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96B1 -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 Google Patents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96B1
KR0171396B1 KR1019890001908A KR890001908A KR0171396B1 KR 0171396 B1 KR0171396 B1 KR 0171396B1 KR 1019890001908 A KR1019890001908 A KR 1019890001908A KR 890001908 A KR890001908 A KR 890001908A KR 0171396 B1 KR0171396 B1 KR 017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arm
gear
reference numer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630A (ko
Inventor
가즈아끼 가와사끼
요시노리 야마모또
다쯔야 모또따께
다쯔유끼 오또
겐지 가와까미
유지 스도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9001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 기구
제1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의 사시도.
제2도는 전체의 평면도.
제3도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다른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는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7도는 프레임의 측면도.
제8도는 회전 아암의 사시도.
제9도는 캠 기어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캠 기어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캠 기어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제12도 내지 제16도는 카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2도는 사시도.
제13도는 카세트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
제14도는 저면도.
제15도는 분해 사시도.
제16도는 작동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5 : 자기 테이프
10 : 셔터 41 : 카세트 로딩 장치
42 : 샤시 51 : 활주 이동체
57 : 카세트 적재판 61 : 셔터 누름 부재
93 : 프레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신규한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내리누르기 위한 카세트 누름부를 카세트 적재판에 지지시키지 않고 카세트 누름부와 카세트 적재판 사이에 연장 설치된 카세트 누름 스프링을 거쳐서 카세트 적재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서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누르기 위한 압착력을 무리 없이 얻도록 한 신규한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 기구는 선단에 카세트 누름 부재를 구비한 아암편을 갖는 누름부와, 카세트 적재판을 지지한 지지 아암을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카세트 누름부재에 압력을 부여하는 카세트 누름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카세트 누름 스프링이 신장함으로써 카세트 누름부재에 카세트를 누르는 탄성력이 얻어지며 또, 카세트 적재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힘이 지지 아암에 카세트 누름부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카세트 누름부를 카세트 적재판에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서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누르기 위한 압착력을 무리 없이 얻도록 한 것이다.
[종래기술]
카세트 케이스 내에 기록매체 테이프,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를 수납함과 더불어 카세트 케이스 밖에 노출된 자기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부재가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할 때에는 자기 테이프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덮개 부재를 샤시측에 설치된 덮개 개방부재에 의해서 개방 위치로 간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에는 비사용시에 이것을 폐쇄 위치에 간직해 두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덮개 부재를 샤시측에 설치된 덮개 개방부재에 의해서 개방 위치에 간직한 상태에선 샤시측과 테이프 카세트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카세트 케이스를 카세트 적재판으로부터 부상시키도록 한다.
그 때문에, 카세트 케이스를 카세트 적재판에 눌러두기에 충분한 힘으로 테이프 카세트를 눌러둘 필요가 있다.
또,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DAT」라 칭함)용의 테이프 카세트와 같이, 릴 구동축과 결합축부를 삽입관통하기 위해서 카세트 케이스의 하부판에 형성된 삽입관통 구멍을 비사용시에 폐쇄하여 두는 셔터가 설치된 테이트 카세트를 사용하는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카세트 적재판 상에 설치된 셔터의 로크 해제용 셔터 누름 부재가 셔터의 로크를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카세트 케이스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소정의 압착력으로 눌러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적재판 상에는 카세트 누름부나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카세트 적재판과 카세트 누름부 사이에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상으로 압착하기 위한 누름력을 카세트 누름부의 카세트 누름부재에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런데,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적재판은 테이프 레코더 전체 크기에 비교해서 매우 작은 부분이다. 특히, DAT의 테이프 카세트는 매우 작으며, 따라서 그 카세트 적재판도 매우 작다.
상기와 같이 작은 부재인 카세트 적재판에 카세트 누름부를 지지하고, 이것에 탄성부재를 관련시켜 소정의 압착력을 얻기 위해선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작은 부재인 카세트 적재판에 카세트 누름부나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것 자체가 공간상의 이유로 무리이며 또한, 카세트 누름부의 카세트 적재판으로의 지점과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의 카세트 누름부로의 작용점 사이를 충분히 취할 수 없으므로 소정의 압착력을 얻기 위해선 높은 스프링 상수의 스프링을 사용해야 되며, 좁은 공간으로 인한 조립 작업성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스프링 상수의 스프링을 조립해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에서의 카세트 상하 기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카세트 적재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가능한 지지아암과, 아암편을 갖춘 그 아암편의 선단에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누르는 카세트 누름부재를 갖는 카세트 누름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양자의 사이에 카세트 누름 스프링을 연장 설치하고 구동구에 의한 카세트 누름부의 회전이 카세트 누름스프링을 거쳐서 지지 아암에 전달되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카세트 누름 스프링이 신장됨으로서 카세트 누름부재를 카세트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탄성력이 생기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에 의하면,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에 대하여 누르기 위한 카세트 누름부를 카세트 적재판에 지지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적인 여유가 생기며,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누르기 위한 압착력을 무리 없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 상하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DAT의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카세트 로딩 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로딩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6도에서, 부호 1은 DAT 용의 테이프 카세트이다. 부호 2는 카세트 케이스이고, 합성수지로서 형성된 상부 하프(half; 3)와 하부하프(4)를 나사 등으로써 결합하여 구성된다.
카세트 케이스(2)내에는 자기테이프(5)를 감는 1쌍의 릴허브(reel hub; 6,7)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부호 8은 상부하프(3)에 설치된 투명한 유리 창판이고, 이것을 통하여 릴허브(6,7)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호 9는 카세트 케이스(2)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전면 덮개이고, 카세트 케이스(2)의 전단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 덮개(9)에는 이를 항상 개폐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도시않은 탄성 부재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10은 카세트 케이스(2)의 저면부에서 활주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셔터이고, 카세트 케이스(2)의 저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셔터(10)는 밑판부(11)와, 이 밑판부(1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세워진 배면이 낮은 측판부(12)가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13은 셔터(10) 측판부(12)의 상부 가장 자리부 내면에 설치된 안내 돌기부이고, 이 안내 돌기부(13)가 카세트 케이스(2)의 좌우 양측 면의 하부하프(4)와 상부하프(3)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안내홈(14)에 활주 이동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셔터(10)는 카세트 케이스(2)에 전후 방향으로 활주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부호 15는 셔터(10)의 전단 가장자리에 좌우로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셔터 누름 부재이다.
부호 16은 카세트 케이스(2)의 전면 개구를 따라 길게 설치된 자기테이프(5)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등 삽입용 공간이고, 이 공간(16) 안쪽면(17)의 좌우방향에 있는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9는 셔터(10)의 전반 가장 자리부의 좌우 방향에 있는 거의 중앙부에 설치된 지주이고, 부호 20은 지주(19)에 근접만 위치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이다. 부호 21은 비틀림 스프링이고, 그 코일부(21a)가 상기 지주(19)에 외측으로 감싸며, 한쪽의 짧은 아암(21b)이 상기 걸어맞춤부(20)에 걸어 맞추어지며, 그리고 다른 쪽의 긴 아암(21c)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부재등 삽입용 공간(16)의 안쪽면(17)에 탄성적으로 접하며, 비틀림 스프링(21)의 탄성력이 셔터(10)를 상기 공간(16)을 닫는 방향, 즉,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또 셔터(10)의 밑판부(11)에는 2개의 삽입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셔터(10)를 후퇴시킬때 제14도에 2 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이 삽입구멍(22)이 하부하프(4)의 밑판에 형성된 삽입구멍(23)과 일치되고(이하 이 상태에 있는 셔터(10)의 위치를 「개방 위치」라 한다), DAT에 설치된 릴 구동용 걸어맞춤축이 카세트 케이스(2)내에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주(19)는 오목부(18)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0)가 카세트 케이스(2)의 공간(16)의 아래쪽을 닫은 상태가 되고, 셔터(10)의 삽입구멍(22)과 하부 하프(4)의 삽입구멍(23)은 서로 그 위치가 어긋나, 하부하프(4)의 삽입구멍(23)이 셔터(10)의 밑판부(11)에서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이하, 이 상태에 있는 셔터(10)의 위치를 「폐쇄 위치」라 한다).
셔터(10)의 밑판부(11)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밑판부(11)의 전단 가장자이에서 개방되는 얕은 홈(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얕은 홈(24)의 개방단부는 서서히 넓게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덮개(9)가 닫힌 상태에서 얕은 홈(24)의 개방단부는 전면덮개(9)의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25)와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전면덮개(9)의 하단가장자리에는 2개의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얕은 홈(24)의 전단부에는 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7)이 형성되고, 얕은 홈(24)의 후단부에는 동일한 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29는 로크부재이고, 하부하프(4)의 밑판에 U 자형 슬롯(slot; 30)을 형성함으로써 후단부가 하부하프(4)의 밑판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휘어지듯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29) 전단부의 하면에는 측면에서 보아 역삼각형을 한 걸어맞춤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부재(29)의 두께는 하부하프(4) 밑판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게 되어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으며, 더구나 로크부재(29) 전단부 위쪽의 소정 높이에 리미터(limiter; 32)를 상부하프(3)에 설치하고, 제1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29)가 필요이상으로 휘어져 꺽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0)의 닫힌 상태에서는 셔터(10)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26)에 로크부재(29) 선단의 걸어맞춤돌기(31)가 끼워지며, 셔터(10)가 개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돌기(31)는 걸어맞춤구멍(20)에서 하측으로 돌출하여 얕은 홈(24)내에 위치된다.
제2도에서, 부호 33은 후술하는 카세트 로딩 장치 등이 설치된 DAT이다. 부호 34는 DAT(33)의 외부 바스켓이고, 그 전면판(34a)에 카세트 홀더 인출용의 인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부호 36은 외부 바스켓(34)내에 배치된 하측 샤시이고, 상기 인출구(35)의 하측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부호 37은 하즉 샤시(36)의 전단부에 형성된 릴 구동축 배치용의 개구부이고, 이 개구부(37)는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38 및 39는 상기 개방부(37)의 하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릴받침 기판에 지지된 릴 구동축이고, 이들 릴 구동축(38,39)의 상단부에는 걸어맞춤축부(38a,39a)가 설치됨과 동시에, 걸어맞춤축부(38a,39a)는 상기 개방부(37)를 통하여 하측 샤시(36)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부호 40은 하측 샤시(36)의 타단부에 설치된 헤드 드럼이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하측 샤시(36)에는 테이프 주행기구, 테이프 로딩 기구 등의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하여 기록매체인 자기테이프 구동부 내지는 카세트 장착부가 구상되며, 상기의 테이프 카세트(1)가 후술하는 카세트 로딩 장치에 의하여 로딩(loading)되어 하측 샤시(36)에 해당하는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테이프 로딩 기구에 의하여 카세트 케이스(2)에서 자기테이프(5)가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 주행기구를 구성하는 각종의 테이프 가이드 부재 및 헤드 드럼(40)등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서, 부호 41은 카세트 로딩 장치이다.
제4도에서, 부호 42는 상부 샤시이고, 외부 바스켓(34)안에서 하부 샤시(36)의 약간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샤시(42)는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후방측[테이프 레코더(33)에 관하여는 그 인출구(35)가 있는 쪽을 전방측으로 하고, 테이프 카세트(1)에 관하여는 전면덮개(9)가 있는 쪽을 전방으로 설명한다]의 거의 3분의 1부분을 남기며 큰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44는 상부 샤시(42)의 우측 가장자리부의 위쪽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지지된 가이드 파이프이다.
부호 45는 상부 샤시(43)의 좌측 가장자리 중 전후방향에 있는 거의 중간의 부분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이고, 이 가이드 블록(45)은 나이론 수지와 같은 양호한 합성수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44)의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47은 상부 샤시(42)와 상면 후방부중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약간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방 지지벽이고, 이 지지벽(47)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슬릿(slit; 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슬릿(48)은 같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
부호 49는 상부 샤시(42) 개구부(43)의 좌우 개방 가장자리의 전방측 약 하프 부분에서 세워진 전방 지지벽이고, 이 지지벽(49)에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슬릿(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슬릿(50)은 같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서, 부호 51은 활주이동체이고, 위에서 보아 전후방향으로 긴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52는 활주이동체(51)의 후단부로 들어간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이고, 이 지지축(52)에 롤러(5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롤러(53)가 상술한 후방 지지벽(47)의 가이드 슬릿(48)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호 54는 활주이동체(51)의 전단부 양측에서 대략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지지편(55)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설치된 약간 길다란 지지축이고, 이들 지지축(54)의 선단부에는 롤러(5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56)가 상술한 전방 지지벽(49)의 가이드 슬릿(50)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활주이동체(51)는 상부 샤시(42)에 전후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활주이동체(51)의 전방으로의 이동 한도는 후방 좌측의 롤러(53)가 후방 좌측 지지벽(47)의 가이드 슬릿(48) 전단부에 맞닿는 것에 따라 규정되고, 활주이동체(51)의 후방으로의 이동 한도는 전방 우측의 롤러(56)가 전방 우측 지지벽(49)의 가이드 슬릿(50)의 후단부에 맞닿는 것에 따라 규정된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서, 부호 57은 카세트 적재판이다.
카세트 적재판(57)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횡으로 길다란 장방형의 판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후방으로 들어간 부분의 좌우에 간격을 두어 원형의 삽입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59는 상기 삽입구멍(58)의 바로 후측에서 삽입구멍(58)의 외측과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이고, 그 전단부(59a) 및 후단부(59b)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카세트 적재판(57)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양측면을 남기어 절결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결부(60)의 양측단에 근접한 곳의 후방 가장자리에 셔터 누름 부재(61)가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호 62는 카세트 적재판(57)의 전방 가장자리의 중앙에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안길이 3분의 1 정도의 길이에 이르는 절결홈이다. 부호 63은 카세트 적재판(57)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향하여 설치된 걸어맞춤부이고, 이들 걸어맞춤부(63)에는 걸어맞춤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65는 카세트 적재판(57)의 양측면 가장자리의 후단부에 들어간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세워진 피지지편이다.
제2도, 제3도, 제5a도 내지 제5d도 및 제6a도 내지 제6e도에서, 부호 66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Figure kpo00002
자형을 한 제1지지아암이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씩 아암편 (67,67')과 이들 아암편(67,67')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중간편(60)과 일체로 형성된다.
부호 69는 활주이동체(51)의 전단부에 설치된 지지편(55)이 그 상단부로 들어간 위치에서 내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지지축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아암(66)의 아암편(67,67')은 그 후단부로 들어간 부분이 상기 지지축(69)의 기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아암편(67,67')의 전단부는 카세트 적재판(57)의 후단부에 설치된 피지지편(65)의 상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호 70은 좌측 아암편(67)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에서 측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스프링걸이이고, 이 스프링걸이(70)와 활주이동체(51)의 좌측 가장자리의 전단부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걸이(71)와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72)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73은 제2지지아암이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횡방향의 L 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들 제2지지아암(73)의 후단부는 활주이동체(51)의 상기 지지편(55)에 설치된 하측의 지지축(54)의 기부로 들어간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방에서 아래쪽으로 굽은 부분의 하단부는 카세트 적재판(57)의 피지지편(65)의 하단부로 들어간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된 지치축(7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세트 적재판(57)은 상기와 같이 하여 제1지지아암(65) 및 제2지지아암(73)에 의한 회전에 따라 수평 자세를 지닌 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활주이동체(51)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5a도 내지 제5d도, 및 제6a도 내지 제6e도에서, 부호 75는 카세트 누름부이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아암편(76,76')과 이들 아암편(76,76')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편(77)과 일체로 형성되어 위쪽에서 보아 대략
Figure kpo00003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편(76,76')의 후단부로 들어간 부분이 상기 지지축(69)의 선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편(76,76')의 전단부에는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지지축(7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78)에 가압롤러(7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부호 80은 좌측의 아암편(76)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설치된 피작용편이고, 이 피작용편(80)의 후단에는 피작용핀(81)이 외측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호 82는 피작용편(80)의 후단부로 들어간 부분의 아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스프링걸이이고, 상기 제1지지아암(66) 중간편(68)의 좌측으로 들어간 부분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스프링걸이(83)와 상기 스프링걸이(82) 사이에 인장 스프링(8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장 스프링(54)의 인장력에 의하여 카세트 누름부(75)의 2개의 아암편(76,76')의 전단부와 제1지지아암(66)의 아암편(67,67')의 전단부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제3도 및 제5a도 내지 제5d도에서, 부호 85는 활주이동체(51)의 전방에 설치된 리미터부이다. 부호 86은 활주이동체(51)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설치된 지지판이고, 그 후단부로 들어간 부분의 대략 중앙에 사각형 구멍(87)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가장자리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아암(8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암(88)의 후단부가 하측으로 향하여 굴곡되어 스프링걸이(88a)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89는 피가압 아암이고, 나이론 수지와 같은 양호한 합성수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피가압 아암(89)의 기단부는 지지판(86)의 후방 가장자리부중 좌단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가압 아암(89)의 선단부에는 후방으로 향하여 원호상으로 돌출한 피누름부(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규제핀(91)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규제핀(91)이 지지판(86)에 형성된 상기 구멍(87)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피가압 아암(89)은 규제핀(91)이 구멍(87)의 전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와 후방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 사이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부호 92는 인장 스프링이고, 피가압 아암(89)의 선단과 지지판(86)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걸이(88a)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인장 스프링(92)의 인장력에 의하여 피가압 아암(89)의 규제핀(91)이 지지판(86)의 구멍(87)의 전방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접한 상태로 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피누름부(90)의 대부분이 위쪽에서 보아 지지판(86)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 제5a도 내지 5d도 내지 제7도에서, 부호 93은 프레임이고, 합성수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93)은 위측에서 보아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단부에는 테이프 카세트(1)를 삽입하기 위한 장방형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93)의 측벽(95,95') 중 상기 구멍(94)의 양 옆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방측 대략 3분의 1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절결부(96)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구멍(94)와 양측과 측벽(95,95')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는 보호편(9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95,95')의 하부 가장자리 중 구멍(94)의 후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한 부분에 절결부(95a,95'a)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98은 보호편(97)중 절결부(96)의 후방의 경사진 가장자리의 대략 중간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해 설치된 셔터 누름 부재이고, 그 내측 가장자리(98a)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한정하므로, 양쪽 내측 가장자리(98a) 사이의 간격은 테이프 카세트(1)의 카세트 케이스(2)의 횡폭과 대략 같게 형성되어 있다.
부호 99는 상기 구멍(94)의 뒤 가장자리의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후측판이고, 이 후측판(99)에 의하여 카세트 적재판 내에 있는 테이프 카세트(1)가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부호 100은 상기 구멍(94)의 전방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셔터 누름 부재이고, 이 셔터 누름 부재(100)에 의하여 카세트 적재판 내에 테이프 카세트(1)가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부호 101은 측벽(95,95')의 전단부로 들어간 부분의 내면에 설치된 안내편이고, 그 후단부는 상기 셔터 누름 부재(98)의 약간 전방측에 위치하고, 그 전단부는 전면벽(102)의 바로 앞에서 멈추게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공간(102a)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101)은 보호편(97)에 근접한 후단부(103)와 측벽(95,95')의 아래 가장자리에서 근접한 전단부(104)와 이들 2개의 부분을 연결하면서 전방 아래로 경사져 있는 중간부(105)로 이루어지며, 전단부(104)의 상면에는 걸어맞춤 돌기(106)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07은 프레임(93)의 후반부 하면의 우측 가장자리로 들어간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래크부(rack)이고, 그 좌측면에는 래크 톱니(108)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부호 109는 우측벽(95')의 후반부 외면의 상하 방향에서 대략 중간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지지선반이고, 이 지지선반(109)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 하는 셔터 누름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누름 부재(110)의 후단부로 들어간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걸어맞춤 절결부(111)가 형성 되어 있다.
부호 112는 나이론 수지와 같은 양호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축받이 부재이고, 상기 지지선반(109)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축받이(112)의 전후 양단에 설치된 지지편 (113)에는 축받이구멍(114)이 동축상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호 115는 좌측 측벽(95)의 외면 중 전후 방향의 중앙에서 약간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치는 부분에 설치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피안내 셔터 누름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93)은 활주이동체(51)를 덮은 상태이고, 축받이(112)의 2개의 축받이구멍(114)에 상부 샤시(42)에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44)가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또 좌측의 측벽(95)에 형성된 피안내 셔터 누름 부재(115)가 상부 샤시(42)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45)의 안내홈(46)에 활주 가능하게 걸리며, 이것에 의하여 프레임(53)은 상부 샤시(42)에서 전후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프레임(93)의 후방으로의 이동범위는 축받이(112)의 후방 지지편(113)이 가이드 파이프(44)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편(116)에 접함으로서 한정되고 또한, 전방으로의 이동범위는 축받이(112)의 전방측 지지편(113)이 가이드 파이프(44)의 전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편(117)에 맞닿는 것에 의해 한정된다.
부호(118)는 인장 스프링이고, 프레임(93)의 좌측 가장자리로 들어간 부분의 후방에 있는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걸이구멍(119)과 활주이동체(51)의 스프링걸이(71) 사이에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118)에 의하여 활주이동체(51)와 프레임(93)이 서로 가깝게 끌어당기어 합쳐지도록 힘이 가해지고, 활주이동체(51)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이동력을 받고, 또 프레임(93)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이동력을 받는다. 이 인장 스프링(118)의 인장력은 상기 리미터부(85)의 인장 스프링(92)의 인장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활주이동체(51)의 전방 지지편(55)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향해 설치된 지지축(54)의 기부가 프레임(93)의 측벽(95,95') 전방 부분의 아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95a,95a')의 후방 가장자리에 맞닿는 것에 의해 활주이동체(51)의 프레임(93)에 대한 상대적인 후방으로의 이동한계가 규정된다.
따라서 프레임(93)이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되면, 인장 스프링(118)을 거쳐 프레임(93)에 연결된 활주이동체(51)도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되고, 활주이동체(51)가 후방으로의 이동 한계까지 와서 정지하기 때문에, 프레임(93)이 더욱 후퇴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인장 스프링(118)이 신장함으로서 활주 이동체(51)가 삽입 작동의 최후방으로 프레임(9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약간의 전방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활주이동체(51)와 프레임(93)이 인장 스프링(118)에 의하여 서로 가깝게 끌어당긴 상태에서, 카세트 적재판(57)의 전단부 양측에 설치된 걸어맞춤편(63)이 보호편(97)과 안내편(101)의 후단부(103) 사이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카세트 적재판(57)이 밑판으로 되며, 프레임(93)의 셔터 누름 부재(98)와 후측판(99) 및 셔터 누름 부재(100)에 의하여 주위가 둘러싸여진 카세트 적재 공간(120)이 형성된다.
제4도 내지 제6e도, 제9도 및 제11a도 내지 제11e도에서, 부호 121은 상부 샤시(43)의 중앙부에서 약간 뒤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122)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캠 기어이고, 상하로 중첩된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로 이루어진다.
상부 기어(123)는 평기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기어톱니(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어(123)의 중심부에는 축(126)이 상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126)을 관통하여 지지축(122)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27)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28은 상부 기어(123)의 중심과 외부원주 사이의 중간에서 약간 중심으로 들어간 위치에 상기 삽입구멍(127)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을 만들도록 형성된 안내 슬릿이고, 중심각에서 대략 180°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부로 129는 안내 슬릿(128)의 시계 회전 방향쪽의 단부에 근접한 주변 가장자리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 삽입 구멍이고, 부호 130은 이 삽입구멍(129)의 더욱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이고, 이들 삽입구멍(129)과 걸어맞춤구멍(130)은 대략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있다.
부호 131은 로크판이며 가요성이 있는 합성 수지에 의하여 기다란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부에 형성된 구멍(132)에는 상부기어(123)의 중심에 설치된 축(126)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부호 133은 로크판(131)의 선단부 하면에 설치된 로크핀이고, 부호 134는 로크핀(133)의 기부 위치에 하측으로 향해 설치된 피작용편이고, 이 피작용편(134)은 상기 삽입구멍(129)에 삽입되고, 로크핀(133)은 상기 걸어맞춤구멍(130)에 삽입되고, 각각 상방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그리고 로크핀(133)은 피작용편(134)과 함께 상부기어(123)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지만, 그 돌출량은 피작용편(134)쪽이 크게 되어 있다.
피작용편(134) 상부기어(123)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한 부분의 하부 대략 하프 부분(135)은 상부기어(123)의 반경방향으로 보아 역삼각형을 하고 있다.
부호 136은 판스프링 재료로서 형성된 가압스프링이고, 그 일단부는 상부기어(123)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로크판(131)의 선단부 상면에 탄력적으로 접하고 있다.
부호 137은 상부기어(123)의 상면에 설치된 핀이고, 로크판(131)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접하고 있으며, 로크판(131)이 회전하지 않도록 그 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하부기어(124)는 상부기어(123)와 대략 같은 직경의 평기어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외부원주에는 기어톱니(1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기어(124)의 기어톱니(138)의 형성 피치는 상부기어(123)의 기어톱니(125)의 형성 피치보다 작게되어 있다. 또 그 중심에서 하측으로 향하여 축(13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139)을 관통하는 삽입구멍(140)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41은 하부기어(124)의 외부원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이고, 부호 142는 끼워맞춤구멍(141)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이다. 그리고 이들 끼워맞춤구멍(141)과 걸어맞춤구멍(142)은 하부기어(124)의 반경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끼워맞춤구멍(141)과 상부기어(123)의 삽입구멍(129)과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또한 걸어맞춤구멍(142)과 상부기어(123)의 걸어맞춤구멍(130)과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가 서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한쪽을 회전시켜 가면, 어느 장소에서 끼워맞춤구멍(141)이 걸어맞춤구멍(129)과 일치하고, 걸어맞춤구멍(142)이 걸어맞춤구멍(130)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143은 하부기어(142)의 상면의 중심과 외부 원주와의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된 가압핀이고, 중심에서의 거리가 상부기어(123)의 안내 슬릿(128)의 중심에서의 거리와 같게 되어있다. 그리고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가 중첩되면, 하부기어(124)의 가압핀(143)이 상부기어(123)의 안내 슬릿(128)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로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가 중첩되어 가압핀(143)이 위에서 보아 안내 슬릿(128)의 시계 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크판(131)의 피작용편(134)은 삽입구멍(129) 및 끼워맞춤구멍(141)에 삽통되고, 로크핀(133)이 걸어맞춤구멍(130) 및 걸어맞춤구멍(142)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기어(124)의 하면에는 2개의 캠홈(144,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홈 중에서 외측의 캠홈(144)이 프레임 로크용이고, 내측의 캠홈(145)이 카세트 적재판 승강용이다.
이하에 캠홈(144,145)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후술한 작동 설명과 관련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그 방향은 위쪽에서 본 방향으로 설명한다.
의측의 캠홈(144)은 외부 원주 가장자리에 따른 대기부(144a)와, 이 대기부(144a)에서 약간 내측에 위치한 로크부(144b)와, 이들 대기부(144a)와 로크부(144b)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회전부(144c)로 이루어진다. 대기부(144a)와 로크부(144b)는 모두 중심각이 180 °인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기부(144a)의 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와 로크부(144b)의 반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가 회전부(144c)에 의하여 연결 되어있다. 또 대기부(144a)의 반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와 로크부(144b)의 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는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리고 로크부(144b)의 중간에서 약간 시계 회전 방향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걸어맞춤구멍(142)이 개방되어 있다.
내측의 캠홈(145)은 대기부(145a)와 승강부(145b)와 지지부(145c)가 연속되어 이루어진다. 대기부(145a)는 상기 외측 캠홈(144)의 로크부(144b)의 가로 내측 위치에서 중심각이 약 200°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시계 회전 방향쪽의 단부는 캠홈(144)의 대기부(144a)의 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 3분의 1 정도 회전한 부분과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여 있으며, 그 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는 캠홈(144) 로크부(144b)의 시계 회전방향쪽 단부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4분의 1 정도 회전한 부분과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대기부(145a)의 시계 회전방향쪽의 단부로부터 약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향한 위치에 상기 끼워맞춤구멍(141)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가 중첩되어 로크판(131)의 피작용편(134)이 하부기어(124)의 끼워맞춤구멍(141)에 삽입된 상태로서, 피작용편(134)의 하단부(135)의 거의 모두가 캠홈(145)의 대기부(145a)내에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승강부(145b)는 중심각이 대략 120°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는 대기부(145a)의 반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에 연속하고, 시계 회전방향쪽 단부는 축(139)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지지부(145c)는 중심각이 약 40°정도의 원호상으로 되어있고, 그 반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가 승강부(145b)의 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에 연속하여 있다.
부호 146은 하부기어(124) 하면의 외부원주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원호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스위치 가압편이고, 걸어맞춤구멍(142)의 외측에 이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중심각이 대략 50°인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가 중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삽입구멍(127, 140)에 지지축(122)이 삽입되며, 이것에 의하여 캠기어(121)가 상부 샤시(4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기어(123)의 기어 톱니(125)가 프레임(93)에 형성된 래크(107)의 래크톱니(108)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부기어(123)가 회전함으로써 그 기어톱니(125)에 의해 래크톱니(108)가 이송되고, 프레임(93)이 상부 샤시(4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부호 147은 구동기어이고, 보스부(148)의 하단부에 풀리(149)가, 상단부에 피니온(150)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스부(148)의 중심부를 관통시킨 삽입구멍(148a)에 상기 샤시(42)에 설치된 지지축(151)이 삽입됨으로써 상부 샤시(4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피니온(150)이 상기 캠기어(121), 하부기어(124)의 기어톱니(138)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부호 152는 상부 샤시(42)의 후방 하면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고정된 모터이고, 그 상부 샤시(42)의 위측으로 돌출한 회전축(152a)에 구동 풀리(153)가 고정되어 있으며, 구동 풀리(153)와 상기 풀리(149)와의 사이에 무한 벨트(154)가 길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52)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구동 풀리(153)와 벨트(154)를 거쳐 풀리(149)로 전달되며, 이것에 의하여 피니온(150)이 회전되어, 이 피니온(150)과 기어톱니(138)가 맞물려 있는 캠기어(121)의 하부기어(124)가 회전된다.
제2도, 제3도, 제5a도 내지 제7도에서, 부호 155는 로크아암이고, 프레임(93)이 외부 바스켓(34)내에 삽입된 위치(이하「삽입위치」라 한다)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로크아암(155)은 약 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아암(156)과, 이것의 전단부에서 좌측전방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하는 제2아암(157)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제1아암(156)과 제2아암(157)의 연결부가 상기 캠기어(121) 지지축(122)의 거의 우측 횡방향에 설치된 지지축(15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아암(156)의 후단부에는 로크핀(159)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아암(157)의 전단부에 피작용핀(16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작용핀(160)의 상단부가 상기 캠기어(121) 하부기어(124)의 캠홈(144)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고, 피작용핀(160) 캠홈(144)의 대기부(144a)내에 있을 때에는 로크핀(159)이 삽입위치에 있는 프레임(93)의 걸어맞춤 절결부(111)에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으며, 피작용핀(160)이 로크부(144b)에 있을 때는 로프된(159)이 삽입 위치에 있는 프레임(93)의 걸어맞춤 절결부(111)에 걸어 맞추어져서 프레임(93)을 삽입 위치에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6e도, 제8도 및 9도에서, 부호 161은 카세트 적재판(57)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이다.
부호 162는 회전 레버이고, 거의 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굴곡부가 상부 샤시(42)의 캠기어(121)를 지지축(122) 좌측 횡방향에서 약간 후방으로 설치된 지지축(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레버(162)의 거의 전방으로 신장하는 제1아암(164)의 선단부에는 피작용 핀(165)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략 좌측으로 연장하는 제2아암(166)의 선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근소하게 떨어진 2개의 돌기(16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아암(164) 선단의 피작용핀(165)의 상단부는 상기 캠기어(121)의 캠홈(145)에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부호 168은 회전 아암이고, 주아암(169)과 부아암(170)으로 이루어진다.
주아암(169)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L 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L 자의 굴곡부가 상부 샤시(42)의 좌측 후방 지지벽(47) 전단부의 약간 내측에 설치된 아암 지지벽(17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아암(172)의 전단부에는 전단부로 개방된 U 자 모양의 걸어맞춤 절결부(173)가 형성되어 있고, 또 대략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2아암(174)의 하단부에는 스프링걸이(175)가 형성되어 있다.
부아암(170)은 측면에서 보아 높이가 낮은 역삼각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에서 약간 후단부로 치우친 부분이 주아암(159)의 제2아암(174)상단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에 위치한 각진 부분에서 우측으로 향하여 피가압핀(176)이 설치된다. 피가압핀(176)은 회전레버(162)의 제2아암(166) 선단에 설치된 2개의 돌기(16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전방에 위치한 각진 부분에는 스프링걸이(1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걸이(177)와 주아암(169)의 스프링걸이(175) 사이에 있는 인장 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의하여 주아암(169)과 부아암(170)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가깝게 끌어당기어지고, 주아암(160)의 제2아암(174)의 하단부가 부아암(170)의 피가압핀(176) 후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양자의 상대적인 회전이 멈추어진다.
부호 179는 부아암(170)의 후방 각진 부분에서 우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셔터 누름 부재이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 로딩 장치(4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우선, 모터(152)가 아암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147)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기어(121)의 하부기어(124)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로크판(131)의 로크핀(133) 및 피작용편(134)이 하부기어(124)의 걸어맞춤구멍(142) 및 끼워맞춤구멍(141)에 각각 결합하여서 상부기어(123)가 하부기어(124)와 일체화되면, 하부기어(124)와 함께 상부기어(123)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부 기어(123)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면 프레임(93)의 래크(107)의 래크톱니(100)가 전방으로 향해 이송되고, 그 때문에 프레임(93)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프레임(93)과 인장 스프링(11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활주이동체(51) 및 상기 활주이동체(51)에 지지되어 있는 카세트 적재판(57)도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며, 카세트 배치공간(120)이 외부 바스켓(34)의 인출구(35)에서 바깥으로 돌출한 위치(이하 「돌출 위치」 라 한다)까지 왔을 때 모터(152)가 정지한다.
또, 캠기어(121)는 제5a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즉 로크아암(155)의 피작용 핀(160)은 캠홈(144)의 대기부(144a)의 반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에 위치하고, 회전 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은 캠홈(145)의 대기부(145a) 반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로크아암(155)의 로크핀(159)은 프레임(93)의 셔터 누름 부재(110)에서 좌측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프레임(93)의 이동을 막는 것은 아니다. 또 회전 레버(162)는 그 회전 범위 내에서 시계 회전방향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돌기(167)에 의하여 회전아암(168)의 피가압핀(176)이 이동 범위 내의 후단부에 지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주아암(169)의 선단에 있는 걸어맞춤 절결부(173)의 높이는 카세트 누름부(75)의 피작용핀(81)의 높이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카세트 적재공간(120)이 외부 바스켓(34) 밖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를 이 카세트 적재공간(120)내에 삽입하여 카세트 적재판(57)상에 적 재한다.
이때 테이프 카세트(1)의 전방부가 카세트 로딩 장치(4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한다.
[삽입 작동]
그리고 로딩(loading) 지령이 행해지면, 모터(152)가 로딩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구동기어(147)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캠기어(12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상부기어(123)의 기어톱니(125)가 프레임(93)의 래크톱니(108)를 후방으로 향하여 이송되므로, 프레임(93)이 활주이동체(51)가 함께 외부 바스켓(34)내에 삽입되어 간다.
그리고 활주이동체(51)의 전방 우측의 롤러(56)가 가이드 슬릿(50)의 후단에 접촉하면 활주이동체(51)는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을 할 수 없으므로 그 때부터는 인장 스프링(118)을 신장시키면서 프레임(93)만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활주이동체(51)에 지지된 카세트 적재판(57)은 프레임(9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는 그 후단면이 프레임(93)의 셔터 누름 부재(100)에 맞닿아서 더 이상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테이프 카세트(1)에 대하여도 카세트 적재판(57)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세트 누름부(75)의 가압 롤러(79)가 테이프 카세트(1)의 상면에 올라타고, 이때 신장된 인장 스프링(84)의 탄력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1)는 카세트 적재판(57)에 눌려진다.
여기에서 더욱더 카세트 적재판(57)이 프레임(93)에 대하여 전진함으로써, 카세트 적재판(57)의 돌기부(59)가 테이프 카세트(1)의 걸어맞춤돌기(31)를 위쪽으로 눌러 셔터(10)의 로크를 해제함과 동시에, 카세트 적재판(57)의 셔터 누름 부재(61)가 셔터(10)의 블록부(15)를 가압하고, 셔터(10)를 개방 위치까지 가압하여간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10)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셔터 누름 부재(59,59)의 후단부가 걸어맞춤돌기(3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므로 걸이맞춤돌기(31)가 걸어맞춤구멍(27)에 결합하여 셔터(10)를 개방 위치에서 로크시킨다.
또한, 이러한 활주이동체(51)와 프레임(93)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프레임(93)에 설치된 셔터 누름 부재(100)는 카세트 적재판(57)의 전방 가장자리중앙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절결홈(62)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프레임(93)이 완전하게 삽입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캠기어(121)는 제5b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즉, 로크 아암(155)의 피작용핀(160)은 캠홈(144)의 대기부(144a)의 시계 회전 방향쪽 단부에 위치하고, 회전 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은 끼워맞춤구멍(141)의 반시계 방향쪽 거의 반쯤에 걸린 상태로 된다.
제5b도의 상태로부터 프레임(93)이 완전하게 삽입되는 위치에 도달 할 때까지 캠기어(121)는 제5c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즉 이 사이에 로크아암(155)의 피작용핀(160)은 캠홈(144)의 회전부(144c)의 거의 중간까지 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크아암(155)은 시계 회전 방향으로 조금 회전되어 그 로크핀(159)이 프레임(93)의 걸어맞춤 절결부(111)에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로 된다. 또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은 끼워맞춤구멍(141)의 시계회전 방향쪽 절반의 위치에 달하고, 이 사이에 로크판(131) 피작용편(134)의 하반부(135)를 상부로 누른다. 이것에 의하여 로크판(131)의 선단부가 위로 이동됨으로, 그 로크핀(133)이 하부기어(124)의 걸어맞춤구멍(142)에서 상부로 벗어나게 된다.
제5c도의 상태로 되면, 프레임(93)이 이미 삽입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므로, 프레임(93)의 래크톱니(108)와 그 기어톱니(125)가 맞물려 있는 상부기어(123)는 더이상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구동기어(147)에 의하여 회전력이 부여되고 있는 하부기어(124)는 그 끼워맞춤구멍(141)의 시계회전 방향쪽 가장자리에서 로크판(131)의 피작용편(134) 하반부(135)를 가압하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피작용편(134)이 하부기어(124)의 상면으로 올라타고, 이후에는 하부기어(124)만이 회전하게 된다.
또 제5c도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 하부기어(124)의 가압핀(143)은 리미터부(85)의 피가압 아암(09)의 피누름부(90)의 좌측 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이 캠홈(145)의 대기부(145a)의 시계 회전 방향쪽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하부기어(124)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가압핀(143)은 피누름부(90)의 우측 횡방향으로 근접한 위치까지 도달하고, 이 사이에 일단 피누름부(90)를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이때에 카세트 적재판(57)은 인장 스프링(118)을 신장시키면서 더욱 전방으로 이동함으로 삽입 위치까지 되돌아오지만, 이 작동 사이에 테이프 카세트(1)의 제조상의 불규칙등에 의하여 프레임(93)과 카세트 적재판(57) 사이의 상대적 이동량이 불충분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셔터(10)가 완전히 개방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 리미터부(85)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셔터(10)를 완전하게 개방 위치로 로크할 수 있다. 또 가압핀(143)의 전방으로의 변위량 만큼 카세트 적재판(57)이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여분의 움직임을 리미터부(85)의 인장 스프링(92)이 신장하여 흡수하기 때문에 장치의 각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 파손하는 염려는 없다.
더구나, 이 삽입 작동이 완료한 시점에서 카세트 누름부(75)의 피작용핀(81)은 회전아암(160)의 걸어맞춤 절결부(173)에 활주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고, 또 카세트 적재판(57)의 전단부 쪽으로 돌출한 걸어맞춤부(63)는 안내편(101)의 전단부와 전면벽(102) 사이의 공간(102a)에서 상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포크아암(155)의 피작용핀(160)은 캠홈(144)의 로크부(144b)의 반시계 회전방향쪽 단부에 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크핀(159)은 프레임(93)의 걸어맞춤 절결부(111)와 결합하고, 프레임(93)을 삽입위치에 로크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의 삽입 작동 중에 카세트 배치공간(120)의 전단부가 겨우 외부 바스켓(34) 밖으로 나와 있는 동안에 테이프 카세트(1)가 부주의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가압될 경우, 카세트 적재판(57)의 걸어맞춤부(63)가 프레임(93)에 설치된 안내편(101)에 접함으로, 카세트 적재판(57)이 로딩 완료상태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가압되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에서도, 걸어맞춤부(63)의 걸어맞춤구멍(64)이 안내편(101) 전단부(104)의 걸어맞춤돌기(106)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간(102a)을 통하여 그것에서 하측까지 가압되어 버리지 않는다. 따라서, 그대로 삽입 작동을 완료할 수 없지만, 카세트 장착부 외의 부분에 결정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우와 같이 삽입작동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는, 일단 돌출위치까지 돌아와 재차 삽입작동을 행하도록 시스템 구성을 하여 두면, 돌출위치까지 되돌아가는 동안에 걸어맞춤부(63)는 안내편(101)의 전단부(104)로, 다음에는 중간부(105)로 차례로 안내되어 후단부(103) 상에 위치하는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게 된다.
[하강작동]
다음에,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이 캠홈(145)의 승강부(145b)를 반시계 회전방향쪽 단부에서부터 시계 회전방향쪽 단부까지 이동할 때까지 하부기어(124)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회전레버(162)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제2아암(172)의 선단부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레버(162)의 제2아암(166)의 선단부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거기에 설치된 돌기(167)중 후방의 돌기(167)에 의하여 회전아암(168)의 피가압핀(176)이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되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아암(168)은 그 전단부, 즉 주아암(169)의 제1아암(172)의 전단부가 대략 상부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주아암(169)의 전단부가 상부로 이동하면, 거기에 설치된 걸어맞춤 절결부(173)와 결합하고 있는 카세트 누름부(75)의 피작용핀(81)이 상부로 향하여 이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카세트 누름부(75)가 아암편(76,76')의 전단부를 하부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 카세트 누름부(75)와 인장 스프링(84)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제1지지아암(66)이 그 아암편(67,67')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회전되며, 따라서 이 아암편(67,67')의 선단부에 지지된 카세트 적재판(57)이 카세트 장착부로 향하여 하강되어 간다. 이때 카세트 적재판(57)의 걸어맞춤부(63)는 프레임(93)의 안내편(101) 전단부와 전면벽(102) 사이의 공간(102a)을 통과하며 지나간다.
그리고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이 캠홈(145)의 승강부(145b)의 시계회전 방향쪽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테이프 카세트(1)의 릴허브(6,7)가 카세트 적재판(57)의 삽입구멍(58)과, 셔터(10)의 삽입구멍(22)과, 카세트 케이스(2)의 삽입구멍(23)을 통하여 카세트 케이스(2)내부로 들어온 릴 구동축(38,39)의 걸어맞춤축(38a,39a)에 결합된다.
그 상태에서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이 캠홈(145)의 승강부(145b)의 시계회전 방향쪽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레버(162)는 더욱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카세트 적재판(57)이 이미 하강한계에 도달하고 있으므로, 제1아암(168)의 주아암(169)은 더이상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부아암(170)만이 더욱 회전되며, 이 결과 인장 스프링(178)이 신장되며, 이것에 의하여 얻어진 탄성력이 주아암(169)을 거쳐 카세트 적재판(57)으로 전달되어서, 테이프 카세트(1)를 릴 구동축(38,39)등으로 이루어진 카세트 장착부를 누르는 힘이 된다.
또, 삽입 위치에서 카세트 장착부까지 하강되어 오는 동안에 테이프 카세트(1)의 전면덮개(9)가 도시하지 않는 덮개부재에 의하여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하부기어(124)는 회전레버(162)의 피작용핀(165)이 캠홈(145)의 지지부(145c)의 시계 회전방향쪽 단부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하지만, 이 사이에 하부기어(124)의 하면에 설치된 스위치 가압편(146)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편을 가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딩 완료지령이 나오게 되며 모터(152)가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로딩 작동이 완료하지만, 그후 자기테이프(5)가 카세트 케이스(2)에서 인출되어 헤드 드럼(40)에 감김과 동시에 소정의 테이프 경로를 통과하게 하는 테이프 로딩이 행해진다.
[언로딩 작동]
언로딩(unloading) 작동은 자기테이프(5)를 카세트 케이스(2)내에 수납하는 테이프 언로딩이 행해진 후, 모터(152)가 로딩 작동시와는 반대의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의 로딩 작동과는 역의 순서로서 작동한다.
우선 캠기어(121)의 하부기어(124)만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5c도로부터 제5b도까지의 상태 중에 상부기어(123)와 하부기어(124)의 걸어맞춤구멍(130) 및 걸어맞춤구멍(142)과 또한 삽입구멍(129)과 끼워맞춤구멍(141)이 각각 일치하고, 로크판(131)의 로크핀(133)이 하부기어(124)의 걸어맞춤구멍(142)과 결합하고, 로크판(131)의 피작용편(134)이 하부기어(124)의 끼워맞춤구멍(141)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기어(123)가 하부기어(12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로크아암(155)의 피작용핀(160)이 캠홈(144)의 로크부(144b)에서 대기부(144a)로 이동하는 사이에 프레임(93)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프레임(93)은 래크 톱니(108)가 상부기어(123)의 기어톱니(125)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이송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여 간다.
프레임(93)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가는 초기 단계에서는, 프레임(93)과 활주이동체(51)사이에 인장 스프링(118)의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활주이동체(51)가 프레임(9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카세트 적재판(57)이 프레임(9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퇴하게 되고, 한편 그 위에 배치기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1)는 프레임(93)의 후측판(99)에 맞닿아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카세트 적재판(57)만이 프레임(93) 및 테이프 카세트(1)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 사이에 카세트 적재판(57)의 돌기부(59)가 셔터(10)를 개방 위치에 로크하고 있는 걸어 맞춤돌기(31)를 상부로 눌러서 걸어맞춤구멍(27,27)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따라서 셔터(10)는 비틀림 스프링(21)의 힘으로서 폐쇄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프레임(93) 및 활주이동체(51)는 돌출위치까지 이동되며, 이 돌출 위치에서 카세트 배치공간(120)에서 테이프 카세트(1)가 꺼내어지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기재한 것으로 분명하듯이,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는 카세트가 적재되는 카세트 적재판과, 카세트 적재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가능한 지지아암과, 회전자 가능한 아암편을 갖고 그 아암편의 선단에 카세트 누름부재를 갖는 카세트 누름부와, 카세트 누름부와 지지아암과의 사이에 연장되고 신장됨으로써 카세트 누름부재를 카세트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카세트 누름 스프링과, 카세트 누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여, 카세트 누름부의 회전이 카세트 누름 스프링을 거쳐서 지지아암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에 의하면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에 대해서 누르기 위한 카세트 누름부를 카세트 적재판에 지지하지 않아도 되고 공간 여유가 생기며,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눌러붙이기 위한 압착력을 무리 없이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카세트가 적재되는 카세트 적재판과, 카세트 적재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가능한 지지아암과, 회전 가능한 아암편을 갖고, 그 아암편의 선단에 카세트를 카세트 적재판 상에 누르는 카세트 누름부재를 갖는 카세트 누름부와, 카세트 누름부와 지지아암과의 사이에 연장됨과 동시에 신장됨으로써 카세트 누름부재를 카세트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카세트 누름스프링과 카세트 누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여, 카세트 누름부의 회전이 카세트 누름 스프링을 거쳐서 지지 아암에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세트 상하기구.
KR1019890001908A 1988-02-19 1989-02-18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KR0171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71 1988-02-19
JP63037271A JP2625826B2 (ja) 1988-02-19 1988-02-19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カセット上下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630A KR890013630A (ko) 1989-09-25
KR0171396B1 true KR0171396B1 (ko) 1999-04-15

Family

ID=1249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908A KR0171396B1 (ko) 1988-02-19 1989-02-18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25826B2 (ko)
KR (1) KR01713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11355A (ja) 1989-08-24
KR890013630A (ko) 1989-09-25
JP2625826B2 (ja) 199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3323B2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KR017655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안착장치
US4785364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improved side plates
KR0171396B1 (ko) 카셋트 로딩 장치에 있어서의 카셋트 상하 기구
JPH04171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63347B1 (ko) 카세트 로딩장치
JPH0334637B2 (ko)
KR93000849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카세트 이송장치
JP2605359B2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におけるテープカセット排出機構
JP2605360B2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JP2605389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2650330B2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JPH0430694Y2 (ko)
JPH0258755A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629555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94899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スライド機構
JPH056588Y2 (ko)
JPH0348754Y2 (ko)
KR970002580Y1 (ko) 기록 재생 장치
JPH0817007B2 (ja)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JPH01211357A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30008495Y1 (ko) 테이프 카세트 장착장치
JPS63211154A (ja) テ−プカセツト装着装置
JPH0427033Y2 (ko)
KR100249193B1 (ko) Vcr의 테이프테이크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