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25B1 - 작업기계 - Google Patents

작업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25B1
KR970001725B1 KR1019920006188A KR920006188A KR970001725B1 KR 970001725 B1 KR970001725 B1 KR 970001725B1 KR 1019920006188 A KR1019920006188 A KR 1019920006188A KR 920006188 A KR920006188 A KR 920006188A KR 970001725 B1 KR970001725 B1 KR 97000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work
cockpit
traveling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389A (ko
Inventor
마사히로 아끼바
시게오 마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인터나쇼날 리모오트 코오포레이숀
오오따 세쓰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인터나쇼날 리모오트 코오포레이숀, 오오따 세쓰조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인터나쇼날 리모오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93001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36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displaceable along a linear pa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4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with laterally or vertically adjustable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6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for moving on the underwater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업기계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얕은 수역용 작업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5도는 신축체의 횡단면도.
제6도는 신축체의 주요부분 종단 측면도.
제7도는 얕은 수역용 운반기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10도 (a)는 신축체의 주요부분 종단 평면도.
제10도 (b)는 신축체의 슬라이딩 부분 및 종단부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무한궤도 주행부가 폭방향으로 넓혀지는 곳을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상부 주행체에 갑판을 장착한 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사시도.
제13도는 얕은 수역용 운반기의 하대에 보조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의 사시도.
제14도 (a)는 그 측면도.
제14도 (b)는 보조부재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제15도(a),(b)는 얕은 수역용 작업기 및 운반기의 상부 주행체를 각기 지주에 따라 지지하였을 경우의 수역에서의 사용형태를 뜻한다.
제16도∼제18도는 작용 설명도.
제19도∼제20도는 얕은 수역용 운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
본 발명은 하천 등의 얕은 수역의 수저(水底)에 있어서, 준설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작업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육상과 하천등의 물밑의 양방을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기계는 알려져 있다.
이 작업기계는 예컨대 무한궤도차(caterpillar)를 포함하는 주행수단의 상방위치에 조종실을 구비하고 있어 이 조종실에서 조종자가 일정한 제어조작을 하여 삽(ahovel)을 포함하는 글삭수단 등을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조종실은 주행수단의 상방에 위치한다고 하지만 당해 조종실이 높이 위치가 비교적 낮은 것에 있어서는 일정수심이 있는 하천등에서의 작업을 할 수 없다.
그래서 조종실의 높이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검토되어 왔으나, 종래 알려져 있는 형의 것은 조종실의 높이를 변화시킬때에는 미리 그 지주(支柱)에 대하여 다른 길이의 것을 여러 종류 구비하여 두어 하천등의 깊이에 따라서 적절한 지주를 준비하여 적당히 교환하므로서 조종실의 높이를 변화시켰다.
또, 지주가 여러개의 원통관이 겹쳐서 신축하는 형의 것에서는 조종실을 외부로부터 들어올리는 등하여 신축하는 지주를 희망하는 높이위치에 설정하고, 보울트 너트 혹은 장착핀등으로 지주를 고정하는 형의 것이였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형의 것에서는 조종실을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위하여는 여러종류 준비한 지주를 하천등의 깊이에 따라서 교환하지 않으면 아니되나 그 교환작업은 조종실 및 엔진 등의 동력부를 포함하여 그 중량이 크므로 종업원에게 커다란 부담이 걸리게 된다.
나아가서 지주가 여러개의 관상부분으로 되어 이것들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형이였어도 그 지주 자신이 자동적으로 신축할 수 없은 형의 경우에는 육상작업용으로부터 물밑잡업용 혹은 반대로 물밑 작업용에서 육상작업용으로 적응하는 상태로 하기까지에 조종실 및 동력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기 위하여 조종실 및 엔진등이 동력부분을 다른 크레인등으로 들어올려서 그 지주를 고정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수고스러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종래형의 작업기계에 있어서는 조종실 및 동력부분과 함께 버킷(bucket)등을 구비한 작업영 부움(boom) 및 평형추(balance weight)등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밑 작업시에는 무게중심이 높아지게 되어 불안정한 상태로 되기 쉬운 결점도 있었다.
그런데 굴삭수단에 따라 굴삭된 준설할때의 자갈을 육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는 수상에 부상된 준설 자가 운반용의 작업선 등에 준설자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작업선을 착안시켜서 준설자갈을 배출하고 이다.
그러나 작업선에 의한 준설자갈의 운반작업에서는 준설자갈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작업선을 굴삭작업 현장 부근과 착안개소의 사이를 왕복하고 또한 착안개소로 부터 다시 다른 삽, 크레인등으로 준설자갈을 육상으로 배토(排土)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극히 좋지 않았다.
또, 물밑주행이 가능한 작업기계에 의한 준설토사의 운반작업에 대하여는 굴삭수단에 따라 굴삭한 준설토사를 하대에 배토할때라거나 그렇지 않으면 육에 준설토사를 운반할 때 등의 작업상태에 따라서 주행체의 방향전환을 할 필요가 있으나, 물밑에 있어서의 주행체의 방향전환은 물밑의 지형이나 하천의 유량 및 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곤란한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어, 작업효율이 대단히 나빠서 작업에 따른 위험도 많았다.
더우기 주행수단의 상부위치에 짐받이 수단이 조종실에 병셜되어 있는 작업기계인 경우, 당해 짐받이 수단에 적재되는 자갈등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작업기계 전체에 있어서의 일정한 무게중심위치가 변화하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등에 있어서의 수심이 비교적 기어도 조종실 영역을 수면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갈의 굴삭, 운반등 일정한 작업을 좋은 효율로 할 수 있는 작업기계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갈 등의 적재 중량의 변화에 따라서 무게 중심 위치의 변동을 극력 억제할 수 있는 작업기계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는 자주(自走)할 수 있는 하부 주행체와 이하부 주행체의 상방에 선회대를 개재하여 설치된 상부 주행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는 예컨대 무한궤도차의 회전구동에 따라 자주할 수 있는 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 주행체는 주행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조종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조종실은 비교적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수심이 깊은 하천에 있어서의 수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이 나타낸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계로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얕은 수역용 운반기(B)를 예시한다.
얕은 수역용 작업기(A)에 대하여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형을 이루는 주행기부(1)에는 그 폭 방향 양측에 주행수단으로서의 무한 궤도 주행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기부(1)에 장착된 주행용 액압모우터(Ma1)를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한궤도 주행부(2),(2)가 주행용 액압 모우터(Ma1)로 무한궤도차(2a),(2a)가 회전하여 주행한다.
그 양 무한궤도 주행부(2),(2)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에 있어서 적당히 이동하여 양 무한궤도 주행부(2),(2)의 서로 대향폭을 희망하는 폭으로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굴삭수단을 구성하는 작업용 부움(4)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의 부움용 액압실린더(s),(s),...가 절곡 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되었고, 이 부움용 액압실린더(s),(s),...로 작업용 부움(4)이 희망하는 상태로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A1)에는 선회대(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선회대(3)는 주행기부(1)의 수평면상을 회전하는 것으로 그 선회대(3) 위에 작업용 부움(4) 및 웨이트(5)가 설치되었고, 작업용 부움(4)은 부움회전지지대(4a)에 장착되어 있다.
선회대(3)는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기부(1)에 설치된 선회전용 모우터(Ma2)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조의 것으로 그 선회대(3)의 회전과 함께 작업용 부움(4) 및 웨이트(5)가 이동하는 구성이다.
신축체(C)는 신축부(6), 하부통형 지주(7) 및 정상부 통상관(8)으로 구성되었고, 또한 그 신축부(6)는 외형치수가 약간 다른 여러개의 통상관(6a),(6a),...으로 구성되었고, 그 하나의 통상관(6a)이 다른 편의 통상관(6a) 내에 삽입 또한 겹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기는 각각의 통상관(6a),(6a),...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을 대략 일치시켜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어 신축이 자유롭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각각의 통상관(6a),(6a),...은 그 한쪽의 다른쪽내에 삽입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즈가 다른 각각의 통사관(6a),(6b),...이 겹쳐서 여러개의 통상관(6a),(6b),...이 텔레스코피크(telescopic)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 낼 수 있게 되어, 여러개의 통상관 (6a),(6b),...으로 되는 신축부(6)가 선회대(3) 위에 굳게 설치된 하부 통상지주(7)내에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신축부(6)를 구성하는 통상관(6a),(6b),... 및 하부통형 지주(7), 정상 부통상관(8)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4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하부통형지주(7)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겹쳐진 통상관(6a),(6b),...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최대 사이즈의 통상관(6a) 보다 외형치수가 약간 크며, 또 여러개의 통상관(6a),(6b),...중에서 최고부에 밀어내는 통상관(6a)의 정상부에는 정상부 통상관(8)이 장착되어 있다.
그 정상부 통상관(8)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4각형상의 덮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여러개의 통상관(6a),(6b),... 및 하부 통형 지주(7)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에서 덮어가리울 수 있는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체(C)에 제10도(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6)에 있어서, 각각의 통상관(6a)의 하단 외측면의 각변에 잇따라서 띠판상의 슬라이딩 부분(9)이 굳게 부착되었고, 또 상단내측면에는 종단부(10)가 굳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부분(9)은 베이스(9b)의 면위에 테플론(teflon) 가공 등의 표면이 윤활면이 되도록 가공을 한 슬라이딩 부품(9a)이 굳게 부착된 것이며 신축부(6)의 신축작동시에 있어서 겹쳐진 상태에서 인접하고 있는 통상관(6a),(6a)이 직접으로 접촉하여 마찰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인접하여 겹치는 통상관(6a),(6a)사이의 슬라이딩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또, 종단부(10)는 하부 통상지주(7)의 상단부분의 내면 각부 개소에도 굳게 부착되어 있고 제6도 및 제10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6)의 통상관(6a),(6b),... 및 하부통형 지주(7)가 서로 슬라이딩부(9)와 종단부(10)에 맞닿아서 신축부(6)가 하부통형지주(7)에서 벗어난다거나 신축부(6)의 통상관(6a),(6b),...이 지나치게 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종단부(10)의 실시예로서는 슬라이딩 부분(9)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10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b)위에 슬라이딩 부품(10a)이 굳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분(9), 종단부(10)에 따라 마찰흡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신축부(6)의 통상관(6a),(6b),...의 내부에는 신축용 액압실린더(11)가 장착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3도∼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신축용 액압실린더(11)가 통상관(6a),(6b),... 및 하부통형 지주(7)내를 관통하여 신축용 액압 실린더(11)의 고정단이 하부 주행체(A1)의 선회대(3) 위에 굳게 설치되어 신축용 액압 실린더(11)의 자유상단이 정상부 통상관(8)이 굳게 설치되어 있고, 그 신축용 액압실린더(11)가 신축함에 따라 신축체(C)가 신축한다.
정상부 통상관(8)에는 조종실(12) 및 동력부(13) 등의 상부 주형체(A2)가 구비되어 있어 신축체(C)가 상방으로 뻗을때에는 정상부 통상관(8)에 고정된 상부 주행체(A2)만이 하부 주행체(A1)의 선회대(3)보다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주행체(A2)는 조종실(12) 및 다이젤 또는 가솔린 엔진 등에 의한 동력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종실(12)로부터 주행용 앱압모우터(Ma1), 부움용 액압실린더(s)의 동작제어를 자유로히 조작할 수 있어 하부주행체(A1)를 희망하는 속도로 주행시킨다거나, 작업용 부움(4)를 희망하는 작업상태로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13)는 액압펌프를 개재하여 주행용 액압모우터(Ma1), 부움용 액압실린더(s), 신축용 액압 실린더(11)등에 기름 등의 유체를 보내는 능률을 다하고 있다.
또, 작업용 부움(4) 및 웨이트(5)는 하부 주행체(A1)의 선회대(3)에 굳게 설치되어 있고, 신축제(C)의 뻗은 상태에서는 상부 주행체(A2) 면이 상승하여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며, 작업용 부움(4)과 웨이트(5)는 선회대(3)와 동등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고, 얕은 수역용 작업기(A) 전체의 무게중심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작업용 부움(4)은 하부주행체(A1)의 선회대(3) 위에 굳게 설치되어 상부주행체(A2)와 같이 상승하는 일이 없고 낮은 위치에서 굴삭작업을 할 수 없고 낮은 위치에서 굴삭작업을 할 수 있고 육상에 있어서와 대략 마찬가지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주행체(A2)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갑판(deck)(14)이 장착되는 경우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부주행체(A2)의 동력부(13) 위에 장착되어 있고, 제13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주행체(A2)와 함께 수상에 위치하여 작업원이 작업에 관한 행동 및 긴급피난때 등에 사용된다.
다음에,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기부(15)와 선회대(17)로 이루어지는 하부주행체(B1)와 조종실(19) 등을 구비한 상부주행체(B2)와 신축이 자유로운 신축체(C)로 되는 것으로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에 있어서의 하부 주행체(A1) 및 상부주행체(A2)와 대략 동등한 구조이고, 신축체(C)는 공통이다.
다음에 하부주행체(B1)는 자주형의 것이며, 제7도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용의 동력을 지닌 주행기부(15)의 폭방향 양측에 무한궤도 주행부(16),(16)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기부(15)에 내장된 유압모우터 등의 주행용 액압모우터(Mb1)로 무한궤도 주행부(16),(16)의 무한궤도차(16a),(16a)가 회전하여 주행한다.
무한궤도 주행부(16),(16)도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폭을 희망하는 폭으로 할 수 있다(제11도 참조).
선회대(17)는 주행기부(15)의 수평면상을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선회대(17) 위는 선회전용 모우터(Mb2)에 의하여 선희하는 구조의 것이며,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대(17) 상의 짐받이 수단으로서의 상자형의 하대(18) 및 상부주행체(B2)가 선회대(17)의 선희와 함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하대(18)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대 경사장치(18d)에 따라 후부단에 피벗위치(18a)를 받침점으로 하여 경사동작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에 따라서 하대(18)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준설토사를 육상에서 용이하게 배토할 수 있다.
하대(18)는 그 후부에 짐받침부(18b)와 배토뚜껑(18c)으로 되었고,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대(18)가 경사짐에 따라 배토뚜껑(18c)이 열려서 준설 토사가 배토된다.
하대(18)에는 제13도,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측판(22)이 필요에 따라서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하대(18)의 측판상단에 부착용 플랜지판(23),(23)이 또 보조측판(22)에는 보조플랜지판(24),(24)이 형성되어, 그 부착용 플랜지판(23),(23)과 보조플랜지판(24),(24)이 맞닿게 되어 제14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대(18) 위에 재치하고, 제14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울트, 너트 등의 고정 부착구(25)로 굳게 부착된다.
신축제(C)는 전술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동일한 구조이며, 이 신축제(C)에 따라서 상부주행체(B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나, 구체적으로는 신축체(C)를 구성하는 정상부통상관(8)에 상부주행체(B2)가 장착되어 있어, 제7도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체(C)가 상방으로 뻗을때에는 정상부통상관(8)에 고정된 상부주행체(B2)만이 하부주행체(A1)의 선회대(17)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상부주행체(B2)에는 조종실(19) 및 디이젤 또는 가솔린 엔진등에 의한 동력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조종실(19)로부터 주행용 액압모우터(Mb1)에 의한 속도제어, 혹은 양 무한궤도 주행부(16),(16)의 폭방향의 간격을 적당히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제어를 자유로히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하대(18)를 하대 경사장치(18d)로 경사지게 하여 배토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20)는 액압펌프를 개재하여 주행용 액압모우터(Mb1), 신축용 액압실린더(11) 등에 기름 드으이 유체를 보내는 일을 다하고 있다.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있어서, 상부주행체(A2),(B2)는 전술한 신축체(C)에 따라 각기 승강동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신축체(C)의 대신에 지지지주(21)가 사용되는 실시예가 존재한다.
이 지지지주(21)는 미리 특정한 길이를 지닌 것으로서 하천의 깊이에 따라서 상부주행체(A2),(B2)가 물위에 나오는 것과 같은 높이의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것이 한개가 사용된다거나 하천이 특히 깊을 경우에는 여러개의 지지지주(21),(21),...를 연결하여 사용된다(15도(a),(b) 참조).
또,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상부주행체(B2)에도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마찬가지로 갑판(14)이 장착되는 경우도 있고, 제15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주행체(B2)와 함께 물위에 위치하여 작업원이 작업에 관한 행동 및 긴급피난의 때 등에 사용되어 구체적으로는 동력부(20) 위에 장착되어 있고, 작업원에 관한 행동 및 긴급피난의 때등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얕은 수역용 운반기(B) 등에 따라 하천등의 물밑 굴삭 및 준설토사의 육상에의 운반을 하는 것으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하여 제1도, 제16도∼제18도에서 설명하면, 우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지(L)에는 방사장(stock yard)(Y)가 설치되었고, 제16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가 동시에 육지(L)에서 하천(R)내로 물매(slope)를 이용하여 냇가밑으로 이동한다.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는 신축체(C)를 구비하고 이는 경우에는 제16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R)의 깊이에 따라서 신축체(C)를 신장하면서 상부주해체(A2) 및 상부 주행체(B2)를 물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 신축체(C) 대신에 지지지주(2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천의 깊이에 따라서 대응하는 지지지주(21)를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장착하여 상부주행체(A2),(B2)가 물위에 위치하도록 하여둔다.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제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행을 정지시켜 얕은 수역용 작업기(A)로 물밑의 굴삭작업을 개시하여 제17도(b)의 점선부분에 나타내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굴삭작업에 따라 준설토사를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대(18)에 토사한다.
여기에서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선회대(17)가 구비되어 있는 형의 것에서는 제17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주행체(B1)의 선회대(17)만을 선회하게 하므로서 상부주행체(B2)와 하대(18)의 위치가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얕은 수역용 운반기(B)는 얕은 수역용 작업기(A)의 후방에서 선회대(17)를 선회시키므로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의 작업용 부움(4)이 하대(18)에 배토하기 상태로 할수 있고 얕은 수역용 작업기(A)로부터의 준설토사의 배토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대(18)내에 준설토사가 가득차게 되면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얕은 수역용 운반기(B)만을 육지(L)에 이동시켜, 방사장치(Y)(제1도 참조)에 준설토사를 배토하고 재차 얕은수역용 작업기(A)의 개소까지 이동하여 이것을 적당히 반복하여 준설작업을 한다.
다음에 실시예 이외의 실시예를 제19도, 제20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있어서 무게중심변화를 극력억제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대(18)는 선회대(17)의 상면에 상대 위치만 가이드(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것을 가이드(30)의 도면중 왼쪽에는 이 가이드(30)에 잇따라서 진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체(3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이동체(31)는 가이드 레일(30),(30) 사이에 설치되 액압실린더(32)의 자유단에 연결되어, 이 실린더(32)에 따라서 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체(31)에는 상부주행체(B2)가 지지되었고, 이 상부주행체(B2)는 하대(18)에의 적재량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이 이동에 따라 적재량의 증가에 따르는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무게 중심변화를 극력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가이드(30), 이동체(31) 및 실린더(32)에 따라 상대이동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자주용의 주행(A1)에 작업용 부움(4)을 설치하고, 하부주행체(A1) 상방에는 신축체(C) 또는 지지지주(21)를 개재하여 상부주행체(A2)를 설치하고, 상부주행체(A2)로부터 하부 주행체(A1), 및 작업용 부움(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하부 주행체(B1)에 하대(18)를 설치하고, 신축제(C)또는 지지지주(21)를 개재하여 상부주행체(B2)를 설치하고, 이 상부 주행체(B2)에서 하부주행체(B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얕은 수역용 운반기(B) 등으로 준설토사의 굴삭 및 운반작업을 함에 따라, 우선 첫째로 하천등의 물밑에 있어서의 준설작업을 극히 좋은 효율로 할 수 있고, 둘째로 준설작업에 있어서의 설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셋째로 준설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성취하였다.
전술한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얕은 수역용 작업기(A)는 물밑의 굴삭할 수 있는 작업용 부움(4)을 구비하고 있고, 한편의 얕은 수역용 운반기(B)는 하대(18)을 구비하고 있어,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얕은 수역용 운반기(B)로 조합하여 동시에 사용하므로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의 작업용 부움(4)에 따라서 굴삭된 준설토사를 즉시에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대(18)에 배토할 수 있어, 준설토사가 가득한 얕은 수역용 운반기(B)는 그대로 육지(L)에 이동하여 배토하는 극히 효율적인 작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라 함은, 신축체(C) 또는 지지지주(21)에 따라 상부주행체(A2),(B2)가 물위에 위치하여, 각기 하부 주행체(A1),(B1)을 주행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원도 육지작업과 대략 마찬가지로 작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준설작업에서는 예컨대 물위에 준설토사를 저장할 수 있는 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부움으로 준설토사를 물위까지 끌어올려서 선상에 배토하지 않으면 아니되어 작업시간의 낭비가 많을 뿐 아니라 그 도중에서 준설토사를 흘리는 등의 불리한 일도 있고, 나아가서 또 준설토사를 가득 채운 배가 착안하면 별도의 크레인으로 육지에 배토하므로 극히 작업공정이 많아지게 되어 작업시간의 낭비가 증가 하는 등이 불리한 점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불리한 점을 본 발명에 따라 무다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는 얕은 수역용 작업기(A)와 얕은 수역용 운반기(B) 만으로 준설작업에 있어서의 굴삭 및 준설토사 반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굴삭기 이외에 준설토사 저장용의 배가 착안할 수 있는 장소의 확보 및 설비가 필요하였고, 또한 준설토사를 육지(L)에 이동하는 크레인이 필요하였는데, 이러한 점으로부터 비교하더라도 본 발명이 신속하게 준설공사를 개시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경비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이점도 있다.
또, 얕은 수역용 작업기(A)의 상부주행체(A2)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상부 주행체(B2)는 물위에 위치하고 있으나,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대(18)는 항상 물밑부근에 위치하여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낮은 위치에서 준설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얕은 수역용 작업기 (A), 얕은 수역용 운반기(B)도 항상 낮은 무게중심의 위치를 확보하게 되어 안정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고 얕은 수역용 작업기(A), 얕은 수역용 운반기(B) 모두 잘 뒤집혀지지 않아서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얕은 수역용 작업기(A)의 하부주행체(A1)와 상부주행체(A2), 그렇지 않으면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부주행체(B1)와 상부주행체(B2)는 신축체(C)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부주행체(A2),(B2)가 승강이 자유롭게 되어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가 하천안으로 들어 갈때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체(C)를 상방으로 뻗게 하므로서 상부주행체(A2),(B2)를 물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 얕은 수역용 작업기(A) 및 얕은 수역용 운반기(B)가 육지의 되돌아올때에는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뻗은 상태의 신축체(C)를 위축함에 따라 상부주행체(A2),(B2)를 각기 하부주행체(A1),(B1)의 바로 위개소까지 강하시킴에 따라 육지(L)에 있어서도 일반과 동등한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얕은 수역용 운반기(B)의 하부주행체(B1)의 선회대(17) 위에 하대(18)를 설치 하였음에 따라 물밑작업에 있어서, 선회대(17)를 하부주행체(B1) 위에서 선회하게 함에 따라 하대(18) 및 상부주행체(B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물밑의 지형이 극히 열악하여 하부주행체(B1)의 무한궤도 주행부(16),(16)에서 방향변환등이 곤란할 경우에 극히 유리하게 또한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얕은 수역용 운반기(B)에 상대이동수단을 설치하여 상부주행체(B2)가 하대(18)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하대(18)로의 토사등 적재량의 증가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를 극력 억제할 수 있고 주해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신축체(C)는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4각형이기 때문에 전단(shear) 특성에 뛰어나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액압실린더(11)의 강도 보완에 극히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신축체의 횡단면형상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예컨대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저지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체(C)는 각 통상관(6a)에 미찰 흡수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한 움직임을 얻을 수 있고 각통상관(6a)의 손상등도 유효하게 회피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 무한 궤도 주행부(2),(16)는 서로 대향폭이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물밑이 연약한 지반인 경우 등에서는 최대폭으로 하므로서 안정한 주행, 굴삭작업을 할 수 있다.
더우기,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수중 카메라 등을 도해에서 생략하였으나 하부주행체(A1),(B1)의 주위 혹은 부움 부분에 적당한 수중 카메라를 부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물밑형상을 조종실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주행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부 주행체(B2)를 하대(18)에 대하여 주행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마찬가지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Claims (18)

  1. 육상 및 하천 등을 주행하여 하천의 자갈채굴 등에 적합한 작업기에 있어서 일정한 주행수단을 구비한 기부와, 이 기부의 상방에 설치된 선회대를 포함하는 자주할 수 있는 하부주행체와, 상기 주행수단의 조종실, 동력부를 포함하는 상부주행체, 이 상부주행체는 선회대의 상면측에 신축체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천의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신축체는 액압실린더의 피스톤 막대의 진퇴에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작업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체는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작업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신축체는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폭방향 치수의 상이 한 여러개의 통상관의 중합체로 구성되었고, 각 통상관이 서로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서 테레스코피크(telescopic)하게 신축하는 작업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각 통상관의 중합면 부분에는 마찰 흡수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작업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마찰 흡수수단은 각 통상관의 상하부분에 고정된 기부와 이 기부에 지지된 표면에 매끄러운 재료로 된 슬라이딩 부품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주행수단은 한쌍의 무한궤도차를 포함하고 이것들 무한궤도차의 서로 대향폭은 가변되게 설치되어 있는 작업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무한궤도차의 서로 대향폭은 조종실에서 제어되는 작업기계.
  8. 육상 및 하천 등을 주행하여 하천의 자갈채굴 등에 적합한 작업기계에 있어서, 일정한 주행수단을 구비한 기부와 이 기부의 상방에 설치된 선회대를 포함하는 자주할 수 있는 하부주행체, 상기 주행수단의 조종실, 동력부를 포함하는 상부주행체, 이 상부주행체는 선회대의 상면측에 신축체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천의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신축체는 액압실린더의 피스톤 막대의 진퇴에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선회대의 상면측 위치에서 상부 주행체에 병설된 굴삭 또는 짐받이수단을 가진 작업기계.
  9. 제8하에 있어서, 굴삭수단은 선단에 삽을 구비한 굴곡할 수 있는 부움으로 구성되었고, 이부움은 액압실린더에 따라 굴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업기계.
  10. 제8항에 있어서, 짐받이 수단은 상방이 개방한 상자형의 하대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하대는 경사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작업기계.
  11. 제10항에 있어서, 경사는 액압실린더를 개재하여 가능하게 되었고, 이 액압실린더의 고정단측은 선회대의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자유단측은 하대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기계.
  12. 자주할 수 있는 하부주행체에 조종실을 포함하는 상부주행체를 지주 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체를 개재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 주행체의 근방에 작업용 부움이 병설된 제1작업기계와 자주 할 수 있는 하부주행체에 조종실을 포함하는 상부주행체를 지주 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체를 개재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주행체의 근방에 짐받이수단이 병설된 제2작업기계와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작업기계가 서로 협동하여 준설자갈의 굴삭 및 운반을 하는 작업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작업기계는 상부주행체를 짐받이 수단에 대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상대 이동 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선회대의 상면측에 고정된 가이드와 이 가이드를 잇따라서 진퇴할 수 있게 지지된 이동체와 이 이동체를 진퇴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였고, 상부주행체는 이동체상에 지지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하부주행체의 주행방향에 잇따라서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따라 구성되었고, 이가이드레일의 상면측에 짐받이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실린더는 당해 실린더의 자유단이 이동체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실리더는 조종실에서 제어할 수 있는 액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신축체는 폭방향치수가 다른 여러개의 통상관과, 이 통상관의 안쪽으로 배치된 액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이 액압실린더의 자유단이 최상위에 구멍을 통하여 위로 밀어내는 통상관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시스템.
KR1019920006188A 1991-12-26 1992-04-14 작업기계 KR970001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56813 1991-12-26
JP3356813A JPH07113223B2 (ja) 1991-12-26 1991-12-26 浅水域用作業機
JP92-38318 1992-01-30
JP92-38317 199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389A KR930013389A (ko) 1993-07-21
KR970001725B1 true KR970001725B1 (ko) 1997-02-14

Family

ID=1845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188A KR970001725B1 (ko) 1991-12-26 1992-04-14 작업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13223B2 (ko)
KR (1) KR970001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29B1 (ko) * 2007-01-25 2009-10-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5554A (zh) * 2017-11-08 2018-02-06 贵州大学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金融证券交易机
KR102022805B1 (ko) * 2018-07-30 2019-09-18 최광선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KR102081031B1 (ko) * 2019-09-09 2020-02-24 최광선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CN114684282B (zh) * 2022-04-12 2024-03-01 河南省科学院地理研究所 一种湿地生态监测辅助行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03Y2 (ko) * 1971-09-10 1976-04-01
JPS60160282U (ja) * 1984-04-04 1985-10-24 日立建機株式会社 クロ−ラ式建設機械の下部走行体
JPS61128278U (ko) * 1985-01-30 1986-08-12
JPS6244965U (ko) * 1985-05-10 1987-03-18
JP3117103U (ja) * 2005-09-27 2006-01-05 合世生醫科技股▲分▼有限公司 微量で見本抽出可能な電気化学生物試験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29B1 (ko) * 2007-01-25 2009-10-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79673A (ja) 1993-07-20
JPH07113223B2 (ja) 1995-12-06
KR930013389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5343A (en) Rotary drilling machine
US5199193A (en) Working machine
US11352763B2 (en) Amphibious platform vehicle-vessel
US3042234A (en) Material moving and placing apparatus
KR970001725B1 (ko) 작업기계
US4887371A (en) Dredges
US3003649A (en) Turntable structure for hydraulic digging machines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JP7082912B2 (ja) ダム浚渫方法
US4265036A (en) Bucket dredging and conveying system
CN214497667U (zh) 一种挖掘机铁路敞车行走装卸用抬高结构
JP2766749B2 (ja) 浅水域用掘削及び運搬システム
US3118419A (en) Auto track laying and amphibious vehicle
JP7107767B2 (ja) 浚渫ステーションおよび浚渫システム
JP4080226B2 (ja) 移動式桟橋
KR101182281B1 (ko) 조립식 준설선
US5527144A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railroad cars
JP3389422B2 (ja) 泥状地盤用搬送機およびボーリング装置の泥状地盤用搬送機
CN106120884B (zh) 链式深度可调挖斗组件
RU2085408C1 (ru) Амфибия гусеничного типа с землерой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SU881219A1 (ru) Траншеезасыпатель
JP3104647B2 (ja) 作業機の給排液用集中パネル
JPH05209420A (ja) 浅水域用運搬機
EP2512841A1 (en) Transportation and working platform arrangement
JP2518641B2 (ja) 鋼製立坑筒体の反復回動押下沈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