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95Y1 -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95Y1
KR970001095Y1 KR2019930010964U KR930010964U KR970001095Y1 KR 970001095 Y1 KR970001095 Y1 KR 970001095Y1 KR 2019930010964 U KR2019930010964 U KR 2019930010964U KR 930010964 U KR930010964 U KR 930010964U KR 970001095 Y1 KR970001095 Y1 KR 970001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developing unit
doo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803U (ko
Inventor
송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전자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전자, 구자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전자
Priority to KR2019930010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095Y1/ko
Publication of KR950000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의 덮개를 분리시킨 사시도.
제2도는 본체에서 드럼유니트가 장착된 현상유니트를 분리시킨 사시도.
제3도는 현상유니트에서 토너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덮개를 개방하고 드럼유니트만을 분리시킨 상태도.
제6도는 도어를 개방하고 현상유니트만을 분리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본체 8 : 덮개
9 : 안착턱 10 : 드럼유니트
10a,13a : 돌기 11 : 도어
12 : 가이드홈 13 : 현상유니트
본 고안은 본체내에 장착된 소모품인 드럼유니트 및 현상유니트를 독립적으로 본체에서 착탈시킬수 있도록 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의 본체내에 장착되는 부품중 현상유니트는 30,000-50,000매, 드럼은 15,000매, 토너는 2,000매, 폐토너통은 3,000매의 복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거나, 소진되므로 주기적인 교체의 필요성이 있게 된다.
첨부도면에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유니트(1)에 토너카트리지(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토너카트리지(2)의 전방으로는 드럼(3)이 고정된 드럼유니트(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드럼유니트(4)가 결합된 현상유니트(1)를 본체(5)내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기 수명이 다른 소모품을 교체시키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드시 덮개(6)를 연다음 폐토너레버(도시는 생략함)를 뒤로 젖히고 폐토너통을 뒤로 이동시킨 다음 본체(5)에서 드럼유니트(4)가 결합된 상태로 현상유니트(1)를 본체의 외부로 꺼낸다음 작업을 하여야 되었으므로 항상 드럼(3)이 빛으로 부터 노출되어 드럼(3)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음은 물론 부주위로 인해 드럼이 긁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느 하나, 예를들어 토너 카트리지(2)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여러부품을 분리시켜야 되었으므로 부품 교체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교체하고자 하는 부품만을 본체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모품의 교체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턱과, 상기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안착턱에 얹혀지는 돌기를 가진 드럼유니트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가진 현상유니트로 구성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제4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5도는 덮개를 개방하고 드럼유니트만을 분리시킨 상태도이며 제6도는 도어를 개방하고 현상유니트만을 분리시킨 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7)의 상부에 덮개(8)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7)의 내측벽에는 수직으로 안착턱(9)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7)의 상부를 통해 안착턱(9)에 드럼유니트(10)의 돌기(10a)를 얹어 장착하거나, 또는 안착턱(9)에 얹혀진 드럼유니트(10)의 돌기(10a)를 분리시켜 본체(7)로부터 드럼유니트(10)를 제거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7)의 전면으로 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의 내측수평방향으로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7)의 전면을 통해 가이드홈(12)에 현상유니트(13)의 돌기(13a)를 끼우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홈(12)에 끼워진 현상유니트(13)의 돌기(13a)를 분리시켜 본체(7)로 부터 현상유니트(13)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어(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7)의 전방으로 착탈시키는 현상유니트(13)의 상부에는 유니트(unit)화된 토너카트리지(1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덮개(8)와 도어(11)의 내측면에는 드럼유니트(10) 및 현상유니트(13)를 본체(7)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이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15)(16)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7)내에 드럼유니트(10)와 현상유니트(13)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어느 하나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복 사용으로 인해 청소 또는 부품교체를 위해 현상유니트(13)를 본체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7)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1)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어(11)가 제6도와 같이 90도 개방된다.
이와같이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11)의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16)의 누름력이 해제되므로 현상유니트(13)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현상유니트(13)를 본체(7)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본체(7)에 장착된 현상유니트(13)의 돌기(13a)가 가이드홈(12)을 따라 본체(7)의 전방으로 인출되는데, 이때 현상유니트(13)는 드럼유니트(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현상유니트(13)의 부품 교체나 청소를 완료한 다음 본체(7)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현상유니트(13)의 돌기(13a)를 가이드홈(12)과 일치시킨 다음에 내측으로 밀어넣고 도어(11)를 닫으면 도어(11)의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현상유니트(13)의 마그네트 로울러(17)가 드럼(18)과 접속되므로 기기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드럼유니트(10)의 청소나 수리를 위해 본체(7)에서 드럼유니트(1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7)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8)를 제5도와 같이 상부로 젖혀 개방시킨다.
이와같이 덮개(8)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덮개(8)의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15)의 누름력이 해제되므로 드럼유니트(10)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드럼유니트(10)를 본체(7)의 상부로 들어올리면 본체(7)에 장착된 드럼유니트(10)의 돌기(10a)가 안착홈(9)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인출되는데, 이때 드럼유니트(10)는 현상유니트(13)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럼유니트(10)의 부품교체나 청소를 완료한 다음 본체(7)에 다시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드럼유니트(10)의 돌기(10a)를 안착홈(9)에 안착시킨 다음 덮개(8)를 닫으면 덮개(8)의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드럼유니트(10)가 하방으로 눌러 드럼(18)이 마그네트 로울러(17)와 접속되므로 기기를 동작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본체(7)로 부터 드럼유니트(10)와 현상유니트(13)를 독립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현상유니트(13)의 착탈시 드럼유니트(10)를 본체(7)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소모품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현상유니트(13)의 착탈시에 드럼유니트(10)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본체(7)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8)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착턱(9)과, 상기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안착턱에 얹혀지는 돌기(10a)를 가진 드럼유니트(10)와, 상기 본체(7)의 전면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1)와,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수평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과,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기(13a)를 가진 현상유니트(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KR2019930010964U 1993-06-21 1993-06-21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KR970001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64U KR970001095Y1 (ko) 1993-06-21 1993-06-21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64U KR970001095Y1 (ko) 1993-06-21 1993-06-21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803U KR950000803U (ko) 1995-01-03
KR970001095Y1 true KR970001095Y1 (ko) 1997-02-18

Family

ID=1935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964U KR970001095Y1 (ko) 1993-06-21 1993-06-21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0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803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64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21884B2 (ja) 画像形成装置の構成ユニットおよび現像ユニット
JP2010102304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041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08011A (ja) 画像形成装置
US5417322A (en) Package for an organic photoconductor belt that enables no-touch insertion and extraction of belts
KR970001095Y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소모품 교체장치
US6721525B2 (en) Cartridge with a replaceable toner container for a laser printing imaging apparatus
JP4553571B2 (ja) 画像形成装置
JP3457775B2 (ja) 電子写真装置
US4963928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equipped with positioning device
JP201915908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2005301181A (ja) 画像形成装置
KR20220010663A (ko) 전면 커버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JP504585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8915B2 (ja) 画像形成装置
US7277661B2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unit comprising plural units
JP4516720B2 (ja) 画像形成装置
JPS5934545A (ja) プロセスキット
JP2006018128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32304A (ja) 画像形成装置
KR940006006A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H02272470A (ja) 画像形成装置
US1113771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84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