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63Y1 -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 Google Patents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63Y1
KR970000563Y1 KR2019940015663U KR19940015663U KR970000563Y1 KR 970000563 Y1 KR970000563 Y1 KR 970000563Y1 KR 2019940015663 U KR2019940015663 U KR 2019940015663U KR 19940015663 U KR19940015663 U KR 19940015663U KR 970000563 Y1 KR970000563 Y1 KR 970000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ed
cultivation
finish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027U (ko
Inventor
송재순
Original Assignee
송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순 filed Critical 송재순
Priority to KR2019940015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563Y1/ko
Publication of KR960000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제1도내지 제10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마감용베드를 기준으로 연결용베드가 연결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결용베드를 예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마감용베드 및 연결용베드위에 뚜껑식으로 재치되는 엽채류 재배용판넬의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재배용판넬에서 분리된 이식판넬의 사시도.
제5도는 상기의 이식판넬이 모두 제거된 재배용판넬의 사시도.
제6도는 상기와 다른 과채류 재배용판넬의 사시도.
제7도는 상기 과채류 재배용판넬의 종단면도.
제8도는 상기 과채류 재배용판넬의 횡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연결용베드가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엽채류 식물이 엽채류 재배용판넬에서 재배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도.
제10도는 과채류 식물이 재배되는 상태를 예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감용베드 1a : 마감벽
1b, 2a : 격벽 1c, 2c, 5b : 공기순환홈
1d : 배수구 1e, 2e : 단층턱
1f, 2f : 배관홈 1f' : 배관구멍
1g, 2g : 바닥면 1h, 2h : 연결부단층홈
2 : 연결용베드 2i : 연결부단층턱
3 : 엽채류재배용판넬 3a : 이시 판넬결합구멍
3a' : 이식판넬걸림턱 4 : 이식판넬
4a, 5a : 재배구멍 4b : 재배판넬걸림턱
5 : 과채류재배용판넬 5c : 지지각
5d : 베드걸림턱 6 : 온도조절용수관
7 : 연채류식물 8 : 과채류식물
본 고안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효율적인 재배관리를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연결식 판넬베드는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하는 온실(일명 ; 비닐하우스 및 글레스 하우스 라함)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통상 온실의 딸바닥에 설치되거나 혹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가 유지되게 후레임 설치된 일명, 벤치위에 일률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본 고안의 판넬베드는 온실규모에 의해 사람이 통행할 수 있을 만큼의 밭고랑 공간을 확보하여 밭이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적정한 길이가 되기까지 여러개의 판넬베드를 연결하여 밭이랑을 형성한후, 그위에 엽채류판넬이나 과채류판넬을 재치시키므로써, 소정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위해 통상 농작물을 재배하는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한예씩 간략하게나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수경재배 방법에서는 씨앗을 파종한 판넬밑 즉, 본 고안의 판넬베드에 착화된 식물뿌리에 항시 물에 접촉되도록 지하수 물을 흘려보내서 재배하게되며, 양액재배에서는 양액공급아린을 통하여 일정비율의 영양분이 함유된 약제를, 씨앗이 파종되서 성장중인 블럭(식물이 성장하고 있는 흙 대체용 식물재배 물질)에 흘려넣어서 식물 뿌리에 공급되도록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양약재배 방법에서도 착화된 뿌리밑 즉, 판넬이 상면에 설치된 저면의 베드에서는 수경재배에서와 같이 지하수를 흘혀보내서 재배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제품의 용도는 엽채류 및 과채류식물을 파종재배하는 판넬과 그 판넬이 상면에 설치되는 판넬설치용 베드임을 알아두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 고안의 판넬과 베드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10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온실의 규모에 따라 길거나 짧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베드는 적정한 길이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하는 연결용베드(2)와, 그 연결용베드(2)의 양쪽단부를 마갈하는 마감용베드(1)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 설치되는 판넬은 분해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엽채류재배용판넬(3)내지는 하나의 판체로고정된 과채류재배용판넬(5)을형성하여,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연결용베드(2)와 마감용베드(1)는,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일정한 높이의 격벽(1b)(2b)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공기순환홈 (1c)(2c)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1g)(2g)양측 코너부와 중심부에는 단층턱(1e)(2e)과 배관홈(1f)(2f)을 형성하는 한편, 연결부단층홈(1h)(2h)을 비롯한 연결부단층턱(2i)을 형성하므로써, 여러개의 연결용베드(2)를 연결하거나 혹은 마감용베드(1)와 연결용베드(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의 연결용베드(2)는 양쪽방향이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하므로 계속해서 여러개를 좌, 우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나, 상기의 마감용베드(1)는 한쪽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형성하므로 길게연결한 상기의 연결용베드(2)양쪽에 연결하여 베드 설치작업을 끝마무리짖게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마감용베드(1)는 막혀진 한쪽 바닥면(1g)양측에 배관구멍(1f')과 배수관(1d)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의 마감용베드(1)나 연결용베드(2)위에 재치시켜서 식물을 파종하거나 재배하는데 사용하게되는 엽채류재배용판넬(3)은,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 예시한바와 같이, 여러개의 재배구멍(4a)과 재배판넬걸림턱(4b)을 가진 이실판넬(4)을 형성하는 한편, 이식판넬걸리림턱(3a')과 이식판넬결합구멍(3a)을 가지 몸체판넬(3b)을 형성하며, 과채류재배용판넬(5)의 경우에는 상기의 연결용베드(2)내지 마감용베드(1)의 격벽(1b)(2b) 또는 그 공기순환홈 (1c)(2c)과 일치되는 공기순환홈 (5b)과 지지각(5c)을 형성하는 한편 그 양측에 베드걸림턱(5d)을 갖게하여 수개의 재배구멍(5a)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연결용베드(2)는, 온실의 규모 즉, 온실내부의 길이에 맞추어 좌, 우로 길게 연결하여 연결된 양쪽끝에 두개의 마감용베드(1)를 각각 연결하여 연결작업을 마무리하고, 상기 연결된 연결용베드(2)와 마감용베드(1)의 바닥면(1g)(2g)에 형성된 두줄의 배관홈(1f)(2f)에 온도조절용수관(6)을 배관한다.
이때, 배간하는 방법으로는 마감용베드(1)와 연결용베드(2)가 연결된 한개라인(한줄로 설치한 상태)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의 온도조절용수관(6)을 코일식으로 배관하게 된다.
즉, 양쪽의 마감용베드(1)중 한쪽에서는 U 턴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온도조절용수관(6)의 양쪽끝이 마감용베드(1)에 형성된 배관구멍(1f')으로 끼우거나 빼내어저 별도의 물탱크로부터 온도조절용수가 순환되도록 배관실시 한다.
이어서, 상기의 온도조절용수관(6)이 배관된 마감용베드(1) 및 연결용베드(2) 윗면에는 첨부도면 제9도 내지 제10도와 같이, 엽채류재배용판넬(3)내지는 과채류재배용판넬(5)을 재치시켜서 그에 합당한 식물을 재배하게 되는데, 이때 설치된 판넬이 엽채류재배용판넬(3)인 경우에는 상추, 배추등의 엽채류식물 (7)을 파종재배하나, 과채류재배용판넬(5)인 경우에는 오이, 가지, 토마토등의 과채류식물(8)을 재배한다.
아울러, 엽채류재배용판넬(3)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저면이 단층턱(1e)(2e)에 재치되므로, 바닥면(1g)(2g)과 약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뿌리용 물을 바닥면(1g)(2g)으로 흐려보내개되면 공급되는 물이 바닥면(1g)(2g)을 타고 흐르면서 엽채류재배용판넬(3)로부터 하향 착화된 연채류식물(7)의 뿌리를 적셔줄 수 있게되어 수경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상태에서 엽채류식물(7)이 어느정도 성장하고나면 필요에 따라서 여러개의 이식판넬(4)중 간헐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성장공간을 넓게 확보해줄 수 있게된다.
즉, 얍채류식물(7)은 품종에 따라 성장공간이 좁아도 될 것이 있는가하면 반대로 성장공간이 넓게 많이 요구되는 품종이 있다.
그 예로써, 상추, 시금치등은 다소 좁은 공간에서도 재배가 가능하지만 통배추와 같은 품종의 경우에는 처음 새싹이틀때와는 달리 성장하면서 다소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최초에는 밀도있게 파종하여도 상관 없으나 어느정도 성장단계에 오게되면 그 공간을 넓게 확보해주어야 한다.
아울러서, 상기 통뱅추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모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모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처음에 도면 제3도와 같이 이실판넬(4)을 몸체판넬(3b)에 밀도있게 결합하여 파종하나, 어느정도 성장하게 되면 몸체판넬(3b)로부터 간헐적으로 이식판넬(4)을 분리하여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따로이 마련된 몸체판넬(3b)에 옮겨심으면 된다.
이때 분해결합하는 방법은, 몸체판넬(3b)밑으로 손을 필어넣은 다음 밑에서 위로 이식판넬(4)을 밀어 올리게되면 이식판넬결합구명턱(3a)에 끼워져 있던 이식판넬(4)이 상부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분리된 이식판넬(4)은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이식판넬결합구멍(3a)이 비어있는 몸체판넬(3b)에 분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간헐적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하는 방법은, 분리하는 역순으로 실시하면 되는 것으로서, 결합되는 이식판넬(4)은 이식판넬결합구멍(3a)에 끼워지면서 양측의 재배판넬걸림턱(4b)이 이식판넬걸리림턱(3a')과 일치되면서 걸려지므로 위에서 손으로 이식판넬(4)을 살짝 눌러주면 된다.
이에 반하여, 과채류재배용판넬(5)의 경우에는 그 저면양측의 지지각(5c)이 마감용베드(1) 및 연결용베드(2)의 격벽(1b)(2b)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한다.
즉, 과채류재배용판넬(5)을 마감용베드(1)이나 연결용베드(2)의 위에서 아래로 덮어씌우게 되면 지지각(5c)이 양측의 격벽(1b)(2b)내면으로 삽입되면서 그 저면이 단층턱(1e)(2e)에 재치됨과 동시에 양쪽의 베드걸림턱(5d) 저면이 격벽(1b)(2b)의 상면에 재치되므로 도면 제10도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된 마감용베드(1)내지 연결용베드(2)의 격벽(1b)(2b)에 형성된 공기순환홈 (1c)(2c)과 과채류재배용판넬(5)의 공기순환홈(5b)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되면서 통공상태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경재배용공급수를 바닥면(1g)(2g)으로 흘려 보내게 되면 과채류재배용판넬(5)에서 저면으로 착화된 과채류식물(8)의 뿌리를 적셔주게 됨과 동시에 공급되는 물이 흐를때 외부의 공기가 내무로 흡입 유통하게 되므로 뿌리에 충분한 산호를 공급해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급발전하고 있는 과학영농에서 사람의 수고를 덜어주는 한편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줄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식물의 성장 및 알찬 결실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쪽에 격벽을 형성하여 벽도의 재배용판넬을 재치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된 공지의 판넬설치용 베드에 있어서, 단층턱(1a)(2a)을 비롯한 공기순환홈 (1c)(2c)과 배관홈(1f)(2f)을 격벽(1b)(2b)과 바닥면(1g)(2g)에 형성하고 연결부단층턱(2i)이 형성된 마감용베드(1)와 연결용베드(2)를 형성하여, 착화된 식물뿌리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베드.
KR2019940015663U 1994-06-29 1994-06-29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KR970000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663U KR970000563Y1 (ko) 1994-06-29 1994-06-29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663U KR970000563Y1 (ko) 1994-06-29 1994-06-29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27U KR960000027U (ko) 1996-01-17
KR970000563Y1 true KR970000563Y1 (ko) 1997-01-27

Family

ID=1938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663U KR970000563Y1 (ko) 1994-06-29 1994-06-29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5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27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971B1 (ko)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장치
US49321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gardening
US5097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gardening
KR101898590B1 (ko) 수경재배용 배드 조립체
JPH09248083A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栽培装置
KR100966939B1 (ko) 동식물사육기능이 구비된 케이스장치
JP2011142902A (ja) 水耕栽培法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JP2500380B2 (ja) トマト連続生産装置の養液供給方法
KR970000563Y1 (ko) 수경재배 및 양액재배용 연결식 판넬과 베드
US20220289640A1 (en)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JP2791781B2 (ja) 水耕栽培方法と水耕栽培用パネル
JP2001078576A (ja) 栽培装置
JP2684081B2 (ja) 水耕栽培方法と水耕栽培パネル
KR20060019335A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JPH07121190B2 (ja) 移動式作物栽培装置及び方法
JPH10304764A (ja) 苺等の蔓性作物の栽培方法と栽培用設備
JP2008011729A (ja) 栽培トレーを用いた野菜栽培方法及び装置
Imai AVRDC Noncirculating Hydroponics System
KR100270986B1 (ko) 수경재배용 단위 작물재배기
JP3198973U (ja) 育苗移植用集合鉢体
JP2003116354A (ja) 植物の吊り下げ型栽培床及びそれを用いた空中栽培方法
JP3390847B2 (ja) 山葵苗の増殖栽培法
JP3316080B2 (ja) 植物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