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73Y1 -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73Y1
KR970003373Y1 KR2019930012888U KR930012888U KR970003373Y1 KR 970003373 Y1 KR970003373 Y1 KR 970003373Y1 KR 2019930012888 U KR2019930012888 U KR 2019930012888U KR 930012888 U KR930012888 U KR 930012888U KR 970003373 Y1 KR970003373 Y1 KR 970003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bolt
fixing
gripp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003U (ko
Inventor
조광희
Original Assignee
조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희 filed Critical 조광희
Priority to KR2019930012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73Y1/ko
Publication of KR950004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해 문틀을 수평조절하여 주는 상태의 구체적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절장치 2 : 고정틀
3 : 받침봉 4 : 고정파지캡
5 : 유동파지캡 6 : 볼트
7 : 볼트머리부 8 : 너트
9 : 축 10 : 파지공
11 : 축 12 : 상고정구
13 : 하고정구 20 : 회전봉
21 : 각형머리부 22 : 나사부
23 : 승강편 24 : 지지대
25 : 연결봉 30 : 문틀
31 : 문틀고정구 32 : 천장
33 : 벽 34 : 바닥
35 : 수평자
본 고안은 주택,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신축할 때 각 방을 출입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문에 있어서 그 문을 보호하고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문틀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틀의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수평 조절장치는 문틀을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입설시키기 위하여 주로 2개 1조로 사용되며 양수평 조절장치사이에 공지수평자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높낮이측의 회전봉을 회전시켜 상호수평상태를 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문틀을 양수평 조절장치의 특정부분에 올려 세운 상태에서 일측이 천장에 고정되는 별도의 문틀고정구로 문틀을 고정시켜 보다 편하게 문틀을 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종래에는 문틀을 시설할 때 문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문틀의 저면에 벽돌이나 얇은 판자를 끼워가면서 수평자(35)에서 수평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거의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수평상태를 잡아주여야 했기 때문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맣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수평상태를 바로 잡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로 긴 ┌┐자형 고정틀(2)의 일측하단에 받침봉(3)을 고착시키고 배면상단에는 고정파지캡(4)을 고정시켜 유동파지캡(5)이 회전자재하고 상호간에 파지공(10)이 형성되도록 축(11)으로 축착시키되, 고정파지캡(4)의 선단에는 볼트머리부(7)가 축(9)으로 축착된 볼트(6)를 축설하고 유동파지캡(5)의 선단에는 볼트(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요구를 형성하여 그 요구에 볼트(6)가 끼워진상태에서 너트(8)로 나합하며,
고정틀(2)의 전면의 상, 하부에 상, 하고정구(12)(13)를 고정시켜 그사이에 회전봉(20)을 회전자재하도록 입설시키되 각형머리부(21)가 상고정구(12)의 상측에 오도록하고 회전봉(20)의 몸체에 나사부(22)를 형성하며 각형머리부(21)를 회전시키면 나사부(22)가 회전하고 나사부의 횐전에 의해 상, 하 승하강 하는 승강편(23)을 착설하되 승강편의 전면에 '」'형 지지대(24)를 고착 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절장치(1)는 2개를 1조로 하여 사용되는데 그 사용 상태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볼트(6)에서 너트(8)를 해제하여 파지공(10)을 확개시킨후 연결봉(25)을 삽설하여 다시 너트(8)를 체결하여 연결봉(25)을 고정파지캡(4)과 유동파지캡(5) 사이에 견고히 고정시키되 양조절장치(1)를 문틀(30)이 설치될 벽(33)사이의 바닥(34)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공지된 종래의 수평차(35)를 양측 지지대(24)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데 양측 조절장치(1)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각형머리부(21)를 회전 시켜주면 나사부(22)의 회전에 의해 승강편(23)이 상, 하로 이동하므로서 지지대(24)로 함께 승, 하강하면서 수평이 유지되어 진다. 이와 같이 하여 수평자(35)를 확인하면서 수평상태를 간단히 유지시킬 수가 있으며 수평상태가 되면 수평자(35)를 제거하고 그 지지대(24)의 위에 문틀(30)을 입설시켜 직립시킨후 천장(32)과 문틀(30)의 상측에 별도의 문틀 고정구(31)로 문틀(30)을 견고히 고정시킨후 조절장치(1)를 제거하여 시공을 계속 실시 하면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문틀(30)을 시공할 때 본 고안의 조절장치(1)에 의하여 극히 간단하게 문틀(30)을 시설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또 종래와 같이 비능률적으로 수평을 잡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도록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상하로 긴 ┌┐자형 고정틀(2)의 일측하단에 받침봉(3)을 고착시키고 배면상단에는 고정파지캡(4)을 고정시켜 유동파지캡(5)이 회전자재하고 상호간에 파지공(10)이 형성되도록 축(11)으로 축착시키되, 고정파지캡(4)의 선단에는 볼트머리부(7)가 축(9)으로 축착된 볼트(6)를 축설하고 유동파지 캡(5)의 선단에는 볼트(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요구를 형성하며 그 요구에 볼트(6)가 끼워진상태에서 너트(8)로 나합하며, 고정틀(2)의 전면의 상, 하부에 상, 하고정구(12)(13)를 고정시켜 그 사이에 회전봉(20)을 회전자재하도록 입설시키되 각형머리부(21)가 상고정구(12)의 상측에 오도록하고 회전봉(20)의 몸체에 나사부(22)를 형성하며 각형머리부(21)를 회전시키면 나사부(22)가 회전하고 나사부와 횐전에 의해 상, 하 승하강하는 승강편(23)을 건설하되 승강편의 전면에 ''형 지지대(24)를 고착 시켜서 된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KR2019930012888U 1993-07-13 1993-07-13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KR970003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888U KR970003373Y1 (ko) 1993-07-13 1993-07-13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888U KR970003373Y1 (ko) 1993-07-13 1993-07-13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03U KR950004003U (ko) 1995-02-17
KR970003373Y1 true KR970003373Y1 (ko) 1997-04-16

Family

ID=193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888U KR970003373Y1 (ko) 1993-07-13 1993-07-13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676B1 (ko) * 2008-02-28 2010-02-03 임경수 레벨 조절기
KR102143886B1 (ko) * 2019-08-20 2020-08-12 차희열 문틀 시공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676B1 (ko) * 2008-02-28 2010-02-03 임경수 레벨 조절기
KR102143886B1 (ko) * 2019-08-20 2020-08-12 차희열 문틀 시공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03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1311A (en) Support of guard rails
KR970003373Y1 (ko) 문틀의 수평조절장치
US6550152B2 (en) Adjustable spirit level for tile and cabinet installation
CN212984202U (zh) 一种u型可调混凝土支撑座
KR200172604Y1 (ko) 칸막이용 경량 패널의 수평조절장치
KR930006458Y1 (ko) 신축건물의 문틀고정구
KR200397231Y1 (ko)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KR200345764Y1 (ko)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KR100939676B1 (ko) 레벨 조절기
RU204414U1 (ru) Выравнивающая платформа
CN214843178U (zh) 一种建筑砌筑工程中检测水平的测量线固定材料
JP3548987B2 (ja) 天井パネル及び天井パネルの仮止め金具
JPS5815525Y2 (ja) 柱下端部の固定装置
JP3005352U (ja) 建築物用手摺
KR960008537Y1 (ko) 문틀 고정구
JP2593767B2 (ja) 後付手摺の支柱ホルダー固定装置
KR0129556Y1 (ko) 베란다 창틀설치구조
JPS6246733Y2 (ko)
JPS5820043Y2 (ja) フエンスのレ−ルと支柱の連結装置
JPH04169635A (ja) 壁パネルの支持装置における支柱下端部の支持構造
JPH0643351Y2 (ja) 仮設手摺の支柱体
KR960008847Y1 (ko) 건물 보수 작업용 발판 설치대
JPH042258Y2 (ko)
KR960000708Y1 (ko) 천정판 시설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