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445B1 -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 Google Patents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445B1
KR970001445B1 KR1019930015820A KR930015820A KR970001445B1 KR 970001445 B1 KR970001445 B1 KR 970001445B1 KR 1019930015820 A KR1019930015820 A KR 1019930015820A KR 930015820 A KR930015820 A KR 930015820A KR 970001445 B1 KR970001445 B1 KR 97000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spraying
lime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860A (ko
Inventor
시게히사 이와이
미찌하루 꼬바야시
찌히로 우찌다
꼬지 꾸로다
시게루 도다
Original Assignee
비이오켐공업 주식회사
시게루 도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이오켐공업 주식회사, 시게루 도다 filed Critical 비이오켐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4000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처리구의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2도는 저니(底泥)에 포함되는 유기 질소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유기 인산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무기 질소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무기 인산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6도는 저니에 강열 감량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7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유기 질소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8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유기 인산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무기 질소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0도는 저니에 포함되는 무기 인산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1도는 저니의 강열 감량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12(a)도 및 (b)도는 침하량 측정용 장치의 설치 개소를 표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하구나 호수, 연못, 늪 등의 물의 흐름이 없거나 물의 흐름이 적은 폐쇠적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생활계 폐수나 농업 폐수, 공장 폐수가 배출되고 있는 호수, 연못, 늪, 하천, 바다 등의 물의 흐름이 적은 폐쇠적 수역에 있어서는 저부에 오니(汚泥)가 퇴적하여 수질을 악화시켜 생태계에 악 영향을 주고 있다.
상기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준설이나 복사 등을 행하고 있고, 특수 처리된 제오라이트(Zeolite)로 조성된 오니 침강제 또는 석회(생석회 및 과립상 소석회)가 살포된다.
그러나, 준설의 경우에는 준설된 후의 오니의 처리 및 팽대한 공사 비용의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준설시에 저니가 교반되어 수질이 더욱 악화된다.
반면에, 복사의 경우에는 저면이 상승되므로 항로에 장해가 있고, 팽대한 공사비용이 필요로 되어, 더욱 복사가 유출되고 저니가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수 처리된 제오라이트로 조성된 오니침강제는 가격이 너무 높으므로 실용성이 없다.
과립상 소석회의 살포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나타난다(잡지환경 기술, 환경 기술 연구협회 발행, 제17권 제12호 : 1988년 12월 30일, 제18권 제6호 : 1989년 6월 30일, 제19권 제5호 : 1990년 5월 30일 및 제19권 제8호 : 1990년 8월 30일).
해당 발표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과립상 소석회를 1㎡당 200g 살포하면, 석회는 수중 및 오니중의 유화 수소와 반응하여 유화 수소가 소멸한다.
석회막은 저니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막은 퇴적하고 있는 오니와 물과의 차단막으로 된다.
상기 방법은 수질악화 요인이 되는 물질이 수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술적 방법(이하「석회 살포법」이라 함)이다.
석회 살포법은 생석회 또는 과립상 소석회가 살포되므로, 가격이 저렴하며 더욱 어개류의 성장에 필요한 Ca 이온이 방출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 잇점으로 주목되고 있지만, 살포후 수 일간은 백탁 상태가 계속되는 점(그 후는 투명으로 됨), 수질개선, 예컨데 BOD치의 저하에 오랜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 수중의 부유성 물질의 침강에도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 등의 개량의 여지가 있고, 또 석회막에 의하여 물로부터 분리된 오니의 분해는 자연 현상으로 남겨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a 이온의 방출량을 보다 많게 하여 어개류의 성장에 기여하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회막에 의하여 물로부터 분리된 오니를 적극적으로 분해 감소 시키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역의저질 및 수질 개선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대상으로 하는 수역에 석회,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및 광합성 세균의 균액을 살포한다.
여기서, 세균액은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의 적어도 하나로 미리 침투되게 한다.
상기 물질은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고 그 후 석회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및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을 대상 수역에 살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으로 하는 수역에 석회,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를 살포하거나 혹은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및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을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대상으로 하는 수역에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면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혐기성 균이 활성화 되어, 생성된 유화 수소 및 메탄이 방출된다.
다음에 석회를 살포하면 방출된 유화 수소와 석회가 반응하여 유산 칼슘이 생성되어 저니의 표면에 유산 칼슘의 막이 형성된다.
결과로서, 저니는 보다 혐기적 환경으로 되어 혐기성 균이 더욱 활성화된다.
석회와 반응하지 아니한 유화 수소는 다음에 살포되는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중의 광합성 세균에 의하여 분해된다.
한편, 막위의 부분은 호기적 환경으로 되어 있음으로, 석회보다 뒤에 살포되는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중의 호기성 균에 의해 수중의 유기물 등이 분해된다.
추가로, 규조토 또는 제오 라이트는 균류의 담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호수, 연못, 늪, 하천, 바다 등의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폐쇠적 수역에 있어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이 개선됨과 함께 Ca이온량이 해당 수역에서 증가되어 어개류의 성육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언급된 석회 살포법에 의해 불가능한, 석회막에 의하여 물로부터 차단되어 있는 오니를 분해하게 한다.
더욱, 석회 살포법에는 살포후 물이 수일간은 백탁 상태가 계속되나 본 발명에 의하여 살포후 약24시간내에 물이 투명 상태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식 조립법이나 습식 조립법에 의하여 미립 정도의 크기로 조립된 시판의 생석회 또는 과립상 소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상의 경우는 살포시에 수질을 백탁 시키지만 과립상의 경우는 빠르게 침강하기 때문에 백탁 시키지 않는다.
또한, 생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 및 PH치 상승의 작용이 있음으로 소석회의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이하「TB」라 칭함)는 아래의 방법으로 얻어진다.
하수도 처리 시설이나 유기물 폐수 처리시설에서, 수분조절은 폭기조내의 활성오니에 의하여 수행되고 혐기성 소화조내의 오니가 소화된다.
다음, 2주간의 발효 후, 수분조정된 활성 오니 및 소화된 오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미립자 정도의 크기로 조립된다.
아크로모박터(Achromobacter), 알칼리게네스(Alcaligenes), 슈도모나스(Pseudomonas), 크로모박테리움(Chromobacterium), 파리콜로박테리움(Paracolobacterium),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또는 니트로조모나스(Nitrosomonas) 등의 유기물 분해 세균과 같은 호기성 세균에 의하여 폭기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행해진다.
동일하게, 소화조에서는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디설포비브리오(Desulfovibrio), 메타노박테리움(Methanobacterium), 세라시아(Serratia), 박테리오이데스(Bacteroides), 또는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과 같은 혐기성 세균에 의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된다.
추가로, 혐기성 침지 여상(filter media) 오니가 소화조내의 혐기성 소화 오니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혐기성 소화 오니 및 혐기성 침지 여상 오니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폭기조내 활성 오니 및 소화조내 혐기성 소화오니 PAC (분말 활성탄), 염화제 2철, 유산 암모늄, 석회등과 같은 무기 응집제, 양이온계 및 음이온계와 같은 고분자 응집제, 또는 탈수처리에 첨가되는 비이온계 응집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이하「CG」라고 칭함)는 시판의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함유물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미립 정도의 크기로 조립함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이하「PB」라고 칭함)은 포도슈도모나스 캡셀레이투스(Phodopseudomonas Capsulatus)(발효연구소 제879호 :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No. 879), 포도스프릴리움 루브럼(Phodospirillum rubrum)(발효연구소 제878호), 크로마티움 비노삼(Chromatium Vinosam)(발효연구소 제890호)등과 같은 퍼플 무유황 세균(purple sulphurless bacteria) 및 퍼플 유황 세균(purple sulphur bacteria)이 108주/㎖(strain/㎖)이상 포함된다.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의 농도가 108주/㎖ 미만인 때에는 소기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폐쇠적 수역에 상기와 같은 UT, TB, CG 및 PB를 살포함으로서 해당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살포에 있어서, 미리 PB, TB 및 CG 의 적어도 하나로, 바람직하게는 CG로 미리침투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UT, TB, CG 및 PB는 UT를 1∼2 중량부, TB를 3∼6 중량부, CG를 4 ∼6 중량부, PB 를 3∼4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 비율의 범위를 어느 정도 어긋나게 사용하여도 개선 효과는 얻어지지만, 상기 비율에 있어 최적의 효과가 얻어지며 또 비용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저질 및 수질의 상태는 대상으로 하는 수역에 따라 각각 다르기 때문에, TB, CG, PB 및 UT의 살포량은 대상으로 하는 폐쇠적 수역의 상황에 따라서 조정된다.
통상 상기 비율내에서 사용된 UT, TB, CG 및 PB의 합계량은 저부면적 1m′당 약 500∼600g 살포하면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폐쇠적 수역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 비율의 범위내로 제조된 UT, TB, CG 및 PB의 소요량을 살포한다.
후술되어 지는 방법에서, 폐쇠된 수역의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오염 물질은 급속히 침강하고, 수중 및 오니 중의 유화 수소가 분해되어, 오니가 감소된다.
더욱, Ca 이온이 수중으로 효과적으로 방출되어,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폐쇠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제 세트가 사용되어지는 UT, TB, CG 및 PB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T 1∼2 중량부, TB 3∼6 중량부, CG 4∼6 중량부 및 PB 3∼4 중량부의 비율로 제조한다.
PB는 상기 TB 및 CG의 적어도 하나로 침투되고, 해당 UT, TB 및 CG는 각각 별개로 패킹되어, 제조된 개선제 세트는 쉽게 보존되고 취급될 수 있다.
역시, PB 를 TB 또는 CG 에 침투시킬 때에는 소정량의 TB 또는 소정량의 PB를 뿌려서 잠깐 동안 방치한 후에 패킹한다.
또 소정량의 PB는 TB 또는 CG 중의 하나로 침투될 수 있고, TB 및 CG의 2종에 침투되기 위하여 소정량의 PB가 분할될 수도 있다.
CG는 다공체이고, 미세한 구멍을 수많이 가지고 있음으로 PB를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폐쇠적 수역에서 오염 원인은 (a) 부유성 물질에 의한 것, (b) 용해성 물질에 의한 것 및 (c) 저니에서의 용해 물질에 의한 3그룹으로 대별되며, 상기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서 수역의 수질 및 저질의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폐쇠적 수역에 UT, TB, CG 및 PB를 살포함으로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상기 오염원의 각 그룹으로 아래에 설명한다.
오염원(a)의 경우에는, TB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 응집제 및 고분자 응집제는 활성화 되기 때문에 (제3차 발효 과정을 완료할 때,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소화 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은 유기물 분해균에 의하여 분해됨으로 응집제는 활성화 된다), TB 에서 수중으로 방출되는 이들 응집제가 부유성 물질과 결합한다.
결과로서, 부유성 물질을 강제 침강 시키고, CG는 미세한 구멍을 수많이 가지고 있음으로 이것에 부유성 물질이 흡착되어 해당 부유성 물질이 침강하고, 부유성 물질에 의한 오염원이 제거 된다.
오염원(b)의 경우에서, 용해성 물질내의 일부는 상기 부유성 물질의 경우와 동일하게 응집과 흡착제 의하여 침강하고, TB 중의 활성 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호기성 세균이 수중에 방출 됨으로, 다른 용해 물질내의 유기물은 호기성 세균에 의하여 분해 되어, 용해성 물질에 의한 오염원이 제거 된다.
오염원(c)의 경우에서,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UT에 의해 저니로부터 용해된 물질에 의한 오염원은 UT에 의해 제거 될 수 있다.
TB 또는 CG에 침투된 PB는 용해성 물질내의 유기물이나 유화 수소를 분해하고 또한 TB중의 호기성 세균에 의한 용해성 물질의 분해를 촉진 시킨다.
PB를 TB 또는 CG에 침투시킴 없이 액의 상태에서 살포하는 경우에는, 수중에 확산하기 때문에, 저면에서 저니로 도착할 수 없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UT 의 살포함으로서, 석회막이 저니의 표면에 형성되어 저니와 물 사이의 차단막으로 되어, 석회막 형성 후는 저니에서 용해된 물질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석회막에 의하여 물과 차단되어 있는 저니는 혐기상태로 되기 때문에, 석회막의 형성전에 도착된 TB중의 혐기성 소화 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혐기성 세균 또는 PB내의 혐기성 세균에 의하여 분해되어, 저니량이 감소한다.
상기 경우에서, CG는 또한 석회막의 아래에 존재하고 있어, CG가 혐기성 세균용 여재(filter media)로 됨으로, 혐기성 세균은 담체로서 CG 를 사용함으로서 혐기성 생물막(bio-film)을 형성한다.
또 수중으로 Ca 이온의 방출은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석회 살포법에서 인정되나,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표시함과 같이 UT, TB, CG 및 PB를 살포한 경우에는 Ca 이온의 방출량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상기 현상은 이론적으로 지지되지 않으나, 본 발명자등이 행한 수많은 실험데이터로부터 PB는 Ca의 용해도를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은 상기 작용에 의해서 개선되고, 상기 작용은 서로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UT, TB, CG 및 PB를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제 세트로서 제조함으로서, 효능이 사용할 때까지 열화됨이 없이 보존되고, 사용할 때에 취급하기 쉬워서 효율좋게 살포될 수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UT, TB, CG 및 PB의 제조
UT : 미립크기로 조립된 시판의 과립상 소석회가 사용됨.
TB : 효고현 아마사끼시 북부 하수 처리장의 폭기조내의 활성 오니 및 소화조내의 혐기성 소화 오니를 먼저 수분 조정(함수율 약 50∼60%)하여, 3주간 발효(발효중의 최고 승온 온도 약 85℃)한 후, 발효된 활성 오니 및 소화 오니(함수율 36% 이하)을 미립크기로 조립하여 과립상물로서 사용함.
CG : 시판의 분상 규조토를 미립크기로 조립하여 과립상물로서 사용함.
PB : 퍼플 무유황 세균 및 퍼플 유황 108주/㎖ 세균액을 사용함.
(2) 대상으로 한 폐쇠적 수역의 해수 및 저니 해수 및 저니는 일본 미에, 시마군, 이소베쪼, 미카소(Mikasho, Isobe-cho, Shima-gum, Mie, Japan)어업협동조합 어장, 마토야 만(Matoya-bay)의 양식장(수심 약 10m)에서 채취하였다.
(3) 처리 내용
투명 염화 비닐 제수조를 7개(No. 1∼No. 7) 준비한다.
No. 1∼No. 7조의 각조에 상기(2) 저니를 조의 저면에서 약 10㎝의 높이까지 충전하고, 뒤이어 만수가 되기까지 (2)의 해수를 채우고, 각 조내를 교반한 후 약2시간 방치한다.
결과로서, 저니가 조의 저면에서 약 10㎝의 높이로 퇴적한다.
No. 1조에는 UT 1㎥ 당 100g, TB 1㎥ 당 150g, CG 1㎥ 당 200g 및 PB 1㎥ 당 150g이 살포된다.
No. 2조에는 UT 1㎥ 당 50g, TB 1㎥ 당 200g, CG 1㎥ 당 200g 및 PB 1㎥ 당 150g이 살포된다.
No. 3조에는 TB 1㎥ 당 150g, CG 1㎥ 당 300g 및 PB 1㎥ 당 200g이 살포된다.
No. 4조에는 TB 1㎥ 당 200g, CG 1㎥ 당 200g 및 PB 1㎥ 당 200g이 살포된다.
상기 어느 경우에서도 미리 CG에 침투시킨 PB가 살포된다.
No. 5조에는 UT 1㎥ 당 100g, TB 1㎥ 당 300g, CG 1㎥ 당 200g이 포된다.
비교예로서, No. 6조에는 UT 1㎥ 당 200g가 살포되고, No. 7조에는 TB 1㎥ 당 600g 살포된다.
(4) 결과
상기 No. 1∼No. 7조의 각각의 투시도가 육안으로 관찰되고, BOD, COD SS(부유물), T-N(총 질소량), T-P(총 인량), Ca농도 및 PH의 각치를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분석, 측정 하였다.
투시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설포 전에는 저니가 저부에 퇴적하고 있는 상태에는 해수부는 회색을 보이고 탁하게 되며, 조내를 교반한 상태에는 해수는 회녹색을 보이고 탁하게 되어 있다.
교반이 정지된 후, 약 2시간내에 저니는 저부에 퇴적하고 해수부는 회색을 보이고 탁한 상태로 된다.
살포후, No. 1조내의 해수는 살포시에서 약 24시간내에 투명하게 되고, No. 2∼No. 7조는 살포시에서 약 48시간내에 해수부가 투명하게 되었다.
이후 각 7조 해수부 사이의 투시도에 차는 관찰되지 않고, 모든 조의 해수가 투명하게 된다.
살포후 약 120시간 후에는 No. 1, 2, 5 및 6조는 각조의 저부에 퇴적하고 있는 저니의 전 표면에 거의 균일한 두께의 석회막이 형성된다.
더욱, 살포후 약 336시간내에 No. 1조에서 저면에서 석회막까지의 높이가 약 7㎝로 되며, No. 6조의 높이는 거의 변화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및 측정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살포전의 샘플의 분석 및 측정은 교반하에 있는 조내의 해수가 사용된다.
살포후의 샘플의 분석 및 측정은 저니가 저부로 퇴적한 상태에 있는 조내의 해수가 사용된다.
살포후의 No. 1∼No. 5조(실시예) 및 No. 6 및 No. 7조(비교예)는 표1에 나타난 것과같이 어느 것이나 생태계 환경에 적합한 수치를 표시한다.
No. 1 및 2조 특히 No. 1조에는 다량의 칼슘이 용해되어 있다.
No. 7조에는 TB의 첨가로 인하여 COD치, T-N치 및 T-P치가 각각 상승되나, No. 1,2조에는 TB 및 PB를 첨가함에도 불구하고, COD치, T-N치 및 T-P치의 상승이 억제된다.
No. 7조에는 T-N치가 6.3㎎/ℓ이상으로 되어 있어, 5.0㎎/ℓ을 넘으면 어개류에 영향이 있다는 설이 주목된다.
또, UT, TB, CG는 미립크기의 과립상물로서 사용되므로, 빨리 저부의 저니에 도달되고, 살포기로서 기계적으로 살포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최적균 배합비 (No. 1조의 배합비)를 사용하여 수질 개선 및 저니량이 감소(유기물의 분해)된다.
A조 (0.5m×0.5m×0.8m), B 조(0.5m×0.5m×0.8m) 및 C조 (0.3m×0.3m×0.3m)가 준비되고, 각각의 조에 저니 약 15㎝를 채운다.
만수에 되기까지 해수로 채우고, A조 및 B조의 수온이 24℃에 조절되고, C조의 해수의 온도는 상온(14℃)으로 조절된다.
각각 UT, CG, TB 및 PB는 UT : 100g/㎡, CG : 200g/㎡, TB : 150g/㎡, PB : 150g/㎡의 비율로서 B조 및 C조내로 첨가된다.
비교로서, A조에는 아무것도 가하지 아니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2 및 표3에 표시하였다.
저니가 채취된 상태, 샘플에 사용된 수조에의 투입상황 및 비중에 의한 물리적 차이를 고려하여도, B조 및 C조와 A조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3
해양내 양식장으로부터 저니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저면상의 저니는 1차 저니 및 2차 저니의 2그룹으로 분류된다.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퇴적물을 1차 저니, 무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퇴적물(오니 상부)을 2차 저니로 규정한다.
본 실시예의 샘플로서 2차 저니를 사용하여, 분해에 의한 오니의 감소 및 수질 정화의 개선이 얻어진다.
(1) 실험장소, 실험일
장소 : 일본 미에, 시마군, 이소베쪼, 미카소 어업협동조합 양식장일 : 1992년 3월 31일
(2) 실험장치
처리되지 않은 구와 처리된 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구를 서로 독립적으로 되도록 시트(sheet)가 구비된다.
(3) 실험조작
다음의 순서로 UT, CG, TB 및 PB가 투입된다.
1) 혐기성 오니 소화균(TB)은 저니로 주입되고, 저니의 표면상으로 살포된다.
주입
주입 파이프 직경 : 0.06m
주입 심도 : 0.6m
주입 개수 : 60개 (1㎡당 3개)
주입 비율 : 모래 1㎏, TB 30g (3%)
주입량(전체) : 0.113㎡
살포
TB 150g/㎡가 상기 해면상에 살포된다.
TB 살포량 : 3㎏ (150g×20㎡)
2) 과립상 소석회(UT) 100g/㎡가 상기 수면상에서 살포된다.
UT 살포량 : 2㎏ (100g×20㎡)
3) 호기성 오니 소화균(TB)과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PB)을 규조토(CG)와 혼합하고, 혼합액 350g/㎡을 해면 상에서 살포한다.
혼합비 : CG : PB : TB = 2 : 1 : 0.5
혼합액 살포량 ; 7㎏ (350g×20㎡)
주입 및 살포후의 처리구의 상태를 제1도에 표시한다.
일정기간 후에 저니를 채취하고, 그것에 포함되는 유기 질소, 유기 인산, 무기 질소, 무기 인산 및 강열 감량을 측정하였다.
1992년 7월 24일에 측정된 경과를 제2도∼제6도에, 1992년 9월 3일에 측정한 결과를 제7도∼제11도에 표시하였다.
저니감량(침하)을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측정된 저니감량의 지점은 제12도 (a) 및 (b)도에 표시되었다.
제2도에서 제11도에 나타난 측정치로부터, 유기 질소, 유기 인산 및 강열 감량의 감소가 저니표면 및 표면 60㎝ 이하에서 관찰되었다.
즉, 해저에 퇴적된 유기질 저니가 분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은 많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실시상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백하게 한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에 해석되어야 할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다.

Claims (6)

  1.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수역에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는 스텝과,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의 살포후 석회를 살포하는 스텝과, 석회의 살포후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는 스텝과 석회의 살포후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를 살포하는 스텝 및, 석회의 살포후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을 살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2.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 수역에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는 스텝과, 대상 수역에 석회를 살포하는 스텝 및, 대상 수역에 규조토 또는 제오 라이트를 살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3.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 수역에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를 살포하는 스텝과, 대상 수역에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를 살포하는 스텝 및, 대상 수역에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을 살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은 활성 오니, 혐기성 오니 및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 침투된 후 살포되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대상 수역에 석회를 살포하는 스텝을 추가 포함하는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는 1∼2 중량부, 상기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는 3∼6 중량부, 상기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는 4∼6 중량부 및 상기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이 3∼4 중량부의 비율로 살포되는 수역의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6. 저부에 오니가 퇴적된 수역의 저질 및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질 개선제 세트에 있어서, 1∼2 중량부의 석회, 3∼6 중량부의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4∼6 중량부의 규조토 또는 제오라이트 및 3∼4 중량부의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을 포함하며, 상기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은 상기 활성 오니 및 혐기성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 라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로 침투되며; 석회, 활성 오니 및 혐기성 오니, 규조토 또는 제오 라이트 및 광합성 세균의 세균액은 각각 개별로 패킹되는 수질 개선제 세트.
KR1019930015820A 1992-08-20 1993-08-16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KR970001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45596 1992-08-20
JP24559692 1992-08-20
JP11621393A JP2935619B2 (ja) 1992-08-20 1993-05-18 底質・水質改善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改善剤セット
JP93-116213 1993-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860A KR940003860A (ko) 1994-03-12
KR970001445B1 true KR970001445B1 (ko) 1997-02-06

Family

ID=264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820A KR970001445B1 (ko) 1992-08-20 1993-08-16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387343A (ko)
EP (1) EP0583658B1 (ko)
JP (1) JP2935619B2 (ko)
KR (1) KR970001445B1 (ko)
CN (1) CN1065515C (ko)
AU (1) AU658519B2 (ko)
BR (1) BR9303421A (ko)
DE (1) DE69327889T2 (ko)
TW (2) TW24343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814B1 (ko) * 2011-05-03 2011-09-19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생태복원형 고효율자연정화습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5619B2 (ja) * 1992-08-20 1999-08-16 バイオケム工業株式会社 底質・水質改善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改善剤セット
US5736048A (en) * 1995-05-24 1998-04-07 Spelman College Biological process of remediating chemical contamination of a pond
GB2312893B (en) * 1996-10-21 2001-01-24 Holding Company Belgie Nv Zeolite composition
CN100343186C (zh) * 2004-06-08 2007-10-17 张广志 水质改良剂
US7824129B2 (en) * 2006-10-18 2010-11-02 Menzie-Cura & Associates, Inc. Low-impact delivery system for in 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CN102424819B (zh) * 2011-12-29 2013-05-15 四川清和科技有限公司 光合细菌固化颗粒及其制备方法
CN102583881A (zh) * 2012-02-13 2012-07-18 广东中大环保科技投资有限公司 一种治理黑臭河道水质的方法
CN103241842B (zh) * 2013-05-14 2014-11-26 四川清和科技有限公司 Epsb治理水体污染的方法
JP6258277B2 (ja) * 2014-10-15 2018-01-10 アクアサービス株式会社 水質浄化方法および水質浄化システム
CN104529111B (zh) * 2014-12-29 2016-03-02 天津振邦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清除海参生长水域底泥中有机污染物的方法
CN105253988A (zh) * 2015-10-16 2016-01-20 巢湖市聚源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织染污水处理的发酵处理剂
CN105417840A (zh) * 2015-11-02 2016-03-23 安徽洋森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涂装前处理废水的处理方法
CN107232090A (zh) * 2017-05-03 2017-10-10 蚌埠市宝煦家庭农场 一种提高青竹鱼养殖中水质稳定性的方法
CN107640829A (zh) * 2017-09-04 2018-01-30 安徽秀安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净化娃娃鱼用水的组合物
CN107601678B (zh) * 2017-09-26 2018-09-14 惠州学院 一种城镇黑臭水体及底泥原位快速治理材料
CN109052667B (zh) * 2018-09-06 2021-07-09 河南利源净化材料有限公司 一种二合一净水剂的制备方法
JP2021109154A (ja) * 2020-01-14 2021-08-02 株式会社クリーン・アース・バイオ 水処理用添加剤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CN111423079A (zh) * 2020-02-26 2020-07-17 中交第一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异质分层覆盖结合化学处理的受污染底泥原位帽封方法
CN112159062B (zh) * 2020-09-07 2022-06-2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河湖水环境多界面治理与修复的方法
CN112592010A (zh) * 2020-11-19 2021-04-02 广州绿邦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河流底泥修复剂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5213A (en) * 1969-02-24 1970-04-07 Martin Mariett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 natural body of water
US3855121A (en) * 1971-11-01 1974-12-17 A Gough Biochemical process
US4263142A (en) * 1979-06-13 1981-04-21 Microphor, Inc. Process and system for purifying water
SE8206091D0 (sv) * 1982-10-27 1982-10-27 Sydkraft Ab Forfarande for neutralisering av forsurade vattendrag
JPH0751237B2 (ja) * 1987-06-18 1995-06-05 海洋工業株式会社 連続水域における部分浄水方法
JPH01199698A (ja) * 1988-01-30 1989-08-11 Tsurumi Mfg Co Ltd 池水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H0689330B2 (ja) * 1988-04-25 1994-11-09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底質改良方法
US4895665A (en) * 1989-04-26 1990-01-23 George D. Smith Method for treating and reclaiming oil and gas well working fluids and drilling pits
US5011604A (en) * 1990-02-07 1991-04-30 Wilde Edward W Use of microalgae to remove pollutants from power plant discharges
JPH04296754A (ja) * 1991-03-26 1992-10-21 Fuji Photo Film Co Ltd ポジ型フオトレジスト組成物
US5227068A (en) * 1991-10-25 1993-07-13 Eco-Soil Systems, Inc. Closed apparatus system for improving irrigation and method for its use
JP2935619B2 (ja) * 1992-08-20 1999-08-16 バイオケム工業株式会社 底質・水質改善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改善剤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814B1 (ko) * 2011-05-03 2011-09-19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생태복원형 고효율자연정화습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218593A (en) 1994-02-24
JP2935619B2 (ja) 1999-08-16
TW243439B (ko) 1995-03-21
CN1065515C (zh) 2001-05-09
CN1085877A (zh) 1994-04-27
EP0583658A1 (en) 1994-02-23
JPH06114397A (ja) 1994-04-26
BR9303421A (pt) 1994-03-08
AU658519B2 (en) 1995-04-13
TW268930B (ko) 1996-01-21
KR940003860A (ko) 1994-03-12
EP0583658B1 (en) 2000-02-23
US5460744A (en) 1995-10-24
US5387343A (en) 1995-02-07
DE69327889T2 (de) 2000-10-05
DE69327889D1 (de) 200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445B1 (ko) 수역의 저질 및 수질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개선제 세트
Tang et al. Removal of nitrogen from wastewaters by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ANAMMOX) using granules in upflow reactors
Rebhun et al. Control of organic matter by coagulation and floc separation
Lee et al. Influence of predators on nitrification in aerobic biofilm processes
El-Sheikh et al. Improving water quality in polluated drains with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EP0743925B1 (en) Nove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ater treatment
Tabassum et al. Efficient nitrification treatment of comprehensive industrial wastewater by using Novel Mass Bio System
CN108409080B (zh) 一种底泥原位修复颗粒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应用
SK17052000A3 (sk) Spôsob spracovania vôd, pôd, sedimentov a/alebo kalov
Zhou et al. Nitrogen reduction using bioreactive thin-layer capping (BTC) with biozeolite: A field experiment in a eutrophic river
JP2002192187A (ja) 汚染環境の処理剤
Zamparas et al. Sorption of phosphate from innovative composite material focusing on physicochemical interactions
JPH09206800A (ja) 水域底泥の処理方法
Macingova et al. Sulphates removal from acid mine drainage
KR19980043133A (ko) 산화구형 자연정화 처리방법
Ilyas et al. Microbial diversity as a tool for wastewater treatment
Show Seafood wastewater treatment
KR100297661B1 (ko) 고농도질소,인제거활성오니고도처리공법
Foehrenbach Eutrophication
Kilani Studies on the treatment of dairy wastes in an algal pond
Priya et al. 9 Phycoremediation of
JP3728537B2 (ja) 排水処理方法
SU874665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комплексов
Ozbay Effects of coagulant treatments on aquaculture effluent quality
Macingova et al. Bioremediation of Sulphate-Rich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