도록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한 상향연장 벽 부분(54)을 가지고 있다. 상기 벽 부분(54)은 상방 외측으로 경사진 도입부(55)에서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취입 핀(46)과 절단 및 압축 성형슬리이브(47)는 취입금형과 협동하여, 용기의 목 부분, 주둥이 부분, 웨브, 및 원통형 벽을 압축성형한다. 상기 슬리이브(47)의 직경은 금형 절반부(43a',43b')가 폐쇄되었을때 슬리이브가 벽부분(54) 안에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크기를 갖게 되므로, 그 결과 상기 벽 부분과 접촉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리이브는 과잉의 플라스틱 폐기물(50)을 절단하는 작용을 한다.
슬리이브(47)의 하단부는 원통형 벽(14)의 내면과 나선(15)을 형성하기 위해 축소 직경부(63)와 홈(6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슬리이브(47)의 내벽면에는 절결부(65)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절결부(65)는 취입 핀(46)의 외벽과 협동하여 주둥이 부분(16)을 성형한다. 제6도와 제7도 및 제8도의 실시예에서, 주둥이 부분(16)이 직경은 목 부분(1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성형된다. 물론, 절결부(65)의 형태는 주둥이 부분(16)의 요구되는 형태에 따라 좌우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65)는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단부(66)에서 종료되며, 슬리이브(47)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슬리이브의 하단부 쪽을 향해있는 절결부의 가장자리들은 주둥이 부분의 양 연부(19a,19b)를 성형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취입성형기로는 사출 취입형 취입 성형기로 당 분야에 알려서 있는 취입 성형기가 있다. 이런 형태의 취입 성형기들은 일본 토쿄의 닛세이사와, 미국 뉴저지주의 조마사에서 제조된다. 이런 형태의 성형기에서는, 용기가 취입되는 용융 예비성형물(parison) 전체가 내부 취입 헤드 조립체와 외부 사출 금형에 의해 형성된 금형 공동내에서 사출 성형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형태의 취입 성형기중 용융 예비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는 부분은 오리피스(71)를 갖는 압출 다이(70)를 포함하며, 가열된 열가소성 물질은 상기 오리피스(71)를 통해 가압될 수 있다. 용융 예비 성형물의 희망의 외면과 일치하는 공동(73)을 갖는 사출 금형(72)은 취입 헤드 조립체(75)와 협동하여 상기 예비 성형물에 요구되는 형성의 금형 공동을 형성한다. 취입 헤드 조립체(75)는 사출 금형(72)의 공동(73)내외로 드나들 수 있고, 사출 금형(72)과 취입 헤드 조립체(75)는 오리피스(71)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위치되었을때 그 내부에 플라스틱 물질이 수용되므로써 램(ram)이나 압출기(도시않음)의 작동에 따라 오리피스(71)를 통해 가압됨으로써 공지된 예비 성형물(P)을 성형할 수 있다. 예비 성형물(P)을 사출 성형한 후, 그 예비 성형물과 함께 취입 헤드 조립체(75)는 사출 금형에서 제거되어, 예비 성형물 둘레를 폐쇄하는 취입 금형(도시안됨)으로 이동된다. 그후, 취입 금형 공동내에서 그 예비 성형물이 팽창되어 용기(10)가 형성된다.
취입 헤드 조립체(75)는 경사진 하단부(77)를 갖는 긴 취입 파이프(76)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77)는 사출 금형(72)의 공동(73)과 협동하여 병의 몸체 부분(11)이 취입되는 예비 성형물(P)의 몸체 부분을 성형한다. 벽 부분(78)은 상기 경사진 하단부(77)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경사되어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웨브(13)의 윗면을 성형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취입 헤드 조립체(75)와 사출 금형(72)의 특정 형태는 제2도 및 제4도의 실시예와 같은 웨브 및 주둥이 부분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방 외측으로 경사진 벽 부분(78)은 취입 파이프(76)의 확대 부분(79)에 합체된다.
경사진 하부 부분(81)과 원통형의 내외벽(82,83)을 포함하는 슬리이브(80)는, 확대 부분(79)의 주위로 신축가능하다. 슬리이브(80)의 경사진 하부 부분(81)은 웨브(13)의 윗부분의 내면을 성형한다. 외벽(83)의 아랫 부분은 사출 금형(72)과 협동하여, 원통형 벽(14)을 성형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용기(10)의 나선(15)을 성형하기 위해 외벽(83)에는 나선 홈(85)이 형성된다.
확대 부분(79)은 그 대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절결부(86)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주둥이 부분(16)의 원하는 형상을 성형하기에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둥이 부분은 슬리이브(80)의 내벽(82)과 절결부(86)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에서 성형된다.
취입 파이프(76)는 중앙에 중공부를 가지고 있고, 그 중공부내에는 하단부에 확대 머리부(91)를 갖는 긴봉(90)이 배치된다. 취입 파이프(76)의 경사진 하단부(77)는 분할부(92)에서 분기되어 있다. 따라서, 취입 헤드 조립체(75)와 예비 성형물(P)이 취입 금형내에 있을때, 봉(90)은 축방향으로 하향이동될 수 있다. 상기봉(90)은 취입 파이프(76)의 중공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중공부와 협동하여 통로(94)를 형성한다. 따라서, 취입 위치에 있을때, 압축 공기는 상기 통로(94)를 통해 취입된 후 봉(90)이 하향으로 이동시 분할부(92)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유입되어 예비 성형물(P)을 팽창시키므로써 용기를 취입 성형하게 된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취입 성형기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용기가 성형될 수 있지만, 제1도와 제2도 및 제4도와 같은 용기도 이러한 형태의 성형기와 성형 방법을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용기를 취입 성형하는 공정은 본원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2,804,65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취입 성형은 사출-압출 취입 성형을 특징으로 하며 BC-3 성형기로 알려진 성형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BC-3 성형기에 의한 방법에서는, 용기의 상부 목 부분이 먼저 사출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다. 사출 성형 공정의 완료에 따라, 사출 금형은 소정 길이의 가열 및 가소화된 튜브가 다이 헤드에서 압출될 동안 사출 다이헤드의 오리피스로부터 상승된다. 상기 튜브는 사출 성형된 목 부분에 연결되며, 튜브가 압출되면서 상향으로 당겨진다. 튜브가 적당한 길이로 압출된 후, 취입 금형 절반부는 튜브 주위를 폐쇄하고 사출 금형 조립체를 통해 공기를 취입하여 폐쇄된 금형내에서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용기의 나머지를 성형한다. 이러한 공정들은 미국 특허 제2,804,65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10도에서, 압출 다이(100)는 부싱(101)과 맨드렐(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싱과 맨드렐은 서로 협력하여 가열 및 가소화된 물질을 방출하는 오리피스(103)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101)은 제3도 및 제5도의 용기의 웨브(13a)의 아랫 부분을 형성하는 요홈부(104)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부싱(101)은 맨드렐(102)의 상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놓인 전체 표면에 요홈부(104)가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슬리이브(114)의 하단부는 짧아지게 되며 부싱(10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부싱(101)과 협력하여 웨브(13a)를 성형한다. 또한, 이동가능한 목 부분 링 조립체(110)는 사출 성형 공정중에 오리피스(103)와 결합되도록 하향으로 이동되고 압축 공정중에 상향으로 이동하여 오리피스(103)에서 나오는 튜브를 잡아당기도록(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장착된다. 목 부분 링 조립체(110)는 목 부분 링 절반부(111a,111b)를 포함하며, 상기 링 절반부들은 반경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고 용기의 원통형 벽(14)의 외면이 성형되는 내벽 부분(11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어핀(113)은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압출된 튜브가 취입 금형내에 폐쇄된 후에 압축된 공기는 상기 통로를 통해 튜브 안을 취입되어 취입 금형에서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용기의 몸체 부분을 성형한다. 코어 핀(113)은 용기 주둥이 부분(16)의 내면을 성형한다.
분할 슬리이브(114)는 코어 핀(113)을 둘러싸며, 주둥이 부분(16)의 상연부(17) 및 외면을 형성하는 형상의 요홈부(115)를 갖는다. 슬리이브(114)의 바깥쪽 아랫 부분은 원통형 벽(14)의 내면을 성형하며, 나선(15)을 성형하는 나사 홈(116)을 갖는다. 슬리이브의 하단부는 웨브(13a)의 윗면을 성형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배수 용기는 성형 작업중에 일체로 성형되어 자동 배수 특징을 구비하기 때문에 종래의 용기에 비해 그 구성부품 각각에 대한 성형작업이 필요없는 동시에, 이렇게 성형된 구성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여러 부품을 필요로 하는 용기보다 그 제조가 매우 경제적이라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1)

  1. 몸체 부분과,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소정 직경의 원통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목 부분과, 상기 목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목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목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직경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의 내면을 갖는 원통체인 배출 주둥이 부분과,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주둥이 부분을 둘러싸는 일체로 성형된 원통형 벽과, 상기 몸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협동하여 용기가 역전되는 배출위치로부터 직립위치로 이동되었을때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벽을 상기 목 부분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용기가 직립위치에 있을때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목 부분 및 몸체 부분으로 액체가 흐를 수 있게 하는 통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중 목 부분, 배출 주둥이 부분, 원통형 벽, 연결 수단 및 통로 수단은 제1 금형에서 단일 동작으로 성형되고 그후, 몸체 부분은 제1 금형에서 성형된 상기 부분에 대해 추가의 성형 동작없이 취입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2. 몸체 부분과,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소정 직경의 원통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목 부분과, 상기 목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목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그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의 직경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의 내면을 갖는 원통체인 배출 주둥이 부분과,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출 주둥이 부분을 둘러싸는 일체로 성형된 원통형 벽과, 상기 원통형 벽 및 배출 주둥이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원통형 벽 및 배출 주둥이 부분과 협동하여, 용기가 역전된 배출위치로부터 직립위치로 이동된때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을 상기 목 부분에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의 모든 부분은 상기 목 부분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단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대향 연부들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180° 내지 360°미만의 원주방향 범위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에 제공된 상기 간격은 용기가 직립위치에 있을때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목 부분 및 몸체 부분으로 액체가 흐를 수 있게 하는 개방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중 목부분, 배출 주둥이 부분, 원통형 벽, 웨브 및 상기 간격은 제1 금형에서 단일 작동으로 성형되며, 몸체 부분은 이러한 성형 후에 상기 제1 금형에서 성형된 상기 부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성형 동작없이 취입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의 내면의 직경은 상기 목 부분의 소정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은 상기 목 부분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상기 웨브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수평의 외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벽은 상기 주둥이 부분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7. 몸체 부분과,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소정 직경의 원통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목 부분과, 상기 목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목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그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면을 갖는 원통체인 배출 주둥이 부분과,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주둥이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주둥이 부분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나선을 갖는 원통형 벽과,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협동하여 용기가 역전된 배출위치로부터 직립위치로 이동된때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을 상기 목 부분에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의 모든 부분은 상기 목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간격을 형성하는 대향 연부들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180°내지 360°미만의 원주 방향 범위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주둥이 부분에 제공된 간격은 용기가 직립위치에 있을때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목 부분 및 몸체 부분으로 액체가 흐를 수 있게 하는 개방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중 목 부분, 배출 주둥이 부분, 원통형 벽, 웨브 및 상기 간격은 제1 금형에서 단일 작동으로 성형되며, 상기 몸체 부분은 이러한 성형 후에 제1 금형에서 성형된 상기 부분에 대해 추가의 성형 동작없이 취입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8. 사출 취입 성형, 사출-압출 취입 성형 및 압출-압축 취입 성형을 포함하는 3가지 별도의 취입 성형 공정들 모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단일체로 성형되는 자동 배수 용기에 있어서, 용기 예비 성형물(parison)로부터 취입 성형되는 몸체 부분과, 상기 몸체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소정 직경의 원통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목 부분과, 상기 목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목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그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면을 갖는 원통체인 배출 주둥이 부분과,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그 주둥이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형 벽과,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과 협동하여 용기가 역전된 배출위치로부터 직립위치로 이동되었을때 상기 주둥이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벽 및 주둥이 부분을 상기 목 부분에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의 모든 부분은 상기 목 부분 윗쪽에 있으며, 하단부에 간격을 형성하는 대향 연부들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180°에서 360°미만의 원주 방향 범위에 걸쳐 연장되며, 상기 주둥이 부분에 제공된 상기 간격은 용기가 직립위치에 있을때 상기 채널로부터 상기 목 부분 및 몸체 부분으로 액체가 흐를 수 있게 하는 개방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중 목 부분, 배출 주둥이 부분, 원통형 벽, 웨브 및 상기 간격은 제1 금형에서 단일 작동으로 성형되며, 상기 몸체 부분은 이러한 성형후, 제1 금형에서 성형된 상기 부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성형 동작없이 취입 성형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벽은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나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수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수평의 외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며, 상기 배출 주둥이 부분은 상기 목 부분의 축서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상기 웨브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목 부분의 소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의 자동 배수 용기.
KR1019880005975A 1988-02-25 1988-05-20 자동 배수 용기 KR97000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55988A 1988-02-25 1988-02-25
US160559 198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65A KR890012865A (ko) 1989-09-19
KR970005065B1 true KR970005065B1 (ko) 1997-04-12

Family

ID=2257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975A KR970005065B1 (ko) 1988-02-25 1988-05-20 자동 배수 용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329883B1 (ko)
JP (1) JP2551457B2 (ko)
KR (1) KR970005065B1 (ko)
CN (1) CN1021564C (ko)
AT (1) ATE98188T1 (ko)
AU (2) AU603435B2 (ko)
BR (1) BR8803505A (ko)
CA (1) CA1319909C (ko)
DE (1) DE3886197T2 (ko)
ES (1) ES2046297T3 (ko)
HK (1) HK1000590A1 (ko)
IN (1) IN171163B (ko)
MY (1) MY103287A (ko)
NZ (1) NZ224436A (ko)
ZA (1) ZA8830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853A1 (en) * 2007-05-17 2008-11-27 Amcor Limited Molded preform and container having integrated pour spo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037A (en) * 1989-09-14 1991-12-10 Graham Engineering Corporation Blow molded bottle with integral pour spout
DK169026B1 (da) * 1990-09-24 1994-08-01 Brian Vang Jensen Dråbefanger, navnlig til en flaske eller lignende væskebeholder
GB9524456D0 (en) * 1995-11-30 1996-01-31 Britton Charles J Injection stretch blowform moulding
KR100387563B1 (ko) * 2001-03-14 2003-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출부 일체형 용기의 제조방법
NL1022297C2 (nl) * 2003-01-02 2004-07-22 Vacu Vin Innovations Ltd Uitschenkinrichting.
US8955716B2 (en) 2007-05-17 2015-02-17 Amcor Limited Molded preform and container having integrated pour spout
CA2741051A1 (en) 2008-11-06 2010-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and preform with an integrated spout
FR2962982B1 (fr) 2010-07-20 2012-08-10 Sanbri Dispositif verseur destine a etre insere dans un embout de sortie d'un recipient, en particulier d'une bouteille
EP2735427B1 (en) * 2012-11-27 2015-09-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ed and blown product
CN103662294A (zh) * 2013-12-24 2014-03-26 苏州市海神达机械科技有限公司 防液体滴漏瓶嘴
EP2952441A1 (en) 2014-06-03 2015-12-09 Brian Vang A spout for a beverage bottle and a method of producing a spout preform
GB2544055B (en) * 2015-11-03 2020-05-20 Mann & Hummel Gmbh Centrifugal seperator with drainage slots
JP6716167B2 (ja) * 2016-07-29 2020-07-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のプリフォーム及び内容物入り容器
IT201800003524A1 (it) * 2018-03-14 2019-09-14 Pera Michele Le Recipiente per liquidi alimentari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8883A (en) * 1950-07-14 1952-09-10 Alfred George Mill Improvements relating to drip-retaining means for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FR1125509A (fr) * 1955-03-23 1956-10-31 Pont Du Diable Soc Du Bouchon verseur
JPS57128519A (en) * 1981-02-03 1982-08-10 Katashi Aoki Injection blow molding machine
US4550862A (en) * 1982-11-17 1985-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product pouring and measuring package with self draining feature
DE3373994D1 (en) * 1982-11-17 1987-11-12 Procter & Gamble Liquid product pouring and measuring package with self draining feature
JPS59178234U (ja) * 1983-05-18 1984-11-28 佐々木 和春 液だれしない容器
US4640885A (en) * 1983-11-25 1987-02-03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Mono-sulfonyl azide composition used to photolytically develop a colored image on a cellulosic material
US4616759A (en) * 1985-11-08 1986-10-14 Darrell Mahler Liquid-dispensing container assembly
US4706829A (en) * 1986-02-07 1987-11-17 Owens-Illinois Closure Inc. Liquid containing and dispensing package
EP0329881B1 (en) * 1988-02-25 1993-12-15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Self-draining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853A1 (en) * 2007-05-17 2008-11-27 Amcor Limited Molded preform and container having integrated pour sp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64C (zh) 1993-07-14
ZA883039B (en) 1988-11-04
MY103287A (en) 1993-05-29
HK1000590A1 (en) 1998-04-09
CA1319909C (en) 1993-07-06
AU618204B2 (en) 1991-12-12
AU6232090A (en) 1990-12-06
EP0329883B1 (en) 1993-12-08
KR890012865A (ko) 1989-09-19
AU1510688A (en) 1989-08-31
ES2046297T3 (es) 1994-02-01
DE3886197T2 (de) 1994-04-14
AU603435B2 (en) 1990-11-15
BR8803505A (pt) 1990-03-01
CN1035265A (zh) 1989-09-06
JP2551457B2 (ja) 1996-11-06
EP0329883A1 (en) 1989-08-30
IN171163B (ko) 1992-08-08
ATE98188T1 (de) 1993-12-15
NZ224436A (en) 1992-02-25
DE3886197D1 (de) 1994-01-20
JPH01226555A (ja) 198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789A (en) Plastic container with self-draining feature
KR970005065B1 (ko) 자동 배수 용기
US5114659A (en) Blow molding method for forming a one-piece self-draining container
US5207356A (en) Self-draining container
EP0972714B1 (en) Plastic container with drain back spou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970005064B1 (ko) 자동 배수 용기 및 팩키지
US3224038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lown, hollow articles
US29512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avity squeeze bottles
EP0333956B1 (en) Accumulator head for producing a storage drum with a view stripe
US4578028A (en) Expandable core pin for blow-molding a container having a neck-portion with internal attachment means
US5601214A (en) Plastic container having an injection molded finish with an integral closure attached thereto
US6685041B1 (en) Dual-chamber container and closure package
US6360907B1 (en) Pallet container
US4280630A (en) Container with handle
US6976603B1 (en) Dual-chamber contai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KR970011163B1 (ko) 일체형의 자동 배수 플라스틱 용기
US7153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molding an article having a solid radially outwardly projecting flange
NZ235769A (en) Method for moulding a plastics, self-draining container
US3461491A (en) Uniformly blow molded container neck
US3200179A (en) Method for blow-molding plastic containers
JPH0482103B2 (ko)
MXPA99006450A (en) Plastic container with rear screw nozzle and method and apparatus to manufacture the mi
JPS6342834A (ja) 容器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