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441Y1 -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441Y1
KR970003441Y1 KR92021628U KR920021628U KR970003441Y1 KR 970003441 Y1 KR970003441 Y1 KR 970003441Y1 KR 92021628 U KR92021628 U KR 92021628U KR 920021628 U KR920021628 U KR 920021628U KR 970003441 Y1 KR970003441 Y1 KR 970003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infusion
control
groov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932U (ko
Inventor
이운주
Original Assignee
이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주 filed Critical 이운주
Priority to KR9202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441Y1/ko
Publication of KR940011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제1도는 일반적으로 수액주사시 사용되는 수액셋트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도로써,
a도는 배출통로를 폐쇄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b도는 배출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로써,
a도는 배출통로를 폐쇄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b도는 배출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단면도로써,
a도는 배출통로를 폐쇄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b도는 배출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입침 20 : 튜브
30 : 점적통 40 : 본체
41 : 배출통로 44 : 관홈부
45 : 봉홈부 46 : 요홈부
50 : 수액조절수단 510 : 조절관
511 : 절개홈 520 : 조절봉
521 : 경사면 530 : 조절구
531 : 배출홈 540 : 조절손잡이
본 고안은 수액주사용 점적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액주사시 최초에 점적통을 눌러 표시선까지 수액을 채우는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이 튜브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을 버려야 하는 낭비를 해소하여주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책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주사(링게르주사)는 출혈, 쇠약, 중독때 수분의 손실 및 혈액의 부족을 보충하여주는 것으로, 그 수액셋트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내부에 수액이 저장되어 고무마개(1)로 밀폐된 수액병(2)과, 수액병(2)의 고무마개(1)에 끼워져 수액을 배출시키는 도입침(3)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배출된 수액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점적통(4)과, 튜브(5)에 의해 점적통(4)과 연결되어 점적통(4)에 저장된 수액을 혈관에 공급하는 정맥침(6)과, 튜브(5)에 끼워져 튜브(5)내로 흐르는 수액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7)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는 수액셋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수액조절기(7)를 완전히 잠가 점적통(4)과 정맥침(6)의 공기흐름을 차단시킨다.
둘째, 수액병(2)의 고무마개(1)에 도입침(3)을 수직으로 삽입한 후, 즉시 수액병(2)을 거꾸로 들어서 고정시킨다.
셋째, 점적통(4)을 가볍게 눌러서 점적통(4)의 표시선(4a)까지 수액을 채운다.
넷째, 수액조절기(7)을 완전히 열어서 튜브(5)내의 공기를 완전히 없앤후 수액조절기(7)를 잠근다.
다섯째, 정맥침(6)을 혈관에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수액조절기(7)로 수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면서 혈관에 수액을 주사한다.
이때, 수액주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점적통(4)의 표시선(4a)까지 수액을 채운후, 반드시 튜브(5)내에 공기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정맥침(6)을 혈관에 삽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액셋트는 도입침(3)의 상부가 수액에 잠긴상태에서 배출공(3a)을 통하여 수액병(2)의 수액이 점적통(4)으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점적통(4)에 저장된 수액은 튜브(5)를 통하여 혈관에 삽입된 정맥침(6)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액조절기(7)가 점적통(4)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튜브(5)에 끼워져 사용되므로 혈관으로 공기방울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적통(4)의 표시선(4a) 또는 점적통(4)의 일정높이 만큼 수액을 채우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에서와 같이 수액조절기(7)를 완전히 잠가 잠적통(4)과 정맥침(6)의 공기흐름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수액병(2)의 고무마개(1)에 도입침(3)을 수직으로 삽입하면 점적통(4)내의 공기부력이 수액에 잠긴 도입침(3)의 배출구멍(3a) 끝부분 표면장력 보다 작기 때문에 수액은 배출공(3a)으로 배출되지않고 정체되며, 이 상태에서 점적통(4)을 누르면 점적통(4)내의 공기가 배출공(3a)을 통해서 수액병(2)내로 주입됨과 동시에 수액병(2)에 저장된 수액은 공기배출량 만큼 배출공(3a)을 통하여 점적통(4)으로 배출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수액은 순수하게 수액만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혼합되어 배출되고, 이와같이 배출되는 수액은 공기방울을 형성한체 튜브(5)로 일정량 만큼 밀려 내려온다.
따라서, 튜브(7)로 밀려 내려온 수액의 중간 중간에는 많은 공기방울이 형성되므로, 반드시 수액조절기(7)를 열어 튜브(5)로 밀려 내려온 공기방울을 정맥침(6)으로 완전히 배출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 또한 이로 인하여 수액주사때 마다 일정량의 수액을 그냥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방울이 혼합된 수액 배출시 튜브(5)로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방울중 일부는 튜브(5)의 내측면에 표면장역으로 달라 붙어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기방울의 형성을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수액조절기(7)를 튜브(5)의 상부로 바짝 밀어 올린 상태에서 점적통(4)에 수액을 채울 경우에도 튜브(5)로 수액이 밀려 내려오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었으며, 이때 수액조절기(7)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수액조절기(7)를 밑으로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시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점적통의 하부에 수액조절장치를 일체로 부착함과 동시에 그 수액조절장치의 하부에 튜브를 연결하여, 수액주사시 최초에 점적통을 눌러 표시선까지 수액을 채우는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이 튜브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을 버려야 하는 낭비를 해소하여주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수액병에 삽입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도입침(10)과; 도입침(10)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배출되는 수액을 일정량의 높이만큼 저장한후, 저장된 수액을 튜브(20)를 통하여 정맥침으로 배출시키는 점적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점적통(30)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41)로 수액을 배출시키며, 하부에는 튜브(30)가 연결되는 본체(40)와; 본체에 장착되어 배출통로(41)를 개폐시키면서 배출되는 수액량을 조절 및 차단하는 수액조절수단(50)이 부가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체(4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점적통(30)의 하부가 끼워지는 삽입홈(42)을 형성하여, 점적통(30)이 본체(40)에 기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며,본체(40)의 하부 중앙에는 배출통로(41)와 연통하는 연결관(43)을 일체로 돌출형성한 후 그연결관(43)에 튜브(20)를 끼워서 연결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액주사시 수액조절수단(50)으로 배출통로(41)를 차단한 상태에서 점적통(30)을 눌러 수액을 배출시키면 배출되는 수액은 점적통(30)에만 차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이 튜브(20)로 밀려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액조절수단(50)은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선단부에 절개홈(511)이 형성된 연질의 조절판(510)을 배출통로(41)의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판홈부(44)에 삽입하여, 조절판(510)을 밀고, 당기면서 절개홈(511)으로 수액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판홈부(44)에는 다단의 톱니부(44a)를 형성하고,조절판(510)에는 톱니부(44a)에 끼워지는 산형돌기(512)를 형성하여,조절판(510)이 톱니부(44a)의 단속을 받으면서 단계적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액조절수단(50)은 제3도의 (a)에서와 같이, 조절판(510)을 판홈부(44)에 완전히 밀어 넣은 상태에서는 조절판(510)의 상부면이 배출통로(41)를 차단하여 수액이 튜브(20)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3도의 (b)에서와 같이 조절판(510)을 당겨 절개홈(511)이 배출통로(41)와 일치시키면 절개홈(511)을 통하여 수액이 튜브(20)로 배출되고, 이때 조절판(510)을 약간씩 밀고 당기면서 수액배출량을 조절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수액조절수단(50)은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선단 외주연에 경사면(521)이 형성된 조절봉(520)을 배출통로(41)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봉홈부(45)에 나사결합으로 삽입하여, 조절봉(520)을 회전시키면서 경사면(521)으로 수액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조절봉(520)의 선단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탄성홈부(521)를 형성하여, 조절봉(520)이 봉홈부(45)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수액조절수단(50)은 제5도의 (a)에서와 같이, 조절봉(520)을 회전시켜 봉홈부(45)에 완정히 밀어 넣은 상태에서 조절봉(520)의 외주면이 배출통로(41)를 차단하여 수액이 튜브(20)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5도의 (b)에서와 같이 , 조절봉(520)을 풀어 조절봉(520)의 경사면(521)을 배출통로(41)에 위치시키면 수액이 경사면(521)을 따라서 튜브(20)로 배출되고, 이때 조절봉(520)을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수액배출량을 조절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액조절수단(50)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체(40)의 배출통로(41)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부(46)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측 외주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홈(531)으로 수액을 배출시키는 조절구(530)와, 본체(40)을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조절구(530)의 중앙에 끼워져 조절구(530)을 회동시키는 조절손잡이(540)로 구성한다.
이러한 수액조절수단(50)은 제8도의 (a)에서와 같이, 조절손잡이(540)를 회동시켜 조절구(530)의 외주면이 배출통로(41)를 차단시킨 상태에서는 수액이 튜브(20)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8도의 (b)에서와 같이, 조절손잡이(540)을 돌려 조절구(530)의 배출홈(531)을 점적통(30)과 배출통로(41)와 연통시키면 수액이 배출홈(531)을 따라서 튜브(20)로 배출되고, 이때 조절손잡이(540)를 약간씩 돌리면서 수액배출량을 조절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도 상술한 종래의 수액셋트와 같이 사용하여 수액주사를 실시하는 것은 종래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본 고안은 혈관으로 공기방울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액주사시 점적통(30)을 눌러서 표시선 또는 일정량의 높이만큼 수액을 채울경우에, 먼저 수액조절수단(50)을 조절하여 배출통로(41)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점적통(30)을 눌러 수액을 배출시키면 배출되는 수액은 점적통(30)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이 수액배출시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이 튜브(20)로 흘러 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으며,또한 이로 인하여 공기방울이 형성된 일정량의 수액을 버려야 하는 낭비를 해소하여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점적통(30)에 일정량의 수액을 채운후, 수액조절수단(50)을 열고 정맥침으로 수액이 나온 것을 확인하여 이 상태에서 수액조절기수단(50)을 잠그로 정맥침을 혈관에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수액조절수단(50)으로 수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면서 혈관에 주사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공기방울이 형성된 수액이 튜브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공기방울이 형성된 일정량의 수액을 버려야 하는 낭비르 해소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

Claims (6)

  1. 수액병에 삽입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도입침과; 상기 도입침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배출되는 수액을 일정량의 높이만큼 저장한후, 저장된 수액을 튜브를 통하여 정맥침으로 배출시키는 점적통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점적통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로 수액을 배출시키며, 하부에는 튜브가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배출통로를 개폐시키면서 배출되는 수액량을 조절 및 차단하는 수액조절 수단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약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조절수단은 선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된 조절판을 상기 배출통로의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판홈부에 삽입하여, 조절판을 밀고, 당기면서 상기 절개홈으로 수액이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약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홈부에는 다단의 톱니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판에는 상기 톱니부에 끼워지는 산형돌기를 형성하여, 조절판이 톱니부의 단속을 받으면서 단계적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약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조절수단은 선단 외주연에 경사면이 형성된 조절봉을 상기 배출통로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봉홈부에 나사결합으로 삽입하여, 조절봉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경사면으로 수액이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약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의 선단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탄성홈부를 형성하여, 조절봉이 상기 봉홈부에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배출통로 상부에 형성되는 요흠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측 외주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홈으로 수액을 배출시키는 조절구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상기 조절구의 중앙에 끼워져 조절구를 회동시키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구를 회동시키면서 수액을 배출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KR92021628U 1992-11-05 1992-11-05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KR970003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28U KR970003441Y1 (ko) 1992-11-05 1992-11-05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628U KR970003441Y1 (ko) 1992-11-05 1992-11-05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32U KR940011932U (ko) 1994-06-15
KR970003441Y1 true KR970003441Y1 (ko) 1997-04-17

Family

ID=1934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628U KR970003441Y1 (ko) 1992-11-05 1992-11-05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14B1 (ko) * 2013-01-04 2014-06-11 (주)휴바이오메드 수액제 공급용 점적(點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14B1 (ko) * 2013-01-04 2014-06-11 (주)휴바이오메드 수액제 공급용 점적(點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932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8654A (en) Dispensing package for a dry biological and a liquid diluent
EP0895481B1 (en) Injection needle
US3662752A (en) Infusion device
US4244379A (en) Check valve for blood drawing apparatus
US4664656A (en) Injection syringe
US20060074386A1 (en) Device for producing medicinal foam
US6511457B2 (en) Airless syringe
NZ510060A (en) Container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with container extending into insert having non-return valve, for insertion of cannula
KR101929203B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BRPI0414281B1 (pt) Aparelho, dispositivo e método para liberar espuma, kit e conjunto
CA1122492A (en) Irrigation solution device
US2705955A (en) Parenteral administration set and air inlet closure structure for use therein
KR970003441Y1 (ko)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수액조절장치
US5960971A (en) Automatically rinsing baby bottle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US6135985A (en) Dispenser arrangement for dispensing eyedrops
KR101972277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960003658Y1 (ko)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공기배출장치
KR970002901Y1 (ko) 수액주사용 점적통
KR960003659Y1 (ko) 수액주사용 점적통의 공기배출장치
KR100903740B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20170056903A (ko) 아이브이 카테터
KR102059340B1 (ko) 필터 주사기
KR20030014825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