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72B1 -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72B1
KR970002572B1 KR1019940005799A KR19940005799A KR970002572B1 KR 970002572 B1 KR970002572 B1 KR 970002572B1 KR 1019940005799 A KR1019940005799 A KR 1019940005799A KR 19940005799 A KR19940005799 A KR 19940005799A KR 970002572 B1 KR970002572 B1 KR 97000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urface portion
layer
inclined surfac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웅 filed Critical 임철웅
Priority to KR101994000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72B1/ko

Links

Landscapes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시공한 상태의 절단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지역에 실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부의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의 ''B''부의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소일네일링(Soilnailing)으로서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시공작업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을 토목공사로 인하여 형성되는 도로 양측의 경사면부에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화토층 1a : 발파암층
2 : 표토층 3 : 경사면부
4 : 평면부 5 : 대구경구멍
6 : 강관 7 : 시멘트몰탈
8 : 억지말뚝 9 : p.v.c 코팅망
10 : 앵커핀 11 : 소일네일링(Soilnailing)
12 : 너트 12a : 지압판
13 : 텍솔녹화토 14 : 잔디
15 : 관상수 15a : 관상수의 뿌리발
16 : 평판작업대 17 : 바퀴로울러
18 : 경사판 19 : 지지대
20 : 작업차 21 : 끌어올림줄
21a : 끌어내림줄
본 발명은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형성되는 경사지형의 붕괴방지를 위한 토압지지구조물공사 및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장처리공사를 시공설치하기 위하여 제안된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시공법에 의하여 토압지지구조물을 이용하여 견실하고 안전하게 시공설치하여 경사면의 붕괴를 막을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의 표면을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장처리 및 잔디나, 화초 또는 관상수를 식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연환경을 주변환경의 분위기에 알맞도록 조성하여 국민정서에 유익하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경사면이 붕괴될 경우 석축의 축대나 콘크리트옹벽을 축조하고 있으나 이들은 공사과정이 복잡하여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주변환경과의 분위기 조성이 맞지 않아 황량하고 답답하여 국민정서에 유익되지 못하며 특히 장마철에는 붕괴의 사고가 발생되는 등 위험성에 의한 불만감을 주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풍화토층(1)의 표면으로 퇴적된 표토층(2)의 표면부를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경사면부(3)과 평면부(4)가 형성되도록 표면다듬기를 한다.
평면부(4)에는 전후방향고 좌우방향으로 적정간격을 지정하는 지점에 의하여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각지점에 대구경구멍(ø300m/m 정도)(5)를 설치장소의 설계에 따라 적정한 깊이(6m-20m 정도)로 연속적으로 뚫은 다음, 대구경구멍(5)의 중앙부로는 대구경구멍(5)와 동일한 길이의 강관(ø150m/m-400mm 정도)(6) 또는 H파일(도시생략)의 강관을 입설하여 급결제와 팽창제를 혼합한 시멘트몰탈(7)을 대구경구멍(5)와 강관(6)의 내부에 충진되도록 주입시켜 억지말뚝(8)을 설치한다.
이때 대구경구멍(5)의 깊이는 표토층(2)의 상부로부터 풍화토층(1) 하부의 견고한 지층까지 뚫어 설치하여 지지되는 억지말뚝(8)이 풍화토층(1)의 지지층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표토층(2)의 상부까지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표토층(2)의 경사면부(3)와 평면부(4)를 형성하고 있는 표면부에는 p.v.c 코팅망(9)를 깔아 설치하되 p.v.c 코팅망(9)의 굵기와 망목은 ø3.2m/m에 58×58(m/m)정도로 설치함이 적합하다.
또한 표토층(2)를 지지보호하기 위하여 경사면부(3)의 임의간격마다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Soilnailing)(11)을 삽입하여 절곡두부(10a)를 형성하며, ø19m/m의 굵기와 300m/m-500m/m의 길이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임의 간격마다 p.v.c코팅망(9)를 지지하도록 배열하여 설치하며, 소일네일링(11)의 구조는 나사부를 형성하며, ø25m/m의 굵기와 1,500m/m-3,000m/m의 길이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표토층(2)의 상부가 우수(雨水)에 의한 침식방지 및 암석의 탈석을 방지하도록 지압판(12a)를 압지하는 너트(12)를 결착하면서 적정한 간격마다 한개씩 배열설치하는 결합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부 표토층(2)의 표면부의 경사면부(3)과 평면부(4)에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도록 깔아 설치한 다음 모래와 연속장섬유 및 비료를 소정의 물과 혼합하여 응집토립자 구조의 인공토양인 본인의 특허 제59515호(1992. 10.16일 공고번호 제9411호)의 비료혼합한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이하 텍솔이라함)을 통상의 드라이브주사공법이나 본인이 개발한 별도의 건나이트(Gunite)공법이나 취부공법에 의하여 타설하여 주므로서 비료혼합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텍솔)인 인공토양이 표토층(2)의 표면부에 착지되면서 적정두께의 텍솔녹화토(13)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텍솔녹화토(13)의 표면부로는 잔디씨나 화초씨를 부리거나 또는 관상수(15)를 식재하여 주변환경에 알맞도록 조성하므로서 국민정서에 유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식재하는 잔디(14) 또는 관상용 화초나 관상수(15)의 뿌리발(15a)이 활발하게 되면 그 뿌리발(15a)이 텍솔녹화토(13)을 통하여 포토층(2)까지 뻗어 나가게 되어 텍솔녹화토(13)이 표토층(2)에 더욱 안전하게 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첨부도면의 제7도는 본 발명의 시공장소의 경사면부(3)에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을 박는 시공작업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표토층(2)의 상부인 경사면부(3)에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을 박는 잡업을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판작업대(16)의 저부에 바퀴로울러(17)을 설치하는 경사판(18)을 지지대(19)에 의하여 착설시켜 형성한 구조의 작업차(20)을 제작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작한 작업차(20)의 경사판(18)의 전후방으로 전후방고리부를 설치하여 끌어올림줄(21)과 끌어내림줄(21a)을 걸어묶음시켜 통상의 모우터드럼과 로울링구조에 의하여 시공장소인 표토층(2)의 상부의 경사면부(3)을 오르고 내리는 작용 및 정지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의 제8도는 본 발명을 도로개설등의 토목공사로 인하여 형성되는 도로 양측의 경사면부를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시공구간의 지형상태를 단면상으로 표시하여 하부로부터 발파암층(1a)와 풍화토층(1) 및 표토층(2)로 구분되며, 이들의 표면부를 경사면부(3)와 평면부(4)가 되도록 표면다듬기를 하며, 각 경사면부(3)에는 임의 간격마다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을 연속 반복하여 박아설치함과 아울러 p.v.c 코팅망(9)를 깔아 설치한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인의 특허 제59515호의 비교혼합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텍솔)인 인공토양을 착지하여 보인 시공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p.v.c 코팅막(9)을 깔아 설치하는 시공상의 작업공정은 경사면부(3)의 입지조건에 따라 앵커핀(10) 또는 소일네일링(11)을 박아설치하는 작업의 순서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발파암층(1a)나 풍화토층(1) 및 표토층(2)에 설치하는 상기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의 간격 및 깊이를 시공장소의 입지조건에 따라 설계한 설계도에 의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시공작업의 안정성 및 간편성을 위하여 첨부도면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한 작업차(20)을 이용함에 있어서 작업차(20)의 전후방으로 설치한 전후방고리부에 걸어 묶음시킨 끌어올림줄(21)과 끌어내림줄(21a)는 시공장소에 설치시킨 통상의 모우터드럼과 로울링구조에 연설된 상태로서 작업자가 작업차(20)에 필요한 시공작업장비를 준비하여 탑승한 상태에서 모우터드럼을 작동시켜주므로서 작업차(20)을 시공작업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시킨 상태의 위치에서 시공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장소의 입지조건에 따라서 상부의 불안한 경사면부(3)을 임의의 견고한 지지기반의 깊이까지 대구경구멍(5)를 뚫어 강관(6)을 입설시켜 시멘트몰탈(7)로서 양생시키는 억지말뚝(8)을 형성하므로서 상부의 불안한 경사면부(3)을 하부의 견고한 풍화토층(1)에 심재되어 입설되는 억지말뚝(8)에 의하여 활동억지 기능을 발휘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풍화토층(1)의 경사면부(3)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을 박아주므로서 불안한 표토층(2)의 보강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표토층(2)의 표면부가 되는 경사면부(3)과 평면부(4)에는 p.v.c 코팅막(9)를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에 걸어물려 지지되도록 덮어씌워 설치한 다음, 인공토양인 텍솔녹화토(비료혼합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13)을 p.v.c 코팅막(9)에 얽어매어지면서 표토층(2)의 표면부에 착지시키므로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표토층(2)의 표면부에 텍솔녹화토(13)을 취부시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시공장소의 입지조건이나 주변환경에 따라서 화초나 잔디(14)의 씨앗을 뿌려주므로서 화초나 잔디(14)의 씨앗을 발아되어 생장하게 되며, 또한 화초나 관상수(15)를 식재하여 주변환경의 분위기에 조화를 이루도록 조경을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산사태등의 붕괴위험 지역이나 건축공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사지역, 도로개설 공사 등의 토목공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사지역의 보강공사를 간단한 시공법에 의하여 토압지지구조물을 이용하여 견실하고 안전하게 시공 설치하므로서 경사면이 붕괴되는 일이 없으며, 본 발명의 구조물로서 경사면의 표면부에 착지시킨 비료혼합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인 텍솔녹화토에 잔디나 화초 또는 관상수를 식재하므로서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장 효과에 의한 주변환경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국민정서에 유익하며 텍솔녹화토에 식재시킨 잔디나 화초 및 관상수 등의 뿌리발이 텍솔녹화토에 얽히어 토사층까지 뻗어나가 뿌리박이를 하므로서 텍솔녹화토가 토사층과의 착지효과를 증대시켜 홍수등에도 무너지거나 붕괴되는 일이 없이 안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차를 제작하여 작업차에 끌어올림줄과 끌어내림줄을 전후방으로 매달아 통상의 모우터드럼과 로울링구조에 의하여 작업차가 시공장소의 경사면을 용이하게 오르내리면서 시공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시공구간의 표토층(2)에 경사면부(3)와 평면부(4)를 형성하는 표면다듬기를 하여 평면부(4)에는 다수의 대구경구멍(5)를 임의 간격마다 풍화토층(1)의 하부의 견고한 지층까지 뚫어 연설하며 각 대구경구멍(5)의 중앙부에는 강관(6)을 입설지지하여 시멘트몰탈(7)을 주입충진시켜 양생시킨 억지말뚝(8)을 설치하며, 경사면부(3)에는 절곡두부(10a)를 형성한 다수의 앵커핀(10)을 박아 임의 간격마다 배열설치하여 경사면부(3)과 평면부(4)를 형성하고 있는 표토층(2)의 전표면부에 p.v.c 코팅망(9)를 깔아 설치한 다음, 응집토립자의 구조로 결합되는 비료혼합 장섬유보강토의 조성물의 인공토양을 착지시켜 적정두께의 텍솔녹화토(13)을 형성시키며, 텍솔녹화토(13)의 표면부로는 잔디(14)와 관상수(15)를 식재하므로서 시공구간의 토압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유지함과 주변환경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국민정서에 유익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표토층(2)의 경사면부(3)에 나사부를 형성한 소일네일링(11)을 박아 임의 간격마다 배열설치하여 지압판(12a)와 너트(12)에 의하여 p.v.c 코팅망(9)를 지지결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및 그 구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시공구간에 따라 사면활동영역이 깊은 경우에는 억지말뚝(8)을 설치하지 않고 앵커핀(10)이나 소일네일링(11)을 박아 배열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4. 평판작업대(16)의 저부에 바퀴로울러(17)을 설치하는 경사판(18)을 지지대(19)에 의하여 착설한 구조로 제작한 작업차(20)의 전후방으로 끌어올림줄(21)과 끌어내림줄(21a) 걸어 묶음시켜 통상의 모우터드럼과 로울링구조장치에 의하여 시공장소인 토사층(2)의 경사면부(3)을 오르고 내리는 작용 및 정지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KR1019940005799A 1994-03-23 1994-03-23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KR97000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799A KR970002572B1 (ko) 1994-03-23 1994-03-23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799A KR970002572B1 (ko) 1994-03-23 1994-03-23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572B1 true KR970002572B1 (ko) 1997-03-06

Family

ID=193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799A KR970002572B1 (ko) 1994-03-23 1994-03-23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78B1 (ko) * 2005-03-18 2007-03-08 주식회사 오륙개발 인공벽을 조성하는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78B1 (ko) * 2005-03-18 2007-03-08 주식회사 오륙개발 인공벽을 조성하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KR970002572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경사면의 보강시공방법
US3412561A (en) Reed-trench terracing
EP0897435B1 (en) Method for forming a steep embankment
CN210857234U (zh) 一种边坡马道平台绿化和防护的组合结构
CN110552322A (zh) 一种利用河道清淤料的平铺式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25942B1 (ko) 표층개량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옹벽공법
JP5270748B2 (ja) 植栽用基盤の構造
CN110714470A (zh) 一种土质边坡的边坡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CN205444205U (zh) 挂壁式绿化槽
JP2000248553A (ja) 法面の修景緑化工法
JP3046626U (ja) 岩盤傾斜部の緑化施工棚
CN217500264U (zh) 一种公路、铁路或山体护坡结构
CN220284869U (zh) 一种矿山迹地植被修复生态挡墙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JP3107761B2 (ja) 擁壁面の緑化工法
CN211200417U (zh) 一种tbs护坡系统
CN217027148U (zh) 一种高陡岩质边坡蓄排灌生态护坡结构
JP2000166386A (ja) 植物成長抑制マットと筒状体
JP4908063B2 (ja) 植栽用基盤の構造
JPH10147939A (ja) 植栽基盤造成方法及び植栽ブロック
CN116446423A (zh) 一种山区岩质边坡锚杆框架防护施工方法
JPH09268561A (ja) 植生基盤構築方法
KR200361092Y1 (ko) 도로 사면 녹화용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