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39Y1 -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39Y1
KR970000539Y1 KR2019940006995U KR19940006995U KR970000539Y1 KR 970000539 Y1 KR970000539 Y1 KR 970000539Y1 KR 2019940006995 U KR2019940006995 U KR 2019940006995U KR 19940006995 U KR19940006995 U KR 19940006995U KR 970000539 Y1 KR970000539 Y1 KR 970000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on
packing
plug member
wat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875U (ko
Inventor
김진술
Original Assignee
김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술 filed Critical 김진술
Priority to KR201994000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539Y1/ko
Publication of KR950030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유니언 이음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에 대한 확대 단면도로,
(a)는 플러그의 결합부분에 대한 확대도.
(b)는 플러그의 배출 부분에 대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니언 10 : 제1플러그부재
11 : 나사부 13 : 너트나사부
14 : 패킹홈 15 : 리브홈
20 : 제2플러그 부재 21 : 패킹
25 : 링자리 26 : 나사홀
40 : 스크류
본 고안은 건축물의 수도밸관을 위한 유니언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시공시 실내의 벽면으로 돌출시키는 수도전 열결용 배관파이프를 통하여 건물완공전에 수도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하는 건축물에는 수도전의 설치를 위한 파이프가 배관되었으며, 신축건물이 완성되기 전에 이 배관으로 수도물이 공급되므로 실내벽면으로 노출시킨 파이프의 개구선단에 통상의 수도전을 설치하고 수도전의 개폐핸들을 빼놓아 수도물의 유출과 사용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작업자들의 편리를 위해서 스패너나 그 밖의 수공구로 수도전의 밸브를 열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도전의 사용시 제대로 잠그지 않은 부주의에 의하여 동절기에 배관파이프 또는 수도전이 동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도배관 파이프의 선단에 유니언을 연결하기에 이르렀다.
수도배관의 선단에 유니언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유니언의 이음부분에서의 밀폐를 정확히 이루어야만 하는데, 유니언의 이음부분에서의 밀폐구조는 유니언 너트로 조여져 밀착되는 부분에 O링이 압착되는 구조를 형성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O링은 유니언 너트의 조임력으로 밀려 제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상태로 유니언 이음부분에 대한 밀폐를 안정되게 이룰 수 없어 이 부분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유니언에서는 유니언 파이프의 선단에 캡을 씌우는 구성을 이루고 있으므로 부득이한 현장의 사정으로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을 풀러내어야 하는데 이는 캡을 유니언의 선단에 씌워 조일 때 토출되는 물줄기에 의하여 결합시키기가 용하지 않았으며, 종래의 유니언은 그의 단면형상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유니언의 취급시 조임력이나 풀음력을 작업자의 힘으로 가할 수 없어 반드시 별도의 수공구를 사용해야만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번거러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배관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시 결합부분과 이음부분에서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면 부득이한 사정으로 수도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도물의 공급과 단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유니언의 이음부분과 유니언의 선단으로 탄력을 보유한 패킹이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는 패킹자리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을 조이는 스크류와 유니언 너트의 취급이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는 것이 요구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벽에 매설되어 실내벽면으로 돌출되게 수도공급관과 연결되는 수도파이프(50)의 출구측에 수도물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그 출구에 체결되는 유니언(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1)은 파지대(17)의 끝단의 외주연으로 유니언 너트(30)의 체결을 위해 형성한 너트 나사부(11)와, 끝단 내경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접속되는 패킹과 리브를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14)과 리브홈(15)이 단차지게 형성된 제1플러그부재(10)와, 상기의 제1플러그부재(10)의 끝단에 접속되어 이음부분을 밀폐시키는 패킹(21)과 리브(22)를 시작단에 구비하며 끝단의 나사부(23)에는 수도물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링(24)이 삽입되는 링자리(25)을 형성하며, 링자리에는 기밀링(24)를 압착시키기 위한 스크류(40)가 나사식으로 체결을 이루게 하는 나사홀(26)을 형성한 제2플러그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제1플러그부재(10)의 개구직경(D)은 패킹(21) 선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하고, 패킹끝단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2플러그부재(20)의 선단으로 돌출시킨 리브(22)의 직경은 제1플러그부재의 리브홈(15)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며 내경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플러그부재(10)와 유니언 너트(30), 제2플러그부재(20)의 외면을 다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특히 팔각형으로 형성함이 적당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플러그부재(20)의 유니언너트(30)를 제1플러그부재(10)측으로 이동시켜 조이면 제1, 제2플러그부재(10)(20)는 유니언 너트(30)의 체결력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패킹(21)은 제1플러그부재(10)의 패킹홈(14)에 삽입되어 패킹과 패킹홈의 면이 원주상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고, 리브(22)가 패킹홈에서 이어지는 리브홈(15)에 끼워지는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수도물은 리브와 리브홈(15)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어지는 리브홈(15)의 경계면에서 패킹(21)과 패킹홈(14)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수도물은 제1, 제2플러그부재의 이음부분을 통하여 누수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유니언(1)의 선단에 체결된 스크류(40)는 제2플러그부재(20)의 선단에서 좁은 직경으로 형성된 나사홀(26)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와 나사홀(26)의 틈새를 이들 사이에 설치되어 밀착되고 있는 기밀링(24)으로 차단하고 있어 이 부분에서도 수도물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 제2플러그부재(10)(20)는 그의 원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자가 다각형으로 된 파지대(17)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할 수 있어 별도의 공구를 지참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니언의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도배관 파이프의 기밀이 유지시킴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유니언의 이음에 패킹이 패킹홈에 밀착되는 구성을 형성하고 유니언너트의 조임으로 이들 부분에 대한 밀착상태가 원주연에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므로 수도물의 누수를 미연에 방지함이 가능하고, 스크류의 조임과 풀음을 드라이버 공구로 조절하여 부득이한 경의 수도물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정)건축물의 내벽에 매설되어 실내벽면으로 돌출되게 수도공급관과 연결되는 수도파이프(50)의 출구측에 수도물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그 출구에 체결되는 유니언(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1)은 파지대(17)의 끝단의 외주연으로 유니언 너트의 체결을 위해 형성한 너트 나사부(11)와, 끝단 내경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접속되는 패킹과 리브를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14)과 리브홈(15)이 단차지게 형성된 제1플러그부재(10)와, 상기의 제1플러그부재(10)의 끝단에 접속되어 이음부분을 밀폐시키는 패킹(21)과 리브(22)를 시작단에 구비하며 끝단의 나사부(23)에는 수도물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링(24)이 삽입되는 링자리(25)을 형성하며, 링자리에는 기밀링(24)를 압착시키기 위한 스크류(40)가 나사식으로 체결을 이루게 하는 나사홀(26)을 형성한 제2플러그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제1플러그부재(10)와 유니언 너트(30) 및 제2플러그부재(20)의 외면은 다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KR2019940006995U 1994-04-02 1994-04-02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KR970000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995U KR970000539Y1 (ko) 1994-04-02 1994-04-02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995U KR970000539Y1 (ko) 1994-04-02 1994-04-02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75U KR950030875U (ko) 1995-11-22
KR970000539Y1 true KR970000539Y1 (ko) 1997-01-27

Family

ID=1938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995U KR970000539Y1 (ko) 1994-04-02 1994-04-02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71B1 (ko) * 2010-11-29 2011-03-16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계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71B1 (ko) * 2010-11-29 2011-03-16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875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017B1 (ko) 가요성 비금속도관 및 가요성 비금속튜브용 방수콘넥터
US20080029176A1 (en) Plug For A Hydraulic Fitting
US4018459A (en) Submain connector
GB2274693A (en) Pipe connector
US3307435A (en) Plastic service t
KR970000539Y1 (ko) 수도배관용 유니언 이음구조
JPH02163592A (ja) 管継手
US20030080563A1 (en) Irrigation valve
KR200421032Y1 (ko) 회전 가능한 원터치 결합형 니플구조
JP2007263146A (ja) 管継手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KR950008905Y1 (ko) 엘보우관 가설용 플러그
KR200159062Y1 (ko) 가스관 마개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JPS6217478A (ja) ニ−ドルバルブ
KR100312159B1 (ko) 관이음구
KR200269745Y1 (ko) 메타폴 관의 이음쇠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JP2587366Y2 (ja) 開閉弁
JPH044389A (ja) 管継手構造
KR200157827Y1 (ko) 파이프 어댑터
KR800000605B1 (ko) 배관 연결기
KR19980061884U (ko) 복합관용 원터치식 관연결구
JPH0547346Y2 (ko)
KR100334584B1 (ko) 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