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179B1 -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179B1
KR970003179B1 KR1019930013687A KR930013687A KR970003179B1 KR 970003179 B1 KR970003179 B1 KR 970003179B1 KR 1019930013687 A KR1019930013687 A KR 1019930013687A KR 930013687 A KR930013687 A KR 930013687A KR 970003179 B1 KR970003179 B1 KR 97000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nd side
twisted
twisted pair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672A (ko
Inventor
유끼오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샤프라이
유끼오 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샤프라이, 유끼오 와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와 샤프라이
Priority to KR101993001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179B1/ko
Publication of KR95000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의 동작순서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의 동작순서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의 동작순서의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의 동작순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선기(원통롤러 캐터필러) 2 :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
L : 전원라인 M : 연선기의 구동용 모터
R : 케이블 종동롤러 Ca : 케이블
D : 케이블 콘테이너 T : 턴테이블
본 발명은 케이블 개시단측에서의 장거리의 연선(延線 ) 루트에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를 무인으로 순차 제어할 수 있는 케이블 연섭공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드럼측에서 연선을 집중 제어할 수 있는 연선공법으로서는 종래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평 5-76114호 공보 기재의 것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 장척(長尺) 연선루트에 있어서, 대략 일정구간에 배치된 케이블 연선기와, 친국(親國) 집중제어반, 자국(子國) 제어박스, 구간을 연결하는 전원 및 제어케이블에 의하여 구동되는 부설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 연선기의 연선속도를 친국 집중제어반의 지령펄스에 대응하여 자동 제어하여, 전케이블 연선기를 동일 스피드로 운전할 수가 있고, 그에 더하여, 스피드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속도제어용 AC 서어보드라이버와 AC 서어보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케이블을 무인화로 장척연선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이즈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 연선기의 구동시스템에 드라이버로서 속도제어용 AC 서어보 드라이버를, 모터로서 AC 서어보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각 케이블 연선기는 중앙으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자동 제어운전이 가능하게 되고, 전케이블 연선기를 통일 연선 스피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장착연선의 작업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가지는 반면, 친국집중 제어반, 자국제어박스, 구간을 연결하는 전원 및 제어케이블에 의하여 구성되는 부설시스템에 더하여 스피드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속도제어용 AC 서어보 드라이버와 AC 서어보 모터를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대규모이기 때문에 고가가 된다.
또 케이블 부설요원으로서 5000m 부설에서는 콘테이너 조작계 1명, 집중제어계 1명, 중간감시계 2~3명, 케이블 선도계(先導係) 1명의 약 5명의 부설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무인화 연선공법이라고는 반드시 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값싼 자기복귀 스위치로 케이블의 장력을 검지하여 케이블 개시단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다수의 연선기를 각각 순차로 제어함으로써 저렴한 부설 시스템으로 함과 동시에 부설요원의 소멸까지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연선 루트에 소망간격으로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로 장척의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연선기를 그 케이블 송출측(풀어내는 측)에 특별히 설치한 케이블장력 검지스위치로 케이블 개시단측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순차로 작동 제어함으로써, 케이블 연선의 실행과 그 중단을 케이블 개시단측에서 가능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대응 설치된 원동롤러나 원통 캐터필러 등을 사용한 연선기(1, 1)는 그 송출측에 설치한 케이블 장력검지스위치가 온이 되면 시동되어 케이블을 송출할 수가 있고, 상기 검지 스위치가 케이블의 휘어짐(늘어짐)으로 오프가 되면 연선기는 정지하여 송출을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연선루트에 소망의 간격으로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로 장척의 케이블을 부설하는데 있어서는, 다수의 연선기(1, 1)중, 먼저 케이블 개시단측의 케이블장력 검지스위치(2)를 온시켜 케이블 개시단측 연선기를 스타트시키면, 종단측을 향하여 각각 케이블 송출측의 검지스위치(2)로 순차로 다수의 연선기를 시동할 수 있어, 케이블 연선기의 실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중단은 케이블 개시단측의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2)를 오프시켜 케이블 개시단측 연선기를 스톱시키면,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케이블 송출측의 검지스위치(2)로 순차로 다수의 연선시를 정지시킬 수가 있어, 케이블 연선의 중단 또는 정지자 케이블 개시단측에서 가능하다.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실시예의 DC 500KV, OF 케이블(외경 130㎜, 중량 45㎏/m)을 약 5000m에 걸쳐 부설하는 경우의 케이블 연선공법의 설명도이다.
즉, 턴테이블(T) 상에 설치한 케이블 드럼 콘테이너(D)에는 연선해야 할 케이블(Ca)이 감겨져 있다.
부호 1, 1는 공지의 케이블 연선기(롤러나 캐터필러)로서, 5000m의 부설루트중에 평탄부에서는 대략 20~30m 간결으로 배치된다. 이들 케이블 연선기(1,1)의 중간에는 약 5m 간격으로 케이블 종동롤러(R)를 배치하고, 이 롤러상을 이동하는 케이블(Ca)의 마찰을 적게하여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중 부호 M로 나타낸 것은 연선기(1)의 구동용 모터, 2는 상기 모터(M)와 전원라인(L) 간에 직렬로 접속한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 S는 전원(E)의 메인스위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제1도, 제2도와 같이, 5㎞ 정도의 케이블 연선루트에 있어 30~50m 간격으로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로 장척의 케이블을 부설함에 있어서, 먼저 다수의 연선기(1, 1)에는 장척의 선도와이어로프, 즉 소위 안내로프를 건너 질러둔다. 그리고, 각 연선기를 그 케이블 송출측에 각별히 설치한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2, 2)로 케이블 개시단측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순차로 작동제어함으로써, 상기 선도로프에 연결한 케이블 연선의 실행과 그 중단을 케이블 개시단측에서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즉, 다수의 연선기(1, 1)중 먼저 선도계가 케이블 개시단축의 케이블(Ca)을 올려, 제1도에 도시한 쇄선 및 제3도와 같이 케이블을 장력의 검지스위치(2)를 온시켜 케이블 개시단측의 연선기를 제1도의 쇄선 및 제3도와 같이 스타트시키면, 종단측을 향하여 각각 제3도의 상태를 거쳐 제4도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 송출측의 검지스위치(2)로 다수의 연선기(1, 1)를 시동시킬 수가 있어, 4~5㎞ 정도의 장척 케이블의 연선운전을 선도계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연선기 중단은 제5도와 같이 먼저 선도계가 케이블 개시단측의 케이블(Ca)을 내려,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2)를 오프시켜 케이블 개시단측의 연선기(1)를 제5도와 같이 스톱시키면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제5도의 케이블 휘어내려감 상태를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 송출측의 검지스위치(2)를 순차로 오프시켜 다수의 연선기(1, 1)를 스톱시킬 수가 있어, 장척의 케이블 연선운전의 정지나 중단을 상기 선도계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케이블(Ca)의 진동이나 요동등으로 검지스위치(2)에 채터링이 생기는 경우는 스위치 접편 작동기를 굽혀 케이블에 섭접시키거나, 공지의 태처링 방지회로로 채터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스위치(2)로서는 메커니컬 스위치에 광검지스위치나 수은스위치, 자기센서 스위치나 홀소자동 현재 사용되는 공지의 스위치를 응용한 릴레이 회로를 사용하여 연신기(1)의 모터(M)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케이블(Ca)을 수평방향으로 예를 들면 90˚커어브시켜 보낼때의 코너에 있어서의 케이블 수평만곡을 케이블 장력 검지스위치(2)로 검지하게 함으로써, 케이블 커어브 개소에 가까운 연선기의 제어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케이블 연선루트에 소망간격으로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로 장척의 케이블을 부설함에 있어서, 다수의 연선기(1, 1)를 그 케이블 송출측에 각별히 설치한 케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2, 2)로 케이블 개시단측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순차로 작동제어함으로써, 케이블 연선의 실행과 그 중단을 케이블 개시단측에서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케이블 선도계 1명, 케이블 콘테이너 조작계 1명의 약 2명의 부설요원으로 장거리 루트에 장거리연선을 거의 무인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생략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집중제어시스템이나 제어케이블이 불필요하고, 마이크로 스위치등의 저렴한 자기복귀 스위치로 케이블의 텐션(장력)을 검지하여 케이블 개시단측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다수의 연선기를 각각 순차로 제어함으로써 저렴하고 장거리 로우트 장척케이블의 무인화 부설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경제적 효과도 가진다.

Claims (1)

  1. 케이블 연선루트에 소망간격으로 배치한 다수의 연선기로 장척의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연선기(1, 1)를 각각 그 케이블 송출측에 각별히 설치한 테이블 장력의 검지스위치(2, 2)로 케이블 개시단측으로부터 종단측에 향하여 각각 순차로 작동 제어함으로써, 케이블 연선의 실행과 그 중단을 케이블 개시단측에서 가능하게 한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KR1019930013687A 1993-07-20 1993-07-20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KR970003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687A KR970003179B1 (ko) 1993-07-20 1993-07-20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687A KR970003179B1 (ko) 1993-07-20 1993-07-20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72A KR950004672A (ko) 1995-02-18
KR970003179B1 true KR970003179B1 (ko) 1997-03-14

Family

ID=1935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687A KR970003179B1 (ko) 1993-07-20 1993-07-20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445B1 (ko) * 2001-05-10 2003-09-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곤도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72A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9304339D0 (sv) Styranordning vid upp- eller avrullning av en sträng såsom en kabel eller en lina på eller från en trumma
KR970003179B1 (ko)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SU1049244A1 (ru) Манипул тор
KR100352332B1 (ko) 케이블 안내용 모터가 없는 케이블 자동 권선장치
CN114336423B (zh) 桥架电缆敷设机
JPH06311617A (ja) ケーブル無人化延線工法
JP4225266B2 (ja) ケーブル延線方法
US20080304948A1 (en) Aircraft 400 hz cable hoist
KR0122327B1 (ko) 신,연선기의 권취조절장치
KR200248255Y1 (ko) 원격조정 호이스트 크레인
KR200279830Y1 (ko) 전동형 서스펜션마이크 승강장치
CN101807787B (zh) 无动力恒长度线缆牵引机构
EP0774097B1 (en) A lifting device for the controlled vertical transfer of objects
CN107285220A (zh) 一种无人船用自动收放电缆的联轴卷扬机
CA2078022A1 (en) Method of drawing large-size elongate cable for installation
KR830000738B1 (ko) 온실 커어텐의 개폐장치
KR200260902Y1 (ko) 코일운반장치
SU770784A1 (ru) Манипул тор
SU10255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 двигател м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U1301360A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многоопорной дождевальной машины фронтального действи
GB2196612A (en) A strip magazine for treatment lines
DE3761250D1 (de) Kontrolleinrichtung fuer das elektrische antriebselement einer lastfoerdervorrichtung.
SU155207A1 (ko)
US1728759A (en) Control system
JPH09256315A (ja) 吊橋ケーブル用巻き付け位置自動調整機能付きラッピ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