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522B1 -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522B1
KR970001522B1 KR1019930020407A KR930020407A KR970001522B1 KR 970001522 B1 KR970001522 B1 KR 970001522B1 KR 1019930020407 A KR1019930020407 A KR 1019930020407A KR 930020407 A KR930020407 A KR 930020407A KR 970001522 B1 KR970001522 B1 KR 97000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sin
solvent
evaporation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071A (ko
Inventor
신은철
Original Assignee
신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철 filed Critical 신은철
Priority to KR101993002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522B1/ko
Publication of KR95000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93Dissolving the materials in gases or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레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예시도.
제2도는 용해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 예시도.
제4도는 증발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해조 2 : 증발조
3 : 응축기 4 : 용제저장탱크
5 : 리시이버탱크 6 : 열매유순환관
7 : 안내레일 8 : 용해물적재함
9 : 로울러 10 : 도어
11 : 분사노즐 12 : 고무패킹
13 : 용제응축탱크 14 : 용제펌프
15 : 밸브 16, 16' : 개폐밸브
17 : 보조리시이버탱크 18 : 공급관
21 : 회전축 22 : 수지교반용회전긁게
23 : 보울트 24 : 수지회수구
25 : 개폐도어 26 : 수지투입관
27 : 용재회수관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수지가 피복된 폐전선이나 기타 금속등과 합성된 폴리에틸렌을 완전하게 분리시켜, 이들중 수지는 용융추출하여 재생하고, 동선이나 기타금속류는 금속류대로 깔끔하게 추출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도를 극대화시키면서, 폐기시 발생하는 공해를 완전예방하며, 물자절약과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제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각종 전기, 통신, 전자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폐전선이나 수지류와 결합된 금속류등에서 주로 수지를 추출하여 재활용하기 보다는 동선이나 기타금속류를 추출하여 재활용하기 위해 폐전선 및 수지류와 결합된 각종금속류를 소각시켰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용융온도가 비교적 낮은 수지류등은 금속류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금속류를 재활용하기 위해 추출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서 소각시키는 방법을 적용시켰던 것이다.
그런데 이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몇가지 금속류를 추출하기 위해 수지피복층을 태우는 동안에 이루말할 수 없는 매연과 아울러 악취가 발생하고, 이에따라 대기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것이며, 따라서 점차 이방법에 의한 추출방법은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또한 위 방법이외의 방법은 분쇄기등을 이용하여 수지층이나 금속층을 막론하고 무조건 분쇄한 후 기계적인 방법으로 수지와 금속류를 분리시키는 방법인데, 이는 분쇄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또 수지와 금속을 성분별로 분류시키는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분쇄효율도 크게 떨어져 오히려 분쇄시 고가의 비용이 드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두가지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수지는 수지대로 용융시켜 추출하고, 금속은 수지용융에 따라 자연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한 방법으로써 선공고된 특허(공고번호 91-7451호)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가열용해조 내부에 분리판을 설치하고, 수지가 피복된 폐전선을 넣은 후 이를 열매체의 열기와 용제로써 가열 용융시켜 용융된 수지는 분리판하부로 흘러내리게 하고, 수지가 아닌 동선과 같은 금속 물질만 분리판위에 남아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 방법은 수지와 동선등의 금속물질을 완전하게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폐자재(수지와 결합된 것)를 가열용해조로 공급시키거나 추출후 금속류등을 인출시키기에 매우 힘든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대형 용해조가 세워져 설치된데다가 상부에 개폐 뚜껑이 설치되어 있으므로)주된 구성이 대형의 가열용해조가 세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폐단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가열용융된 수지를 열원을 이용하여 용재를 증발시키도록 된 가열증발조는 단순히 가열용해조로부터 공급된 수지를 압출기로 공급시키기 전 상태에서 높은 온도에 의해 수지표면에서 증발되고 있는 용제만을 회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용융가열된 수지로부터 완전하게 용제를 수거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수지가 압출기를 통하여 인출되는 중에 대부분의 용제가 기화되어 날라가게 되어 대기오염의 주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며, 특히 용제자체가 매우 유독성이 높기 때문에 대기오염도는 더욱 심할 수밖에 없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 가열용해조 내에서 수지를 분리해내는 과정에서 수지만을 용융시켜 하부로 흐르게 한다는 점에서는 어느정도 효율성이 있다고도 보아지나 수지용융시 작은 폐자재는 수지용융과 동시에 하부에 고여있는 수지로 빠지게 되며, 이에 따라 완벽하고 순도높은 수지를 얻기란 그리 쉬운 것이 아니어서 선발명특허는 그 기재된 내용에서 처럼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고 유독물질의 대기방출로 인한 공해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 많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코자한 것으로, 특히 수지와 금속류를 완전분리하여 추출가능한데다가 수지자체도 매우 순도높은 수지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또 폐자재의 공급 및 수지와 분리된 금속류의 인출이 매우 간편하게 하며, 수거된 수지를 계속가열증발시키는 증발조는 용제(특히 토우렌)의 회수가 거의 100%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독극물인 용제가 대기중에 방출되는 일이 전혀없도록 함으로써, 종래 폐자재처리를 위해 실시하던 방법이 오히려 대기를 오염시켰던 폐단을 완전일소시켜 대기오염방지와 더불어 환경보호차원에서 안전하게 수지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용해조(1), 증발조(2) 및 토우렌등을 회수냉각시키는 응축기(3)와 용제를 용해조(1)에 안정적으로 공급시키는 용제저장탱크(4), 그리고 리시이버탱크(5)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한 용해조(1)는 폐전선등과 같이 수지류가 결합된 폐자재등을 원활하게 공급시킬수 있도록 용해조(1)자체가 수평으로 뉘어져 설치되어 있고, 내부 하측부에 열매유가 270℃∼290℃의 온도로 순환되도록 열매유순환관(6)을 고정설치하며 내부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용해조(1) 내부 양측에도 열매유순환관(6a)와 (6a)를 고정설치하였다.
또 열매유순환관(6) 상부 양측에는 안내레일(7)을 고정설치하여 이곳에 용해물적재함(8)을 인출 및 삽입가능토록 설치하되, 이를 위하여 양측하부에 로울러(9)를 설치하였고, 용해물적재함(8)은 다층구조든 단층구조든 모두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지류가 충분히 흘러내리면서 잘잘한 동선등도 하부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비교적 메쉬가 작게하여 내열서 강한 금속망으로 구성시킨다.
그리고 용해조(1)의 내부상측에는 용제를 분사 공급시킬 수 있는 분사노즐(11)을 설치하여 폐자제 용융시 골고루 용재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였고, 도어(10)는 내주연 단부에 내열성 고무패킹(12)을 설치하되, 에어콤프레셔에 의한 공기압력이 작용하면 부풀어 용해조(1)의 출입구와 완전밀착되어 에어압력으로 인한 밀폐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어(10) 개폐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해조(1) 동체와 연결되는 측부에 베어링을 유설하여 인위적으로도 큰힘들이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될수 있도록 하였고 전술한 분사노즐(11) 상부에 용제응축탱크(13)와 용제펌프(14) 그리고 밸브(15)를 설치구성하였으며, 용해조(1) 후미에도 개폐밸브(16) 및 보조리시버 탱크(17) 및 개폐밸브(16')을 연설하여 증발조(2)과 공급관(18)으로 연결설치하였다.
증발조(2)는 전술한 용해조(1)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아 용재는 증발시키면서 순수한 수지만을 압출기로 공급시키는 탱크로서, 내부 중앙부에 회전축(21)을 축설하여 모타로서 서서히 회전시키는데, 이 회전축(21)에는 등간격으로 선단에 증발조(2) 내벽에 닿을 듯하게 수지 교반용회전긁게(23)를 보울트(23)등으로 연결조립시키고, 수지를 저어주면서 회전함에 따라 용제증발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하부 일측에 수지회수구(24)를 형성하여 개폐도어(25)로서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였고, 상부 양측에는 각각 용융된 수지투입관(18)과 증발된 용재회수관(27)을 설치시키며 증발조(2)의 하단부터 중상단까지 이중겹으로 형성하여 이 내부에 열매유가 충진순환되게 하였다.
응축기(3)는 증발용재회수관(27)과 연결설치시키되, 리시이버탱크(5)와 연결설치시키고 이 리시이버탱크(5)는 다시 용해조(1)와 용제저장탱크(4)와도 연결되게 하여 회수된 용제가 액화되어 일부는 용해조(1)로 투입되면서 나머지는 용제저장탱크(4)로도 회수되게 하였다.
미설명부호 31은 콤프레셔, 32는 에어탱크, 34는 열매유.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열매체순환보일러(33)의 가동에 의해 용해조(1)와 증발조(2)를 가열시키는 열매체를 통상 270∼290℃의 온도로 순환시킴으로써 가동중인 용해조(1)나 증발조(2)가 열매체의 온도인 270∼290℃를 유지토록한다.
그러면 실제로 폐전선등과 같이 수지피복이 된 동선이나 또는 수지와 결합되어 있는 폐자제를 분리용융시키는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앞의 구성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도어(10)를 열고 용해조(1) 내부에 이송자재토록 설치된 용해물적재함(8)를 최대로 인출시키고, 이 적재함(8)에 수지분리를 하고자 하는 폐자재를 적절히 적층시킨다음 용해조(1) 다시 밀어 넣은 후 도어(10)를 닫는다.
이어서 열매체 순환보일러(33)를 가동시킴과 동시에 에어콤프레여(31) 및 에어탱크(32)에 들어있는 압축공기를 도어(10)에 설치된 고무패킹(12)에 공급시켜 에어압에 의한 확실한 밀폐를 시키고 용해조(1) 상부에 설치된 밸브(15)를 개방시켜 분사노즐(11)를 통하여 폐지재에 살포하면서 열매체를 고열로 연속순환시키면 용해조(1) 내부는 고압으로 되면서 용제(특히 토우렌)가 열매체의 작용으로 인한 료온화되는 상태에서 폐자재와 결합된 수지를 용융시키게 되며, 일정한 시간동안에 완전하게 수지와 금속류가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금속류와 수지류가 완전하게 분리되면 수지를 용융되어 액체상태로 됨으로 용해물적재함(8) 하부로 모두 흘러내리게 되어 용해물적재함(8) 위에는 금속류만 남게되며, 이 상태에서 용해조(1) 내부를 진공화 시키면 수지를 증발조(2)로 공급하게 되어 결국 용해조 내에는 수지가 제거된 금속류만 남게 된다.
그리고 증발조(2)로 공급된 수지는 용해조(1)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용회전 수지긁게(22)가 회전하면서 계속저어주고, 또 증발조(2) 하단에서 중상단까지 열매유가 순환하면서 가열화는 상태이므로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용제가 신속하게 증발되게 되어 증발용재회수관(27)을 통해 응축기(3)을 거쳐 액화되어 리시이버탱크(5)로 들어가며, 이 리시이버탱크(5)에서는 액화된 용재가 용해조(1)로 다시 일부공급되면서 나머지는 용재 저장탱크(4)로 재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재는 계속 순환 회수되면서 폐자재를 용융, 수지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수지와 혼합된 용재를 회수하는 증발조(2)에서 회전축(21)에 교반용 회전수지긁게가 회전하면서 수지를 저어주기 때문에 수지에 혼합된 용재를 모두 증발회수시킬수 있게 됨은 물론 증발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지를 수지회수구(24)를 통하여 회수할때쯤이면 용재는 모두 증발 회수되어 순환하게 됨으로써 용재를 큰 손실없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양은 거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축(21)이 회전할 때 교반용 회전수지긁게가 증발조(2)의 내주벽면을 긁어줌으로써 내 벽면에 수지가 달라 붙어 응고되거나 증발조의 내벽면이 녹이슬 경우는 전혀없어 사용이 안정적이고 순수한 수지의 추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용해조(1)에 수지류가 결합된 폐전선등과 같은 자재의 공급 및 금속류의 추출이 용해물적재함(8)의 이송에 의해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이며, 용융된 수지를 증발조(2)로 공급시 용해조(1)의 진공에 의해 수지 흡입이 이루어져서 매우 간편하게 수지이송이 가능해지며 교반용 회전수지긁게(22)가 계속회전하면서 수지를 저어주기 때문에 용제의 회수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져 용제손실이 거의 없어 공해유발의 문제점이 전혀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수지와 결합 또는 피복된 폐전선과 같은 수지류가 결합된 폐자재를 수지류와 금속류로 용해시켜 완전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용해조(1), 증발조(2), 응축기(3) 및 용제저장탱크(4)와 리시이버탱크(5)로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되, 용해조(1)는 일측에 도어(10)를 베어링으로 유설시키고, 도어 (10) 내주연 단부에 고무패킹(12)을 설치하며, 내부하측에 270∼290℃의 고온으로 열매유가 순환하는 열매유순환관(6)을 고정설치하고, 내부 양측에도 열매유순환관(6a)(6b)를 각각 고정설치하며, 열매순환관(6)의 상부 양측에 안내레일(7)을 고정설치하여 이곳에 다층 또는 단층으로 내열성이 매우 강한 금속망을 설치하여서된 용해물적재함(8)을 설치하되, 레일(7)을 타고 인출가능토록 설치하고, 용해조(1) 상부에 용제응축탱크(13), 용제펌프(14) 및 밸브(15)와 연결설치된 분사노즐(11)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용제분사가 이루어지게 하고, 용해조(1) 후미에 개폐밸브(16) 및 보조리시버탱크 그리고 개폐밸브(16')와 이어지는 공급관(18)을 설치하요 증발조(2)와 연결시키며, 증발조(2)내부에 회전축(21)을 축설하되 이 회전축(21)에는 용해조(1) 내벽에 닿을듯하게 교반용회전수지긁게(22)를 연결조립시켜 수지를 저어줌에 따라 용제증발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증발조(2)는 증발용재회수관(27)을 거쳐 응축기(3)와 리시이버탱크(5)와 연결 설치하고, 이 리시이버탱크(5)는 다시 용해조(1)와 용제저장탱크(4)와도 연결되게 하여 회수된 용제가 액화되면 일부는 용해조(1)로 투입시키면서 나머지 일부는 용제저장탱크(4)로 재공급시켜 용재의 완전회수와 더불어 소모율을 극소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KR1019930020407A 1993-09-28 1993-09-28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KR97000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07A KR970001522B1 (ko) 1993-09-28 1993-09-28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07A KR970001522B1 (ko) 1993-09-28 1993-09-28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71A KR950008071A (ko) 1995-04-15
KR970001522B1 true KR970001522B1 (ko) 1997-02-11

Family

ID=1936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407A KR970001522B1 (ko) 1993-09-28 1993-09-28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55A (ko) 1998-06-20 1998-10-07 김성문 폴리에틸렌 복합수지 성형물에서 폴리에틸렌과 타 수지를 분리회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40734B1 (ko) * 1999-05-24 2002-06-15 황순창 폐전선으로부터 합성수지 회수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71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965A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volatilizable contaminants from soil
CN101444784B (zh) 一种真空条件下高效回收废弃电路板的方法及装置
US20060223981A1 (en)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plastic resin
KR20170097046A (ko)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 처리된 용기, 선택적으로 카톤 용기의 구성 성분 분리에 의한 재활용 공정 및 해당 장비
JP6854770B2 (ja) アルミパック、アルミプラスチックラミネート、アルミカートン等の成分分離によるリサイクル方法及び関連設備
JPH09504986A (ja) 廃材料等のプロセス材料を処理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362143A (zh) 一种高效回收废弃印刷电路板焊锡的工艺及装置
KR970001522B1 (ko) 폴리에틸렌 수지와 결합된 폐자재로부터 수지를 추출하는 장치
US5300267A (en) Reclaimer apparatus
US6123277A (en) Process and device for making use of plastic-coated or sheathed wiring and waste wire for the separate recovery of metal and pure recyclable plastic
US62253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polyethylene from waste resin-compounds
JP2009046520A (ja) ポリ塩化ビニル樹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H1099819A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分別装置
JPS62187791A (ja) プラスチツクスクラツプから油脂状炭化水素燃料等の回収方法
CN114084924A (zh) 锂电池电解液封闭加热挥发装置
JP2009287051A (ja) 亜鉛回収装置
KR100495083B1 (ko) 폐기물 세척 및 분리 장치
CN107619146A (zh) 汽车行业废溶剂回收方法
JPH1128724A (ja) 発泡スチロール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4123813A (ja) 添加剤の除去を行う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方法とこれに用いる溶剤回収装置
CN1323072A (zh) 废旧电池处理方法
JPH07216363A (ja) 廃プラスチック油化システム
JP3523099B2 (ja) 廃プラスチック連続処理装置
JP3064132U (ja) 廃発泡スチロ―ル回収装置
CN216377552U (zh) 锂电池电解液封闭加热挥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