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20Y1 -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20Y1
KR970003520Y1 KR2019950003450U KR19950003450U KR970003520Y1 KR 970003520 Y1 KR970003520 Y1 KR 970003520Y1 KR 2019950003450 U KR2019950003450 U KR 2019950003450U KR 19950003450 U KR19950003450 U KR 19950003450U KR 970003520 Y1 KR970003520 Y1 KR 970003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fitting
spring
support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781U (ko
Inventor
오원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03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20Y1/ko
Publication of KR960028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는 조향기어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향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가변압 부재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향축 12 : 피니언
14 : 래크 16 : 조향이음쇠
18, 28 : 스프링 20 : 이음쇠고정구
22 : 고정판 24 : 운동봉
26 : 작동봉 30, 30a : 파이프라인
32 : 지지봉 34 : 조향기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저속주행시에는 조향기어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작게하고 고속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크게하여 조향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Steering System)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것으로, 조작기구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되는 상기 기어기구는 조향휠의 움직임을 감속함가 동시에 운동의 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로 전달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래크 파이넌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래크 피니언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의 선단에 피니언(2)을 장착하여 래크(3)를 결합시켜 피니언(2)의 회전을 래크(3)의 옆방향의 움직임으로 바꾸어서 양단의 타이 로드(조향 로드)를 거쳐서 조향휠을 작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래크(3)와 피니언(2)간의 백래쉬를 없애기 위하여 스프링(4)를 장착하여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스프링의 복원력이 큰 경우에는 조향이음쇠(5)와 래크(3)간의 마찰력이 커지므로 조타력이 무거워지게 되어 주차시 조향이 어렵고, 반대로 스프링(4)의 복원력이 작으면 고속주행시에 핸들이 헐겁게 느껴져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저속주행시에는 조향기어에 장착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작게하고 고속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크게하여 편리한 주차조향을 이루면서 안전한 고속주행을 이루는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프링으로 복원력이 발생되는 운동판을 파이프라인으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소정간격 유동되어 소향이음쇠에 하중이 강약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기술수단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가변압 이음쇠구조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0)과 연동하는 피니언(12)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래크(14)가 조향이음쇠(16)에 지지되고 이 조향이음쇠(16)에는 복원력을 유발하는 스프링(18)이 설치된다.
상기 조향이음쇠(16)에 밀착된 스프링(18)에 지지되는 고정판(22)은 소정간격 이격되어져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22)에 출입이 가능하게 끼워진 운동봉(24)은 작동판(26)에 결속되어 있다.
또한, 작동판(26)이 파이프라인(30)(30a)으로 유입된 유압에 의하여 스프링(28)을 압축하고 이완시에는 지지봉(34)이 상기 조향이음쇠(16)에 지지되어 조향이음쇠(16)에 하중이 강약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22)은 중앙에 나사공(32)이 마련되어 이음쇠고정구(20)에 부착된 결합봉(34)과 나선 결합되어서 구성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 36은 조향기어, 38은 실린더, 40은 피스톤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핸들(도시생략)을 조작하면 조향기어(36)의 내부 자측 또는 우측에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저속시에는 고압이 발생하고 고속시에는 저압이 작용하여 그 유압이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실린더(38)의 피스톤(40)을 밀게 된다.
상기 피스톤(40)에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유압발생을 일으키게 한다.
따라서, 고압이 작용하면 고정판(22)은 이음쇠고정구(20)의 결합봉(3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동봉(26)을 밀게 된다.
상기 작동봉(26)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작동봉(26)에 고정된 운동봉(24)도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지탱하게 되므로 조향이음쇠(16)를 미는 힘이 약한 상태가 되어 주차시의 저속운행을 이룬다.
한편, 저압이 작동하는 경우에는 스프링(28)의 복원력이 운동봉(24)를 통해 전달되므로 스프링(18)과 작동봉(26)의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조향이음쇠(16)를 미는 힘이 강하게 되어 고속주행시 주행안정성을 얻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래크와 피니언간의 결합력의 조절을 강약으로 이루어 주차시아 같이 조향기어에 큰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조타력을 가볍게 할 수 있고, 고속기어내에 큰 압력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조향이음쇠와 래크간의 큰 마찰력으로 조향핸들이 무겁게 느껴지도록하여 조정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신규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조향축(10)과 연동하는 피니언(12)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래크(14)가 조향이음쇠(16)에 지지되고 이 조향이음쇠(16)에 지지되는 스프링(18)이 이음쇠고정구(20)에 저지되면서 복원력이 부여된 것에 있어서, 상기 조향이음쇠(16)에 밀착된 스프링(18)에 지지되어 소정간격이 이격된 고정판(22)과 이 고정판(22)에 출입이 가능하게 끼어진 운동봉(24)을 결속한 작동판(26)과 이 작동판(26)이 파이프라인(30)(30a)으로 유입된 유압에 의하여 스프링(28)을 압축하고 이완시에는 지지봉(34)이 상기 조향이음쇠(16)에 지지되어 조향이음쇠(16)에 하중이 강약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2)은 중앙에 나사공(32)이 마련되어 이음쇠고정구(20)에 부착된 결합봉(34)과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KR2019950003450U 1995-02-28 1995-02-28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KR970003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450U KR970003520Y1 (ko) 1995-02-28 1995-02-28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450U KR970003520Y1 (ko) 1995-02-28 1995-02-28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81U KR960028781U (ko) 1996-09-17
KR970003520Y1 true KR970003520Y1 (ko) 1997-04-17

Family

ID=194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450U KR970003520Y1 (ko) 1995-02-28 1995-02-28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083B1 (ko) * 1999-11-23 2003-01-2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랙바용 서포트 요크의 간격 측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81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2771A1 (en) Electronic gearshift apparatus of sub gearshift for 4 wheel drive vehicle
KR970003520Y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가변압 이음쇠구조
KR20020084957A (ko) 기어비 가변형 스티어링장치
US20040040404A1 (en) Pedal device wherein non-operated position of operating portion is adjustable
US6402197B1 (en) Steering column of power steering apparatus
EP1280034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pedal
US2857976A (en) Steering servo mechanis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DE102010020669A1 (de) Vorrichtung zum Bremsen, Lenken und Fesstellen eines manuellen Rollstuhls
EP1200283B1 (en) Steering wheel mounted manual control device, particulary for acceleration
KR960010216B1 (ko) 동력조향장치의 떨림 방지장치
SU1521651A1 (ru) Гидро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6684757U (zh) 一种刹车装置和共享车辆
KR890012851A (ko) 차량의 조타장치
RU22464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риводом акселератора
SU872357A1 (ru) Реечный рулевой механиз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1794622C (ru) Пневморычажный пресс
DE102022100950A1 (de) Bremshebelanordnung mit einer Erfassungseinrichtung zum Erfassen einer Lageveränderung des Bremshebels
KR100276728B1 (ko) 전자석을이용한동력조향장치
KR016579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결합구조
KR100291063B1 (ko) 속도감응형파워스티어링시스템
SU16610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KR970003774Y1 (ko) 지게차의 폐달장치
DE4141160A1 (de) Elektrische hilfskraftlenkung fuer kraftfahrzeuge
KR100589150B1 (ko) 차량의 조타각 제한장치
KR100205856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