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156Y1 - 쇠톱 - Google Patents

쇠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156Y1
KR970003156Y1 KR2019940002391U KR19940002391U KR970003156Y1 KR 970003156 Y1 KR970003156 Y1 KR 970003156Y1 KR 2019940002391 U KR2019940002391 U KR 2019940002391U KR 19940002391 U KR19940002391 U KR 19940002391U KR 970003156 Y1 KR970003156 Y1 KR 970003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n
fixing
fitting hole
saw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633U (ko
Inventor
최종곤
Original Assignee
최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곤 filed Critical 최종곤
Priority to KR2019940002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156Y1/ko
Publication of KR950024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2Hack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use with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e.g. bows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쇠톱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X-X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Y-Y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2 : 끼움공
2a : 고정홈 3 : 전방고정구
3a : 돌편 3b, 6a : 고정핀
4 : 너트 5 : 지지대
5a : 끼움공 5b : 판결합공
6 : 후방고정구 6b, 6c : 결합공
7 : 핀
본 고안은 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틀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쇠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쇠톱은 손잡이를 갖는 고정틀체와 상기 고정틀체에 끼워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끼움틀체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틀체와 끼움틀체의 고정편에는 핀을 돌설하여 톱날의 양측구멍을 상기 핀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틀체가 고정틀체에 끼움틀체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시 유동이 심하여 톱날의 고정상태가 안정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정된 톱날이 절단되는 재료에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사용도중 부러지거나 절단면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틀체에 끼움틀체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시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휘어질 뿐만 아니라 고정틀체 및 끼움틀체가 조금만 휘어져도 사용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일체로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의 일측 끝에 고정홈을 갖도록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너트로 체결되는 전방고정구와 틀체의 중간에 리벳팅되고 하단에 후방고정구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대로 구성된 쇠톱을 제공하여 톱날이 보다 안정되게 고정되고, 틀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체로 형성된 틀체(1)과, 상기 틀체(1)의 일측 끝에 고정홈(2a)를 갖도록 형성된 끼움공(2)와, 상기 고정홈(2a)에 대응하는 돌편(3a)가 측면양측에 돌설되고 끼움공(2)에 끼워서 일측이 너트(4)로 체결되며 타측에는 고정핀(3b)가 돌설된 전방고정구(3)과, 상기 틀체(1)의 중간에 상부가 리벳팅으로 고정되고 하단에 끼움공(5a)가 형성된 지지대(5)와 상기 끼움공(5a)를 관통하여 천공된 핀결합공(5b)와, 일측에 고정핀(6a)가 돌설되고 결합공(6b)(6c)가 천공되어 끼움공(5a)를 끼워지는 후방고정구(6)과, 상기 결합공(6b)나 (6c)를 통해 후방고정구(6)을 고정시키는 핀(7)과, 상기 핀(7)의 끝에 힌지 결합된 젖힘편(8)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틀체(1)은형으로 제작되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측에 합성수지재(P,V,C)손잡이(9)가 구비되어 있으며, 틀체(1)의 중간에는 지지대(5)의 상부가 리벳팅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끼움공(2)와 (5a)에 전,후방 고정구(3), (6)을 각각 끼워, 전방고정구(3)를 너트(4)로 틀체(1)의 일측에 체결하고 후방고정구(6)은 핀결합공(5b)에 사용하는 쇠톱(10)의 규격에 따라 결합공(6b)나 (6c)중 하나를 일치시켜 핀(7)을 끼운후 젖힘편(8)을 젖혀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3b)와 (6a)에 톱날(10) 양측의 구멍(10a)을 끼우고 너트(4)를 조여주게되면 틀체(1)에 톱날(10)이 견고히 고정 설치되게 한다.
제2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틀체(1)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전방고정구(3)이 끼움공(2)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전방고정구(3)의 측면에 돌설된 돌편(3a)가 끼움공(2)의 고정홈(2a)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쇠톱의 사용할 때 전방고정구(3)이 돌아갈 염려가 없으며, 후방고정구(6)도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 단면이기 때문에 쇠톱을 사용할 때 돌아가지 않아 톱날(10)이 전달되는 재료에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시 톱날(10)이 절단되는 재료에 수직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절단면이 고르게 되고, 톱날(10)에 무리한 비틀림이 작용하지 않아 쉽게 부러지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틀체(1)의 종래와 같이 두부분으로 나뉘어 있지않고 일체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틀체(1)의 연결부분에서 유통이 생길 염려가 없으며, 힘이 집중되지 않아 틀체(1)이 변형될 소지가 없는 것이다.
한편 톱날(10)을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너트(4)를 풀러 전, 후방고정구(3), (6)의 고정핀(3b), (6a)에서 톱날(10)을 빼내고 새로운 톱날(10)의 길이에 따라 결합공(6b), (6c)중 하나를 핀결합공(5b)에 일치시켜 전, 후방고정구(3), (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 후 새로운 톱날(10)을 고정핀(3b), (6a)에 끼워 너트(4)를 조여 고정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일체로 형성된 틀체(1)의 중간에 지지대(5)를 리벳팅으로 결합하고, 상기 틀체(1)의 일측과 지지대(5)의 하부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전, 후방고정구(3),(6)를설치한 쇠톱을 제공함으로서 쇠톱 사용시 틀체(1)가 유동되지 않고, 톱날(10)이 절단되는 재료에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절단면에 고르게 될 뿐만이 아니라 톱날(10)에 무리한 비틀림이 작용하지 않아 쉽게 부러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체로 형성된 틀체(1)과, 상기 틀체(1)의 일측 끝에 고정홈(2a)를 갖도록 형성된 끼움공(2)와, 상기 고정홈(2a)에 대응하는 돌편(3a)가 측면양측에 돌설되고 끼움공(2)에 끼워서 일측이 너트(4)로 체결되며 타측에는 고정핀(3b)가 돌설된 전방고정구(3)과, 상기 틀체(1)의 중간에 상부가 리벳팅으로 고정되고 하단에 끼움공(5a)가 형성된 지지대(5)와 상기 끼움공(5a)를 관통하여 천공된 핀결합공(5b)와, 일측에 고정핀(6a)가 돌설되고 결합공(6b),(6c)가 천공되어 끼움공(5a)에 끼워지는 후방고정구(6)과, 상기 결합공(6b)나 (6c)를 통해 후방고정구(6)을 고정시키는 핀(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톱.
KR2019940002391U 1994-02-08 1994-02-08 쇠톱 KR970003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391U KR970003156Y1 (ko) 1994-02-08 1994-02-08 쇠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391U KR970003156Y1 (ko) 1994-02-08 1994-02-08 쇠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633U KR950024633U (ko) 1995-09-13
KR970003156Y1 true KR970003156Y1 (ko) 1997-04-14

Family

ID=1937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391U KR970003156Y1 (ko) 1994-02-08 1994-02-08 쇠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1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633U (ko)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72130Y (zh) 设有作为钢锯架集成部分的锉刀的钢锯架
RU2001104415A (ru) Соединение режущей головки и хвостовика инструмента
SE0000883D0 (sv) Borrverktyg
JP2013510010A (ja) 切削工具アセンブリ
KR970003156Y1 (ko) 쇠톱
US6739019B2 (en) Mounting plate for fastening a furniture fitting, such as an arm of a hinge for a piece of furniture
US20050141984A1 (en) Fixing element for inserting into a longitudinal cavity of a carrier plate
JPH032209Y2 (ko)
KR200181981Y1 (ko) 일체형 쇠톱틀
KR200144697Y1 (ko) 밥솥용 핸들 장착구조
KR0117288Y1 (ko)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
KR200211490Y1 (ko) 목공톱을 겸할 수 있는 쇠톱
KR200318867Y1 (ko) 와셔가 일체로 구비된 나비너트
EP1177756B1 (en) Device for fixing the seat assembly of a toilet bowl
KR950003392Y1 (ko) 관리기용 핸들 고정축의 손잡이 결합구조
JP2838793B2 (ja) 樋支持具
JPS6032962Y2 (ja) 替刃鋸
JP2004202608A (ja) 小型ハンマー
KR200250947Y1 (ko) 고장력 클램핑 밴드
JPS6026887Y2 (ja) スロ−アウエイ式切削工具
KR970006625Y1 (ko) 톱날의 체결금구
KR200338339Y1 (ko) 개량된 너트클립
KR19990016185U (ko) 쇠톱
KR0171758B1 (ko) 보울트 압착식 조립 리벳
JPH05204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