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771Y1 -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771Y1
KR970003771Y1 KR2019940030764U KR19940030764U KR970003771Y1 KR 970003771 Y1 KR970003771 Y1 KR 970003771Y1 KR 2019940030764 U KR2019940030764 U KR 2019940030764U KR 19940030764 U KR19940030764 U KR 19940030764U KR 970003771 Y1 KR970003771 Y1 KR 970003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lever
stopper lever
link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513U (ko
Inventor
남상구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0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771Y1/ko
Publication of KR960017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5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제1도는 종래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설치상태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작장치가 설치된 리프트의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프트 20 : 기둥
30 : 브릿지 40 : 조작 스위치
50 : 스톱퍼 레버 60 : 레버
61 : 고정축 62 : 회동구
64 : 손잡이부 66 : 연결구
70 : 로드 72, 74 : 연결구
80 : 링크 81 : 고정축
82 : 연결구 84 : 회동구
86 : 결합구 90, 91 : 고정수단
본 고안은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를 링크와 로드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조립라인 상에서는 차체의 하부로부터 부품을 조립하기 위하여 차체를 들어올리는 리프트가 설치되어 부품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차량의 정비시에도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다종다양한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다.
제1도는 상기한 리프트(10)의 일례를 예시한 것으로, 리프트(10)는 통상 한조의 기둥(20)과 상기 기둥(20)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 또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되는 브릿지(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리프트(10)는 기둥(20)에 부착된 조작 스위치(40)에 의해 브릿지(30)가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브릿지(30)상에 차량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브릿지(30)의 급격한 승강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 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스톱퍼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이의 걸림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스톱퍼 레버(50)는 통상적으로 브릿지(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작업자의 손이 닿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며, 스톱퍼 장치의 해제를 위해 스톱퍼 레버(50)를 조작할시에는 차량이 얹혀진 브릿지(30) 사이로 손을 넣어 스톱퍼 레버(50)를 해제시켜야 했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리프트의 브릿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간부에는 브릿지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와 상기 레버의 중간부와 상기 링크의 타단에 연설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을 링크에 전달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트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10)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단에는 고정축(61)이 끼워지는 회동구(62)가 천공되고 레버(60)와 양단에 연결구(72,74)가 천공되어 상기 레버(60)의 연결구(66)에 일단의 연결구(72)가 고정 수단(9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의 연결구(74)는 후술하는 링크(80)의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구(82)에 고정수단(9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70)와 일단의 연결구(82)에는 상기 로드(70)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간부에는 고정축(81)이 끼워지는 회동구(84)가 천공되며 타단에는 미도시된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86)가 천공되는 링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리프트(10)의 브릿지(30) 측면에 설치된 스톱퍼 레버(50)에 링크(80)의 타단에 천공된 결합구(86)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링크(8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동구(84)에는 고정축(81)이 끼워져 브릿지(30)에 고정된다.
상기 링크(80)의 연결구(82)에는 로드(70)의 일단이 연설되며 로드(70)의 타단은 리프트(10)의 브릿지(2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레버(60)의 연결구(66)에 연설되어 레버(60)의 손잡이부(64)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레버(60)의 동작이 로드(70)에 의해 링크(80)로 전달되어 스톱퍼 레버(50)를 걸림 또는 해제 위치로 변환시키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톱퍼 레버(50)는 스톱퍼 레버(50)로부터 이격된 레버(60)를 상하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동작은 로드(70)에 의해 링크(80)로 전달되며, 이때 링크(80)는 회동구(8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스톱퍼 레버(50)를 걸림 또는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스톱퍼 레버(50)를 차량이 얹혀지는 브릿지(30) 사이로 작업자가 손을 넣지 않고도 리프트(10)의 전면에서 레버(60)를 작동시켜서 스톱퍼 레버(50)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톱퍼 레버(5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를 링크와 로드 및 레버로 구성된 조작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스톱퍼 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스톱퍼 레버의 해제시 차량이 얹혀진 브릿지 사이로 손을 넣지 않고도 외부에서 이를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량이 얹혀지는 브릿지(30)의 승강작동을 쾌해정하는 스톱퍼 레버(50)가 브릿지(30)에 설치된 리프트(10)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의 브릿지(3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60)와 상기 리프트(10)의 스톱퍼 레버(5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간부는 리프트(10)의 브릿지(30) 측면에 회동가능하게고정되는 링크(80)와 상기 레버(60)의 중간부와 상기 링크(80)의 타단에 연설되어 상기 레버(60)의 작동을 링크(80)에 전달하여 스톱퍼 레버(50)를 쾌해정하게되는 로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의 브릿지(3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60)와 상기 리프트(10)의 스톱퍼 레버(5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간부는 리프트(10)의 브릿지(30)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80)와 상기 레버(60)의 중간부와 상기 링크(80)의 타단에 연설되어 상기 레버(60)의 작동을 링크(80)에 전달하여 스톱퍼 레버(50)를 쾌해정하게 되는 로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KR2019940030764U 1994-11-21 1994-11-21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KR970003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764U KR970003771Y1 (ko) 1994-11-21 1994-11-21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764U KR970003771Y1 (ko) 1994-11-21 1994-11-21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513U KR960017513U (ko) 1996-06-17
KR970003771Y1 true KR970003771Y1 (ko) 1997-04-23

Family

ID=1939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764U KR970003771Y1 (ko) 1994-11-21 1994-11-21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51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4207A (en) Loader operator restraint
KR100211449B1 (ko) 로더용 페달록킹장치
GB2072741A (en) Device for suspending from a crane or other hoist a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KR0165960B1 (ko) 로더용 페달록킹장치
KR970003771Y1 (ko) 리프트의 스톱퍼 레버 조작장치
EP1966027B1 (en) Cab structure for a vehicle
ATE311164T1 (de) Vorrichtung zum heben einer behinderten person
EP2574699A1 (en) Security blocking of cabin exit
RU23477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и отсоединения груза
US3485478A (en) Safety device of cable-clamping traction apparatus
US2744637A (en) Winches
JPS622236Y2 (ko)
KR100198059B1 (ko) 중장비용 조작레버 잠금장치
JP383283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架渉ロボット, 光ファイバケーブル架渉車および 光ファイバケーブル架渉車の作業制御方法
KR102275627B1 (ko) 철도 차량용 공급공기 차단 장치
JPS6130925Y2 (ko)
JP306872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安全装置
KR970003513B1 (ko) 크레인 윈치드럼용 잠금장치의 상시작동 시스템
KR100271984B1 (ko) 화물차의 탭 틸팅용 조작레버 손잡이
JPS646006Y2 (ko)
JPS5777273A (en) Cabin tilting device for truck
JPH0738318Y2 (ja) 2バケット式高所作業車の操作装置
KR970003509B1 (ko) 후크회전조정이 가능한 크레인용 후크블록
JPS6213131Y2 (ko)
KR100203807B1 (ko) 산업차량의 유압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