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19B1 -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19B1
KR970001619B1 KR1019930001798A KR930001798A KR970001619B1 KR 970001619 B1 KR970001619 B1 KR 970001619B1 KR 1019930001798 A KR1019930001798 A KR 1019930001798A KR 930001798 A KR930001798 A KR 930001798A KR 970001619 B1 KR970001619 B1 KR 97000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terminal
insulated
wir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803A (ko
Inventor
엘. 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01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연 전자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제1도는 절연 그립 페럴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단면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실시한 절연 단자를 관통하는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단자의 각진 절연 하우징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를 정면에서 보고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와이어 절연부의 크림핑 페럴의 단면도.
제6도는 절연 하우징과 분리된 단자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우측에서 보고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정면에서 보고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6 : 크림핑 페럴
18 : 제1통로 부분 20 : 개구 단부
22 : 제2통로 부분 30 : 크림핑 단면
32 : 플랜지 42 : 외부 관 영역
48 : 함몰 단면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와 와이어 부를 포함하는 절연 전기 와이어 및 절연 하우징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갖는 형태의 절연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되어 있고 지금부터 상세하게 설명될 형태의 절연 전기 단자는 고체 또는 연선(standed) 도체 코어를 포함하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스트립 단부상에 배치되는 페럴이라고 하는 관형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페럴은 와이어 단부의 스트립 코어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설상체(tongue)는 평면 영역과 평면 영역의 연부에서 돌출하는 와륜 플랜지를 갖고 있는 리셉터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설상체는 상보 정합 접속 장치의 평탄한 블레이드형 단자들을 수용한다. 처음에 시도된 바 있는 그러나 절연 단자는 일반적으로 표준형 블레이드 또는 탭 단자를 갖는 전기 기구 산업이나 자동차 산업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는 다른 응용에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원래, 상술한 특성의 절연 단자는 직선 형태로 전기 와이어와 이 전기 와이어가 종단되는 전기 장치 사이에서 일직선 구조로 사용되는 것이 기본적인 형태이다. 페럴의 한쪽 단부는 연장용 부재로 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단자의 단부이다. 그러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는 와이어가 전기 장치를 소정의 각, 즉 90o가 전형인 각으로 유입되는 전기 장치상의 종단 부분에 접속되게 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기 와이어 자체가 이러한 접속을 위해 만곡될 수 있지만, 설상체 구조물을 이루는 총 전장과 페럴의 전장, 플러스 와이어의 만곡 전장은 너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 단자는 페럴의 전장을 줄이고 패널의 폭을 각이진 구조로 설계하여 설상체 구조물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결과, 노출된 도체는 정합 블레이드형 단자로부터 180o가 아닌 약 90o도 만큼 이격된 페럴 내에 삽입된다. 이것은 와이어의 만곡에 의해 커넥터의 전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크림핑 페럴의 전장과 폭과의 차를 줄인다. 이러한 절연 단자는 보통 플래그단자라 한다.
이러한 절연 단자, 특히 플래그형 절연 단자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 중 한가지는 절연 전기 와이어 자체의 응력 해제 설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의 도체 코어는 절연 하우징 내부의 단자에 크림핑되지만, 소정의 환경에 있어서, 도체 코어는 가요성이어서,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 판속하지 않는 경우 판속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건은 자동차 응용과 같은 높은 진동 환경 내에서 특히 우세하다. 이러한 문제에 부딪히게 되는 다른 응용으로는 비행기, 기차,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전구 기구 및 설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높은 진동 환경에 있어서, 크림핑 수단은 전기 와이어의 도체 코어에 미치는 응력을 해제하기 위해 절연 전기 와이어의 외부, 절연부상에 크립핑 도는 클램핑하록 제공된다. 직각 또는 플래그 단자에 있어, 크림핑 작업후에 절연 하우징의 한측면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종단 와이어의 삽입부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높은 진동 환경에 있어서, 절연 단자의 개방측은 노출된 전위의 비 절연 단자에 의해 야기된 충격, 단락 또는 위험의 가능성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형태의 크림핑 작업은 페럴이 크림핑전에 절연 하우징내에 사전 조립되는 절연 와이어의 도체 코어용으로 크림핑된 페럴을 사용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절연 와이어 상에 미치는 응력의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 와이어 절연부용의 제2크림핑 페럴은 하우징의 완전 절연 보호부가 없어도 추가되었다. 또한, 제2절연 크림핑 페럴은 대형의 전체 커넥터에 기여할 수 있고, 플레그형의 절연 단자의 사용자에게는 공간의 프리미엄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완전히 절연되어 있고, 높은 진동 환경내에서 절연 전기 와이어의 도체 코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체가 몰려있는 응력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플래그 단자 또는 각진 저부 프로필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게 개량된 상술한 특성의 절연 단자, 특히 평탄형 단자를 제공하고, 더 특정하게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절연 부분상에 응력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특성의 절연 단자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 와이어로부터 돌출된 도체 코어의 스트립 또는 노출된 단부를 갖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절연 단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각진 절연 하우징은 제1통로 부분이 제2통로 부분과 교통하고 이 제2통로 부분에 대해 각이져 있는 관통 통로를 가진다. 제1통로 부분은 상보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제2통로 부분은 절연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단자는 개구 단부를 통해 제1통로 부분내에 배치된다. 단자는 정합 블레이드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촉 단면과 제2통로 부분내에 삽입되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도체 코어상에 크림핑하기 위한 내부 크림핑 단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연 전기 와이어의 절연체상에 크림핑하기 위해 제2통로 부분내에 배치되는 크림핑 페럴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보 상호 작용 수단은 와이어 절연용의 크림핑 페럴과 도체 코어용의 크림핑 단자 단면 사이에 제공되어, 크림핑 페럴을 크림핑 단면에 고정하여 크림핑 페럴 또는 크림핑 단면들 중 최소한 하나를 크림핑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보 상호 작용 수단은 크림핑 페럴 및 크림핑 단면의 삽입 부분에 제공한다. 크림핑 페럴 및 크림핑 단면은 대체로 관 형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면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는 유사한 부분에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상세하게 도시된 제1도를 먼저 참조하면 종래의 절연 전기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연 단자(10)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절연 전기 와이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와이어 절연부로부터 돌출된 도체 코어의 스트립 또는 노출단부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절연 단자(10)은 각진 절연 하우징(12)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각진 단자(14) 및 크림핑 페럴(14)를 거의 둘러싼 상태에서 절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2), 단자(14) 및 크림핑 페럴(16)의 전체 구조는 프래그단자를 제공하기 위해 직각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호 정합 단자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고, 절연 전기 와이어는 정합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해 약 90o, 즉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도에 관련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각진 절연 하우징(12)는 제1통로 부분(18)이 상보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단부(20)를 포함하는 직각 관통 통로를 갖고 있다. 제1통로 부분은 절연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단부(24)를 갖는 제2통로 부분(22)와 교통하고, 이 제2통로 부분(20)와 90o각을 이루고 있다. 제2통로 부분은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직경이 감소된 목부(26)을 가진다.
제2도에 관련하여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단자(14)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통로의 개구 단부(20)을 관통하여 하우징(12)의 제1통로(18)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는 평탄 부분(28)을 갖는 외부 접촉 단면 및 제2통로 부분(22)의 개구 단부(24)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노출된 도체 코어상에 크림핑하기 위한 내부 크림핑 단면(30)을 포함한다. 단자(14)의 접촉 단면은 상보 평면 정합 단자 탭을 수용하기 위한 평탄 영역(28)의 대향 측연부를 따라 와륜 플랜지(32)가 있는 리셉터클로서 형성된다. 특히 제7도를 참조하면 상보 정합 단자 탭은 평탄 영역(28)상의 접촉 단면내에 삽입되고 와륜 플렌지(32)의 만곡연부(34)의 아래에 있게 되어, 플랜지는 작업 완료시에 단자 탭을 탄성적으로 보유한다.
제8도를 참조하면, 크림핑 단면(30)은 절연 전기 와이어의 스트립 도체 코어를 수용하기 위해 관형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최적하게 알 수 있다. 제6도를 다시 참조하면, 크림핑 단면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부(40)을 정하는 직경이 감소된 영역을 갖는다.
제2도 및 제6도에 관련하여 제5도를 참조하면, 크림핑 페럴(16)은 구조적인 면에서 관형태이고 폴드(주름진 형태)영역이 내부 관성 견부(46)을 정하는 외부 관형 부분(42) 및 내부 관형 부분(44)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내부 관형 부분(44)에는 환상으로 함몰 부분(48)이 있다.
절연 단자 (10)을 조립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먼저, 단자(14)는 제2도에 도시된 절연 하우징(12)의 제1통로 부분내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는데, 크림핑 단면(30)은 제2통로 부분(22)와 정열된다. 그다음, 크림핑 페럴(16)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제2통로 부분내로 삽입되어 크림핑 페럴이 내부 관형 부분(44)가 크림핑 단면(30)의 직경이 감소된 부분상에 삽입된다. 크림핑 페럴은 내부 단부가 단자의 크림핑 단면(30)의 목부(40)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되어 견부(46)은 크림핑 단면의 단부와 접촉하고 외부 단형 부분(42)는 절연 하우징 (12)의 제2통로 부분내의 목부(26)과 접촉한다. 크림핑 페럴의 톱니형 단면(48)은 단자의 크림핑 단면을 충분히 조여서 크림핑 페럴이 크림핑 단면상에 삽입된 크림핑 페럴을 후속 크림핑 작업시까지 충분히 보유하게 한다. 슬롯 또는 이완영역(50)이 단자(14)내의 크림핑 단면(30)을 따라 제공되어 크림핑 페럴(16)이 크림핑 단면 상에 삽입되도록 한다. 절연 단자가 절연 전기 와이어에 용이하게 크림핑될 조립 전 상태이다.
절연 단자(1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와이어 절단부로부터 돌출된 도체코어의 노출 또는 스트립 단부를 갖는 절연 전기 와이어는 단자(14)의 크림핑 페럴(16)을 관통해서 절연 하우징(12)의 제2통로 부분(22)의 개구단자(24) 및 단자(14)의 크림핑 단면(30)내에 스트립 도체 코어는 크림핑 단면(30)내로 거의 돌출하고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와이어 절연 부분은 크림핑 단면(30) 외부의 크림핑 페럴(16)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절연부의 단부는 크림핑 페럴 내에 정해진 견부(46)에 못미쳐서 끝날 것이다. 한번의 크림핑 조작시에, 단자(14)의 크림핑 단면(30) 및 크림핑 페럴(16)응 절연 와이어 상에 크림핑되어 크림핑 단면은 와이어의 도체 코어의 노출된 단부 상에 크림핑 또는 클램핑되고, 크림핑 페럴(16)은 종단부에의 미치는 응력을 해제하기 위해 노출된 도체코어에 임접한 와이어 절연부 상에 클램핑 또는 크림핑 된다. 전체 단자(14), 크림핑 페럴(16) 및 와이어의 도체 코어의 노출된 단부는 절연 하우징(12)에 의해 완전히 봉입된다. 정합 와이어 및 단자의 삽입에 필요한 개구 단부 이외에는 단자의 개구측 벽이 없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주된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별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할 목적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 내에서만 제한된다.

Claims (11)

  1. 제2통로 부분과 교통하고, 이 통로 부분에 대해 일정 각이져 있는 제1통로 부분에 의해 정해진 관통 통로를 갖는 각진 절연 하우징, 제1개구 단부를 관통하여 제1통로 부분 내에 배치할 수 있고, 정합 단자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촉 단면 및 제2통로 부분내에 삽입되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도체 코어상에 직접 크림핑하기 위한 내부 크림핑 단면을 포함하는 단자, 상기 단자의 내부 크림핑 단면에 인접한 한단부 및 상기 제2개구 단부에 인접한 다른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노출된 도체 코어가 상기 내부 크림핑 단면내에 배치할 수 있고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와이어의 절연 부분이 상기 제2개구 단부에 인접한 크림핑 페럴 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절연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개방 단부 실린더형 크림핑 페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단자 부분의 내부 크림핑 부분이 상기 노출된 도체 코어에 직접 크림핑되고 크림핑된 페럴이 크림핑력을 상기 하우징에 가함으로써 와이어의 상기 절연 부분에 직접 크림핑되게 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제1통로 부분이 상보 정합 단자를 수용하는 제1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통로 부분이 절연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절연체로부터 돌출하는 노출된 도체 코어를 갖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절연 단자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 페럴이 상기 단자와 분리되어 있고 하우징의 제2통로 부분의 제2개구 단부를 관통하여 수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개구 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단자 및 상기 크림핑 페럴을 봉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크림핑 페럴을 크림핑 단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단자의 크림핑 단면과 크림핑 페럴 사이에 상보 상호 작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상호 작용 수단이 크림핑 페럴의 삽입 부분과 크림핑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통로 부분이 서로에 관련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촉 단면이 제2통로의 제2개구 단부를 통해 평탄한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해 대항 측면 연부를 따라 구성된 와륜 플랜지로 이루어진 평탄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크림핑 단면이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 페럴 및 크림핑 단면이 삽입 부분에 의해 상호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단자.
  8. 제1통로 부분이 제2통로 부분과 교통하고 이 제2통로 부분과 일정한 각을 이루고 있는 관통 통로를 갖는 각이진 절연 하우징을 절연 단자가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 부분이 상호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제1개구 단부를 포함하고, 제2통로 부분이 절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개구 단부를 포함하는; 절연체로부터 돌출하는 노출된 도체 코어를 갖는 절연 전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시키기 위한 절연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개구 단부를 관통하여 제1통로 부분내에 있고, 절연 전기 와이어의 노출된 도체 코어상에 직접 크림핑하기 위해 제2통로 부분과 교통하는 내부 크림핑 단면을 갖는 단자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절연 와이어 부분상에 직접 크림핑하기 위한 단자 부재의 크림핑 단면과 결합 및 교통되는 제2개구 단부를 관통하여 제2통로 부분내에 단부가 개방된 실린더형 크림핑 페럴을 삽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노출된 도체 코어가 상기 크림핑 부분내에 배치되고 상기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와이어 절연체 부분이 크림핑 페럴내에 배치되도록, 절연 전기 와이어를 상기 제2통로 부분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크림핑 단면을 노출된 도체 코어 상에 크림핑하고 크림핑 패럴을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절연 와이어 부분상에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크림핑 단면을 상기 절연 전기 와이어의 노출된 도체 코어 상에 크림핑하는 상기 단계 및 크림핑 페럴을 노출된 도체 코어에 인접한 절연 와이어 부분상에 크림핑하는 단계가 한번의 조작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블레이드 수용 개구가 한 단부에 있는 완전히 절연된 블레이드 수용 통로, 및 상기 블레이드 수용 통로와 직각으로 접속되고 와이어 수용 개구가 다른 단부에 있는 완전히 절연된 와이어 수용 통로를 갖는 일체로 모울드된 하우징, 및 블레이드 단자와 결합할 수 있는 상기 개구의 한쪽 단부 및 상기 와이어 수용 통로내의 상기 절연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를 직접 결합하기에 적절한 상기 개구의 다른 단부를 갖는 상기 블레이드 수용 통로내에 장착된 전도성 블레이드 수용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블레이드 단자의 와이어 결합 단부가 크림핑력을 상기 하우징에 가함으로써 상기 절연 와이어의 상기 노출된 단부에 크림핑 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가능한; 블레이드형 단자를 노출된 단부를 갖는 절연 와이어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와이어 수용 통로내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고, 블레이드 단자의 와이어 결합단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절연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별도로 변형가능한 응력 해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30001798A 1992-02-11 1993-02-10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970001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34,019 1992-02-11
US07/834,019 US5203726A (en) 1992-02-11 1992-02-11 Insulated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03A KR930018803A (ko) 1993-09-22
KR970001619B1 true KR970001619B1 (ko) 1997-02-11

Family

ID=2526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798A KR970001619B1 (ko) 1992-02-11 1993-02-10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03726A (ko)
EP (1) EP0555716B1 (ko)
JP (1) JP2552232B2 (ko)
KR (1) KR970001619B1 (ko)
DE (1) DE69302492T2 (ko)
HK (1) HK24897A (ko)
MY (1) MY115130A (ko)
TW (1) TW227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7833B2 (en) * 2004-02-27 2006-11-2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mpression quick connect/disconnect rotating lug terminal
US6997746B2 (en) * 2004-04-20 2006-02-14 Ark-Les Corporation Crimp connector
TWI343743B (en) 2006-01-20 2011-06-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TWI324013B (en) 2006-02-22 2010-04-21 Huper Lab Co Ltd Video noise reduction method using adaptive spatial and motion-compensation temporal filters
TWI307985B (en) * 2006-03-31 2009-03-21 Ks Terminals Inc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WO2008102276A2 (en) * 2007-02-23 2008-08-28 Fci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CN208111733U (zh) * 2018-03-13 2018-1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5497A (en) * 1953-04-23 1957-12-03 Amp Inc Connector for aluminum wire
FR86790E (fr) * 1964-10-30 1966-04-08 Gelbey Perfectionnements aux connecteurs électriques
NL6610131A (ko) * 1966-07-19 1968-01-22
GB1209089A (en) * 1968-04-19 1970-10-14 Thomas & Betts Corp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s
US4298243A (en) * 1978-06-12 1981-11-03 Amp Incorporated Pre-insulated flag-type terminal
US4214361A (en) * 1979-03-08 1980-07-29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insulated electrical terminations
DE7925002U1 (de) * 1979-09-04 1980-04-10 Simon, Hans, 5463 Unkel Isolation für Flachsteckhülsen
CA1210107A (en) * 1982-03-31 1986-08-19 Edgar W. Forney, Jr.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4771538A (en) * 1986-03-13 1988-09-20 Thomas & Betts Corporation Flag shape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2492D1 (de) 1996-06-13
EP0555716A1 (en) 1993-08-18
US5203726A (en) 1993-04-20
MY115130A (en) 2003-04-30
DE69302492T2 (de) 1996-12-19
KR930018803A (ko) 1993-09-22
JPH05347162A (ja) 1993-12-27
EP0555716B1 (en) 1996-05-08
TW227632B (ko) 1994-08-01
HK24897A (en) 1997-02-27
JP2552232B2 (ja) 199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726B1 (ko) 유리판용 전기 단자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US5364288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62244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JPH072207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037329A (en) Angular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EP3667828A1 (e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6254430B1 (en) Coaxial connector
JPH08250218A (ja) シールド線のシースずれ防止構造
JPS6217824B2 (ko)
WO1993001629A1 (en) Dual usage electrical/electronic pin terminal system
KR970001619B1 (ko)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4561714A (en) Contact assembly for ribbon cable
US11545763B2 (en) Wire-to-wire connector with splice contact portion
JPS622424B2 (ko)
US4915647A (en) Wire trap speaker terminal
JPH11512214A (ja) 電気コネクタ
KR100401902B1 (ko) 콘택스프링
JP5483273B2 (ja) オス端子への電線接続構造
KR0138837B1 (ko)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US6483417B1 (en) Fuseholder contact
JP3477911B2 (ja) 同軸コネクタ
JP3456688B2 (ja) 放電型ランプ用ソケット及びその回路装置との組立接続方法
JP2003016850A (ja) フラット回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