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49B1 -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49B1
KR970001749B1 KR1019880016996A KR880016996A KR970001749B1 KR 970001749 B1 KR970001749 B1 KR 970001749B1 KR 1019880016996 A KR1019880016996 A KR 1019880016996A KR 880016996 A KR880016996 A KR 880016996A KR 970001749 B1 KR970001749 B1 KR 97000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teering shaft
angle
sleev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692A (ko
Inventor
클로드 조도스진
Original Assignee
네이망
마르 레메이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망, 마르 레메이르 filed Critical 네이망
Publication of KR89000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7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having other than linear, axial or radial motion, e.g. rotatable; Steering column locking us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33Pawls and ratchets
    • Y10T74/2136Pivoted pawls
    • Y10T74/2137Single 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로크가 해제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스티어링 로크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스티어링 로크가 예비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스티어링 로크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 및 제3도의 스티어링 로크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잠금슬리브 3 : 톱니
5 : 조향축튜브 7 : 고정부재(래치캐리어)
9,9′: 잠금레버 15 : 제어브래킷
본 발명은 2개의 피봇운동 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의 도지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축을 어느회전 위치에 로크시키기 위하여, 홈이 형성된 부재를 조향축에 고정시키고 이홈과 협동하는 2개의 개별적인 레버를 사용하는 기술은 이미 제안된바 있다. 예를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632,908호는 주연부에 관통공을 가지는 접시형 슬리브를 조향축에 고정시키고 이 조향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피봇은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를 포함하는 2개의 레버 또는 래치에 의해서 잠금작동을 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이러한 공지형태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는 접시형 슬리브에 타인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부피가 지나치게 큰 단점이 있다. 더욱이, 스티어링 로크에 강제적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레버가 휘게되고, 그 힘이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의 기계장치에까지 전달되기도 한다.
또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3,414,277호에서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조향축에 고정된 왕관 형상의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2개의 개별적인 레버를 사용하되, 2개의 레버중 적어도 하나가 항상 왕관형 톱니바퀴의 2개의 톱니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스티어링 로크를 제안한바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 로크는 부피면에서 상술한 공지의 스티어링 로크에 비하여 작게사용 할 수 있으나, 레버에 작용하는 힘이 잠금장치에 전달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고, 이외에도 그 구성이 복잡하고 곤란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부피가 작고, 조향축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려 할 때에 발생하는 힘이 스티어링 로크의 기계장치에 전달되는 일 없이 레버자체 및 그것의 지지수단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도록 구성된 이중레버형 스티어링 로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도난 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조향축에 고정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대략 반경향으로 형성된 톱니와 각각 첨예한 선단부를 가지는 2개의 잠금레버와, 크레들부를 가지는 고정래치지지체와, 상기 각각의 잠금레버를 상기 각 크레들부에서 자유롭게 피봇운동하도록 상기 크레들부에 지지하며, 조향축과 평행하게 상기 래치지지체에 고정된 피봇축을 규정하는 피봇수단과, 협역부와 광역부로 된 개구를 가지는 제어브래킷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예한 선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해당하는 잠금레버의 제2단부는 상기 개구와 협동해서 상기 개구의 협역부에 있을때에는 서로를 향하여 바이어스되고, 상기 광역부에서는 상기 제2단부가 상기 브래킷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된다. 잠금레버의 첨예한 선단부간의 각도는 잠금 슬리브의 인접한 2개의 톱니사이의 각도 또는 이 각도의 정수배보다 약간작다. 상기 잠금레버의 제2단부사이에는 스프링을 배치하여 각각의 제2단부를 서로 멀떠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슬리브(1)는 키이에 의해서 조향축에 조립된다. 이 슬리브(1)의 외부면에는 대략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랭크(4)를 가진 톱니(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인접한 톱니(3)간의 각도는 a로 표시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횡방향의 슬롯(6) 또는 개구를 가지는 조향축튜브(5) 또는 칼럼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래치키리어를 포함하는 고정부재(7)는 슬롯(6)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크레들부(8)(8')를 구획하는 2개의 횡방향 대향요입부를 가진다. 크레들부(8)(8')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부재(7)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2개의 잠금레버(9)(9')는 각각 축(10)(10')상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래치캐리어(7)에 고정된 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핀은 조향축(2)과 평형을 이룬다. 잠금레버(9)(9')는 각각 크레들부(8)(8')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원형단면부(10)(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원형단면부(10)(10')는 상기 크레들부내에 각각 배치된다. 조향축튜브(5)에 인접한 각 잠금레버(9)(9')의 단부는 슬롯(6)내에 위치하고, 그 끝부분은 첨예한 선단부(12)(12')로 되어 있다.
선단부(12)와(12')간의 각도는 톱니사이의 각도 a의 2배보다 약간 작다.
잠금레버(9)(9')는 선단부(12)(12')의 반대쪽의 단부(13)(1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들 단부(13)(13')는 제어브래킷(15)에 형성된 개구(14)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어브래킷(15)에 형성된 개구(14)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어브래킷(15)은 잠금 및 해제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하에 조향축(2)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 및 해제장치는 열쇠로 작동되는 장치나, 전기모터, 또는 기타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제어브래킷(15)의 개구(14)는 당해브래킷(15)의 이동방향에 상호 종적인 위치관계로 배열된 협역부(16) 및 광역부(17)로 이루어진다. 각 잠금레버(9)(9')의 단부(13)(13')사이에는 나선형의 압축스프링(18)이 설치되어서 이들 단부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게 된다.
잠금레버(15)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해제위치나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잠금위치를 선택적으로 점유하도록 배열된다. 해제위치에 있어서, 잠금레버의 단부(13)(13')는, 개구(14)의 협역부(16)에 있게 되므로, 스프링(18)의 탄력을 극복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바이어스 된다. 이때 잠금레버(9)(9')의 선단부(12)(12')는 후퇴하여 잠금슬리브(1)의 톱니(3)를 계합상태에서 해제시키고, 그 결과 조향축(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어브래킷(15)의 잠금위치에 있어서, 잠금레버(9)(9')의 단부(13)(13')는 개구(14) 광역부(17)에 있게 되므로 스프링(18)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잠금레버의 선단부(12)(12')는 조향축튜브(5)의 슬롯(6)내로 진입하여 잠금슬리브(1)와 접촉한다. 이 위치에서 단부(13)(13')는 제어브래킷(15)과 접촉하지 않는다. 선단부(12)(12')중 적어도 하나는 슬리브(1)와의 접촉에 따라 당해 슬리브(1)의 인접한 2개의 톱니(3)사이에 계지된다.
이 경우 3가지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선단부(12')가 2개의 톱니(3) 사이에 있고 다른 선단부(12)가 하나의 톱니(3) 위에 놓이게 되면 제3도에 도시한 예비잠금위치가 된다. 조향축을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극히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키면 잠금레버(9)(9')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실한 잠금위치에 오게된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겠으며 이것이 상기 3가지의 상황중 두번째 상황이다.
제3도의 위치에서 조향축을 반시계방향으로 작은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잠금레버(9)(9')는 중간위치에 오게 되고, 이 위치에서 각각의 선단부(12)(12')는 2개의 톱니(3)사이에 놓여서 인접한 2개의 톱니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중립위치가 세번째의 상황이면 통계적으로 볼 때 가장 발생빈도가 높다. 조향축(2)이 상기 중립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든지 회전하면, 선단부(12)(12')중 하나는 스프링(18)의 탄력을 극복하고 톱니(3)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그후 잠금장치는 a 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하여 제5도에 도시한 잠금위치로 된다.
조향축(2)이 a 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한 후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기 위치에 있어서, 각 잠금레버의 선단부(12)(12')는 톱니(3)의 뿌리부분에 놓여있게 된다. 이때 조향축(2)을 강제로 회전시키려하면 선단부(12)(12')중 어느 하나가 회전방향의 앞쪽에서 인접한 톱니(3)의 뿌리에 받쳐지게 된다. 이결과 잠금레버(9) 또는 (9')에 가해지는 힘은 원형단면부(11) 또는 (11')를 거쳐 크레들부(8) 또는 (8')에 전달된다. 이 힘은 모두 래치캐리어(7)에 전해지므로, 래치캐리어(7)는 이러한 힘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제조한다. 제어장치에 고정된 제어브래킷(15)에는 아무런 힘도 전달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단부(12)와 (12')간의 각도가 각도 a의 2배 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각도는 a 보다 약간 작아도 되고, a의 2이상의 정수배보다 약간 작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조향축이 확실한 잠금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회전할 수 있는 최대각도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상의 최소각도는 잠금는 잠금레버(9)(9')의 두께에 따라 제한을 받으며, 그 두께는 인접한 2개의 톱니간의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Claims (2)

  1. 조향축을 구비한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이중레버형 스티러일 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에 고정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대략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톱니와; 각각 첨예한 선단부를 가지는 2개의 잠금레버와; 크레들부가 형성된 고정래치 지지체와; 상기 각각의 잠금레버를 상기 각각의 크레들부에서 자유롭게 피붓운동하도록 상기 크레들부에 지지하여 상기 조향축과 평행하게 상기 래치지지체에 고정된 피붓축을 규정하는 피붓수단과; 협역부 및 광역부로 된 개구를 가지는 제어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첨예한 선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해당하는 잠금레버의 제2단부는, 상기 개구와 협동해서 상기 개구의 상기 협역물에 있을 때에는 서로를 향하여 바이어스 되고 상기 광역부에서 서는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어 브래킷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잠금레버의 첨예한 선단부간의 각도는 상기 잠금슬리브의 인접한 2개의 상기 톱니 사이의 각도 또는 그 각도의 정수배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제2단부사이에는 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제2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러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KR1019880016996A 1987-12-21 1988-12-20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KR970001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7808A FR2624811B1 (fr) 1987-12-21 1987-12-21 Antivol de direction a deux penes pivotants pour vehicules automobiles
FR8717808 1987-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692A KR890009692A (ko) 1989-08-03
KR970001749B1 true KR970001749B1 (ko) 1997-02-15

Family

ID=935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996A KR970001749B1 (ko) 1987-12-21 1988-12-20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84481A (ko)
JP (1) JP2566820B2 (ko)
KR (1) KR970001749B1 (ko)
DE (1) DE3841999C2 (ko)
ES (1) ES2011411A6 (ko)
FR (1) FR2624811B1 (ko)
GB (1) GB2214476B (ko)
IT (1) IT1235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494B1 (fr) * 1991-11-08 1997-08-29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antivol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19719343C1 (de) 1997-05-07 1998-10-01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9962587C2 (de) * 1999-12-23 2002-01-03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zum Verriegel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es
DE10344415A1 (de) * 2002-10-10 2004-04-22 U-Shin Ltd. Elektrisch betätigte Lenkradschlosseinrichtung
JP2004182177A (ja) * 2002-12-05 2004-07-02 Yuhshin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GB201121983D0 (en) 2011-12-21 2012-02-01 Trw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0007A (en) * 1917-12-03 1918-06-18 Curtis A Cloyed Crank attachment.
US1442003A (en) * 1920-05-22 1923-01-09 John W Rohrer Spring-pawl drive for stokers
US1516681A (en) * 1921-02-05 1924-11-25 Fenn H Palmer Antireversing pump head
US1868558A (en) * 1926-09-24 1932-07-26 Anderson Ida Tension device
US1767593A (en) * 1927-11-09 1930-06-24 Cutler Hammer Inc Clutch
FR681042A (fr) * 1929-03-09 1930-05-08 Dispositif anti-vol
DE2632908C3 (de) * 1976-07-21 1981-07-16 Kolb Gmbh & Co, 8065 Erdweg Kraftfahrzeug-Lenkschloß
US4267748A (en) * 1978-10-02 1981-05-19 Rite Hite Corporation Releasable lock mechanism
JPS5690127A (en) * 1979-12-25 1981-07-22 Pioneer Electronic Corp One-way rotation transferring mechanism
DE3213719C2 (de) * 1982-04-14 1984-08-23 Neiman GmbH, 5657 Haan Vorrichtung zum Sperren der Drehbewegung ein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3414277C2 (de) * 1984-04-14 1986-08-14 Neiman GmbH, 5657 Haan Lenkschloß für ein Kraftfahrzeug
US4881389A (en) * 1987-12-01 1989-11-21 Jose Alfon Anti-theft device for automobil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66820B2 (ja) 1996-12-25
GB2214476B (en) 1991-07-03
FR2624811A1 (fr) 1989-06-23
US4984481A (en) 1991-01-15
GB2214476A (en) 1989-09-06
FR2624811B1 (fr) 1990-04-06
ES2011411A6 (es) 1990-01-01
IT1235345B (it) 1992-06-30
JPH01223049A (ja) 1989-09-06
DE3841999C2 (de) 1997-07-17
GB8828664D0 (en) 1989-01-11
KR890009692A (ko) 1989-08-03
DE3841999A1 (de) 1989-06-29
IT8848686A0 (it) 198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0693B (zh) 转向装置
US3940958A (en) Steering lock for vehicles
US5678433A (en) Antitheft device for locking the steering wheel of any kind of vehicle
GB2228523A (en) A locking mechanism
US6539758B2 (en) Push-button steering wheel lock
EP0650874B1 (en) Steering lock device
US4302955A (en) Bicycle lock
KR970001749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스티어링 로크장치
US5211042A (en) Steering locking apparatus with tiltable steering mechanism
US2874562A (en) Motor vehicle steering wheel lock
US4505140A (en) Automobile security device for steering column ignition locks
US4792166A (en) Device for locking detachable roof in motor vehicle
US4632331A (en) Retractor assembly
EP0957015B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steering assembly
JP3298737B2 (ja) シリンダ錠装置のキーシリンダ自動復帰装置
US4917524A (en) Locking clip
US3400563A (en) Steering column lock
GB2078182A (en) Anti-theft device for the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GB2265126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KR900007652Y1 (ko) 자동차 도난방지용 핸드 브레이크
US3589154A (en) Antitheft lock key safety latching devices
JP2024062314A (ja) ディスクタンブラ型シリンダ錠
US1356511A (en) Steering-wheel lock
KR900001051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용 핸들
KR0134653B1 (ko) 차량용 도어로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