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57B1 - 테이프의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의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57B1
KR970001357B1 KR1019930007252A KR930007252A KR970001357B1 KR 970001357 B1 KR970001357 B1 KR 970001357B1 KR 1019930007252 A KR1019930007252 A KR 1019930007252A KR 930007252 A KR930007252 A KR 930007252A KR 970001357 B1 KR970001357 B1 KR 97000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er
guide
branch pip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천
Original Assignee
김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천 filed Critical 김상천
Priority to KR101993000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57B1/ko

Link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의 권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으로 제조된 로울러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개략도.
제3도는 테이프 원단지를 지관안치로울러에 이송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지관이 지관안치로울러에 완전히 안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테이프 원단지가 완전히 감긴 상태와 지대를 부착하고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테이프 원단지의 이송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일부 사시도.
제7도는 절단장치만을 확대한 것으로, (a)는 압지봉이 지대를 테이프 원단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절단길이 테이프 원단지와 지대를 동시에 자르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8도는 지관안치로울러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a)는 지관이 투입되는 순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지관이 2개의 로울러 사이에 완전히 안착되어 테이프 원단지가 붙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난 것이며, (c)는 지관이 3개의 로울러 사이에 협지되어 권취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d)는 테이프 원단지가 완전히 권취된 지관이 낙하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대 1' : 단부
A : 테이프 원단지 21,22,23 : 3개의 로울러
22a : 축 30 : 가이드장치
40 : 섹션장치 41,42,43 : 3개의 로울러
44 : 벨트 45 : 진공쳄버
50 : 안내로울러 60 : 절단지지대
61 : 홈 70 : 지관안치장치
71,72,73 : 3개의 로울러 72a : 리시브실린더
72b : 중간자 72c : 추
B : 지관 80 : 실린더
81 : 막대봉 90 : 렉
92a :렉기어 92 : 판스프링
93 : 접착봉 93a : 요철면
94 : 가이드 94a : 요철면
95 : 삼각안내판 96 : 실린더
97 : 로울러 100 : 절단장치
101 : 실린더 102 : L자형 기대
103 : 지대안내판 105,106 : 2개의 로울러
107 : 절단칼 108 : 스프링
109 : 압지봉 110 : 스톱퍼
120 : 안내판 121,122 : 지지핀
123 : 고무벨트
본 발명은 테이프(일명 스카치테이프)의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지관에 권취하는 공정이 매우 어렵다.
테이프는 원단으로 지관에 권취한 다음 이를 일정폭 절단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상품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폭이 넓은 원단을 더구나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이를 지관에 권취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지관의 투입, 원단자르기, 지대 붙이기 등의 공정을 대부분의 수공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므로 지관의 권취시간을 단축할 수가 없었으며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조약품 발생율이 높아 품질 저하는 물론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폐단을 지양하고 테이프의 권취는 물론 지관의 공급, 지대의 부착, 절단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므로 지관권취시간을 단축하고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여 고품질을 유지하며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순서는 원단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원단지를 지관안치대에 공급하는 공정과 일정폭을 갖는 지대를 원단지의 일면(접착제 도포면)에 부착하고 또 이들을 절단하는 공정과 지관을 원단지의 단부에 정확하게 안치하는 공정 그리고 완성된 제품을 자동으로 낙하하는 공정 등으로 대별할 수가 있다.
상기 공정중에서 원단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은 종래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면 및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에서는 지관에 일정 길이의 테이프가 권취된 상태를 측면으로 보인 것으로 테이프의 단부에 지대(1)가 일정폭 부착되고 그 단부(1')는 절취된 상태를 보인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으로 테이프 원단지(A)의 흐름과 지대(1)의 이송으로 구분되어지며 테이프 원단지(A)의 흐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테이프 원단지(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단지 상면(도면 표시상)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서 생략한다. 좌측에서는 형식상 3개의 로울러(21),(22),(23)로 표시되어 있으며 중간로울러(22)는 그 축(22a)이 수직가이드장치(30)와 수직가이드구멍(31)에 끼워져 있어 중간로울러(22)는 상하 이동이 자유롭다. 즉, 왼쪽에서 이송되는 테이프 원단의 이송속도와 우측의 권취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테이프 원단의 이송속도가 불일치할 때에는 중간로울러(22)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이프 원단이 항상 균일한 탄력을 유지케 한다. 그 우측에는 3개의 로울러(41),(42),(43)가 벨트(44)로 감겨 있고 그 내부에는 진공쳄버(45)가 있어 테이프 원단지(A)를 벨트(44)에 흡착시킨 상태로 아래로 이송시키는 섹션(suction)장치(4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안내 로울러(50)가 있고, 그 하부에는 홈(61)이 있는 절단지지대(60)가 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3개의 로울러(71),(72),(73)가 삼각형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로울러(71)는 고정되어 있고 로울러(72)는 경사 설치된 리시브실린더(72a)와 연결되나 그 중간에는 중간자(72b)가 있어 추(72c)로써 긴장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며 원단지가 감진 지관을 아래로 떨어트리는 작용을 한다. 그 우측의 로울러(73)는 역시 상하로 동작하게 되어 있으며 지관(13)이 공급되면 아래에 이동되어 있다가 지관이 3개의 로울러(71),(72),(73) 사이에 안착되면 상황 이동하여 지관(13)을 긴밀히 협지한다.
또 로울러(71),(72) 사이에는 긴 막대봉(81)이 있는 실린더(80)를 설치하여 지관(13)이 정확하게 2개의 로울러(72),(72) 사이에 안치되게 한다.
섹션장치(40)의 우측에는 상부에 렉(91)이 있는 승하강지지대(90)가 설치되어 렉기어(91a)에 의해 상하 동작되게 하고 지지대(90)의 전면에는 판스프링(92)이 그 일단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원단지 접착봉(93)이 획으로 양단에 축설된 가이드(94)가 약간 경사지게 매달려 있으며 그 상단부 배면에는 삼각안내판(95)이 있고 지지대(90)의 양 측면에는 실린더(96)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에 로울러(97)가 있어 이 로울러(97)는 상승하면 삼각안내판(95)을 밀게 구성되어 있다.
절단지지대(60)의 우측에는 지대(1)의 절단장치(100)가 있으며 이는 후방의 실린더(101)에 의해 전후진한다. 절단장치(100)는 L자형 기대(1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 좌측에는 지대안내관(shutte)(103)의 완충장치(104)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2개의 로울러(105),(106)가 지대(1)를 가이드하며, L자형 기대(102)의 선단 즉 좌측단에는 절단칼(107)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스프링(108)으로 탄지된 압지봉(109)이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장치(100)의 전방에는 스톱퍼(110)가 고정되어 있어 절단장치(100)가 전진하면 지대안내관(103)의 선단이 절단칼 상부에 근접되게 하여 지대(1)를 절단칼(107) 바로 전면에 위치되게 한다.
절단장치(100)의 하방에는 지관(13)의 안내판(120)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지관(13)을 하나씩 투하되게 2개의 지지핀(121),(122)이 서로 교호로 승하강되게 한다. 지관(13)의 원활한 공급을 하기 위해서 안내판(120) 보다 약간 높게 고무벨트(123)를 부착할 수도 있다. 장치의 가장 하단부에는 완성된 제품의 안내가이드(13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그 우측단에는 적재함(131)이 설치된다.
제3도는 테이프 원단지(A)가 로울러(71),(72),(73)내에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지관(13)이 낙하된다. 원단지(A)는 제2도에서 접착봉(93)에 붙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실린더(96)에 의해 로울러(97)가 하향하고 이로 인해 판스프링(92)은 복귀하여 접착봉(93)에 원단지가 붙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대(90)가 하향함에 따라 원단지(A)도 하향하여 도면 제3도 표시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의 다른 장치는 제2도 위치에 있다.
제4도는 지관(13)이 로울러(71),(72),(73) 사이에 완전히 안착하고 로울러(73)이 상승하여 지관(13)을 협지하며 원단지(A)의 단부가 지관에 붙여 있게 되며 또 한편 지지대(90)는 렉기어(91a)의 회전에 의해 상승한다. 그외의 다른 장치는 제2도 위치와 같다.
제5도는 지관(13)에 원단지가 일정량 감긴상태와 절단장치(100)가 실린더(101)의 도움으로 전진하여 절단칼(107)이 원단지와 지대(1)를 동시에 자르는 동작을 표시한 것으로 절단장치(100)가 전진하면 절단칼(107) 하부에 있는 압지봉(109)이 먼저 지대와 원단지를 누르고 뒤이어 절단칼(107)이 전진하여 지대(B)와 원단지(A)를 자르므로 원단지와 지대의 잘린 단부가 일치되어 외관이 미려한다.
한편, 절단장치(100)가 전진함에 따라 지대안내관(103)의 중간부위인 완충장치(104)의 선단봉이 스톱퍼(110)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므로 지대안내관(103)의 선단을 L자형 기대(102)의 선단에 접지되며 그러므로 지대(1)는 절단칼(107)의 바로 전면에 위치시킬 수가 있어 지대(1)의 폭을 일정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승된 지지대(90)의 판스프링(92)은 다시 로울러(97)의 상승에 의해 접착봉(93)이 원단지를 누르고 접착시키게 되며 하단의 3개의 로울러(71,72,73)는 계속하여 회전하다가 지관에 원단지가 완전히 감기면 로울러(72)가 하향하여 완제품을 아래의 안내가이드(130)에 투하한다. 이러한 공정이 끝나면 다시 제2도 표시와 같은 위치로 있게 된다.
제6도는 지지대(90)의 입측부를 사시도로써 나타낸 것으로 똑같은 구조가 반대편에도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90)의 일측 전면에 판스프링(92)의 상단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하단에는 장공(94a)이 있는 가이드(94)가 매달려 있으며 중간에는 삼각안내판(95)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94)의 장공(94a)에는 접착봉(93)의 양단(93b)이 삽지 현가되어 있으며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며 접착봉(93)의 상하면에는 요철부(93a)가 조각되어 있어 접착액이 도포된 원단지에 탄력적으로 붙게 하여 작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며 삼각안내판(95)은 로울러(97)가 실린더(96)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판스프링(92)의 하단부가 앞으로 휘어지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보여준다.
제7도는 절단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더욱 알아 보기 쉽게 확대 표시한 것으로 (a)도는 L자형 기대(102)가 전진하여 절단칼(107)보다 약간 돌출된 압지봉(109)이 지대(1)와 원단지(A)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도는 L자형 기대(102)가 완전 이동하여 지대와 원단지를 자르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압지봉(109)은 후방의 스프링(108)에 탄지되어 있어 L자형 기대(102)가 더 전진하면 아압이 되어 뒤로 밀리고 동시에 지대를 긴밀히 잡아주는 역할과 지대를 원단지에 접착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한편 지대안내관(103)은 선단부에 설치된 스톱퍼(110)에 의해 지대안내관(103)의 선단이 L자형 기대(102)의 전면에 접지되므로 지대를 절단칼(107)에 근접하여 밀착시킬 수가 있어 절단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지대안내관(103)의 후방에는 완충장치(104)가 구성되어 있으며 봉(104a)의 후방에 스프링(104b)이 탄지되어 있어 지대안내관(103)의 뒤로 이동되더라도 다시 전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제8도는 지관(13)의 안내로울러(71),(72),(73)를 확대하여 작동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a)에서는 지관이 투입되는 순간을 나타낸 것으로 지관이 막대봉(81)에 의해 저지당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막대봉(81)은 지관이 지관안내판(120)에 낙하하는 관성에 의해 지관이 정확한 자세로 세로울러(71),(72),(73) 사이로 안착하기 어렵고 지관이 세로울러에 투입이 되며 원단지가 지관에 붙게 되므로 일단 낙하되는 지관은 막대봉(81)으로 저지시켜 안정시킨 다음 막대봉을 후퇴시키면 지관이 안정된 자세로 세로울러 사이에 안착되고 동시에 원단지가 지관의 외면에 고르게 붙게 되는 것이다. (b)는 막대봉(81)이 후퇴하여 지관이 두로울러(72),(73) 사이에 안착되는 것을 보여 주며 이때 원단지의 끝이 지관에 붙게 되는 것이다. (b)는 로울러(73)가 상승하여 지관을 완전 압압하여 회전시키므로 지관에는 원단지가 감기게 되는 것이다. (b)는 완성된 지관을 낙하시키는 것을 표시한 것으로 로울러(72)가 후퇴하여 두로울러(72),(73) 사이를 벌어지게 하므로 이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 원단지를 계속하여 이송하면서 지관의 자동투입, 지대의 자동접착과 절단 또 완제품의 자동낙하 등을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으며 지관에 감기는 원단지가 지관의 정확한 자세에서 붙게 되고 원단지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대와 원단지가 동시에 컷트되므로 지관에 감기는 원단지가 평활하게 고루 밀접하게 권취되는 효과가 있으며 마지막 단계에서 테이프 단부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므로 외관이 미려하는 등 생산성이 높고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테이프(일명 스카치테이프)의 권취장치로서만 언급하였으나 지관으로 권취하는 벽지나 비닐 원단지 등 이와 유사한 원단지도 본 발명의 장치로서 이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6)

  1. 시트를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칼을 포함하여 이루는 테이프 권취장치에 있어서, 원단지의 이송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승하강 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3개 로울러와, 섹션장치의 입구부에 걸쳐지고 적어도 3개의 로울러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와, 가이드, 로울러 하부에 홈을 가지는 절단지지대와, 적어도 2개의 이동가능한 로울러를 포함하여 3개의 로울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이루는 지관안치부와, 끝단에 접착봉을 가지며 상단에 래크를 가지는 지지대에 의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판스프링과, 이 판스프링에 접하여 밀어내는 승강로울러로 이루는 테이프 이송부와, 상기 지관안치부에 지관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레버와 지관안내판으로 이루는 지관공급부와, 상기 지광안치부의 하부에 설치된 지관 안내 가이드 및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안치부는, 상기 로울러 사이에 지관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실린더를 포함하는 지관 자세교정용 막대봉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안치부의 복수개의 로울러는, 적어도 추에 의하여 긴장되는 1개의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부는, 판스프링의 승하강동작을 위하여 상기 삼각안내판에 접하는 로울러를 상기 지지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부의 접착봉은, 그 양단이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에 경사져서 부착된 가이드의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봉은, 그 표면이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권취장치.
KR1019930007252A 1993-04-29 1993-04-29 테이프의 권취장치 KR970001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252A KR970001357B1 (ko) 1993-04-29 1993-04-29 테이프의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252A KR970001357B1 (ko) 1993-04-29 1993-04-29 테이프의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357B1 true KR970001357B1 (ko) 1997-02-05

Family

ID=1935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252A KR970001357B1 (ko) 1993-04-29 1993-04-29 테이프의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3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9570A (en) Method and machine for transferring indicia to tapered articles
US3715260A (en) Apparatus for binding sheets
IT8322829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manipolazione di materiale tipo tessuto
KR970001357B1 (ko) 테이프의 권취장치
KR100285288B1 (ko) 라벨 자동 절단장치
JPS61277559A (ja) シート材積重ね機械
CA1138838A (en) Notepaper dispenser and tape tabber
US398775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elongate flexible material
CA1172949A (en) Skin packaging machine with inclined oven
US742807A (en) Wall-paper pasting and trimming machine.
JP3466013B2 (ja) ラベル貼付装置
US3756897A (en) Label laminating machine
US2993259A (en) Apparatus for warp beaming
US2062284A (en) Gumming machine
JP2530837B2 (ja) ウエブ巻取方法および装置
US798014A (en) Machine for depositing metallic leaf in right lines upon surfaces to be ornamented.
US3394040A (en) Film splicer
US894959A (en) Machine for making tissues or flies and attaching them to boxes.
JP2021191627A (ja) 付加部材貼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システム
US1133024A (en) Sheet-coating machine.
JP2004198857A (ja) 見本貼着装置
JPS601862Y2 (ja) 材料送り装置
US4887993A (en) Method for pleating film
JPS6487451A (en) Feeding device for roll paper
US3379602A (en) Apparatus for applying flat supports to the backs of advertising poste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