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80Y1 -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80Y1
KR970002580Y1 KR2019960035040U KR19960035040U KR970002580Y1 KR 970002580 Y1 KR970002580 Y1 KR 970002580Y1 KR 2019960035040 U KR2019960035040 U KR 2019960035040U KR 19960035040 U KR19960035040 U KR 19960035040U KR 970002580 Y1 KR970002580 Y1 KR 970002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ecording medium
tape
main body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에모리
요시노리 야마모또
마사오 오야마
쯔요시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11B15/67536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inside draw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본고안을 PCM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를 케이스 밖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 PCM 테이프 레코더의 외관을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 및 테이프 카셋트 인입 및 장착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제4도는 테이프 카셋트의 이송장치의 인입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결합블럭의 위치결정 피결합체로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5a도는 위치 결정 피결합체의 수평방향의 단면도.
제5b도는 위치 결정 피결합체의 수직방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인출구
3 : 반송체 4 : 카셋트 홀더
6 :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 11 : 샤시 기판
59 : 위치 결정 결합 블럭 57 : 결합 블록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등의 기록 재생장치에 관해서, 특히 장치 본체의 내외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이송장치를 사용해서 테이프 카셋트나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상기 장치 본체내의 소정의 기록 매체 장착 위치에 이송조작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테이프 카셋트나 광디스크등의 기록 매체를 갖추고, 기록매체를 장치 본체 밖의 착탈이 가능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에 걸쳐 이송조작하는 기록 매체 이송수단을 상기 장치 본체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이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장치 본체내로 이동되었을때,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록 매체장치 위치에 이송되고 이 장치 위치에 최소한 장착가능상태로 하는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 혹은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등의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이송 수단이 상기 장치 본체내로 이동되고,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착 위치에 최소한 장착 가능상태로 되었을 때,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장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 및 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장치 본체내에 설치되는 각종의 구동 기구의 반발력에 의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위치결정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이다.
[종래 기술]
종래는, 카세트식 케이프 레코더, 광학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의 수평방향의 내외에 이르러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기록 매체 이송 수단에 의해 테이프 카셋트 혹은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를 이송 조작하여, 이 기록 매체를 장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치위치에 장착 조작하도록 하는 말하자면 트레이 방식의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재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구비한 기록 재생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장치 본체 밖에 위치할때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에 대한 기록 매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에 위치할때 기록 매체를 장치 본체 내의 기록 매체 장착위치에 장착가능하게 한다.
즉,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에 위치하면,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반송체에 상하가동 가능하게 지지된 카셋트 홀더가 상하 조작되어서, 이 카셋트 홀더에 유지되어 있는 테이프 카셋트를 테이프 카셋트 장착위치에 위치결정 및 장착시키고, 혹은 테이프 카셋트의 상기 테이프 카셋트 장착위치로부터의 착탈 조작이 행해진다. 또한, 광학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광디스크를 디스크 회전구동장치의 디스크 테이블 위에 위치시킴과 함께 클램프 부재가 상기 디스크 테이블에 근접하여 상기 광디스크를 클램프 하거나, 혹은 디스크 테이블 위에 클램프되어 있는 디스크의 클램프를 해제한다.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 이송수단은, 장치 본체내의 인입 위치에 이르렀을 때 정지되지만, 이때 기록 매체 이송수단은, 이 이송에 설치한 고정핀과 같은 피결합 부재를 장치 본체측으로 설치한 결합 부재에 결합시켜, 장치 본체 밖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인입위치에 결합시키는 결합 기구는, 인입위치에 있는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단순히 결합시켜 두는것만의 기능 밖에는 갖고 있지 않으므로, 자기테이프를 소정의 테이프 주행로에 로딩 조작하는 테이프 주행기구가 구동되고, 또는 광디스크를 회전조작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기구가 구동되는 등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는 각종 구동기구가 구동되었을 때, 이들 구동기구의 반발력을 받아서 상기 기록매체 이송수단이 요동된다.
그 결과, 기록매체 이송수단이 인출조작되는 장치 본체측의 인출구와,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등으로 기록 재생장치의 외관을 손상할 뿐 아니라,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불필요한 위치로의 결합을 야기하는 등으로 원할한 이동조작이 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도한,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요동되므로서,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셋트나 광디스크등의 기록매체에 진동을 주는등 원활한 테이프 주행 또는 원할한 광디스크의 회전조작을 보장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는 각종 구동기구가 구동되어, 이들 구동기구의 반발력을 받아도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에 이른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을 상기 인입위치에 확실하게 위치결정 유지하여, 장치 본체내의 상기 구동기구가 구동되므로서 생기는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안된 것이다.
그래서,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요동을 방지하므로서,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인입위치에 있을 때 장치 본체의 인출구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원활한 이동 조작을 유지하고, 또다시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셋트나 광디스크등의 원활한 테이프 주행 혹은 원활한 광디스크의 회전조작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요동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테이프 카셋트나 광디스크등의 기록 매체를 갖추고, 이 기록 매체를 장치 본체 밖의 착탈이 가능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간에 이르러 이송조작하는 기록매체 이송수단을 상기 장치 본체의 내외에 이르러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장치 본체내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에 소정의 기록 매체 장치 위에서 이송되어 이 장치 위치에 최소한 장착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 혹은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이동되고,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착위에서 최소한 장착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이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장치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 지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작용]
본 고안에 따른 기록 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셋트 혹은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장치 본체내에 이동되어,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착위치에 최소한 장착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 및 장치 본체의 각가 설치한 예컨대 결합체와 피결합체로 이루어진 위치 결정 지지수단이 상호 결합하여 위치 결정 지지가 행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르는 기록 재생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허브를 맞대어 결합하여서 되는 카셋트 본체내에 자기테이프를 감은 1쌍의 테이프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받쳐줌과 함께 상기 카셋트 본체내의 저면부에 형성된 상기 테이프 릴에 결합하는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을 개폐 조작하는 습동판과 상기 카셋트 본체의 전면측으로 인출된 자기테이프를 보호하는 전면 덮개를 구비한 PCM(펄스 코드 변조)오디오용의 테이프 카셋트를 기록 매체로 사용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인 PCM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PCM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테이프 레코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의 전면측에 인출구(2)를 설치하고, 이 인출구(2)를 거쳐서 상기 케이스(1)의 내외, 즉 테이프카셋트 끼움과 빼냄이 가능한 위치와 테이프 카셋트 인입 위치 사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반송체(3)및 이 반송체(3)에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카셋트 홀더(4)및 상기 반송체(3)에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5)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인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를 상기 테이프 레코더 본체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 장치는, 상술하는 바와같이 반송체(3)와, 이 반송체(3)에 상하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카셋트 홀더(4)와, 상기 홀더 프레임(5)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반송체(3)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1쌍의 측판(7), (8)과, 이들 측판(7), (8)의 앞단측의 하면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전판(9)과, 상기 측판(7), (8)의 후방측 중도부의 상면측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면판(10)으로되며, 전체로서 장방형의 프레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1쌍의 측판(7), (8)의 후방측의 외측면에는, 케이스(1)내에 배치되는 각종의 구동기구등의 기구부가 내장되는 샤시기판(11)위에 설치되는 1쌍의 가이드축(12), (13)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가이드 블록(14), (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1쌍의 가이드축(12), (13)내, 제1도의 오른쪽으로 위치하는 것이 상기 카셋트 이송장치(6)의 설치위치의 기준으로 되어, 이 가이드축(13)에 지지되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5)은, 고정도로 위치하게된 관통구멍(15a)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축(1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가이드축(12)에 대한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4)의 지지는 설치정도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결합요부(14a)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상기 반송체(3)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4), (15)을 상기 가이드축(12), (13)에 끼워 지지시킴으로서 케이스(1)의 내외에 이르러 습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4), (15)을 통해 가이드축(12), (13)에 설치되는 반송체(3)는, 샤시 기판(11)에 설치된 로딩용 모터(16)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기구(17)를 통해 케이스(1)의 내외에 미쳐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 주행기구(17)는, 샤시기판(11)의 한편쪽의 후단에 지지한 이송기어(18)에 일체로 설치한 풀리(pulley(18a))와 앞단축에 지지시킨 와이어 풀리(19)의 단부를 인장스프링(20)을 통해 반송체(3)에 설치한 와이어 고정편(21)에 고저시켜서 상기 반송체(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로딩용 모터(16)와 주행기구(17) 사이는 상기 이송기어(18)에 맞물리는 중간기어(22)와 상기 로딩용 모터(16)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풀리사이에 연결벨트(2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반송체(3)는, 상기 로딩용 모터(16)가 구동되므로서, 가이드 블럭(17), (18)이 상기 가이드축(12), (13)을 지지하는 전방측의 가이드축 지지편(24), (24)에 맞닿아 습동위치가 규제되는 케이스(1)에서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기 가이드 블럭(17), (18)이 상기 가이드축(12), (13)을 지지하는 후방측의 가이드축 지지편(25)(25)에 맞닿아서 습동위치가 규제되는 케이스(1)내의 인입위치 사이에 걸쳐서 이송조작된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로딩용 모터(16)에 으해 이송조작되는 반송체(3)에는 상술하는 바와같이 구성되는 테이프 카셋트(C)를 유지하여, 이 테이프 카셋트(C)의 케이스(1)의 내외로의 이송을 가능케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테이프 카셋트 C를 케이스(1)내에 설치한 카셋트 장착위치에 장착 가능케하는 하강위치 사이에 걸쳐 상기 반송체(3)의 이송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케하는 하강위치 사이에 걸쳐 상기 반송체(3)의 이송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케하여 카셋트 홀더(4)가 설치된다. 이 카셋트 홀더(4)는, 테이프 카셋트(C)가 재위치되는 재위치판(26)의 양측에 입상벽(27), (28)을 입상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위치판(26)에는 테이프 카셋트(C)의 테이프 릴에 결합시키는 테이프 레코더측에 설치되는 릴축이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29), (29)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재위치판(26)의 후단원의 양쪽에는 약간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테이프 카셋트(C)의 습동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한 돌출편에 맞닿아서 상기 습동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1쌍의 습동판 결합편(30), (30)이 입상 형성되어 있다. 또다시, 재위치판(26)의 후단 가장자리중의 습동판 결합편(30), (30)에서 각각 입상벽(27), (28)측으로 기운위치에서, 테이프 카셋트(C)의 습동판을 결합하는 카셋트 본체에 설치한 고정편을 가압조작하는 돌출부(31), (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카셋트 홀더(4)는, 연결판(32)의 양단에 이 연결판(32)에 대해 직교하여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1쌍의 회전암(33), (34)을 연결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거의 H형으로 형성되는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를 통해 상기 반송체(3)에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는, 상기 반송체(3)의 한족의 측판(7)에 돌출한 상기 카셋트 홀더 지지 블록(35)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판(39)에 낀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의해 상기 반송체(3)의 상방측인 상승 위치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한단을 상기 측판(7)에 고정시키고, 다른 단을 상기 카셋트 홀더지지부재(35)의 일부에 고정시켜서 이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를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래서,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의한 회전부가 위치는, 연결판(32)이 반송체(3)의 상면판(10)에 맞닿음으로서 규제된다. 또한, 상기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의 한쪽 회전암(32)의 후단부에는 이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를 회동조작하는 후술하는 카셋트 홀더 회동 조작 부재가 작용하는 거의 L자형의 회전 조작 레버(41)가 기단측의 절곡부를 상기 회전암(32)에 세운 지축에 지지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조작레버(41)는 상기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의 가아부가 되는 가압판(42)을 돌출 설치한 일단측을 한쪽의 회전암(32)의 후단측 상부에 절곡형성한 결합부(43)에 결합시켜, 상기 회전암(32)과 타단부간에 팽팽하게 설치된 리미터 스프링(43)으로부터 상기 결합부(32a)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암(32)에 일체화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를 통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카셋트 홀더(4)를 지지시킨 반송체(3)의 전판(9)위에는, 이 전판(9) 부분을 덮도록 하여 상기 반송체(3)에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5)에서 카셋트 홀더(4)위에 미치는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 위치에 삽입되는 테이프 카셋트(C)를 상기 반송체(3)의 케이스(1)내로 이송함과 함께, 상기 카셋트 홀더(4)의 재위치판(26)위에 상대 이동시키는 카셋트 삽입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카셋트 삽입기구(44)는 상기 테이프 카셋트가 장착위치에 삽입된 테이프 카셋트(C)를 테이프 카셋트(C)에 설치한 습동판의 돌출편이 습동판 결합편(30), (30)에 결합시키는 위치로까지 끼워넣어 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판(9)위의 거의 중앙부에 평행하게 세워진 지축(45), (46)에 각각 지지 상태로 된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는, 거의 중심부에 상기 한쪽의 지축(45)으로의 지축부(49)를 설치해, 이 지축부(49)를 중심으로 하여 일단축에 카셋트 가입핀(50)을 세워 타단측에 상기 샤시 기판(11)의 앞단측 한쪽에 설치한 맞닿은 편(51)에 서로 맞닿아서 회전조작되는 회전 조작편(52)을 연장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8)는, 기단부에 상기 다른쪽의 지축(46)으로의 지축부(53)를 설치하며 선단측에 카셋트 가압핀(54)을 세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의 지축부(49), (43)의 외주위에는, 상기 지축(45), (46)에 지지시켰을 때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55), (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는 각 카셋트 가압핀(50), (54)을 상기 전판(9)의 양측에 각각 위치시켜, 서로 기어부(55), (56)를 맞물리게 하여 지축부(49), (53)를 지축(45), (46)에 지지시켜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설치된다. 또한, 제1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가 상기 전판(9)에 일단을 결합시킨 삽입 레버 복귀스프링(57)에 의해 회전되므로서, 기어부(55), (56)를 맞물리게 연결한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는 각 카셋트 가압핀(50), (54)가 반송체(3)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반송체(3)에는, 전판(9)부분을 보호하도록 홀더 프레임(5)이 설치된다. 이 홀더 프레임(5)는 케이스(1)에 형성한 인출구(2)와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된 전면 프레임부(60)와 이 전면 프레임부(60)의 양측부에 직교하도록 측면 프레임부(61), (61)가 설치되어, 이들 측면 프레임부(61), (61)에 따르는 부분에는,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의 카셋트 가압핀(50), (54)이 돌출하여, 이들 카셋트 가압핀(50), (54)이 회전하는 원호형의 구멍(62), (62)을 설치한 밑판(63), (63)이 설치되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홀더 프레임(5)은, 전면 프레임부(60)을 반송체(3)의 전판(9)부분에 결합시켜, 측면 프레임부(61), (61)를 반송체(3)의 각 측판(7), (8)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밑판(63), (63)부분과 카셋트 홀더(4)의 앞단측 부분을 갖는 테이프 카셋트(C)의 장착부(65)를 구성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와 샤시 기판(11)사이에는, 상기 반송체(3)가 케이스(1)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반송체(3)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를 위치결정 및 지지하는 위치결정 지지기구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지지기구는, 샤시기판(11)의 상기 맞닿은 편(51)의 설치측에 대해 거의 대칭인 위치의 다른쪽으로 설치한 위치 결정 결합 받침(59)과 상기 반송체(3)를 구성하는 전판(9)의 후단측의 한쪽에 설치된 상기 결합받침(59)에 결합하는 결합블럭(67)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결정 결합 받침(59)은, 상기 결합 블록(67)이 결합된 장방형의 위치결정 결합구멍(68)을 설치한 블럭 본체(7)의 한쪽에서 굴곡시킨 고정편(71)의 1측면에 돌출한 1쌍의 위치 결정 돌기(72), (72)를 샤시기판(11)의 전면 프레임(11a)에 설치한 결합구멍(73), (73)에 결합시켜 설치위치의 결정을 도모함과 함게 비스(74)등에 의해 상기 샤시 기판(1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블럭(67)은, 두꺼운 판상체로서 형성되고, 앞단축을 상기 전판(9)의 내측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시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위치 결정 결합 받침(59)과 같이 하면측에 돌출한 1쌍의 위치결정 돌기를 상기 전판(9)에 설치한 결합구멍에 결합시켜 설치위치의 위치결정을 도모함과 함께, 비스(75)등에 의해 상기 전판(9)에 고정시켜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반송체(3)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스(31)내에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결합블럭(67)이 위치 결정 결합받침(59)에 결합되므로서, 상기 테이프 카셋트 이송체(6)는 인입위치에서 상기 샤시 기판(11)에 대해 위치 결정 및 지지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결합체(59)의 위치 결정 결합구멍(68)의 상면(68a)및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축(13)축 (제2도의 오른쪽)의 1측면(68b)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의 위치 결정 규제면으로 되어 있다. 즉, 반송체(3)는, 1쌍의 슬라이드 가이드축(42), (43)중 상기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축(13)을 설치 위치의 기준으로 하도록 설치가 되어 있으므로, 이동조작시에 상기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축(43)측으로 부하를 받으므로서, 상기 반송체(3)에 지지되어 있는 카셋트 홀더(4)는 상술한 바와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상승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 힘에 의해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의 샤시 기판(11)에 대해 상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결합블럭(67)이 위치 결정 결합 받침(59)에 결합되었을 대, 제5a도 및 5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위치 결정 결합구멍(68)의 상면(68a)및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3)측의 한 측면(68b)에서 상기 결합 블럭(67)을 받으므로서 테이프 카셋트 이송 장치(6)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관계에서, 상기 위치 결정 결합받침(59)은, 위치 결정 결합구멍(68)의 상면(68a)및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3)측의 일측면(68b)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도모하여 샤시 기판(11)에 설치하면 되고, 또다시 위치결정 결합 받침(59)은 상기 위치 결정 결합 구멍(68)의 상면(68a)및 한쪽의 슬라이드 가이드 블럭(13)측의 일측면(68b)을 갖는것만으로, 예를 들면 위치결정 결합 구멍을 갖지 않는 L자형의 부재로 충분하며, 또한 상기 위치 결정결합 구멍(68)은 상기 결합 받침(59)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또다시, 반송체(3)를 구성하는 상면판(10)위에는, 반송체(3)가 케이스(1)의 내측으로 인입된 위치에서 케이스(1)외측으로 인출되어 갈때, 테이프 카셋트(C)의 카셋트 본체를 가압조작하여 상기 테이프 카셋트(C)를 상술의 장착위치로 이동조작하는 카셋트 본체 배출 레버(78)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버 지지핀(79)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카셋트 본체 배출 레버(78)는, 일단에 카셋트 가압핀(80)이 수하하도록 세워져 이 레버(78)의 타단과 반송체(3)의 한쪽의 측판(7)사이에 길게 설치된 인장 스프링(81)에 의해 일단이 카셋트 가압핀(80)이 카셋트 홀더(4)의 외측으로 빠져나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반송체(3)가 케이스(1)내의 인입된 위치에서 케이스(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져 가는 과정에서, 타단의 맞닿는 핀(83)이 상기 샤시 기판(11)위에 설치되는 회전조작 블럭(84)의 경사 가이드면(85)을 다라 습동되며, 상기 카셋트 본체 배출레버(78)는 상기 인장 스프링(81)에 대항하여 회전되므로서 일단의 카셋트 가압핀(80)이 카셋트 홀더(4)내로 돌출하여, 이 카셋트 홀더(4)위에 유지되어 있는 테이프 카셋트(C)를 일시적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카셋트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샤시 기판(11)측에는, 상기 카셋트 이송장치에 의해 케이스(1)내의 인입위치로 인입되어 카셋트 홀더(4)위에 유지된 테이프 카셋트(C)의 카셋트 본체를 습동판으로 상대 이동시켜,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을 개방 조작함과 함께 상기 끼움 구멍이 개방된 테이프 카세트(C)를 케이스(1)내의 테이프 카셋트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는 카셋트 인입 및 장착조작 기구가 설치된다.
이 카셋트 인입 및 장착 조작기구는, 구동 모터(90)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한 주면에 거의 나선형으로 형성된 캠홈(91)을 설치한 캠기어(92)와, 이 캠기어(9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은 지름의 기어부(93)의 한측면에 형성한 래크 기어(94)와 맞물리고 상기 캠기어(92)의 회전구동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판형의 슬라이더 부재(95)와, 상기 캠기어(92)의 회전구동에 의해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 부재(95)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반송체(3)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되고 카셋트 홀더(4) 위의 테이프 카셋트(C)의 카셋트 본체에 결합하는 카셋트 인입 부재인 카셋트 인입 레버(96)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95)의 이동 동작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반송체(3)가 인입 위치에 이르렀을 때 이 반송체(3)에 설치된 고정부분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반송체(3)를 인입위치로 고정시키고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부재인 고정 레버(97)와, 상기 반송체(3)가 인입위치에 이르러 테이프 카셋트(C)의 릴축 끼움용의 끼움구멍이 개방된 후, 상기 슬라이더 부재(95)의 이동 동작에 의해 회전조작되어서 카셋트 홀더(4)를 테이프 카셋트 장착 위치측에 하강조작하는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98)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카셋트 인입레버(96)는, 끝이 가늘은 상태로 앞단측에 상기 카셋트 홀더(4)위에 유지된 테이프 카셋트(C)의 카셋트 본체의 배면측 코너부에 결합하는 카셋트 결합편(99)을 설치해 ; 기단측 한쪽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더 부재(96)상부에 위치시킨 작용편(100)을 설치하여 형성되고, 샤시 기판(11)의 하측에 상기 반송체(3)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입 슬라이더판(101)의 앞단 양측에 입상 형성시킨 입상 지지편(102), (103)간에 걸쳐 설치한 회전축(104)에 기단측 양측에 굴곡하듯이 형성한 지지편(105), (106)을 지지시켜 설치된다. 즉, 카셋트 인입레버(96)는, 앞단의 카셋트 결합편(99)측을 인입위치에 이른 상기 카셋트 홀더(4) 위에 연재시켜 상기 회전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체(3)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카셋트 인입레버(96)는, 이 카셋트 인입 레버(96)와 상기 인입 슬라이더판(101)간에 연재되는 부가수단인 회전부가 스프링(109)에 의해 앞단의 카셋트 결합편(99)이 상기 카셋트 홀더(4)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부가된다.
그런데, 상기 카셋트 인입 레버(96)의 작용편(100)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반송체(3)가 케이스(1)의 외측으로 인출된 인출위치에서 케이스(1)내의 테이프 카셋트 인입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은, 슬라이더 부재(95)의 앞단측의 한쪽에 형성한 경사 캠면(110)의 하단부에 맞닿아 위치시킨 상태가 유지되므로서 앞단의 카셋트 결합편(99)이 카셋트 홀더(4)에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카셋트 인입 레버(96)를 지지한 인입 슬라이더판(101)에는, 거의 자형으로 절곡형성한 기단부를 샤시기판(11)위에 세운 지축(115)에 지지상태로 지지시켜, 상기 캠기어(92)의 캠홈(91)의 중도부에 세운 핀형의 캠 플로워(116)를 결합시킨 상기 지축(115)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캠레버(117)의 앞단에 세운 결합핀(118)이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핀(118)은, 샤시 기판(11)에 설치한 원호형의 관통 구멍(119)을 통해 상기 샤시 기판(11)의 하면측에 돌출 설치하여 상기 인입 슬라이더 판(11)에 설치한 사각형의 결합 구멍(12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레버(117)는, 이 캠레버(117)의 앞단과 고정레버(97)의 중간에 설치된 캠레버 부가 스프링(121)에 의해 회전되어 캠플로워(116)를 캠홈(91)의 내주측 측면에 가압접촉시키고 있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캠레버(117)를 통해 캠기어(92)에 연결된 인입 슬라이더판(101)은, 상기 캠기어(92)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캠 인입레버(96)와 함께 이동조작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캠레버(117)를 회전시키는 캠레버 부가스프링(12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레버(97)는, 선단측의 고정편(97a)을 반송체(3)의 한쪽의 측판(7)쪽을 향해, 중도부에 절곡형성한 거의 자형의 지지부(122)를 샤시 기판(11)위에 세운 지축(123)에 지지시켜, 기판측에 돌출설치한 결합핀(124)을 슬라이더 부재(9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일단에 경사홈부를 갖는 고정레버 회동 조작홈(125)에 결합시켜 설치된다. 그래서, 슬라이더 부재(95)가 이동 동작하여 고정 레버 회전 조작홈(125)내를 결합핀(124)이 습동됨으로써 상기 고정 레버(97)는 캠 레버 부가 스프링(121)의 부가력에 대항하여 선단의 고정편(97a)이 반송체(3)의 한쪽의 측판(7)쪽으로 향하도록 회전된다.
또다시, 카셋트 홀더(4)를 하강조작하는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98)는, 슬라이더 부재(95)의 래크 기어(94)를 설치한 측과 대향하는 다른쪽으로 돌출 설치한 회전 조작부재 가압편(126)에 대향시켜서 샤시기판(11)에서 세워진 수직 지지편(127)을 통해 설치된다. 즉, 상기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98)는, 카셋트 홀더(4)에 설치한 회전 조작레버(41)의 가압핀(42)에 맞닿는 선단에 설치한 가압핀 맞닿는 부분(128)을 하향으로 해서, 샤시 기판(11)에서 세워진 수직 지지편(127)의 한쪽면에 이 수직 지지편(127)에 직교하도록 세워진 지축(130)의 기단부에 절곡형성한 자형의 지축부(131)를 지지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95)의 이동방향에 직교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어진다. 그래서 이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98)는, 샤시 기판(11)측으로 일단을 결합시킨 인장 스프링(132)이 고정되고 앞단의 가압핀 및 닿는 부분(128)이 카셋트 홀더(4)의 회전 조작레버(4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샤시 기판(11) 축으로 회동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이 테이프 레코더내의 소정의 테이프 카셋트 장착위치에 테이프 카셋트(C)를 장착하려면, 먼저 로딩용 모터(16)를 역전 구동시켜서 카셋트 홀더(4) 및 반송체(3)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를 테이프 카셋트(C)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1) 외측의 인출위치로 인출한 상태로 하고, 테이프 카셋트(C)를 장착부내에 삽입한다. 여기에서 로딩용 모터(16)를 정전 구동시켜서 반송체(3)를 케이스(1) 내측으로 인입해 가면, 카셋트 삽입기구(44)를 구성하는 제1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의 회전 조작편(52)의 샤시 기판(11)의 맞닿는 조각(51)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또다시 반송체(3)가 케이스(1) 내측으로 인입되어 가면, 상기 제1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의 회전 조작편(52)이 맞닿는 조각(51)에 가압조작되므로서, 제1및 제2의 카셋트 끼워넣기 레버(47), (48)는 지축(45), (46)을 중심으로 하여 끼워넣기 레버의 복귀스프링(57)의 힘에 대항하여 회동되어, 카셋트 가압핀(50)및 (54)의 힘에 대항하여 회동되어, 카셋트 가압핀(50)및 (54)이 홀더 프레임(5)의 밑판(63), (63)에 설치된 구멍(62), (62)에 돌출되면서 테이프 카셋트(C)의 배면측을 가압하여, 이 테이프 카셋트(C)를 카셋트 홀더(4)의 위치 지지판(26) 위에 이동조작되게 한다. 그래서, 반송체(3)가 케이스(1)내의 인입위치에 이르면, 카셋트 홀더(4))의 위치 지지판(26)에 설치한 상기 돌출부(31)에 의해 테이프 카셋트(C)의 습동판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탄성적으로 카셋트 본체내에 밀려 올려지게 되어 상기 습동판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 습동판과 카셋트 본체의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됨과 동시에, 습동판-결합핀(30), (30)에 상기 습동판을 맞대어 이 습동판을 결합시킨 상태로 한다.
그런데, 상기 반송체(3)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셋트 이송장치(6)가 케이스(1)내의 인입위치에 이르면, 반송체(3)에 설치한 결합 블럭(67)이 샤시기판(11)측의 위치 결정 결합받침(59)에 결합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테이프 카셋트 이송체(6)는 인입위치에서 상기 샤시 기판(11)에 대해 위치결정 및 지지된다.
그래서, 반송체(33)가 케이스(31) 내측의 인입 위치에 이르면, 예컨대 샤시 기판(11)위에 설치되는 인입 위치 검출 스위치에서 상기 반송체(3))의 인입이 검출됨과 동시에 로딩용 모터(16)의 회전구동이 정지되고, 계속해서 구동모터(90)의 회전구동이 개시된다. 이 구동모터(90)가 회전구동을 개시하면, 캠기어(92)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기어(92)가 회전구동 개시되면, 카셋트 인입 레버(96)는, 카셋트 홀더(4)위의 테이프 카셋트(C)측으로 향해서 이동 동작을 개시한다. 슬라이더 부재(95)가 이동동작을 개시하면, 카셋트 인입 레버(96)의 작용편(100)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95)의 경사 캠면(110)을 기어올라가 회전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앞단의 카셋트 결합편(99)이 카셋트 홀더(4)상의 테이프 카셋트(C)측으로 회동하여 카셋트 본체의 배면측 코너부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또다시 캠기어(92)가 회전되면, 캠레버(117)의 캠플로워(116)가 캠홈(91)의 외주 단측에서 캠기어(92)의 중심측을 향해서 이동되고, 인입 슬라이더 판(101)이 케이스(1)의 내측으로 인입조작되므로서 이 인입 슬라이더판(101)과 일체의 카셋트 인입레버(96)가 케이스(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테이프 카셋트(C)의 카셋트 본체가 습동판 결합편(30), (30)에 결합된 상태에 있는 습동판에 대해 상대이동된다. 그 결과, 카셋트 본체의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또한, 슬라이더 부개(95)가 이동조작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버(97)가 회전되고, 이 고정 레버(97)의 앞단의 고정편(97a)이 반송체(3)의 피고정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반송체(3)를 상술한 인입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은 상기 반송체(3)의 케이스(1)의 외측으로의 인출을 저지한다.
상술하는 바와같이 테이프 카셋트(C)의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이 개방된 상태에서 또다시 캠기어(92)는 회전 구동되어, 캠플로워(116)가 캠홈(91)내를 또 다시 이동하므로서 캠레버(117)를 약간 반전 회전시켜서 상기 카셋트 인입 레버(96)를 테이프 카셋트(C)에서 약간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셋트 결합편(99)의 테이프 카셋트(C)에 대한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같이 카셋트 결합편(99)의 테이프 카셋트(C)에 대한 결합이 해제될때까지, 캠기어(92)가 회전되면 슬라이더 부재(95)는 회전조작부재 가압편(126)에서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부재(98)를 가압하는 위치에 이른다.
그래서, 또 다시 슬라이더 부재(95)가 이동 동작하므로서, 상기 캠홀더 회전 조작부재(98)는 상기 회전 조작부재 가압편(126)에 의해 가압되며, 인장 스프링(132)의 부가력에 대항하여 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와같이 캠홀더 회전 조작부재(98)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카셋트 홀더 지지부재(35)가 회전되어 카셋트 홀더(4)가 케이스(1)내의 테이프 카셋트 장착 위치측으로 하강되고, 상기 카셋트 홀더(4)에 유지된 테이프 카셋트(C)는, 상기 테이프 카셋트 장착 위치측으로 설치한 위치 결정핀에 저면측의 위치 결정 구멍을 결합시킴과 함께 테이프 릴에 릴축 끼움용의 끼움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릴축을 결합시켜서 장착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C)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때까지 카셋트 홀더(4)를 강하시키도록 카셋트 홀더 회전 조작 부재(98)가 회전되며 슬라이더 부재(95)가 종단 위치까지 이동되며, 슬라이더 부재(95)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검출 스위치가 조작되어서, 구동모터(90)는 회전 구동이 정지되어서 테이프 카셋트 장착 조작을 완료한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 장착위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셋트(C)의 배출은, 상기 테이프 카셋트 장착 조작의 역동작으로서 행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지만, 반송체(3)가 케이스(3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위치 결정 결합받침(59)과 결합 블럭(67)의 결합이 해제됨과 함께 카셋트 본체 배출레버(78)가 인장 스프링(81)에 의해 회전되어서 카셋트 가압핀(80)이 카셋트 홀더(4)내로 돌출하여 카셋트 본체를 가압하여 테이프 카셋트(C)를 일시적 장착부(65)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테이프 카셋트(C)의 교체를 가능케 한다.
상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카셋트 본체내에 자기테이프를 감은 1쌍의 테이프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카셋트 본체내의 저면부에 형성된 상기 테이프 릴에 결합하는 릴축 끼움용의 끼움 구멍을 개폐 조작하는 습동판과 상기 카셋트 본체의 전면측으로 인출된 자기테이프를 보호하는 전면 덮개를 구비한 PCM(펄스 코드 변조) 오디오용의 테이프 카셋트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인 PCM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장치 본체의 수평방향의 내외에 걸쳐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기록 매체 이송수단에 의해 테이프 카셋트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를 이송 조작하여, 이 기록 매체를 장치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착위치에 장착하도록 한, 말하자면 트레이 방식의 기록매체 이송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 광학 디스크등의 재생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하므로서, 상기 트레이 방식의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장치 본체에 대한 위치결정 및 지지를 행할 수가 있다.
즉, 상술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기록 매체 이송 수단측에 결합블럭등의 결합체를 설치하여 샤시 기판등의 장치 본체측에 위치결정 결합 받침등의 피결합 받침을 설치하므로써 실시예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위치결정 및 지지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테이프 카셋트 혹은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유지하여 이송하는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장치 본체내에 이동되어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내의 기록 매체 장착위치에 최소한 장착 가능상태로 되면,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 및 장치 본체의 각각 설치한 예컨대 결합체와 피결합체로 되는 위치 결정 및 지지수단이 상호 결합하여 위치결정지지가 행해지므로,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는 각종의 구동기구가 구동되어, 이들 구동기구의 반발력을 받아도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요동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장치 본체내의 인입위치에 이른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을 상기 인입위치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 유지하여, 장치 본체내의 상기 구동 기구가 구동되므로서 생기는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요동을 방지하므로서,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인입위치에 있을때 장치 본체의 인출구와의 사이에 틈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 이송수단의 원활한 이동조작을 유지하고, 또 다시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나 광 디스크등의 원활한 테이프 주행 혹은 원활한 광 디스크의 회전조작이 보장된다.

Claims (1)

  1. 인출구(2)를 갖춘 장치 본체(1)와 ;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록매체를 갖추며,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끼움과 빼냄이 가능한 위치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내의 인입하는 인입 위치간에서 이송 조작하는 기록 매체 이송수단(3)및 ; 상기 기록 매체 이송수단이 상기 인입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을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 지지하는 수단(67, 59)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 결정 지지 수단은 기록 매체 이송 수단의 아랫면측 및 상기 장치 본체내의 상기 인출구 근방에 각각 설치된 상호 결합하는 결합체(67)및 피결합체(5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KR2019960035040U 1986-06-30 1996-10-23 기록 재생 장치 KR9700025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53592A JPH0831234B2 (ja) 1986-06-30 1986-06-30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86-153592 1986-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580Y1 true KR970002580Y1 (ko) 1997-03-26

Family

ID=155658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614A KR880000942A (ko) 1986-06-30 1987-06-29 기록 재생장치
KR2019960035040U KR970002580Y1 (ko) 1986-06-30 1996-10-23 기록 재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614A KR880000942A (ko) 1986-06-30 1987-06-29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31234B2 (ko)
KR (2) KR880000942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5216A (ko) * 1974-05-13 1975-11-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1234B2 (ja) 1996-03-27
KR880000942A (ko) 1988-03-30
JPS639056A (ja) 198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996A (en) Drive unit for optical memory device having a first housing enveloping a second housing
US20020093899A1 (en) Disk device
KR850001456B1 (ko) 오토 로우딩(auto-loading)장치
US5315462A (en) Cartridge loading device having side-locking mechanism
US5880907A (en) Disk device with improved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US6799322B2 (en) Disk loading device
US5706147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tape recorder
KR970002580Y1 (ko) 기록 재생 장치
KR0176551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H11162055A (ja) カセットチェンジャー
KR100265194B1 (ko) 카세트 착탈장치
JPH1040622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427919B1 (ko) 대소두종류의카세트용자기기록재생장치
JPH064953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6000541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0171396B1 (ko)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KR20018571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셋트 홀더 지지장치
JPH0351799Y2 (ko)
JPH0515150U (ja) 記録担体に形成した情報の再生装置
JPS6330048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320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삽입 안전장치
JPH0427033Y2 (ko)
JPH04330657A (ja) 光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H0426824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
JPS6330048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0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