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319B1 -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319B1
KR970004319B1 KR1019940008250A KR19940008250A KR970004319B1 KR 970004319 B1 KR970004319 B1 KR 970004319B1 KR 1019940008250 A KR1019940008250 A KR 1019940008250A KR 19940008250 A KR19940008250 A KR 19940008250A KR 970004319 B1 KR970004319 B1 KR 97000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lder
deflection yoke
winding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205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319B1/ko
Publication of KR95003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 브라운관의 단면도.
제2도는 셀프 본딩 와이어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조립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편향요크의 권선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권선된 홀더코일.
제6도는 본 발명의 권선도 홀더코일 고정용 구조물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코일홀더 사용시 편향요크의 조립 단면도.
제8도는 토로이달형 수직코일의 사시도.
제9도는 (가)(나)는 구성된 편향코일 결합체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숫권형102 : 홀더
103 : 암권형105 : 홀더코일
106 : 고정 캡107 : 구멍
108 : 푸셔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향요크를 제작할때 코일을 잡아 주는 홀더를 미리 권선기에 넣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권선 작업 후 코일이 홀더에 붙어 있는 형태로 만들어 코일의 변형 및 열적변형을 방지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브라운관은 제1도와 같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과 상기 전자총(1)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2)과, 상기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3)와, 상기 전자빔을 전기 스크린(2)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요크(4) 등으로 브라운관(5)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상기 편향요크(4)는 수평편향 코일(6) 및 수직편향용 코일(7)과, 상기 수직편향코일(7)과 수평편향 코일(6)의 지지 및 절연작용을 하며, 상기 브라운관(5)과 편향코일(6,7)의 상대위치를 결정해주는 홀더(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편향요크(4)의 경우 수평코일(6)과 수직코일(7)을 미리 권선기를 이용해서 감아놓은 상태에서 상기 홀더(8)를 기준으로 홀더(8)의 내측에 수평코일(6)을 끼워넣고, 상기 홀더(8)의 외축에 수직코일(7)을 얹어서 서로의 상대위치를 결정하고, 특히 수직코일(7)을 돌리거나 상하로 움직여서 결정하며 수지를 이용하여 고정해 주는 방법으로 조립하여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하는 경우 수평코일(6)은 권선기로 권선작업을 할때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셀프본딩와이어(9)의 열가소성 수지층(9')을 이용하여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열작업을 해준 후 냉각작업을 해줄때 코일의 형태 및 각부의 치수가 서로 달라서 냉각시수축율이 고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치수 및 형태로 만들기가 어려운점이 있고 또 이렇게하여 고정된 상태에 서로 상기한 바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작업을 하기전 보관 및 운반 작업에서도 변형의 소지를 가지고 있으며 조립작업시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8)의 수평코일(6)을 끼워서 조립을 하게됨에 따라서 변향의 소지를 다시 한번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권선작업에서부터 조립작업에 이르기까지 코일변형의 가능성을 많이 가지게 됨에 따라서 완성된 편향요크(4)의 품질산포는 매우 크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편향요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코일을 잡아주는 홀더를 권선작업시 권선기에 미리 넣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권선작업 후 코일이 홀더에 붙어 있는 형태로 만들기 때문에 권선작업 이후의 조립에 의한 코일의 변형 및 열적변형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브라운관용 편향요크를 제4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숫권형(101)에 홀더(102)를 설치한 상태에서 암권형(103)을 결합한 후 새들형코일(104)을 푸셔(108)로 밀면서 통전가열에 의하여 결합시킨 홀더코일(105)과 상기 홀더코일(105)을 결합시켜 브라운관에 고정시키는 고정캡(106)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홀더(102)는 모디파이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상기 홀더(102)에 숫권형(101)의 권형코아(101')가 삽입되는 구멍(107)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편향요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숫권형(101)과 암권형(103)은 코일을 일정한 형태로 감아주기 위한 틀로써, 상기 숫권형(101)에 홀더(102)를 제4도와 같이 설치한 후 암권형(103)을 밀어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한 후 푸셔(108)로 밀면서 통전가열하여 성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홀더코일(105)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7도와 같이 두개의 홀더코일(105)을 맞대고 고정캡(106)으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코아(109)를 크립(110)으로 조립하여 제9도의 (가)와 같은 편향코일결합체(111)를 만들었다.
그리고, 두개의 홀더코일(105)을 맞대고 고정캡(106)으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수직코일(112)이 권선된 코아(109) 즉, 제8도의 토로이달을 크립(110)으로 조립하여 제9도의 (나)와 같은 편향코일 결합체(113)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편향코일 결합체(111)나 편향코일 결합체(113)가 조립된 상태에서 가소성수지를 흘러주어 이들을 고정시켜 주었다.
본 발명은 수직, 수평 코일이 홀더에 일체화된 홀더코일을 사용하여 편향요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코일의 권선에서부터 조립에 이르기까지 권선된 코일의 변형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코일의 변형 및 조립오차에 의한 품질산포를 거의 완벽하게 줄일 수 있게 되어 혁신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권선기에 의한 권선산포 감소, 권선된 코일의 변형 감소, 조립시 상대위치산포 감소 등의 제조에 의한 품질산포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4)

  1. 숫권형과 암권형이 설치된 상태에서 홀더에 권선된 새들형코일을 통전가열에 의하여 결합시킨 홀더코일과, 상기 홀더코일을 결합시켜 브라운관에 고정시키는 고정캡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는 모디파이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3. 제1항에 있어서, 홀더에 숫권형의 권형코아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4. 숫권형에 홀더를 설치한 암권형을 밀어넣어 권선하여 홀더코일을 형성하는 권선단계와, 권선단계에 의하여 홀더에 권선된 코일을 푸셔로 밀면서 통전가열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제조되는 편향요크 제조방법.
KR1019940008250A 1994-04-19 1994-04-19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KR97000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250A KR970004319B1 (ko) 1994-04-19 1994-04-19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250A KR970004319B1 (ko) 1994-04-19 1994-04-19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05A KR950030205A (ko) 1995-11-24
KR970004319B1 true KR970004319B1 (ko) 1997-03-26

Family

ID=1938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250A KR970004319B1 (ko) 1994-04-19 1994-04-19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3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05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319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제조방법
KR100264198B1 (ko) 안장형 코일 편향 권선 및 이것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4494097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JP2557904B2 (ja) 陰極線管の電磁偏向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017911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JP3100557B2 (ja) 偏向ヨークの製造方法
KR014420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코아
KR0131483Y1 (ko) 편향요크코일성형용 권형구조
KR0120936Y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0160276B1 (ko) 와인딩 프레임과 그것을 이용한 새들형코일 권선방법
KR950002703Y1 (ko) 음극선관용 코마 수차 보정 장치
JPH11312479A (ja) 偏向ヨー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28449A (ja) 偏向装置
KR100872919B1 (ko) 편향요크 및 당해 편향요크를 이용한 음극선관장치
JPS62264542A (ja) スリツト巻くら型偏向コイル
JPH1186728A (ja) 偏向ヨーク用巻型
JPH0514448Y2 (ko)
KR940004073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
JP2001176426A (ja) 偏向ヨーク用コア、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KR100439506B1 (ko) 편향요크
KR940005053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
JPH01243346A (ja) 偏向ヨーク
JP2002270096A (ja) 偏向コイル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と偏向ヨーク装置
KR930005830Y1 (ko) 편향요크용 수직코일 조립체
JPS601729A (ja) 偏向ヨ−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