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46Y1 -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 Google Patents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46Y1
KR970004746Y1 KR2019940020310U KR19940020310U KR970004746Y1 KR 970004746 Y1 KR970004746 Y1 KR 970004746Y1 KR 2019940020310 U KR2019940020310 U KR 2019940020310U KR 19940020310 U KR19940020310 U KR 19940020310U KR 970004746 Y1 KR970004746 Y1 KR 970004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ower mold
upper mold
cente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98U (ko
Inventor
함한수
Original Assignee
함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한수 filed Critical 함한수
Priority to KR201994002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46Y1/ko
Publication of KR960007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제 1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 3 도는 원터치 뚜껑의 제조상태를 나타낸 가공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금형 2 : 하부금형
3 : 펀치 4 : 제거핀
5 : 다이캇타 6 : 안내판
7 : 안내홈 8 : 제2공정 상부금형
9 : 다이센타 10 : 가이드
11 : 제2공정 하부금형 12 : 스프링
13 : 걸림돌기 14 : 제3공정 하부센타
15 : 스트리퍼 16 : 제3공정 상부금형
17 : 녹아웃 18 : 경사면
본 고안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의 금속제 뚜껑을 제조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3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1번의 펀칭 작업으로 동시에 3공정을 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원터치 금속의 뚜껑을 제조하는 공정은 외주연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절단과 동시에 간격을 절단하는 공정(A)과 간격이 형성되도록 절단된 부분만을 일측(하방으로)으로 절곡하는 공정(B)과 절곡된 간격부의 선단부를 다시 내측으로 약간만을 구부리는 마무리 공정(C)으로 되어 있어서,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기에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하여 많은 물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를 연속의 작업으로 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25도 내지 40도로 경사진 프레스 작업대 위에서 절단과 절곡 및 마무리 공정을 한번의 펀칭 작업으로 3공정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금형의 제공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공정에서 제1공정금형의 펀치에서 절단된 것이 제거핀의 탄성으로 인하여 절단후에는 안내판의 안내홈으로 떨어지게 되면 안내홈이 하향되게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서 안내판을 따라 안내되어 제2공정의 하부금형으로 안내되면 절곡의 다이센타에 안내되어 제2공정의 상부금형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절곡되고 절곡되는 것을 제2공정의 상부금형에 부착되어 상승되면 제2공정의 하부금형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트리퍼에 의하여 상부금형에 부착되어 상승되는 것을 분리시키면 자동적으로 제3공정 하부센타에 안내되어 걸림돌기에 의하여 정위치에 안치되면 제3공정의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가압하면 제3공정의 상부금형의 경사면에 의하여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되도록 함으로서 동시에 3공정을 1번의 펀칭 작업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으로 구분되어 상부금형(1)은 하부금형(2)의 안내축(20)에 삽입되어 스프링(21)에 의하여 탄지토록 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은 각각 3공정으로 구분되어 제1공정의 상부금형(1A)은 펀치(3)의 중앙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거핀(4)이 형성되며 제1공정의 하부금형(2A)에는 다이캇타(5)의 저면의 안내홈(7)이 형성되는 안내판(6)이 형성되며 안내판(6)은 제2공장의 하부금형(11)에 해당되는 다이센타(9)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상부 외측으로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내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스트리퍼(15)가 형성되어 제2공정의 상부금형(8)이 출입될 수 있도록 되고 다이센타(9)는 스프링(도시안됨)으로 탄지토록 되면서 다이센타(9)의 외측에 형성된 하부금형(11)의 내측으로는 만곡부가 형성되어져 안내판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온 피사체가 걸리도록 되며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가이드(10)에 의하여 안내되어진 피사체를 안치하는 제3공정의 하부금형인 하부센타(14)의 일측으로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제3공정의 하부금형인 다이센타(14)는 스프링(12)에 탄지되도록 형성되고 제3공정의 상부금형(16)내측으로는 피사체의 상단을 내측으로 구부리기 위한 경사면(18)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피사체를 쳐주기 위한 녹아웃(17)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녹아웃(17)은 여러개의 조각으로 형성되어져 유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어 제3공정의 상부금형(16)과 녹아웃(17)의 사이에 삽입된 피사체를 쉽게 탈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공정의 하부금형(2A)에 절단하과 하는 피사체가 위치하면 상부금형(1A)이 가압하여 펀치(3)에 의하여 일정한 형태로 절단을 한다.
그후 상부금형(1A)의 펀치(3)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거핀(4)에 의하여 절단된 피사체가 제1공정의 하부금형(2A)의 다이캇타(5)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면 안내판(6)의 안내홈(7)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금형의 설치가 25도 내지 45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제2공정의 다이센타(9)로 안내되고 안내된 피사체는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내측으로 형성된 만곡부에 의하여 걸리게 되면서 다이센타(9)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이고 동시에 제2공정의 상부금형(8)에 의하여 절곡되어 상부금형(8)에 물린상태에서 피사체가 동시에 들어올려지면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상부외측에 형성되는 스트리퍼(15)에 의하여 제거되어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가이드(10)에 의하여 안내되어 제3공정의 하부센타(14)로 안내되고 이때 정확한 안내를 위하여 걸림돌기(13)를 형성하여 자중에 의하여 피사체가 경사각에 의하여 흘러내려오는 힘에 의하여 제3공정의 하부센타(14)에서 피사체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후 제3공정에서 안치된 피사체는 제3공정의 상부금형(16)의 경사면(18)에 의하여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상승되면 녹아웃(17)이 피사체를 쳐주면 완제품이 가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순차적인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 지기 때문에 제1공정에서 가공된 것이 미끄러지며서 제2공정과 동시에 가공이 되고 제2공정에서 가공된 것이 제3공정으로 미끄러지면서 제3의 공정으로 가공이 되어 1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완성된 제품이 생산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이러한 공정으로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공되어지면서 발생되는 불량률과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으로 구분되어 상부금형(1)은 하부금형(2)의 안내축(20)에 삽입되어 스프링(21)에 의하여 탄지토록 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은 각각 3공정으로 구분되어 제1공정의 상부금형(1A)은 펀치(3)의 중앙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제거핀(4)이 형성되며 제1공정의 하부금형(2A)에는 다이캇타(5)의 저면에 안내홈(7)이 형성되는 안내판(6)이 형성되며 안내판(6)은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에 해당되는 다이센타(9)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상부 외측으로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내측으로 만곡부가 형성되는 스트리퍼(15)가 형성되어 제2공정의 상부금형(8)이 출입될 수 있도록 되고 다이센타(9)는 스프링(도시안됨)으로 탄지토록 되면서 다이센타(9)의 외측에 형성된 하부금형(11)의 내측으로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제2공정의 하부금형(11)의 가이드(10)에 의하여 안내되어진 피사체를 안치하는 제3공정의 하부금형인 하부세타(14)의 일측으로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제3공정의 하부금형인 하부센타(14)는 스프링(12)에 탄지되도록 형성되고 제3공정의 상부금형(16) 내측으로는 피사체의 상단을 내측으로 구부리기 위한 경사면(18)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피사체를 쳐주기 위한 녹아웃(17)이 형성되는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KR2019940020310U 1994-08-11 1994-08-11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KR970004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310U KR970004746Y1 (ko) 1994-08-11 1994-08-11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310U KR970004746Y1 (ko) 1994-08-11 1994-08-11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98U KR960007198U (ko) 1996-03-13
KR970004746Y1 true KR970004746Y1 (ko) 1997-05-19

Family

ID=1939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310U KR970004746Y1 (ko) 1994-08-11 1994-08-11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14B1 (ko) * 2013-07-01 2015-03-18 손정환 용기뚜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14B1 (ko) * 2013-07-01 2015-03-18 손정환 용기뚜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98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19704A (ja) プレス加工装置
KR970004746Y1 (ko) 원터치 뚜껑의 제조금형
CN109013874A (zh) 一种汽车支架零件加工模具
KR100808455B1 (ko) 프레스 금형
KR20200033528A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CN106938298B (zh) 马达定位座一次成型模具及其制造方法
JPH0910860A (ja) プレス打抜装置
US20050278923A1 (en) Method of forming metal zipper teeth and forming device thereof
CN210701973U (zh) 一种精准定位的手机壳冲切用模具
CN211679584U (zh) 一种具有多重导向机构的显示器背壳冲压模具
KR880000930Y1 (ko) 의류 직물로부터의 파스너 제거장치
CN211276123U (zh) 保证底盘的异形孔同心度的冲孔模
JP3032760B1 (ja) 溶接金網を折り曲げる金型、装置と方法
CN213082013U (zh) 一种用于片材成型模具的片材定位装置
CN210450560U (zh) 一种用于模内压铆铜钉的模具
CN210614784U (zh) 自动导废模具
JP2533051B2 (ja) 内曲げ製品の連続成形装置
KR0160740B1 (ko) 코너 벤딩 장치
JP4794060B2 (ja) パンチ金型
CN215090028U (zh) 一种快速定位的电视背板冲压装置
JPS6117640B2 (ko)
JPH03169436A (ja) プレス加工方法
CN110976638A (zh) 一种具有多重导向机构的显示器背壳冲压模具
US1040160A (en) Flanging-machine.
KR200345402Y1 (ko) 홀가공핀을 가지는 목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