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529B1 -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3529B1 KR100923529B1 KR1020070057933A KR20070057933A KR100923529B1 KR 100923529 B1 KR100923529 B1 KR 100923529B1 KR 1020070057933 A KR1020070057933 A KR 1020070057933A KR 20070057933 A KR20070057933 A KR 20070057933A KR 100923529 B1 KR100923529 B1 KR 100923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aquatic
- dredging
- composition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이다. 본 발명은 수생지(10) 내의 물을 배수시키고 준설지(11)와 조성지(13)를 조성할 준비를 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수생지(10) 내에 준설지(11)와 조성지(13)를 구분하는 구획부(30)를 시공하고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를 상기 조성지(13)로 옮기는 준설지 및 조성지 시공단계와, 상기 조성지에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수생식물 식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질오염의 근원인 침적토를 제거하고 준설된 침적토를 활용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자연친화적이며, 고사한 수생식물을 제거하여 장기적인 수질개선효과가 있다.
준설지, 조성지, 구획부, 수생식물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수생지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에 사용되는 구획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에 사용되는 수생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인 식재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에 사용되는 연이 식재된 상태를 보인 식재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에 사용되는 연의 식재방법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7은 고사한 연의 시간경과에 따른 COD 용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고사한 연의 시간경과에 따른 T-P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고사한 연의 시간경과에 따른 전도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고사한 연의 시간경과에 따른 색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생지 11: 준설지
13: 조성지 15: 상수원
17: 통로 21: 순환수로
23: 어소 30: 구획부
31; 지지대 33: 연결대
35: 철선 37: 로프
39: 부직포
본 발명은 수질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 등의 침적토를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수질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수나 하천과 같은 수생지의 침적토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침적토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 수생지의 오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수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거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침적토에 축적되어 있던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등이 용출되어 수질오염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생지의 침적토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자연정화법, 수중폭기법, 표면피복법, 영양염류 비활성화법 등이 제기되었다.
자연정화법이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자연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하상에 쌓 여있는 유기물과 질소성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나 인성분의 제거에는 크게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수중폭기법이란 수생지의 내부에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연직순환으로 저층수의 산소고갈을 막는 방법으로서 처리공정 및 시설이 간단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으나 수역 특성에 따라 효과가 적거나 악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표면피복법이란 오염된 침적토를 피복재나 양질의 토사를 사용하여 피복하여 오염물질이 용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시공과정이 간단하나 부상한 피복재에 의한 2차 오염가능성이 크고 피복과정에서 수질환경에 역효과를 미칠 가능성이 있다.
영양염류 불활성화법이란 영양염류를 고화제를 이용하여 불활성화함으로써 침적토에서의 영양염류의 용출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처리효과가 빠르고 처리과정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항만시설이 있는 호소에서는 처리가 어렵고 퇴적물의 재혐기화시 공침상태의 영양염류가 일시에 재용출되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수생지 내의 침적토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정화를 하는 것이므로 궁극적인 오염원인 침적토는 그대로 남아 차후 2차 오염의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달리 수생지 내의 침적토를 준설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침적토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질정화를 하더라도 궁극적인 오염원 인 침적토가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수생지의 수질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생지의 궁극적인 오염원인 침적토를 준설하여 준설된 침적토를 다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된 수생지의 수질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은 수생지 내의 물을 배수시키고 준설지와 조성지를 조성할 준비를 하는 준비단계; 상기 수생지 내에 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시공하고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준설하여 상기 조성지에 적치시키는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 상기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에 의해 조성된 상기 조성지에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수생식물 식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는;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상기 조성지로 옮기는 침적토 준설단계; 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를 조성하는 구획부 조성단계; 상기 준설지 및 상기 조성지에 적치된 침적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획부 조성단계는 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의 경계선에 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는 지지대설치단계; 상기 지지대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지지대가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대를 설치하는 연결대 설치단계; 상기 연결대 설치단계에 의해 연결된 연결대의 일면에 상기 조성지에 적치된 침적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직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준비단계에는 상기 수생지 내의 물이 잘 배수되도록 배수로를 설치하는 배수로 설치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준비단계에는 상기 수생지 내의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생지 밖으로 강제배수시키는 강제배수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토 준설단계에는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준설하기 위한 공사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로를 개설하는 진입로 개설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토 운반단계에서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퇴적심도 25cm이상 40cm 이하가 되도록 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토 운반단계에는 상기 조성지로 옮기고 남은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상기 수생지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하는 침적토 처리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적토 운반단계에는 상기 수생지의 소정지점에 순환수로 및 어소를 조성하는 순환수로 및 어소 조성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리단계에는 상기 침적토가 준설된 상기 준설지에 자갈을 포설하 는 자갈포설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재단계에서 식재되는 수생식물은 연, 꽃창포, 큰 고랭이, 부들, 택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생식물 식재단계에는 상기 수생식물이 고사하기 전에 상기 수생식물을 상기 조성지에서 제거하는 수생식물 제거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에 의하면 수질오염의 근원인 침적토를 제거하고 준설된 침적토를 활용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자연친화적이며, 고사한 수생식물을 제거하여 장기적인 수질개선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생지(10)의 저면에는 유류의 흐름에 의해 침적토가 장기간동안 퇴적되어 있다. 이러한 수생지(10)의 침적토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침적토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등이 수중의 산소농도가 저하되거나 수온이 상승하는 경우 용출되어 수질오염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궁극적인 수질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생지(10)의 침적토를 준설해야 한다.
도 1에는 수질정화의 대상이 되는 수생지(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생지(10)는 호수, 연못, 늪 또는 하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생지(10) 저면의 침적토를 준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침적토를 준설하기 위한 준비단계가 실시된다.
침적토를 준설하기 위해서는 수생지(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배수해야 한다. 상기 수생지(10)는 침적토가 준설되는 준설지(11)와 상기 준설지(11)에서 준설 된 침적토가 적치되는 조성지(13)로 구분된다. 상기 수생지(1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서는 상수원(15)에서 상기 수생지(10)로 유입되는 통로(17)를 차단하고 상기 수생지(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자연배수시킨다.
상기 수생지(10)의 물을 자연배수시키기 위해서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물을 상기 수생지(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생지(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자연배수시키는 과정에서, 또는 자연배수시킨 이후에 슬러지펌프 또는 수중펌프 등을 이용하여 물을 강제배수하는 과정이 실시된다. 이는 자연배수로 인해 배수되지 않는 잔여수를 배수하거나 배수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생지(10) 내의 물이 모두 배수된 이후에는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를 상기 조성지(13)로 적치시키는 준설지 및 조성지 시공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준설지(11) 및 조성지(13)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공사장비가 유입되기 위한 진입로를 개설해야 한다.
상기 진입로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입로가 개설될 상기 준설지(11) 부지에 로더를 투입하여 침적토를 준설한다. 그리고 침적토가 일부 준설된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에 천막지를 씌운다. 그리고 덤프트럭과 굴삭기를 이용하여 상기 천막지의 상면에 토사를 투입하여 진입로를 개설한다. 상기 천막지의 상면에 토사를 투입하므로 토사가 상기 준설지(11)에 침입하지 않는다.
상기 진입로가 개설되면 상기 진입로의 입구에 세륜장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세륜장은 외부의 토사를 상기 준설지(11) 내부에 인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 으로 기초토목공사가 필요없는 일체형 세륜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입로 및 세륜장은 선택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가 많지 않거나 준설이 용이한 경우에는 진입로 및 세륜장이 개설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준설지(11) 및 조성지(13)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진입로 및 세륜장이 시공되면 상기 진입로를 통해 공사장비를 투입하여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를 상기 조성지(13)로 옮기는 침적토 준설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공사장비는 무한궤도식 불도저 및 굴삭기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를 준설하여 상기 조성지(13)가 조성될 부지로 침적토를 적치한다.
부영양화와 관련 깊은 T-P의 경우 퇴적심도 40cm까지 수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준설지(11)에서 준설될 침적토의 양은 퇴적심도 40cm까지 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적토의 표면에서 퇴적심도 25cm까지는 부영양화 요소가 고농도로 존재하므로 최소한 퇴적심도 25cm까지는 준설해야 한다. 또한 준설지(11)에서 준설될 침적토양은 침적토의 심도측정기를 통하여 소구역 당 심도와 면적의 곱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준설지(11)에서 침적토를 준설할 때 상기 준설지 내부에 순환수로(21) 및 어소(23)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로(21)는 상기 상수원(15)에서 유입되는 유수가, 도 1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준설지(11)를 순환한 뒤에 유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적토가 쌓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순환수로(21)는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에서 더 함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순환수로(21)를 따라 유수가 순환한다.
상기 어소(23)도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에서 더 함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어소(23)는 동절기에 어류의 피신장소가 되며 수온상승을 억제하며 오탁물이 저류로 흐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준설지(11)에서 준설된 침적토의 양이 상기 조성지(13)를 조성하기 위한 양을 초과하는 경우 나머지 침적토를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외부로 반출된 침적토는 폐기물 관리법에 의해 매립하거나 건조시켜 객토제로 활용할 수 있고 별도로 건설자재의 원료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가 모두 준설되어 상기 조성지(13)에 적치되면 구획부 조성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구획부 조성단계에서는 상기 준설지(11)와 상기 조성지(13)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30)를 시공한다. 상기 구획부(30)는 목책 또는 석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구획부(30)의 일실시예로 목책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획부(30)에는 먼저 상기 준설지(11)와 조성지(13)의 경계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대(31)를 세워서 박는다. 상기 지지대(31)는 말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길이(h2)가 상기 지지대(31)의 돌출길이(h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1)가 세워지면 상기 지지대(3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33)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대(33)는 상기 지지대(31)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31)와 동일한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33)는 철선(35)과 못에 의해 상기 지지대(31)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대(33)는 로프(37)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로프(37)는 마닐라로프 등이 사용되며 상기 로프(37)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대(33)를 서로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대(31)과 연결대(33)가 서로 고정되면 상기 연결대(33)의 일면에 부직포(39)를 시공한다. 상기 부직포(39)는 상기 조성지(13)에 적치된 침적토가 상기 준설지(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직포(39)의 방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부직포(39)에 별도로 비닐재를 덧대어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획부(30)가 시공되며 상기 구획부(30)는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를 준설한 이후에 실시될 수도 있고 침적토를 준설함과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30)를 조성하는 지지대(31) 및 연결대(33)는 수생지(10) 주변의 목재를 사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준설지(11)의 침적토가 모두 준설되고 상기 준설지(11)와 조성지(13)의 경계면에 구획부(30)가 시공되면 상기 준설지(11)와 조성지(13)의 표면을 정리한다.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이 모두 정리되면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에 자갈을 포설한다. 상기 자갈은 상기 준설지(11)의 표면에 남아있는 부유물질이 상부로 부유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수생지(10) 바닥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준설지(11)에 자갈이 포설되면 수생지(10)의 주변을 정리하고 수생지(10)에 설치되었던 진입로 및 세륜기를 철거하여 원상복귀를 시킨다.
상기 준설지(11)와 조성지(13)가 조성되면 상기 조성지(13)에 수생식물을 식 재한다. 상기 준설지(11)에서 준설된 침적토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생식물을 생존시킬 수 있는 비료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시료는 2개의 연못의 침적토에서 채취한 시료이다.
따라서 상기 준설지(11)에서 준설된 침적토는 수생식물을 생장시키기에 적합하고 상기 조성지(13)에 식재될 수생식물로는 연, 꽃창포, 큰 고랭이, 부들, 택사 등이 해당된다.
도 4에는 일반적인 수생식물의 식재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수생식물 중 연의 식재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생식물은 상호 간격이 300~400m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식재해야 수생식물의 생장이 서로 방해받지 않는다. 그리고 연의 경우 땅속줄기 식물로서 상호 간격이 1000mm 정도가 되어야 생장이 방해받지 않는다. 상기 연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연을 잡고 침적토에 비스듬히 삽입시켜 식재하여야 한다.
상기 수생식물들은 침수성 식물로서 침적토에 뿌리를 활착시키고 유기물질과 같은 영양성분을 섭취한다. 따라서 상기 수생식물이 침적토의 유기물질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수생지(10)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오염원을 점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생식물의 경우 동절기에는 고사하여 수생지(10)의 수질을 정화하지 못하며 상기 수생식물의 고사로 인해 수질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수생식물의 일종인 연의 고사로 인한 실험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에 대한 실험은 고사한 연의 잎과 가지를 각각 10g씩 순수한 물 1L에 물리적으로 용출시켜 용출량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연에 의한 수질오염물질의 오염부하량은 아래에 기재된 표 2에 나타난다.
상기의 표 2와 도 8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총용출량, COD, T-P, 전도도, 색도에 있어서 고사한 연의 가지보다는 잎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사한 연의 잎은 수질악화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동절기가 도래하여 고사하기 전인 10월경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30)에 상기 준설지(11)와 구획된 상기 조성지(13)에는 연과 같은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수생식물은 고사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수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조성지(13)에 수생식물이 식재되면 막아놓았던 통로(17)를 열어 물이 다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생지(10)를 복원하면서 주변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별도의 부지를 조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준설지 및 조성지를 조성하는 공사순서는 공사지역의 상태 및 공사진행상황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공사 진행상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가 제외되고 실시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생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인 침적토를 준설하고 준설된 침적토를 반출하여 처리하려면 1ton당 7만원 이상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서는 준설된 침적토를 조성지에 적치하여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여 침적토 처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의 침적토를 그대로 이용하여 수생식물을 식재하므로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성지에 식재되는 수생식물이 고사하기 전에 제거하므로 수생식물의 고사로 인한 수질악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여 수질관리에 의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 수생지 내의 물을 배수시키고 준설지와 조성지를 조성할 준비를 하는 준비단계;상기 수생지 내에 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시공하고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준설하여 상기 조성지에 적치시키는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상기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에 의해 조성된 상기 조성지에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수생식물 식재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준설지 및 조성지 조성단계는,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상기 조성지로 옮기는 침적토 준설단계;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를 조성하는 구획부 조성단계;상기 준설지 및 상기 조성지에 적치된 침적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획부 조성단계는,상기 준설지와 상기 조성지의 경계선에 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는 지지대 설치단계;상기 지지대 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된 지지대가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대를 설치하는 연결대 설치단계;상기 연결대 설치단계에 의해 연결된 연결대의 일면에 상기 조성지에 적치된 침적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직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준비단계는,상기 수생지 내의 물이 잘 배수되도록 배수로를 설치하는 배수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준비단계는,상기 수생지 내의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생지 밖으로 강제배수시키는 강제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침적토 준설단계는,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준설하기 위한 공사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로를 개설하는 진입로 개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침적토 준설단계에서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퇴적심도 25cm이상 40cm 이하가 되도록 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침적토 준설단계는,상기 조성지로 옮기고 남은 상기 준설지의 침적토를 상기 수생지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하는 침적토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침적토 준설단계는,상기 수생지의 소정지점에 순환수로 및 어소를 조성하는 순환수로 및 어소 조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정리단계는,상기 침적토가 준설된 상기 준설지에 자갈을 포설하는 자갈포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수생식물 식재단계에서 식재되는 수생식물은 연, 꽃창포, 큰 고랭이, 부들, 택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생식물 식재단계는,상기 수생식물이 고사하기 전에 상기 수생식물을 상기 조성지에서 제거하는 수생식물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70008073 | 2007-01-25 | ||
KR1020070008073 | 2007-01-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0484A KR20080070484A (ko) | 2008-07-30 |
KR100923529B1 true KR100923529B1 (ko) | 2009-10-27 |
Family
ID=3982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7933A KR100923529B1 (ko) | 2007-01-25 | 2007-06-13 |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352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1825A (ja) * | 1992-05-27 | 1993-12-14 | Fujita Corp | 貯水池における堆砂の浚渫方法 |
KR970001725B1 (ko) * | 1991-12-26 | 1997-02-14 | 가부시기가이샤 인터나쇼날 리모오트 코오포레이숀 | 작업기계 |
KR200361458Y1 (ko) * | 2004-06-08 | 2004-09-14 | 김범준 | 골프클럽 형상의 탁상용 보관함 |
KR20060017211A (ko) * | 2004-08-20 | 2006-02-23 | 배흥섭 |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
-
2007
- 2007-06-13 KR KR1020070057933A patent/KR1009235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1725B1 (ko) * | 1991-12-26 | 1997-02-14 | 가부시기가이샤 인터나쇼날 리모오트 코오포레이숀 | 작업기계 |
JPH05331825A (ja) * | 1992-05-27 | 1993-12-14 | Fujita Corp | 貯水池における堆砂の浚渫方法 |
KR200361458Y1 (ko) * | 2004-06-08 | 2004-09-14 | 김범준 | 골프클럽 형상의 탁상용 보관함 |
KR20060017211A (ko) * | 2004-08-20 | 2006-02-23 | 배흥섭 |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0484A (ko) | 2008-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557334A (zh) | 湖泊恢复系统和方法 | |
US9556048B1 (en) | Chain filter system of micro wetland cel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JP2010110255A (ja) | 人工藻場の構造、および人工藻場造成工法 | |
CA2854522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and treatment of remediation materials | |
KR100375052B1 (ko) |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 |
JP4299382B2 (ja) | 水処理用人工湿地 | |
KR100444972B1 (ko) |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 |
CN109748461A (zh) | 一种清浊分离的水库污染防治溢流堰和方法 | |
CN109429605A (zh) | 一种盐碱地和沙化地治理方法 | |
KR101367848B1 (ko) |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 |
KR100923529B1 (ko) | 수생지 침적토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
CN204737796U (zh) | 一种强化式渗渠净化系统 | |
KR100819548B1 (ko) |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 |
CN101817627A (zh) | 河床基底植生型联排框格修复方法 | |
Pirrera et al. | Phytoremediation for ecological restauration and industrial ecology | |
CN111733890A (zh) | 一种污染地下水阻隔处理方法 | |
KR100582875B1 (ko) | 준설토 표층 배수 건조 공법 | |
RU2336206C1 (ru) | Способ защиты грунтовых вод от загрязнения | |
KR101674110B1 (ko) | 전처리용 팬이 거치된 침투도랑 | |
KR20150068885A (ko) |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 |
KR102092260B1 (ko) | 여울블럭 | |
JP4319440B2 (ja) | アマモを用いた沿岸海域の浄化方法 | |
CN212504447U (zh) | 一种新型生态护坡水处理系统 | |
EP0159340B1 (en) | Process for protecting lakes against eutrophization caused by subsoil water | |
CN212610129U (zh) | 一种海绵城市的园林雨水净化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