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902Y1 - 코일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0902Y1 KR200260902Y1 KR2019970031384U KR19970031384U KR200260902Y1 KR 200260902 Y1 KR200260902 Y1 KR 200260902Y1 KR 2019970031384 U KR2019970031384 U KR 2019970031384U KR 19970031384 U KR19970031384 U KR 19970031384U KR 200260902 Y1 KR200260902 Y1 KR 2002609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relay
- contact
- rotation
- centr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30—Circuits for braking, traversing, or slewing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된 체결부와 회전하는 선회부사이의 케이블배선을 변경하여 무한선회가 가능해지고, 역회전이 필요없으며 자동방향설정이 가능한 코일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코일운반장치는 천정기중기와 결합되는 선회용모터와 선회기어와 제1터미널박스로 이루어진 체결부(100)와, 상기 체결부(100)의 선회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핑거 및 핑거동작용 모터 및 제2터미널박스 및 제한스위치 등을 구비한 선회부로 이루어진 코일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기어의 중심축에 케이블인출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구멍이 형성된 중심축상부에 도체층과 절연층이 반복하여 형성된 원기둥형태의 무한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중심에 상기 중심축의 케이블인출구멍과 일자로 통하는 케이블인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케이블인출구멍주위에 각각의 도체층까지 뚫린 다수의 케이블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부의 제2터미널박스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무한회전부의 상측까지 인출한 후, 그 케이블내의 작은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접속구멍을 통해 각각의 도체층에 접속시키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다수의 도체층에 일면이 닿도록 다수의 접촉자를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자 각각의 타측에 케이블을 접속하고, 이 케이블을 제1케이블박스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의 부속장치인 코일운반장치(coil lif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체결부와 회전하는 선회부사이의 케이블배선을 변경하여 무한선회가 가능해지고, 역회전이 필요없으며 자동방향설정이 가능한 코일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제품과 같은 중량물을 취급하는 산업장의 높은 천정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작업을 하는 천정기중기는 산업장의 특성에 맞게 설계설치되어 전동기(motor)의 힘으로 줄(rope)을 감고 푸는 동작으로 권상권하동작이 되게 하고, 주행 및 횡행으로 전작업장내의 운반작업을 가능케하였으며, 그 하부는 대부분 갈고리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하물을 걸은 후, 천정기중기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중량이 비슷하거나 형태가 비슷한 부하물만을 사용하는 작업장에서는 그 부하물에 적합한 특수형태의 부속장치를 갈고리부에 결합시켜, 수작업없이 전기작동으로 들어 올리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부속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코일운반장치로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코일을 운반하기 위해 천정기중기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1에 종래의 코일운반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크게 천정크레인(도시생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10)와, 상기 체결부(10)에 연결되어 대상물(즉, 코일)을 잡는 동작 및 회전하는 선회동작을 하는 선회부(2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체결부(10)에는 선회동작용 모터(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모터(5)가 동작하면, 상기 모터(5)의 축에 연결된 선회기어(51)가 회전하여, 그 선회기어(51)의 축에 연결된 선회부(20)를 선회시킨다. 그리고, 이 선회부(20)에는 핑거동작용 모터(6)가 구비되어, 이 핑거동작용 모터(6)의 회전으로 하단에 코일의 내경에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핑거(7)가 대상물을 잡는 동작과 놓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핑거(7)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는 대상물을 잡는 동작시 지나치게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감지하는 제한스위치(8)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이, 코일운반장치는 대상물(코일)을 잡은 뒤 천정크레인에 의하여 권상되어 해당 적재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코일방향을 바꾸며(예를들어, 감긴 코일의 끝부분이 한방향을 향하도록), 이에 대상물인 코일은 해당 적재소에 일정방향으로 쌓는다.
그런데, 종래의 코일운반장치에서 상기 모터(6) 및 제한스위치(8),(9)에 각각 연결된 신호 및 전원 입출용 케이블들은 선회부(20)의 케이블박스(30)로 모아지고, 이 케이블박스(3)로부터는 상기 모터(6) 및 제한스위치(8,9)에서 인출된 낱낱의 얇은 케이블이 하나로 합쳐져 피복된 굵은 케이블(1d, 1c)로 체결부(10)의 케이블박스(2)까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박스(2)에서 체결부(10)의 모터(5) 및 제한스위치(4)등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과 합쳐져 천정기중기(도시생략)의 본체에 구비된 제어판넬에 연결되는 잭케이블(1a)로 연결되는데, 상기 선회부(20)의 케이블박스(3)와 체결부(10)의 케이블박스(2)사이에서, 상기 선회부(20)에서 인출된 케이블(1d)은 케이블유도선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0)의 케이블박스(3)입력측도 고정되어 있으나 그 사이의 케이블(1c)는 고정되지 않은 유동케이블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코일운반장치는 선회부(20)와 체결부(10)를 연결하는 유동케이블(1c)의 간섭으로 선회범위가 270。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선회범위의 제한으로 선회방향이 잘못설정된 경우, 역회전으로 다시 선회시켜야 하기 때문에 동작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회기어가 빈번한 역회전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으며, 체결부(10)와 선회부(20)사이에 연결된 유동케이블(1c)이 코일을 잡고 놓는 동작을 하는 핑거(8)의 베어링돌출부 등에 걸려 단선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회부측에서 인출된 케이블을 선회기어 중심축의 내측으로 배선하고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 무선선회 및 자동방향설정이 가능한 코일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와 결합되는 선회용모터와 선회기어와 제1터미널박스로 이루어진 체결부(100)와, 상기 체결부(100)의 선회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핑거 및 핑거동작용 모터 및 제2터미널박스 및 제한스위치 등을 구비한 선회부로 이루어진 코일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기어의 중심축에 케이블인출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인출구멍이 형성된 중심축상부에 도체층과 절연층이 반복하여 형성된 원기둥형태의 무한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중심에 상기 중심축의 케이블인출구멍과 일자로 통하는 케이블인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케이블인출구멍주위에 각각의 도체층까지 뚫린 다수의 케이블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부의 제2터미널박스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무한회전부의 상측까지 인출한 후, 그 케이블내의 작은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접속구멍을 통해 각각의 도체층에 접속시키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다수의 도체층에 일면이 닿도록 다수의 접촉자를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자 각각의 타측에 케이블을 접속하고, 이 케이블을 제1케이블박스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도1은 종래의 코일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하여 무한회전 및 방향설정이 가능한 코일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서 무한회전부(209)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서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코일운반장치에서 자동방향설정을 위한 회로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9 : 무한회전부 210 : 접촉자
211 : 고정부 212 : 케이스
213 : 감지센서 214 : 센서스트라이크
505 : 자동수동선택스위치 511 : 자동시작스위치
504, 510 : 제3릴레이의 A접점 525∼527 : 제1∼제3릴레이
517∼520 : 감지센서(213a∼213c)의 B접점
521∼524 : 방향선택스위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코일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201은 코일운반장치의 선회용 모터이고, 202는 상기 모터(201)에 의하여 회전하는 선회기어이고, 203은 상기 선회기어(202)의 중심축으로 내부에 케이블관통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204는 선회부측의 모터 및 다수의 제한스위치(도시생략)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케이블이 모이는 케이블박스이고, 205, 206, 208은 케이블이고, 207은 선회부측의 모터 및 제한스위치로부터 인출된 케이블과 상기 선회용 모터(201)등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모이는 케이블박스이고, 209는 도체층과 절연층이 반복되어 원통형으로 중심에 케이블인출구멍이 형성되고 이 케이블인출구멍의 주위로 각각의 도체층까지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블접속구멍이 형성되는 무한회전부이고, 210은 상기 무한회전부(209)의 도체층에 접촉되는 접촉자이고, 211은 상기 접촉자를 지지하는 고정부이고, 212는 상기 무한회전부(209)를 보호하는 케이스이고, 213은 상기 케이스(212)의 상부에 무한회전부(209)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90。간격으로 설치되는 센서이고, 214는 상기 무한회전부(209)의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스트라이크이다.
도3은 상기 도2에서 무한회전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이는 단면사시도로써, 상기 도2에서 설명된 동일부호의 설명은 생략한다. 205a는 상기 선회부(200)측의 케이블박스(204)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5)내의 낱낱의 얇은 케이블로 각각 선회부(200)의 모터 또는 제한스위치 등의 인출 케이블이다. 그리고, 209a는 절연층이고, 209b는 상기 절연층(209a) 사이의 도체층이고, 209c는 상기 케이블인출구멍주위에 이 케이블인출구멍보다 작게 각각의 도체층까지 형성되는 케이블접속구멍이고, 210a는 상기 접촉자(210)에서 각각 인출되는 케이블이다.
도4는 상기 도2에서 무한회전부(209)의 상측을 상세히 보이는 사시도로써, 213a∼213d는 무한회전부(209) 상측에 무한회전부(209)의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그 회전중심을 중심으로하여 90。간격으로 설치된 감지센서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코일운반장치의 자동방향설정회로의 일실시예로 4방향설정이 가능한 자동방향설정회로로써, 선회기어(202)를 회전시키는 모터부(501)의 정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직렬연결된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2)과, 상기 모터부(501)의 역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직렬연결된 제2릴레이(526)의 A접점(503)과, 상기 모터부(501)의 정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상기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2)과 병렬로 연결된 제3릴레이(527)의 A접점(504)과, 상기 모터부(501)의 입력교류전원을 다운시키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저압측코일에 연결된 수동자동선택스위치(505)와, 상기 수동자동선택스위치(505)의 수동선택단에 직렬로 순차연결된 정회전시작스위치(507), 비상스위치(512), 제2릴레이(526)의 B접점(515) 및 제1릴레이(525)와, 상기 정회전시작스위치(507)에 병렬연결된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6)과,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의 수동선택단에 직렬로 순차연결되는 역회전시작스위치(509), 비상스위치(513), 제1릴레이(525)의 B접점(516) 및 제2릴레이(526)와,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의 자동선택단에 동시에 연결된 제3릴레이(527)의 A접점(510) 및 자동시작스위치(511)와, 상기 A접점(510) 및 자동시작스위치(511)의 접점에 연결된 비상스위치(514)와, 상기 비상스위치(514)와 제3릴레이(527) 사이에 순차로 직렬연결되는 무한회전부(209)의 상측에 설치된 네 감지센서(213a∼213d)의 네 B접점(517∼518)과, 상기 네 감지센서(213a∼213d)의 B접점(517∼520)에 각각 병렬연결되며 각각 대응하는 감지센서(213a∼213d)의 설정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선택스위치(521∼527)와, 감지센서(213a∼213d)의 B접점(517∼520)과 방향선택스위치(521∼527)에 동시에 연결되는 제3릴레이(527)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코일운반장치가 무한회전동작을 설명하면, 선회기어(202)의 중심축(203)내부에는 케이블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으로 선회부(200)의 케이블박스(204)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5)이 삽입되어 무한회전부(209)까지 인출된다.
그리고, 무한회전부(209)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체층(209b)과 절연층(209a)이 반복형성된 원기둥으로 그 중심에 케이블(205)의 인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인출구멍 주위로 형성된 케이블접속구멍(209c)에 상기 중심축(203) 및 무한회전부(209)의 케이블인출구멍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205)내의 낱낱의 얇은 다수 케이블(205a)은 상기 무한회전부(209)의 케이블접속구멍(209c)을 통해 각각의 도체층(209b)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체층(209b)은 고정부(211)에 고정된 각각의 접촉자(210)와 접촉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체층(209b)과 얇은 케이블(205a)과 접촉자(210)의 수는 일치하며, 각각 일대일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도체층(209b)에 접촉된 접촉자(210)의 반대끝에는 다른 케이블(210a)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210)은 하나로 피복되어(206) 케이블박스(207)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선회용모터(201)에 의하여 선회기어(202)가 회전하면, 그 선회기어(202)의 중심축(203)과, 그 중심축(203)의 하부에 연결된 선회부(200)(즉, 코일을 잡기 위한 핑거와 그 핑거를 동작시키는 모터 및 모터 및 핑거에 부착된 제한스위치등으로 부터 인출된 케이블이 모아지는 케이블박스) 및 중심축(203)의 상부에 설치된 무한회전부(209)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박스(204)에서 중심축(203)의 내부구멍 및 도체층(209b)까지 연결된 케이블에는 회전에 의해 꼬이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작은 케이블(205a)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는 회전하는 무한회전부(209)의 도체층(209b)과 그 절연층(209a)에 접촉되는 접촉자(210)을 통해 체결부(100)측의 케이블박스(207)로 연결된 다른 케이블(210a)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선회기어(202) 및 선회부(200)의 회전범위는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에 의하여 회전범위에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는 코일운반장치의 회전각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서, 선회기어(202)의 중심축(203)과 함께 무한회전부(209)가 회전하면, 무한회전부(209)의 상축에 부착된 센서스트라이크(209)가 회전하여 그 상부에 위치한 감지센서(213)가 동작하는데, 일실시예에서의 감지센서(213)의 구성을 도4에 보인다.
일실시예에서는 90。간격으로 방향설정을 할 수 있도록 네 개의 감지센서(213a, 213b, 213c, 213d)는 무한회전부(209)의 중심을 기준으로 센서스트라이크(214)와 면할 수 있는 일정거리에 90。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한회전부(209)와 함께 센서스트라이크(214)가 회전하면서, 네 감지센서(213a∼213d)중 근접한 한 감지센서(213a∼213d중 하나)가 동작한다. 상기 감지센서(213a∼213d)는 예를들어 리미트스위치이다.
도5를 참조하여 자동방향설정동작을 설명한다.
동작전원(3상교류전원)은 배선용차단기(MCB)를 통해서 A접점(502∼504)중 턴오프된 접점 및 더멀릴레이(TH)를 통해 모터부(501)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교류전원(약, 440V)은 트랜스포머(T)를 통해 약 110V의 교류전압으로 다운된 후, 상기 모터부(501)의 교류전원라인에 연결된 A접점(502∼504)을 각각 턴오프시키는 세 릴레이(525∼527)에 인가되는데, 상기 트랜스포머(T)와 세 릴레이(525∼527)사이에 다수의 스위칭소자(505∼524)가 구비되어 릴레이(525∼527)로의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제어동작은 수동으로 모터를 역회전동작시키는 경우와, 수동으로 모터를 정회전시키는 경우와, 자동으로 모터를 설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먼저, 수동으로 모터를 정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를 수동으로 선택스위칭시키고, 정회전시작스위치(507)를 턴온시키면, 트랜스(T)로부터 인가된 교류전원(약, 110V)은 수동선택된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 및 턴온된 정회전시작스위치(507)를 통해 제1릴레이(525)로 인가된다. 따라서, 처음에는 턴온된 역회전시작스위치(507)를 통해 그리고 제1릴레이(525)가 동작한 후에는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6)을 통해 제1릴레이(525)가 여자되어, 상기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2)가 턴온된다. 그리하여, 3상교류전원은 턴온된 A접점(502)를 통해 모터부(501)로 인가되어 모터를 정회전동작시킨다. 그리고, 제2릴레이(525)의 전원라인에 직렬연결된 제1릴레이(525)의 B접점(516)이 제1릴레이(525)의 여자로 동작하여 턴오프되고, 이에 제1릴레이(525)와 함께 제2릴레이(526)가 동작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비상스위치(512)는 비정상적인 상황시에 작업자의 스위칭조작으로 턴오프되어 제1릴레이(525)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수동으로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를 수동으로 선택스위칭시키고, 역회전시작스위치(509)를 턴온시키면, 트랜스포머(T)로부터 교류전원이 제2릴레이(526)로 인가되고, 이 제2릴레이(526)의 여자로 시작스위치(509)와 병렬로 연결된 제2릴레이(526)의 A접점(508)이 턴온되어 비상스위치(513)이 턴오프될때까지 제2릴레이(526)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 모터부(501)의 전원인가라인에 연결된 A접점(503)이 턴온되고, 3상교류전원은 모터부(501)에 상기 정회전시와는 반대로 인가되어 모터부(501)가 역회전동작한다. 또한, 제2릴레이(526)의 B접점(515)이 턴오프되어 제1릴레이(525)의 동시동작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설정방향으로 자동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를 자동으로 선택스위칭시키고, 방향선택스위치(521∼524)중-본 실시예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을 네 가지로 하고 있으므로 방향선택스위치는 네 개가 존재한다-원하는 방향의 스위치를 턴오프시킨다.
그러면, 트랜스포머(T)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전원은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와, 턴온된 자동시작스위치(511)와, 상기 무한회전부(209)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감지센서(213a∼213d)(즉, 리미트스위치)의 B접점(517∼520)을 통해 제3릴레이(527)로 인가되고, 이에 제3릴레이(527)가 여자되어 A접점(504)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501)가 회전동작하여 무한회전부(209)(즉, 코일운반장치)가 설정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해당 방향을 검출하는 감지센서(213a∼213d 중 하나)가 센서스트라이크(214)에 근접하고, 이에의하여 상기 턴오프된 방향선택스위치(521∼524)에 대응되는 그 감지센서의 B접점(517∼520중 하나)이 턴오프된다. 그리고, 제3릴레이(527)의 전원인가라인이 차단되어 A접점(504)는 다시 턴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501)는 자동시작스위치(511)가 턴온되시점부터 턴오프스위칭된 방향선택스위치(521∼524)에 대응하는 감지센서(213a∼213d)의 B접점(517∼518)이 턴오프될때까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즉, 코일운반장치가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할 때 모터부(501)의 동작이 정지되고, 코일운반장치는 설정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 밖으로 배선되어 있던 고정된 체결부(100)와 회전하는 선회부 사이의 케이블을 내부로 배선하여 선회부가 회전범위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에 본 고안에 의한 코일운반장치는 한방향으로 무한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역회전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선회기어의 역회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방향설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천정기중기와 결합되는 선회용모터와 선회기어와 제1터미널박스로 이루어진 체결부(100)와, 상기 체결부(100)의 선회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핑거 및 핑거동작용 모터 및 제2터미널박스 및 제한스위치 등을 구비한 선회부로 이루어진 코일운반장치에 있어서,상기 선회기어의 중심축에 케이블인출용 구멍을 형성하고,상기 인출구멍이 형성된 중심축상부에 도체층과 절연층이 반복하여 형성된 원기둥형태의 무한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중심에 상기 중심축의 케이블인출구멍과 일자로 통하는 케이블인출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무한회전부의 케이블인출구멍주위에 각각의 도체층까지 뚫린 다수의 케이블접속구멍을 형성하고,상기 선회부의 제2터미널박스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무한회전부의 상측까지 인출한 후, 그 케이블내의 작은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접속구멍을 통해 각각의 도체층에 접속시키고,상기 무한회전부의 다수의 도체층에 일면이 닿도록 다수의 접촉자를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상기 다수의 접촉자 각각의 타측에 케이블을 접속하고, 이 케이블을 제1케이블박스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일운반장치는상기 무한회전부의 맨위 상측에 부착되는 센서스트라이크와,상기 무한회전부의 상부에 무한회전부의 회전중심을 중점으로 하여 일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각각이 코일운반장치의 다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다수의 감지센서와,선회동작시, 무한회전부가 회전동작하여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중 작업자가 설정한 방향에 대응하는 감지센서가 센서스트라이크에 근접하여 동작할 때 상기 선회용모터의 동작전원을 차단하는 자동설정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운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설정회로부는상기 선회용모터의 교류전원을 릴레이동작전원으로 다운시키는 트랜스포머(T)와,상기 트랜스포머(T)에 고정접점이 연결된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와,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의 수동선택단에 직렬로 순차연결되는 노멀오픈의 정회전시작스위치(507)와, 노멀온의 비상정지스위치(512)와, 제2릴레이(526)의 B접점(515)과 제1릴레이(525) 및, 상기 정회전시작스위치(507)에 병렬연결되는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6)과,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의 수동선택단에 직렬로 순차연결되는 노멀오픈의 역회전시작스위치(509)와, 노멀온의 비상정지스위치(513)와, 제1릴레이(525)의 B접점(516)과 제2릴레이(526) 및, 상기 역회전시작스위치(509)에 병렬연결되는 제2릴레이(526)의 A접점(508)과,상기 자동수동선택스위치(505)의 자동선택단에 직렬로 순차연결되는 노멀오픈의 자동시작스위치(511)와 노멀온의 비상정지스위치(514)와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213a∼213d)의 B접점(517∼520)과 제3릴레이(527) 및, 상기 다수의 B접점(517∼520)에 각각 병렬연결되며 그 B접점(517∼520)에 대응하는 감지센서(213a∼213d)의 지시방향을 선택방향으로 하는 다수의 방향선택스위치(521∼524)와, 상기 자동시작스위치(511)에 병렬연결되는 제3릴레이(527)의 A접점(510)과,상기 선회용모터의 정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직렬연결되는 상기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2)과, 상기 선회용모터의 역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직렬연결되는 상기 제2릴레이(526)의 A접점(503)과, 상기 선회용모터의 정방향교류전원인가라인에 상기 제1릴레이(525)의 A접점(502)과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3릴레이(527)의 A접점(50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운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1384U KR200260902Y1 (ko) | 1997-11-07 | 1997-11-07 | 코일운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1384U KR200260902Y1 (ko) | 1997-11-07 | 1997-11-07 | 코일운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166U KR19990018166U (ko) | 1999-06-05 |
KR200260902Y1 true KR200260902Y1 (ko) | 2002-06-21 |
Family
ID=538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1384U KR200260902Y1 (ko) | 1997-11-07 | 1997-11-07 | 코일운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090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837B1 (ko) | 2009-10-01 | 2010-02-02 | 김성식 | 에어모터가 장착된 롤 통 |
KR101133152B1 (ko) * | 2008-07-25 | 2012-04-06 | 김성식 | 집는 능력을 향상시킨 통 |
-
1997
- 1997-11-07 KR KR2019970031384U patent/KR2002609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152B1 (ko) * | 2008-07-25 | 2012-04-06 | 김성식 | 집는 능력을 향상시킨 통 |
KR100939837B1 (ko) | 2009-10-01 | 2010-02-02 | 김성식 | 에어모터가 장착된 롤 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166U (ko) | 1999-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0914B1 (ko) | 전기체인블록의 작동장치 | |
JP4926613B2 (ja) |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 |
KR200260902Y1 (ko) | 코일운반장치 | |
CN102025133A (zh) | 电梯的安全电路 | |
US6600289B2 (en) | Portable three-phase AC power supply for chain hoist motor | |
EP1591407B1 (en) | Lifting unit | |
KR101012293B1 (ko) |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 |
US7510169B2 (en) | Aircraft 400 HZ cable hoist | |
KR20000062740A (ko) | 호이스트, 특히 소형 호이스트의 권상기용 제어 구동 장치 | |
KR101906210B1 (ko) | Dps를 이용한 호이스트 | |
JP2020111432A (ja) |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 |
WO2022123984A1 (ja) | 電気チェーンブロックの上限下限検出装置及び上限下限検出方法 | |
KR100198157B1 (ko) | 타워 크레인에 있어서 과부하시 슬루윙동작 제한회로 | |
JPH07137991A (ja) | ワイヤロープの巻上げ装置 | |
KR970003179B1 (ko) | 케이블 무인화 연선공법 | |
US5841256A (en) |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loading element of a crane | |
KR970006567Y1 (ko) | 코일 리프터 제어장치 | |
JP7547786B2 (ja) | 停止装置、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接続方法 | |
JP2991858B2 (ja) | 二重速式可変速形電動巻上機 | |
KR870000562B1 (ko) |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 |
JP2009161277A (ja) | ホイスト制御装置及び揚重設備 | |
KR0161566B1 (ko) | 타워 크레인의 호이스트 속도 완충제어장치 | |
JPH0329844Y2 (ko) | ||
JPS647536Y2 (ko) | ||
CN206872328U (zh) | 一种起重设备防松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